유 퀴즈 온 더 블럭/71회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유 퀴즈 온 더 블럭

파일:유퀴즈온더블럭.png

[ 펼치기 · 접기 ]
에피소드
시즌 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시즌 2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시즌 3
47회 · 48회 · 49회 · 50회 · 51회 · 52회 · 53회 · 54회 · 55회 · 56회 · 57회 · 58회 · 59회 · 60회 · 61회 · 62회 · 63회 · 64회 · 65회 · 66회 · 67회 · 68회 · 69회 · 70회 · 71회 · 72회 · 73회 · 74회 · 75회 · 76회 · 77회 · 78회 · 79회 · 80회 · 81회 · 82회 · 83회 · 84회 · 85회 · 86회 · 87회 · 88회 · 89회 · 90회 · 91회 · 92회 · 93회 · 94회 · 95회 · 96회 · 97회 · 98회 · 99회 · 100회 · 101회 · 102회 · 103회 · 104회 · 105회 · 106회 · 107회 · 108회 · 109회 · 110회 · 111회 · 112회 · 113회 · 114회 · 115회 · 116회 · 117회 · 118회 · 119회 · 120회 · 121회 · 122회 · 123회 · 124회 · 125회 · 126회 · 127회 · 128회 · 129회 · 130회 · 131회 · 132회 · 133회 · 134회 · 135회 · 136회 · 137회 · 138회 · 139회 · 140회 · 141회 · 142회 · 143회 · 144회 · 145회 · 146회 · 147회 · 148회 · 149회 · 150회 · 151회 · 152회 · 153회 · 154회 · 155회 · 156회 · 157회 · 158회 · 159회 · 160회 · 161회 · 162회
시즌 4
163회 · 164회 · 165회 · 166회 · 167회 · 168회 · 169회 · 170회 · 171회 · 172회 · 173회 · 174회 · 175회 · 176회 · 177회 · 178회 · 179회 · 180회 · 181회 · 182회 · 183회 · 184회 · 185회 · 186회 · 187회 · 188회 · 189회 · 190회 · 191회 · 192회 · 193회 · 194회 · 195회 · 196회 · 197회 · 198회 · 199회 · 200회 · 201회 · 202회 · 203회 · 204회 · 205회 · 206회 · 207회 · 208회 · 209회 · 210회 · 211회 · 212회 · 213회 · 214회 · 215회 · 216회 · 217회 · 218회 · 219회 · 220회 · 221회 · 222회 · 223회 · 224회 · 225회 · 226회 · 227회 · 228회 · 229회 · 230회
관련 문서
상금 수령자 · 부제 및 시청률 · 잇템 · 난리났네! 난리났어 · 논란 및 사건 사고



1. 개요
2. 첫 번째 참가자: 임두언(이과)
3. 두 번째 참가자: 서지음(문과)
4. 세번째 참가자: 김성민, 최현민 (이과)
5. 네 번째 참가자: 민준홍(문과), 김지명(이과)
5.1. 민준홍
5.2. 김지명
6. 마지막 참가자: 백희나(문과)
7. 여담



1. 개요[편집]


유 퀴즈 온 더 블럭의 71화 방영 내용에 관한 문서이다.


2. 첫 번째 참가자: 임두언(이과)[편집]


이것은 1609년 8월 25일, 강원도 다섯 지역에서 목격됐습니다. 당시 강원도 감사 이형욱은 조정에 이것을 보고하며 '호리병이나 양동이, 세숫대야처럼 생겼고 이것이 사라진 뒤에는 큰 천둥소리가 났다'고 했는데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이것은 무엇일까요?

[ 보기 · 닫기 ]



국립과천과학관에 근무중이며, 탕수육을 부먹이라고 말해 화제를 일으킨 바가 있다. 촬영장에서도 이와 관련된 토크를 했다. 참고로 아내도 촬영현장에 왔지만 순수 찍먹파라고 소개했으며[1], 문과생이라고 말했다.

이후 전공인 고분자에 대해 토크를 했으며, 밑의 서지명 작사가와 토크를 할때 이과생 입장으로 잠깐 등장했다.


3. 두 번째 참가자: 서지음(문과) [편집]


이것은 거울로 삼을 만한 본보기라는 뜻으로 과거 중국인들이 거북이 등에 불을 올려놔 생기는 균열로 길흉을 점치거나 거울에 비치는 모습을 보고 과거를 돌아봤다는 데서 이것이 유래됐습니다. 흔히 ‘많은 사람들의 이것이 되다’라는 표현으로 쓰이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 보기 · 닫기 ]
귀감(龜鑑)

[1] 참고로 이분의 아들 역시 찍먹파라고 한다.


작사가로, EXO으르렁 (Growl), 소녀시대-태티서Twinkle, 러블리즈Ah-Choo, 오마이걸살짝 설렜어 (Nonstop) 등을 작사했다. 작사가가 된 계기와 본인이 생각하는 최고의 가사, 작사를 잘하는 비법까지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4. 세번째 참가자: 김성민, 최현민 (이과)[편집]


1853년 미국의 한 화물운반업체는 세계 최초로 안전장치가 있는 엘리베이터를 발명했습니다. 그러나 이용객들은 느린 속도에 불만이 많았다는데요. 당시 기술로는 속도를 해결할 방법이 없자 엘리베이터 이것을 설치해 상대적으로 속도를 인식하지 못하게 했다고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 보기 · 닫기 ]



서울과학고에 재학 중이며, 물리 올림피아드 국가대표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

처음부터 알아서 맞히지 않고 추측한 끝에 상금을 받아갔다.


5. 네 번째 참가자: 민준홍(문과), 김지명(이과)[편집]


둘다 서울대 재학생[2]으로, 과가 달라 잘 알지 못한다고 한다. 또한 두 사람 모두 문제를 몰랐거나 시간이 없어서 찍었는데 그게 답이라고 말해 엄청난 운이 있다고 말했다.

시즌 3 최초로 문제를 각기 다른 문제를 풀었지만 둘다 맞히지 못해 상품을 받았다.


5.1. 민준홍[편집]


이것은 원래 신의 은총을 뜻하는 그리스어인데 20세기 독일 사회학자 막스 베버가 초자연적인 재능이나 힘으로 사회를 이끄는 사람을 이것 권위라 표현하면서 널리 쓰이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사람을 끌어당기는 특별한 능력이나 자질을 뜻하는 이것은?

[ 보기 · 닫기 ]

[2] 물론 학과는 다르다. 민준홍은 서울대 경제학부에 재학중이고 김지명은 서울대 의예과에 재학중이다.


2018년 문과 수능 만점자다. 유재석에게 질문을 했는데[3], 이에 유재석은 목표가 없다고 말해 놀랬지만 이유[4]를 듣고 이내 수긍하였다.

상금을 받진 못했지만, 무려 드론을 받았다.


5.2. 김지명[편집]


현재 DNA 분석 기술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단위의 증거만으로도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나노는 이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나노스에서 유래된 말로 10억분의 1을 가리키는 미세단위라고 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 보기 · 닫기 ]

[3] "국민 MC로서 최정상에 오르셨잖아요? 나같은 경우는 수능을 잘봐서 대학에 잘 입학했고, 어쨌든 목표를 이뤘지만 유재석씨는 첫 목표 달성후 목적 설정을 어떻게 하셨는지, 이후 달려갈 수 있는 원동력이 무엇이었는지가 궁금하다"[4] 나는 '어디까지 가야 된다'는 그런 스트레스를 싫어하기 때문에 그런 것들을 회피한다. 그래서 나는 따로 개인적인 목표나 계획을 세우는 스타일이 아니다. 어떤 사람이 뭔가를 해야 한다는 과제를 던지거나 목표를 설정하면 난 그것이 너무너무 싫다. 하지만 무언가가 맡겨지면 그 순간에 충실하며 최선을 다해서 한다."


2019년 이과 수능 만점자며, 어른팟 스피커[5]를 받았다.


6. 마지막 참가자: 백희나(문과)[편집]


이것은 최승호 시인의 대표작 중 하나로 무기력한 현대인의 모습을 '이것'에 비유했습니다. 자갈처럼 딱딱한 '이것'의 혀는 부조리에 저항하지 못하는 순종적인 모습을 말라붙고 자부라진 '이것'의 눈은 획일화된 삶을 살아가는 모습을 표현했는데요. '이것'은 무엇일까요?

[ 보기 · 닫기 ]

[5] 아이폰 이어폰을 크기가 커진 모양을 가졌다.


동아 작가로, 아동문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아스트리드 린드그렌상'을 국내 최초로 수상했다.


7. 여담[편집]


  • 문과이과 특집. 참고로 두 자기는 둘 다 문과생으로, 문과생 자기들과는 공감대를 얻는 반면, 이과생 자기와는 은근 대립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16:15:45에 나무위키 유 퀴즈 온 더 블럭/71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