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 노선 정보

덤프버전 : r (♥ 0)

이 문서는 철도 노선을 수록한 문서로서, 이 문서를 통해 색인이 가능하도록 작성되었습니다.
열차 등급과 철도 회사는 철도 관련 정보철도 회사를 참고하십시오.
● 표시를 누르면 관련 정보로 연결됩니다.

2. 일반철도
2.1. 아시아
2.1.1. 대한민국/북한
2.1.2. 중국/대만
2.1.3. 일본
2.1.4. 기타
2.2. 유럽
2.2.1. 독일
2.2.2. 기타
2.3. 아메리카
2.4. 아프리카/오세이니아
3.1. 대한민국
3.1.1. 개통 예정 노선
3.1.2. 건설 예정 노선
5. 철도 터널
7. 관련 문서


1. 고속철도[편집]






2. 일반철도[편집]




2.1. 아시아[편집]




2.1.1. 대한민국/북한[편집]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2.1.2. 중국/대만[편집]


[ 300km/h ]
[ 250km/h ]
[ 200km/h ]
[ 건설 ]
고속진웨이옌고속철도(진웨이고속철도 · 웨이옌고속철도) · 선잔철도(선장철도) · 팡둥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징강고속철도(징슝상고속철도) · 지다위안고속철도 · 위완고속철도 · 샹징고속철도 · 슝신고속철도 · 룽쿤고속철도 · 위쿤고속철도 · 시옌고속철도 · 시위고속철도 · 구이난고속철도 · 청닝고속철도 · 바오인고속철도 · 청다완고속철도 · 이싱고속철도 · 후위룽고속철도(청위중셴고속철도 · 위이고속철도 · 한이고속철도 · 베이옌장고속철도) · 후닝옌장고속철도 · 후쑤후고속철도 · 위샹고속철도(위첸고속철도 · 첸지고속철도 · 이지고속철도) · 라이룽고속철도 · 항원고속철도 · 항취고속철도 · 진젠철도 · 닝화이고속철도 · 판싱철도 · 지빈고속철도 · 판싱고속철도 · 융저우철도 · 항저우공항고속철도 · 퉁쑤자융고속철도 · 항창고속철도(창징황고속철도) · 푸샤고속철도 · 광산고속철도 · 산산고속철도 · 난선고속철도 · 룽룽고속철도 · 하이고속철도 · 츠황고속철도 · 쉬안지고속철도 · 징징고속철도 · 란장고속철도 · 한바난고속철도 · 선바이고속철도 · 허신고속철도 · 광잔고속철도 · 선산고속철도 · 주자오고속철도 · 핑뤄저우고속철도
도시간베이징도시간철도연결선 · 진싱도시간철도 · 화이쑤벙도시간철도 · 화이쑤푸도시간철도 · 스헝창강도시간철도 · 차오마도시간철도
국철1종청란철도(란허철도) · 취리철도 · 팡둥철도 · 루안징철도
[ 계획 ]


[ 펼치기 · 접기 ]
주요 간선남북 주간선(5종)징하철도 - 징광철도, 징주철도, 징후철도, 자오류철도, 바오청철도 - 청쿤철도
동서 주간선(3횡)징바오철도 - 바오란철도, 룽하이철도 - 란신철도, 후쿤철도
하얼빈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빈베이철도, 쑤이자철도, 빈저우철도, 빈쑤이철도
선양그룹징하철도, 핑치철도, 징퉁철도, 진산철도, 옌다철도, 바이아철도, 창바이철도, 창투철도, 선지철도, 선단철도, 선다철도, 선산철도
베이징그룹징퉁철도, 징하철도, 징후철도, 징광철도, 징주철도, 진산철도, 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한지철도, 스더철도, 진바철도
타이위안그룹징바오철도, 스타이철도, 타이중철도, 퉁푸철도, 타이자오철도
후허하오터그룹징바오철도, 탕바오철도, 바오시철도, 바오란철도, 지얼철도, 지퉁철도
정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신스철도, 타이자오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한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자오류철도, 닝시철도, 우주철도, 샹위철도, 뤄푸철도, 멍바오철도, 한단철도
시안그룹룽하이철도, 바오시철도, 퉁푸철도, 타이중철도, 닝시철도, 샹위철도, 바오청철도, 시캉철도
지난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한지철도, 신스철도, 옌다철도, 란옌철도, 자오지철도
상하이그룹징후철도, 징주철도, 룽하이철도, 후쿤철도, 닝시철도, 푸자철도, 칭푸철도, 푸화이철도, 화이난철도, 항융철도, 쉬안항철도, 닝치철도
난창그룹징주철도, 후쿤철도, 우주철도, 지헝철도, 펑푸철도, 잉샤철도
광저우그룹징광철도, 징주철도, 후쿤철도, 자오류철도, 지헝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위화이철도, 광선철도, 광마오철도, 스창철도
난닝그룹자오류철도, 이잔철도, 샹구이철도, 난쿤철도, 첸구이철도, 리잔철도
청두그룹후쿤철도, 바오청철도, 청쿤철도, 샹위철도, 란위철도, 첸구이철도, 위화이철도, 청위철도, 네이류철도, 청야철도, 촨첸철도
쿤밍그룹후쿤철도, 청쿤철도, 난쿤철도, 쿤위허철도, 쿤추다철도, 다리철도, 리샹철도, 다루이철도, 위모철도
란저우그룹룽하이철도, 란신철도, 바오란철도, 란칭철도, 란위철도, 둔거철도, 간우철도, 둔황철도
우루무치그룹란신철도, 난장철도, 거쿠철도, 쿠이아철도, 징이훠철도, 카허철도, 허뤄철도
칭짱그룹칭짱철도, 란칭철도, 둔황철도, 거쿠철도, 라르철도, 라린철도
기타하얼빈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푸시철도, 이자철도, 야린철도, 차오우철도, 치베이철도, 베이헤이철도, 난우철도, 허강철도, 보치철도, 자푸철도, 푸첸철도, 샹하철도, 첸푸철도, 린둥철도, 청지철도, 보린철도, 이민철도, 훠룽거우철도, 웨이야철도, 유바오철도
선양그룹투자철도, 라빈철도, 퉁랑철도, 진청철도, 이아철도, 쑹타오철도, 타오수철도, 지수철도, 쓰메이철도, 랴오창철도, 허룽철도, 바이허철도, 훈바이철도, 야다철도, 메이지철도, 퉁관철도, 번환철도, 펑상철도, 랴오시철도, 잉커우철도, 카이위안철도, 거우하이철도, 신이철도, 다정철도, 퉁훠철도, 간쿤철도, 예츠철도, 티우철도, 하이좡철도, 웨이타철도
베이징그룹진철철도, 징위안철도, 한장철도, 청룽철도, 징청철도, 화이판철도, 타이시철도, 탕차오철도, 진지철도, 양다철도
타이위안그룹징위안철도, 허우웨철도, 한위안철도, 닝커철도, 신허철도, 제시철도, 타이싱철도
후허하오터그룹린하철도, 후준어철도, 바오바이철도, 신상철도, 시둬철도, 다펑철도, 시얼철도
정저우그룹신웨철도
우한그룹이완철도, 마우철도, 샤오리철도, 창징철도, 야이철도
시안그룹허우시철도, 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황한허우철도, 간중철도, 셴퉁철도, 양안철도
지난그룹자오신철도, 룽옌철도, 하이칭철도, 더다철도, 쯔둥철도, 신타이철도, 짜오린철도, 타오웨이철도
상하이그룹자오신철도, 퉁주철도, 완간철도, 취닝철도, 신창철도, 쑤화이철도, 수이벙철도, 푸류철도, 허주철도, 안칭철도, 루퉁철도, 닝퉁철도, 진첸철도, 진산철도, 하이양철도, 진타이철도
난창그룹취닝철도, 완간철도, 퉁주철도, 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와이난철도, 간룽철도, 젠화철도, 칭관철도, 싱취안철도
광저우그룹간사오철도, 장룽철도, 위룽철도, 핑난철도, 난사강철도, 잔하이철도, 웨하이철도, 하이난 서부순환철도
난닝그룹마위철도, 위톄철도, 허마오철도, 톈징철도
청두그룹이완철도, 수이훙철도, 다완철도, 광다철도, 다청철도, 청두 서부순환철도, 룽황철도, 싱뤄철도, 후융철도, 충칭 동부순환철도
쿤밍그룹수이훙철도, 웨이훙철도, 판시철도, 쿤스철도, 쿤허철도, 쿤양철도, 광다철도, 다린철도
란저우그룹시핑철도, 바오중철도, 톈핑철도, 주어철도, 핑루철도, 훙후이철도
우루무치그룹린하철도, 우장철도, 아푸준철도, 커타철도, 보저우지선철도, 쿠어철도, 아아철도, 투무수커철도
칭짱그룹차카철도






2.1.3. 일본[편집]




2.1.4. 기타[편집]




2.2. 유럽[편집]



2.2.1. 독일[편집]



[ 펼치기 · 접기 ]
고속선 정보
역 수전용역 2개
중앙역 48개
공항역 3개
총 연장 길이1,615km
노선 수300km/h쾰른-프랑크푸르트 고속선
뮌헨-뉘른베르크 고속선
에어푸르트-라이프치히 고속선
뉘른베르크-에어푸르트 고속선
프랑크푸르트-만하임 고속선
하나우-겔린하우젠 고속선
하노버-빌레펠트 고속선
뉘른베르크-뷔르츠부르크 고속선
하노버-함부르크 고속선
하노버-브레멘 고속선
280km/h하노버-뷔르츠부르크 고속선
만하임-슈투트가르트 고속선
250km/h하노버-베를린 고속선
카를스루에-바젤 고속선
벤들링엔-울름 고속선
간선 정보
역 수5398개
총 연장 길이39,700km
노선 수250~200km/h쾰른-뒤스부르크 선
쾰른-아헨 선
할레-베브라 선
베를린-베브라 선
베를린-함부르크 선
함-바부르크 선
반네-아이켈-함부르크 선
라이프치히-드레스덴 선
쾰른-뒤스부르크 선
도르트문트-함 선
하노버-함부르크 선
함-민덴 선
하노버-민덴 선
트레브니츠-라이프치히 선
뉘른베르크-뷔르츠부르크 선
만하임-프랑크푸르트 선
뮌헨-아우크스부르크 선
울름-아우크스부르크 선
뉘른베르크-아우크스부르크 선
킨지그 계곡 선
160~100km/h서 라인선
동 라인선
베를린-포츠담-마그데부르크 선
브라운슈바이크-바트 하르츠부르크 선
뒤셀도르프-엘버펠트 선
마그데부르크-라이프치히 선
타우누스 선
베를린-비텐베르크 선
비텐베르크-데사우 선
라인 계곡 선
함부르크-베르게도프 선
베를린-슈체친 선
라이프치히-호프 선
베를린-프랑크푸르트(오데르) 선
헬름슈테트-뵈르숨 선
볼펜뷔텔-오셔슬레벤 선
마그데부르크-탈레 선
하노버-브라운슈바이크 선
본-쾰른 선
함부르크-킬 선
마르쉬 선
부퍼탈-포빈켈-에센-위버루르 선
뷔르템베르크 서부 선
필스 계곡 선
레어테-첼레 선
레어테-베를린 선
드레스덴-괴를리츠 선
쾰른-민덴 선
할레 비텐베르크 선
레어테-노르트슈템멘 선
쾨텐-아셔스레벤 선
하게나우란트-슈베린 선
루트비히스루스트-비스마르 선
바트 클라이넨-로스토크 선
엘버펠트-도르트문트 선
하노버-민덴 선
브레멘-하노버 선
카셀-바부르크 선
카를 선
프랑코니아 선
드레스덴-데친 선
베브라-바우나탈-군터스하우젠 선
프랑크푸르트-하나우 선
위터보크-뢰더라우 선
마그데부르크-비텐베르크 선
뒤스부르크-루어오어트-묀헨글라트바흐 is선
마인-베저 선
데사우-라이프치히 선
란 계곡 선
라인 고지 선
라인 마인 선
코부르크-조네베르크 선
레겐스부르크-바이덴 선
루르 지크 선
비텐-뒤스부르크 선
로젠하임-잘츠부르크 선
슈투트가르트-바트 칸슈타트-알렌 선
카를스루에-뮐라커 선
하겐-함 선 · 킬-뤼벡 선
브레멘-올덴부르크 선
살레-밤베르크 선
뤼벡-푸트가르덴 선
뤼벡-함부르크 선
오버하우젠-아른헴 선
오버하우젠-뒤스부르크 선
플라우엔-헤프 선
윌첸-랑베델 선
분스도르프-브레멘 선
슈텐달-윌첸 선
뮌헨-로젠하임 선
뮌헨-레겐스부르크 선
만하임-자르브뤼켄 선
레겐스부르크-파사우 선
베를린-바부르크 선
풀다-베브라 선
노이슈트렐리츠-바르네뮌데 선
마인-네카르 선
기존선 160km/h 노선에서 굵은 글자 노선은 200-250km/h 개량 공사&계획중인 노선
취소선은 공사&계획중인 신설 고속선



2.2.2. 기타[편집]


  • 프랑스

파일:SNCF 로고.svg 프랑스 철도 노선 정보
[ 펼치기 • 접기 ]
LGV(고속선) 정보
역 수180개
총 연장 길이2,734km
노선 수350~300km/hLGV 남동(파리-리옹)
LGV 대서양(파리-투르)
LGV 론-알프스
LGV 북(파리-칼레)
LGV 지중해(리옹-마르세유)
LGV 동(파리-스트라스부르)
LGV 페르피낭-피게레스
LGV 남유럽대서양(투르-보르도)
LGV 브르타뉴-페이 드 라 루아르
간선 정보
역 수3,054개
총 연장 길이26,167km
노선 수250~200km/h에탐페-오를레앙-비에르종 선 · 에탐페-오를레앙-보르도 선 · 파리-릴 선 · 보르도-일룬 선 · 콩네레-브레스트 선 · 파리-마르세유 선 · 스트라스부르-바젤 선 · 파리-스트라스부르 선 · 파리-클레르몽-페랑드 선 · 사벵-랑데네 선 · 르망-앵거 선 · 생베누아-로셀레-빌레 선, 모레-리옹 선 · 크레일-쥐몽 선
160~100km/h파리-에탐페 선 · 파리-물루즈 빌레 선 · 망타스 라 조리에-체르부르 선 · 파리-르하브레 선 · 아미앵-로우엔 선 · 생드니-디에페 선 · 롱게우-볼로뉴 선 · 모홍-티홍빌레 선 · 릴-생아무르 선 · 보르도-세테 선 · 브리브라가일라데-툴루즈 선

  • 영국

파일:Networkrail.png 영국 철도 노선 정보
[ 펼치기 • 접기 ]
고속선 정보
역 수11개
총 연장 길이638km
노선 수HS1런던-도버 고속선
HS2HS2 Phase 1
(런던-버밍엄 고속선)

HS2 Phase 2a
(버밍엄-멘체스터 고속선)
간선 정보
역 수
총 연장 길이15,811km
노선 수200km/h웨스트 코스트 본선, 이스트 코스트 본선
160~100km/h
건설중인 노선은 취소선으로 표시



2.3. 아메리카[편집]



2.4. 아프리카/오세이니아[편집]






3. 도시철도/광역철도/노면전차[편집]




3.1. 대한민국[편집]







수도권 전철 노선
[ 펼치기 · 접기 ]
1호선2호선3호선4호선
5호선6호선7호선8호선
9호선경강선[[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경의·중앙선
]]
경춘선
공항철도서해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인·분당선
]]
신분당선
신림선[[용인 에버라인|

용인 에버라인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우이신설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2호선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0 -8px;"
자기부상철도~~]]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파일:경상북도 휘장.svg 대구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2호선3호선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건설 중인 노선건설이 확정된 노선
대구권 광역철도엑스코선대구산업선
추진 중인 노선
순환선대구경북선
회색: 노선색상 미확정


파일:광주광역시 휘장.svg 광주 도시철도 및 연계 광역전철 노선
1호선
[ 미개통 노선 펼치기 · 접기 ]






3.1.1. 개통 예정 노선[편집]



-


3.1.2. 건설 예정 노선[편집]


-




4. 철교[편집]


  • 대한민국
전체 목록은 철교 참조.

5. 철도 터널[편집]


전체 목록은 터널/목록 참조.


6. 차량사업소[편집]




수도권 전철 차량사업소
[ 펼치기 · 접기 ]
서울 지하철
1호선2호선3호선4호선
군자[중][폐차]군자[중][폐차]
신정[중]
지축[중][폐차]
수서
창동
지축[중][타][폐차]
5호선6호선7호선8호선
고덕[중]
방화[폐차]
신내
도봉[중][타][폐차]
도봉[중][폐차]
천왕
모란
고덕[중][타]
방화[타][폐차]
9호선우이신설선
김포[중]우이[중]
신림선
보라매
한국철도공사 광역전철
1호선4호선
구로[폐차]
병점[폐차]
이문
시흥[중][타][폐차]
성북주재[주박]
인천주재[주박]
시흥[중][폐차]
안산역[주박]
경의·중앙선경춘선수인·분당선경강선
문산[중]
용문
평내[중]분당
시흥[중][폐차]
부발
서해선
시흥[중][타]
인천 도시철도
인천 1호선인천 2호선
귤현[중]운연[중]
오류[주박]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용유[중]
기타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신분당선용인 경전철
광교[중]
판교[주박]
용인[중]
공항철도김포 도시철도
용유[중]김포한강[중]
의정부 경전철
의정부[중]
[중] 중정비 가능한 기지
[타] 타 노선의 중정비 기지
[주박] 주박용 기지 또는 주재
[폐차] 폐차선이 설치되어 있어 불용차량 폐차가 가능한 기지






대전권 광역철도 차량사업소
[ 펼치기 · 접기 ]
1호선판암[A]외삼
2호선연축[B]
충청권 광역철도대전판암[A][C]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대전
[A] 중정비가 가능한 기지 / [B] 미개장 기지 / [C] 다른 노선의 중정비 기지





7. 관련 문서[편집]




[1] 일본과 전혀 상관없다. 단지 발음만 동일.[2] 건설 확정[3] 단, 진짜 이름을 부산 도시철도 5호선으로 할지는 미정이다.[4] 구로기지사업으로 대체[5] 판교트램으로 대체[6] 동탄인덕원선으로 대체[A] A B C D 철도가 지나지만 열차만 지나는 것이 아니라서 철교는 아니다.[7] 삼성역 참고. 경부 본선에서 제일 길다.[8] 태백선 건설 전까지 한국에서 가장 길었던 철도 터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