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선철도

덤프버전 :

支線鐵道 / Branch line

1. 개요
2. 대한민국의 지선철도
2.1. 지선철도 목록
2.1.1.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1.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1.3. 차량기지선
2.1.2.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2.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3.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3.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4.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4.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4.3. 차량기지선
2.1.5.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5.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5.3. 차량기지선
2.1.6.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7.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7.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8.1. 일반지선 및 화물선
2.1.8.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
2.1.22. 폐지된 지선철도
3. 북한의 지선철도


1. 개요[편집]


지선철도는 간선철도에서 갈라져 나온 철도로, 간선철도와 병행하면서 바이패스(우회로) 역할을 하거나[1] 차량 기지, 간선철도가 깔리지 않은 곳에 위치한 항구, 군 기지, 발전소, 공장(제철소,석유화학 등), 광산 등에 있는 화물을 가져가거나 보내주기 위해 부설했거나 2개의 간선철도를 이어주는[2] 철도노선을 칭한다.

또한 특정 역에서 분기되는 인입선 역시 실질적인 용도가 이것이므로 이 범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2. 대한민국의 지선철도[편집]




철도사업법 시행령에서는 지선철도를 간선철도를 제외한 노선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철도 노선 및 역의 명칭 관리지침에서 간선을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고 있는데, 해당 지침에 따르면 간선이란 사업용철도노선을 운행거리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지역 간의 여객과 화물 교통수요를 주로 수송하는 10km 이상의 사업용철도노선 중 국토교통부장관이 지정한 노선이고, 지선은 이 분류에 따라 사업용철도노선 중 간선을 제외한 노선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2.1. 지선철도 목록[편집]



2.1.1. 경부선[편집]



2.1.1.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1.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1.3. 차량기지선[편집]



2.1.2. 호남선[편집]



2.1.2.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2.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3. 전라선[편집]



2.1.3.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3.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 전경삼각선

2.1.4. 중앙선[편집]



2.1.4.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4.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4.3. 차량기지선[편집]



2.1.5. 경의선[편집]



2.1.5.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5.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5.3. 차량기지선[편집]


2.1.6. 경인선[편집]



2.1.6.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7. 영동선[편집]



2.1.7.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7.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8. 태백선[편집]



2.1.8.1. 일반지선 및 화물선[편집]



2.1.8.2. 삼각선 및 각종 연결선[편집]



2.1.9. 경전선[편집]



2.1.10. 진해선[편집]




2.1.11. 광양제철선[편집]



2.1.12. 동해선[편집]


  • 우암선
  • 부전선
  • 온산선
  • 울산항선
  • 울산신항선
  • 괴동선
  • 동해북부선[3]
  • 영일만항선
  • 울산기지선

2.1.13. 장항선[편집]




2.1.14. 경북선[편집]



2.1.15. 경춘선[편집]




2.1.16. 안산선[편집]



2.1.17. 분당선[편집]




2.1.18. 서울 지하철 2호선[편집]




2.1.19. 서울 지하철 5호선[편집]




2.1.20. 경강선[편집]




2.1.21. 서해선[편집]




2.1.22. 폐지된 지선철도[편집]


  • 장생포선
  • 정양선
  • 마산항제1부두선
  • 김포선
  • 미39보급선 - 양주역에서 밑으로 빠지는 선로가 바로 그것. 양주역에서 녹양역을 지나 가능교차로 근처에서 경원선과 다른 방향으로 꺾어져서 미군부대로 들어가는 상당히 긴 지선철도다. 본래는 가능교차로 근처 경원선 본선에서 바로 분기하는 구조였고 본선과 나란히 놓인 인상선도 존재하는 등 분기 부분이 간이신호장 수준이었다. 그러나 경원선 복선전철화를 하면서 해당 분기 구간이 고가로 올라갔고, 이 인입선은 기존 경원선 본선을 그대로 활용하여 양주역까지 간 뒤, 양주역에서 고가로 올라가서 본선에 합류하는 구조가 되었다. 이후 미군기지가 이전하면서 폐지되었고, 2021년 현재 선로가 군데군데 철거되어 서서히 사라지는 중이다.
  • 영등포공착장선
  • 의왕로템 반입선 - 과거 현대로템 (구 대우중공업 철도차량 제조부문) 이 의왕에 있었을때 존재했던 노선. 현재도 현대로템이 소개하는 본사는 의왕으로 되어 있으나, 철도 사업과 관련된 부서는 적다.
  • 금천구청역 군기지선
  • 안양자갈선
  • 온릉자갈선
  • 추풍령자갈선
  • 군산화물선
  • 남포선
  • 당인리선
  • 신촌연결선
  • 삼척화력선
  • 서천화력선
  • 서청주선
  • 주인선
  • 제3부두선 - 석탄부두선과 한쌍이었으나 이용 감소로 폐선.
  • 남해화학선
  • 장항화물선
  • 가은선
  • 울산선
  • 금장삼각선
  • 화순선

3. 북한의 지선철도[편집]


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항목에서 알 수 있듯이 자잘한 지선이 많이 존재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21:39:59에 나무위키 지선철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용산선[2] 대전선 등. 참고로 도시철도에서는 2개의 노선을 이어주는 선로를 연결선로로 따로 칭한다.[3] 이 노선은 제진~감호 구간의 노선인데, 추후 동해선 강릉-제진 구간과 삼척-영덕 구간 완전 개통되면 동해선 본선으로 편입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