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목록/대한민국 (r10판)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공항/목록


>
[[대한민국|
]] 대한민국의 공항 파일:공항 픽토그램.svg
[ 펼치기 · 접기 ]
중추공항인천
거점공항김포(서울) · 제주 · 김해(부산) · 대구 · 청주 · 무안
일반공항광주 · 양양 · 울산 · 여수 · 포항경주· 사천 · 군산 · 원주(횡성)
도심공항터미널
서울역 · 광명역
사설·기타 비행장
울진 · 정석 · 태안 · 수색 · 잠실 헬리패드
군 전용공항서울(성남) · 수원 · 오산 · 평택 · 이천 · 계룡 · 충주 · 예천 · 강릉 · 속초 · 전주 · 목포 · 진해 · 캠프 워커 · 현리(인제)
공사 중인 공항
울릉
착공예정 공항
가덕도(부산) · 대구 · 흑산 · 제주2 · 새만금(군산) · 백령
추진 중인 공항
경기남부(화성) · 포천 · 서산
폐쇄된 공항여의도 · 수영 · 알뜨르 · 춘천 · 전주(송천동) · 충주(목행동) · 코엑스(도심공항)
군(軍)공항: ■ 육군, ■ 해군, ■ 공군, ■ 주한미군



1. 개요
1.1. 추가시 주의 사항
2. 운영 중인 공항 목록
2.1. 공항공사 공항
2.1.1. 중추공항
2.1.2. 거점공항
2.1.3. 일반공항
2.2. 도심공항터미널[1]
2.3. 사설 공항
2.4. 군 공항/기지
2.4.1. 육군
2.4.2. 해군
2.4.3. 공군
2.4.4. 주한미군
2.5. 건설 중인 공항
2.6. 착공 예정 공항
2.7. 추진 중인 공항
3. 미운영 중인 공항 목록
3.1. 폐쇄된 공항
3.2. 취소된 공항
4.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내·국제공항.jpg

1. 개요[편집]


이름 그대로 대한민국에 존재하는 공항의 목록이다. 해외에 존재하는 공항은 공항/목록을 참조할 것.

1.1. 추가시 주의 사항[편집]


  • 반드시 실존하는 공항만 작성하시고, 가상의 공항(예: 광명국제공항)은 추가하지 말아주세요.
  • ICAO 코드는 반드시, IATA 코드는 존재하는 경우 반드시 입력해주세요.
  • 개별 문서가 없는 공항은 간략한 설명을 추가해주세요.
  • 도심공항터미널은 공항이 아니지만 사실상 공항과 비슷한 기능을 하기에 포함해주세요.

2. 운영 중인 공항 목록[편집]


국토교통부가 수립하는 공항 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인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2021~2025)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공항은 위계에 따라 중추공항, 거점공항, 일반공항으로 분류된다.

2.1. 공항공사 공항[편집]



2.1.1. 중추공항[편집]


중추공항글로벌 항공시장에서 국가대표하는 공항으로, 전세계 항공 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허브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국제선 출도착 등 국가의 관문공항[ICAO에_따르면] 기능을 수행한다.
이름IATAICAO위치비고
인천국제공항ICNRKSI인천광역시 중구서울/인천 도시코드 SEL


2.1.2. 거점공항[편집]


거점공항은 권역 내 거점의 성격을 갖는 공항으로 권역을 중심으로 국내선 및 국제선 수요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아울러 국제선 출도착 등 해당 권역의 관문공항[ICAO에_따르면] 기능을 수행한다.

참고로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서는 공항 권역을 수도권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도는 중부권경상도는 동남권전라도서남권, 그리고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권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래서 인천국제공항은 중부권 관문공항, 가덕도신공항은 동남권 관문공항으로 지정되었다.




2.1.3. 일반공항[편집]


일반공항은 주변지역 수요를 담당하는 공항으로 주변지역의 국내선 수요 위주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이름IATAICAO위치비고
울산공항USNRKPU울산광역시 북구
여수공항RSURKJY전라남도 여수시
사천공항HINRKPS경상남도 사천시공군 제3훈련비행단 주둔.
포항공항KPORKTH경상북도 포항시해군 제6항공전단 주둔.
원주(횡성)공항WJURKNW강원도 횡성군공군 제8전투비행단 주둔.
울진공항UJNRKTL경상북도 울진군낮은 경제성으로 인해 개항이 취소되고 비행교육훈련원으로 사용중.
광주공항KWJRKJJ광주광역시 광산구공군 제1전투비행단 주둔, 미공군 주둔.


2.2. 도심공항터미널[2][편집]


이름IATAICAO위치비고
삼성동 도심공항없음없음서울특별시 강남구한국도심공항코엑스 옆에서 운영중인 도심공항
서울역 도심공항없음없음서울특별시 용산구공항철도서울역에서 운영중인 도심공항
광명역 도심공항없음없음경기도 광명시한국철도공사광명역에서 운영중인 도심공항


2.3. 사설 공항[편집]


이름IATAICAO위치비고
수색비행장없음RKRS경기도 고양시육군 제11항공단 소속 군비행장. 한국항공대학교가 제반시설 관리를 맡고 있으나,
인근 주민들의 소음 민원으로 인해 비행 훈련은 실시하지 못하고 있다.
사곶비행장없음RKSE인천광역시 옹진군백령도 천연활주로.
태안비행장없음RKTA충청남도 태안군한서대학교 소유의 비행장.
정석비행장JDGRKPD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대한항공 소유의 비행장.
잠실 헬기장-RKSJ서울특별시 송파구잠실 한강공원에 위치한 간이 헬리패드. 서울 삼성동 헬기 추락사고와 연관되어 있다.
ICAO 코드가 부여되지 않은 경비행기 활주로는 이착륙장 문서 참조.


2.4. 군 공항/기지[편집]



2.4.1. 육군[편집]


이름IATAICAOK-Site[미군이]위치비고
이천비행장-경기도 이천시육군 육군항공작전사령부제17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수색비행장-RKRS경기도 고양시육군 제1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덕소비행장-경기도 남양주시육군 제1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파주비행장-RKRPG-110경기도 파주시육군 제1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광탄비행장-경기도 양평군육군 제1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가납리비행장-RKRAG-222경기도 양주시육군 제1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가평비행장-경기도 가평군육군 제15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포천비행장QJPRKROG-217경기도 포천시육군 제15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용인비행장-경기도 용인시육군 제17항공단 예하부대 및 의무후송항공대 주둔.
신북비행장강원도 춘천시육군 제12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홍천비행장강원도 홍천군육군 제13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안대리비행장강원도 양구군육군 제13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현리비행장QJPRKROG-217강원도 인제군육군 제13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속초공항SHO[3]RKNDK-50강원도 양양군육군 제13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영천비행장RKUYG-801경상북도 영천시육군 제2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전주공항CHNRKJUG-703전라북도 전주시육군 제21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2.4.2. 해군[편집]


이름IATAICAOK-Site[미군이]위치비고
진해비행장CHFRKPEK-10경상남도 창원시해군 진해기지 비행장, 덕산비행장이라고도 한다. 해병대 창설을 이곳에서 하였고, 1950년대에서부터 1970년대까지 민항편 운행을 해본적도 있었지만 김해국제공항으로 기능이전.
목포공항MPKRKJMK-15전라남도 영암군해군 제6항공전단 609교육훈련전대 주둔. 민간 부문은 무안국제공항으로 기능 이전.


2.4.3. 공군[편집]


이름IATAICAOK-Site[미군이]위치비고
서울공항SSNRKSMK-16경기도 성남시공군 제15특수임무비행단, 미 육군 항공대대 주둔. VIP 접객 용도로도 사용.
수원공항SWURKSWK-13경기도 수원시공군 제10전투비행단, 미 공군 주둔.
강릉공항KAGRKNNK-18강원도 강릉시공군 제18전투비행단 주둔. 민간 부문은 양양국제공항으로 기능 이전.
성무비행장-RKTEK-60충청북도 청주시공군사관학교 훈련용 비행장.
중원비행장(충주)JWORKTIK-75충청북도 충주시공군 제19전투비행단 주둔.
계룡비행장-충청남도 계룡시공군본부 관리 및 주둔.
서산공항HMYRKTPK-76충청남도 서산시공군 제20전투비행단 주둔. 민간 여객기 취항을 추진 중이다. 인근에 태안비행장이 있다.
예천공항YECRKTYK-58경상북도 예천군공군 제16전투비행단 주둔. 민항 기능은 2003년에 폐쇄.


2.4.4. 주한미군[편집]


이름IATAICAOK-Site[미군이]위치비고
오산 공군기지OSNRKSOK-55경기도 평택시주한미군 제7공군 사령부 및 제51전투비행단 주둔, 대한민국 공군 작전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 방공유도탄사령부 및 예하부대 주둔.
USAG 험프리스없음RKSGK-6경기도 평택시주한미군 제2보병사단 예하 제2전투항공여단 주둔.
캠프 워커없음RKTGK-37대구광역시 남구헬기전용작전기지. 주한미군 제19원정지원사령부 주둔.
캠프 스탠리없음RKSTH-220경기도 의정부시주한미군 제2보병사단 예하 항공대 주둔. 무인기 활주로가 있다.


2.5. 건설 중인 공항[편집]


이름IATAICAO위치비고
울릉공항??경상북도 울릉군2020년 11월 15일에 실착공 개시, 준공은 2025년, 개항은 2026년 1월예정


2.6. 착공 예정 공항[편집]


이름IATAICAO위치비고
백령공항??인천광역시 옹진군민군겸용, 착공시기 미정


2.7. 추진 중인 공항[편집]


이름IATAICAO위치비고
가덕도신공항??부산광역시 강서구 대항동가덕도신공항 특별법에 따라 건설되는 공항으로 2029년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따르면 이 공항은 거점공항으로 분류된다.[4]
대구경북 통합신공항??경상북도 군위, 의성2028년 개항을 목표료 하고 있다. 제6차 공항개발 종합계획에 따르면 이 공항은 거점공항으로 분류된다.
경기남부 통합 국제공항??경기도 화성시제10전투비행단 수원비행장 이전지에 함께 건설 예정.
서산국제공항HMYRKTP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제20전투비행단 주둔중. 2028년 이후 개항 예정.
새만금 국제공항??전라북도 새만금2019년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 결정
포천공항QJPRKRO경기도 포천시 자작동육군 제15항공단 예하부대 주둔, 용역중.
흑산공항??전라남도 신안군추진중


3. 미운영 중인 공항 목록[편집]



3.1. 폐쇄된 공항[편집]


이름IATAICAOK-Site위치비고
대전비행장QTWRKTFK-5[5]대전광역시 서구1952년에 공군 항공병과학교가 대전비행장 자리에서 설립되었었다. 1985년 이후 폐쇄되어 비행장 자리에는 둔산신도시가 들어섰다.
수영공항PSNRKPPK-9부산광역시 해운대구[6]센텀시티 자리에 있었으나 도시 확장 및 중대형항공기 운항이 어려움에 따라 김해공항으로 기능 이전.
여의도공항SELRKSSK-16서울특별시 영등포구김포공항, 서울공항으로 공항기능 분산이전.
춘천공항QUNRKNCK-47강원도 춘천시춘천에 주둔중이던 미군기지(Camp Page)였으며 2005년에 반환되었다. 춘천역 앞에 있는 널찍한 부지가 이곳의 흔적이다. 중공 민항기 불시착 사건 당시 이곳에 중국의 민항기가 착륙했었다.
삼척공항SUKRKNS?강원도 동해시[7]동해항 개발로 폐쇄.[8]
장평비행장JGE??경상남도 거제시과거 거제포로수용소 내부에 있었던 비행장.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
울산비행장---울산광역시 남구한반도 최초의 국제비행장. 지금의 울산공항과는 무관하다.[9]
고창비행장?RKJG-전라북도 고창군국내에 몇 안되는 민간사설비행장이었으며 1기의 활주로와 격납고 시설까지 갖춘 곳이었으나 2007년 이후 폐쇄. 현재 터에는 고창 솔라파크가 있다.
알뜨르 비행장?RKPM[10]K-40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일제강점기 군사시설로 현재는 등록문화재 39호로 지정됨.[11][12]
캠프 이글?RKNH?강원도 원주시주한미군 제2보병사단 제2항공전투여단이 주둔했던 곳으로 2010년에 철수했다. 현재 부지 자체는 사용되지 않지만 폐쇄되지도 않은 어정쩡한(?) 상태로 추정된다.
영천비행장???경상북도 영천시알뜨르 비행장처럼 일제강점기 비행장으로 현재는 이곳에 포도밭이 있다. 문제는 이곳 포도밭 주인이 격납고가 등록문화재로 지정될 경우 부동산 가격 폭락을 우려해 중장비를 이용해 격납고 1기를 파손했다.
전주비행장CHNRKJUK-41전라북도 전주시1968년 준공하여 1970년부터 민항기 운행을 하다 호남고속도로가 개통되어 경쟁에서 밀리자 지난 2000년 폐항하였다. 이후 군사 비행장으로 사용되었다. 2016년부터 전주 에코시티 개발로 부분 철거되었고, 철거가 되지 않은 부분마저도 2단계 개발이 시작되면 철거될 예정이다. 덕진구 도도동에 새 비행장 공사가 2019년 완공되어 이전을 하였다.


3.2. 취소된 공항[편집]


이름위치비고
김제공항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ㆍ공덕면과도한 수요 예측으로 부지매입비만 날리고 계획 전면 백지화.
김해신공항부산광역시 강서구 대저2동영남권 신공항으로 김해신공항 추진이
결정되었으나 국무총리실 산하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가
동남권 관문공항으로서 김해신공항은 근본적 검토가 필요하다고 발표하고
가덕도신공항법이 제정되면서 백지화.


4.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
]]⠀>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지리 ]

[ 정치 ]

[ 사회 ]

[ 외교 ]
>
일반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출입국여권 · 비자 · K-ETA · 스마트 엔트리 서비스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아시아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문화 ]
일반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98, '07, '18)
영화 · 연극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일제 말엽 제주도는 일본 본토 방어를 위한 중요 거점으로 요새화된 상태였기 때문에(결 7호 작전에 의해 1945년 7월 기준 7만여 명의 병력이 주둔) 알뜨르 비행장 이외에 제주도 전역에 10여 개에 달하는 군사용 비행장이 있었다. 현 제주 국제공항 또한 원래는 일본이 군사 목적으로 건설한 비행장을 확장한 것이다. 알뜨르 비행장의 경우 한때 대정읍 지역에 육군 제1훈련소가 설치되는 등 군사적으로 중요했었기 때문에 해당 부지를 공군이 그대로 소유하게 되었었고 현재도 공군이 소유 중이기 때문에 제주 각지에 있었던 비행장 중 가장 원형이 제대로 남아있는 곳이다. 참고로 '알뜨르' 혹은 '알뜨르'라는 의미는 서울말로 표현하면 '아랫벌'에 해당하는 제주도 방언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05 16:11:33에 나무위키 공항/목록/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공항은 아니지만 사실상 공항과 비슷한 기능을 하기에 포함한다.[ICAO에_따르면] A B 관문공항이란 운항에 따른 한 국가의 첫 도착지‧마지막 출발지가 되는 국제공항을 의미한다.[2] 공항은 아니지만 사실상 공항과 비슷한 기능을 하기에 포함한다.[미군이] A B C D 한국전쟁 당시 지정한 K-Site 번호에서 유래한다. 이 부호는 남한뿐만 아니라 북한의 비행장에도 붙어있다.[3] 민간 부문이 양양국제공항으로 기능 이전한 후 코드가 삭제되었으며 무주공산이 된 SHO 코드는 한창 짓고 있던 스와질란드의 음스와티 3세 공항(공사명은 시쿠페 공항)이 채갔다.[4] 그러나 가덕도신공항 건설 계획이 개정되거나 가덕도신공항의 수요가 폭증할 경우, 가덕도신공항인천국제공항과 동일한 등급인 중추공항 등급을 획득할 가능성도 매우 높다. 경상도 지역에서는 국토교통부가덕도신공항을 중추공항으로 격상시키고 실질적인 허브 국제공항으로 지정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가덕도신공항 역시 중추공항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높다.[5] K-5라는 K-Site는 교육부대 기능을 이전한 진주 공군교육사령부로 계승. 다만 교육사령부 내에는 비행장이 없다. 정확히는 헬기가 뜨고 내릴 수 있는 패드가 있으나 이와는 무관.[6] 김해공항으로 민항기능을 이전한 1976년 당시에는 부산직할시 동래구였다.[7] 공항 존재 당시에는 강원도 삼척군 북평읍이었다.[8] 한때 강릉공항의 기능을 대신하였으나 동해항 개발로 폐쇄되어 공항기능은 다시 강릉공항으로 이전한다. 그러나 강릉공항마저 민간공항기능은 폐쇄되어 군용 비행장으로 활용중인 상태이다.[9] 울산비행장은 현재의 노른자위 땅인 달동~삼산동 일대에 건설된 활주로 600m 길이의 공항으로, 1928년에 개항하였으나 1937년에 대구비행장에 경상도권 비행장 기능을 넘기고(이 과정에서 반대가 대단했다고 한다) 불시착장으로 활용되어, 1980년대까지 비상용 활주로로 사용되다가 이후 모든 부지가 민간에 불하되어 흔적조차 남지 않았다.[10] ICAO엔 모슬포로 등재되어 있지만 현지 지명이 모슬포이며 위치 좌표 등이 일치한다.[11] 제주도 제2공항이나 공군 6전대(탐색 구조전대)의 비행장으로 새로 건설하자는 이야기가 간혹 나온다.[12] 일제 말엽 제주도는 일본 본토 방어를 위한 중요 거점으로 요새화된 상태였기 때문에(결 7호 작전에 의해 1945년 7월 기준 7만여명의 병력이 주둔) 알뜨르 비행장 이외에 제주도 전역에 10여개에 달하는 군사용 비행장이 있었다. 현 제주국제공항 또한 원래는 일본이 군사목적으로 건설한 비행장을 확장한 것이다. 알뜨르 비행장의 경우 한 때 대정읍 지역에 육군 제1훈련소가 설치되는 등 군사적으로 중요했었기 때문에 해당 부지를 공군이 그대로 소유하게 되었었고 현재도 공군이 소유중이기 때문에 제주 각지에 있었던 비행장 중 가장 원형이 제대로 남아있는 곳이다. 참고로 '알뜨르' 혹은 '알드르'라는 의미는 서울말로 표현하면 '아랫벌'에 해당하는 제주도 방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