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최근 편집일시 :





파일:대한항공 신규 로고 국문.svg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항공
大韓航空 | KOREAN AIR

파일:대한항공 로고.svg파일:대한항공 로고 컬러 화이트.svg
기업명
국문: 주식회사 대한항공
영문: Korean Air Lines Co., Ltd.
한자: 株式會社 大韓航空
국가
[[대한민국|

대한민국
display: none; display: 대한민국"
행정구
]]

설립일
1946년 3월 1일 (대한국민항공사)
1962년 3월 26일 (대한항공공사)
1969년 3월 1일 (55주년) (주식회사 대한항공)
대표이사
회장
조원태
사장
우기홍
마일리지
스카이패스
항공 동맹
스카이팀[1]
(2023. 12. 1.)
취항지 수
40개국 111도시(2023. 12. 1.)
국제선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ICN)
김해국제공항 (PUS)
국내선

김포국제공항 (GMP)
제주국제공항 (CJU)
콜 사인

KOREAN AIR[2]
IATA

KE
ICAO

KAL
BCC

B5
지상 조업사
한국공항[3]
직원 수
17,857명 (2023. 9.)
본사
서울특별시 강서구 하늘길 260[4]
모회사
한진그룹 (한진칼)
자회사
한국공항
진에어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
한진정보통신
아이에이티
항공종합서비스
기업 규모
대기업
상장 여부
상장 기업
상장 시장
유가증권시장 (1966년~ )
종목 코드
003490 (보통주)
003495 (우선주)
시가총액
8조 4,875억원(2024. 2. 7.)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
2. 사명
3. 상징
3.1. 로고
3.2. 표어
3.3. 도색
5. 지배 구조
6. 역대 임원
6.1. 대한국민항공사 사장
6.2. 대한항공공사 사장
6.3. (주) 대한항공
8. 노동조합
8.1. 조종사 노조
8.2. 일반 노조
9. 타 항공사와의 관계
10. 보유 기종(현재, 이전)
10.1. 신기재 구매 일화
10.1.1. 비유럽권 국가 최초 에어버스 도입
10.1.2. 외환 위기보잉 737의 대량 주문
10.2. 엔진
13. 서비스
13.1. 일등석
13.2. 프레스티지석
13.3. 일반석
14. 사업 분야
14.1. 여객 운송
14.2. 항공 화물
15. 광고
16. 프로 스포츠 스폰서
17. 자회사
19. 기타 경영상 논란
19.1. 부울경 지역 홀대 및 환승 내항기 이용 강제 문제
19.2. KCGI와의 경영권 분쟁
20. 기타
20.1.1. 도착 시
20.2. 기내 안전 비디오
20.3. 기내 방송 배경 음악



1. 개요[편집]


Excellence in Flight, Korean Air}}}
[1] 스카이팀 공동 창립 회원[2] 외국에서는 뒤에 AIR를 제외한 KOREAN으로 호출하는 경우가 있다.[3] 인천, 김포, 김해, 제주, 청주, 대구, 울산, 포항경주, 원주, 사천 공항에 항공기 조업하고 있으며, 대한항공과 별도로 코스피에 상장된 대한항공의 자회사이다. 지상 조업 및 급유가 주목적이며 광동제약 삼다수와 더불어 대한항공 기내식에서도 볼 수 있는 제주산 생수인 한진 제주퓨어워터를 판매할 수 있는 단 둘뿐인 기업 중 하나이다. 그 외 정석비행장제주민속촌도 한국공항이 운영한다.[4] 김포국제공항 소재.

대한민국플래그 캐리어. 스카이트랙스 5성급 항공사로 2023년 11월 기준 40개국 111개 도시에 항공망을 연결하고 있으며, 여객기와 화물기를 합쳐 159대의 항공기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항공공사에서 민영화되어 현재는 한진그룹 계열의 항공사이자 현 한진그룹의 총자산 중 약 7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계열사.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대규모 항공사에 속하며, 세계 3대 항공 동맹 가운데 하나인 스카이팀의 창립 멤버로 미국의 델타 항공, 프랑스의 에어 프랑스, 멕시코의 아에로멕시코와 함께 동맹의 창립을 주도했다. 따라서 스카이팀 소속 항공사 가운데 대한항공의 영향력은 큰 편이며, 특히 동아시아 지역에서 그 위상이 매우 높다.

대한항공은 인천국제공항김해국제공항을 허브로 수많은 국제선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동남아 노선이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데, 중국·동남아 대형 항공사들이 스카이팀에 가입한 이후에도 동남아 수요는 아직도 대한항공이 주력일 정도이다. 그럼에도 대한항공의 중국 의존도는 타 항공사에 비해 낮다. 이는 플래그 캐리어인 만큼 유럽과 미주노선 등의 장거리 노선이 탄탄한 덕분인데, 대한항공은 동아시아 항공사 중 가장 다양하고 촘촘한 미주 노선을 자랑하며, 델타 항공과 모든 노선을 공유한다.[5] 이외에 여객 부분 이상으로 인정받는 화물업·항공 우주 산업·자체 정비·여객기 개조·부분 제조까지 손을 뻗고 있는 세계구급의 항공 기업이다.


2. 사명[편집]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050519162831.jpg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동에 있는 대한항공 본사[6]

1962년부터 1969년까지 대한항공공사라는 이름을 가진 공기업이었으나, 만성적인 적자에 따라 정부의 주관 하에 한진그룹에 대한항공공사를 넘겨주는 형식으로 민영화를 단행, 현재의 체제가 확립되었다.

회사의 공식 영문 명칭은 'Korean Air Lines Co., Ltd.'이며 'Korean Air'는 일종의 브랜드명(CI)이다. 대한항공의 약자이자 ICAO 코드이기도 한 '칼(KAL)'도 여기서 유래된 이름으로, 1984년 CI 변경 전에는 대외적으로도 Korean Air Lines를 널리 사용했다.[7] 현재는 CI를 'Korean Air'로 통일했지만 'KAL'이라는 약자 자체는 아직도 널리 쓰이는데, 대한항공 자회사인 '주식회사 항공종합서비스'에서 운영하는 공항리무진버스 'KAL 리무진'[8], 공항 내 전용라운지인 'KAL 라운지', 제주와 서귀포에 위치해 있는 대한항공이 운영하고 있는 'KAL 호텔', 자체 여행 패키지 상품 브랜드 '칼팍(KALPAK)' 그리고 인천 서구와 김해 등지의 사원아파트인 'KAL 아파트' 등에 KAL의 명칭이 쓰이고 있다. 이는 일본일본항공(JAL)과 상당 부분 비슷한데,[9] 양 항공사는 실제로 현재도 계속 협력 관계에 있다. 업계에서는 '댄' 또는 '댄공' 이라는 줄임말로도 불린다.


3. 상징[편집]



3.1. 로고[편집]


파일:Korean Air_CI.svg

태극무늬에 프로펠러 모양을 삽입한 현 로고는 1984년 3월 1일부터 도입되었고, 1984년 6월 29일에 도입된 F-28(HL7265)에서 처음으로 사용된, 2024년 현재 무려 40년의 역사를 가진 로고이다.

대한항공이 로고를 바꾼 이유는 하늘색 도색과 함께 1988년 서울 올림픽을 앞두고 대한민국 항공사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기 위한 목적이 가장 컸다. 프로펠러 모양을 넣은 주 이유는 태극무늬의 상업적 사용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약간의 변형을 주어 벗어나면서도 태극무늬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서이다. 하지만 프로펠러 모양이 들어가면서 무늬가 펩시 상표와 매우 유사해졌고 이로 인해 외국인들은 농담삼아 펩시항공이라고 부르는 등 여러모로 의식을 한다. 창립 초부터 현행 로고가 쓰이기 전까지는 고니를 모티브로 한 로고를 사용했는데, 이 때의 흔적은 지금도 여성 승무원으로 구성된 봉사단체가 '고니회'라는 데에서 알 수 있다.

한편 2022년에 새로운 로고 상표가 출원#되어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과 함께 로고를 변경한다 언론 보도가 나간 적이 있으나, 아직 확정은 아니다.#

3.2. 표어[편집]


대한항공의 캐치프레이즈이자 슬로건은 엑설런스 인 플라이트(Excellence in Flight; 비행의 완벽함)이다. 2004년 창립 35주년을 맞아 새롭게 지정된 슬로건이며 이전에는 우리의 날개하늘 가득히 사랑을 2개를 사용했다.[10]


3.3. 도색[편집]


대한민국 항공사들 중 유일하게 유색(청색) 항공기를 운영하고 있고[11][12] 한때 도색 변경을 추진했으나 현 도색이 더 좋다는 평이 지배적이어서 현상 유지를 택했다고 한다. 같은 동맹사인 KLM 네덜란드 항공과 도색이 유사하다. 차이가 있다면 KLM이 좀 더 색감이 진하며, 이쪽은 수직꼬리날개가 흰색이라는 것. 어쨌든 비슷하다 보니 대한항공이나 KLM의 보잉 777은 특별히 등푸른 고등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현재의 도색은 1984년 6월 29일 F-28(HL7265)을 인도받으면서 도입했으며, 보잉과의 공동 협의 하에 도색을 개발했다. 대한항공이 이렇게 자사 기재들을 유채색으로 도색한 표면적 이유로는 마케팅, 정체성 등이 있지만 그 이면에는 1983년 9월 1일 발생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당시 무채색인 도장 바탕색으로 인해 미 군용 정찰기로 오인받은 것의 영향이 컸다. 참고로 해당 도색은 1983년 11월 30일에 찍은 사진을 보면, 늦어도 1983년 11월에는 현행 로고의 기본 틀이 잡힌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의 하늘색 도색은 전 세계 항공사가 써온 도색 중에서도 가장 오랫동안 쓰인 도색 중 하나인데, 문자 그대로 보잉 707부터 787까지 함께한 유일무이한 도색인 셈이다.[13] 대한항공의 현행 로고보다 오래 쓰인 항공사 현행 도색은 전일본공수(1982년~, 43년)와 수단 항공(1974년~, 50년)[14]의 도색밖에 없으며, 지금은 쓰이지 않는 것까지 포함해도 아메리칸 항공의 구도색(1967~2013, 46년) 정도까지 합해 도합 3개밖에 없다.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지배 구조[편집]


주주명
지분율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진칼
26.13%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연금
6.2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석인하학원
0.7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석물류학술재단
0.1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일우재단
0.0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원태
0.0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명희
0.01%
2023년 4월 기준

6. 역대 임원[편집]



6.1. 대한국민항공사 사장[편집]




6.2. 대한항공공사 사장[편집]




6.3. (주) 대한항공[편집]



  • 부회장
    • 석태수 (2018~2019)

  • 대표이사 부회장
    • 조중건 (1992~1997)
    • 심이택 (2004)

  • 대표이사 사장
    • 조중훈 (1969~1984)
    • 조중건 (1984~1992)
    • 조양호 (1992~1999)
    • 심이택 (1999~2003)
    • 우기홍 (2020~ )

  • 대표이사 총괄사장
    • 심이택 (2003)
    • 이종희 (2004~2009)
    • 지창훈 (2010~2017)
    • 조원태 (2017~2019)

  • 대표이사 부사장
    • 우기홍 (2017~2019)




7. 직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직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노동조합[편집]



8.1. 조종사 노조[편집]


  • 대한항공조종사노동조합(조종사 1노조):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1999년 8월 설립. 민간 출신(APP 포함) 조종사들이 주축이었다. 노유진의 정치카페에서 나온 이야기인데, 조종사들이 노조를 만들며 노회찬에게도 조언을 구했다고 한다. 깜짝 놀란 노회찬이 '월급도 많이 받는 분들이 노조가 왜 필요하냐'고 물었더니 '돈이 문제가 아니라 인간 대접을 받고 싶다'고 말했다고 하며 사주 일가가 직원들을 대하는 태도를 능히 짐작할 수 있다. 35분 26초부터


  • 대한항공 조종사 노동조합(조종사 노조): 위의 두 노조가 2020년 4월 1일 통합해서 만들어진 새로운 조종사 노조다. 민주노총 소속이다.


8.2. 일반 노조[편집]



  • 대한항공직원연대지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조종사를 제외한 다른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노조. 다만 같은 민주노총 소속이기 때문에 조종사 1노조와 연대를 많이 한다. 한국노총 소속 노조와 갈등을 빚은 끝에 2018년 7월 떨어져 나왔다.[출처] 땅콩회항 사건의 피해자인 박창진 전 사무장이 지부장으로 근무했던 곳이다. 회사 안에 사무실이 없어 회의는 아시아나항공 객실승무원 노조 사무실을 빌려서 하고 있다. 전임 인정도 받지 못하고 있다. 최근엔 한국노총 소속 대한항공 노조가 직원연대 노조 조합원 명단을 인터넷에 무단 공개해서 법적 대응에 나서는 중이다.


9. 타 항공사와의 관계[편집]



9.1. 진에어[편집]


국내의 저비용 항공사인 진에어는 원래 대한항공의 자회사로 시작했지만 2015년 한진그룹이 지배구조를 정리하면서 지주회사인 한진칼이 자회사로 직접 운영함에 따라 대한항공의 자회사에서 동등한 자매사로 승계되었다. 그 후 2022년에 한진칼의 지분이 다시 대한항공 밑으로 들어가면서 대한항공의 자회사로 되돌아갔다.

현재 대부분의 노선에서 대한항공과 공동운항을 실시하고 있고, 항공기 지원, 정비, 모니터링, 급유 지원 등을 대한항공과 한국공항 등을 통해 지원받고 있다. 국내 저비용항공사 중 최초로 도입한 광동체기인 보잉 777도 원래 대한항공에서 운용하던 기체를 물려준 것이다.


9.2. 델타항공[편집]


대한항공은 델타 항공과 아주 깊은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두 항공사 모두 스카이팀의 창립 멤버로, 그 중에서도 특출나게 친하다. 과거에는 서먹했던 적이 있긴 했지만, 관계가 다시 좋아져서 단순히 협력 관계를 넘어 조인트 벤처까지 맺었다. 이는 환승 및 노선망 확대[15], 마일리지 동일 적용으로 여행객들에게도 큰 이득을 가져다 준다.

또한 최근에는 델타항공이 대한항공의 최대 주주인 한진칼의 지분을 늘리고 있는데, 오너 일가의 경영권 다툼에서 조원태 회장 측에 도움의 손길을 내밀었다.


보통 대한항공의 광고에는 끝에 'Excellence In Flight' 라는 캐치프라이즈가 나오는데 이 광고는 델타항공과의 공동광고인 관계로 그게 없다.


9.3. 일본항공[편집]


아시아나항공전일본공수와 친하다면, 대한항공은 일본항공과 친분이 있다.[16] 대한항공의 전신 대한국민항공사 때 부터 협력관계를 가졌으며, 항공동맹이 다른 현재도 양사간 친분을 유지하고 있다. 2018년 말에 한일노선간 마일리지 제휴를 하여, 한 쪽의 항공편을 이용하면 다른 쪽의 마일리지도 동시에 적립 가능하다.

따라서 일본 내 공항에서 대한항공 항공기에 대한 지상조업 및 체크인등 지상업무는 일본항공에서 대행하고 있다. 반대로도 마찬가지로, 김포공항에 발착하는 일본항공 여객기도 지상업무를 대한항공에서 대행해주며, 야외 지상조업은 대한항공 산하 지상조업 전담 자회사인 한국공항이 지원하고 있다.

일본항공의 영향인지, 1980년대까지 사용하던 도색의 구성 요소가 서로 비슷하다. 동체의 레터링 글꼴과 그 옆에 있는 국기, 새와 ICAO 코드를 합쳐서 만든 로고, 은색/회색으로 칠해진 하부에 동체를 가로지르는 투톤 치트라인이 일치한다.


파일:HL7410.jpg

파일:jalb74r.webp
대한항공 (HL7410)
일본항공 (JA8124)

10. 보유 기종(현재, 이전)[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현재 보유 기종에 대한 내용은 대한항공/보유 기종 문서
대한항공/보유 기종번 문단을
대한항공/보유 기종# 부분을
, 이전 보유 기종에 대한 내용은 대한항공/이전 보유 기종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2024년 2월 기준 총 159대를 보유하고 있다.
  • 보유 기체 평균 기령은 11.5년이다.
파일:HL8081.png}}}
파일:HL8092.png}}}
보잉 787-9 드림라이너[17]
에어버스 A220-300(CS300)[18]
파일:HL8346.png}}}
파일:HL8212.png}}}
보잉 777-300ER[19]
에어버스 A330-223[20]
파일:9E65EF6E-31AB-43B9-89D7-5BC7E2F30D2E.jpg}}}
파일:5AF9A027-6241-49E4-88B2-56927F235879.jpg}}}
보잉 747-8B5[21]
에어버스 A380-861[22]
파일:HL8348.png}}}
파일:HL8505.png}}}
보잉 737 MAX 8[* HL8348. 기체 결함 사태로 약 2년 동안 미국에 묶여있다가 2022년 2월 13일에 한국으로 왔다. 이후 3월 1일부터 정식 운항에 투입되었다. 다만 737 MAX의 사고 이미지 때문인지 보도자료나 항공기 탑승 시 안전 매뉴얼 팜플렛, 항공기 외부 도장, 웹사이트의 항공기 소개 정보, 자사의 예매 사이트 등지에선 MAX 8이 아닌 737-8로만 표기한다.]
에어버스 A321-272NX[23]

10.1. 신기재 구매 일화[편집]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항공사다 보니, 국가의 외교 및 국방 정책의 이해관계에 맞물려 미국을 대표하는 항공기 제작사유럽의 대표 항공기 제작사의 신기재를 구매한 사연을 두 차례 가지고 있다.


10.1.1. 비유럽권 국가 최초 에어버스 도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에어버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영문 위키백과 참고 자료
첫 번째는 바로 에어버스 A300비유럽권 최초 구매에 관련된 사연이다.

'미국에서 하푼 판매를 거절당하고 대체제로 프랑스에서 엑조세를 도입하기 위한 반대급부로 A300기를 구입했다'는 통설과 달리, 조중훈 회장의 평전에선 당시 WHO 단독 가입을 두고 프랑스를 상대로 한 북한과의 외교전에서 북한이 2억 달러치 건설 장비를 구매하자 이에 당시 김종필 국무총리가 '긴급한 에어버스기 구매 요청'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뉴스가 몇 개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두 상황이 동시에 우연히 맞물린 것으로 추정된다.

1974년 출시된 에어버스 A300 기종은 에어버스의 첫 생산 모델로, 당시로서는 항공기 판매 경험이라곤 전혀 없는 중소기업에서 만든, 성능과 신뢰성도 아직 검증되지 않은 완전한 신생아 듣보잡 여객기였다. 때문에 에어프랑스[24]로비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진 루프트한자 정도 외에는 그 어떤 항공사에서도 경험없는 뉴비의 항공기를 구매하지 않으려던 참이었는데, 그러던 중 정부의 공문을 받아 이를 수렴한 대한항공이 유럽 외 지역 항공사들 중 최초로 도입하여 운용하게 되었다. 다행히도 대한항공에서 굴린 A300은 매우 잘 운용되었고, 여객기의 성능과 신뢰성 역시 괜찮다는 사실을 검증해 전 세계에 에어버스를 알리는 역할을 했다. 덕분에 세계적으로 에어버스 기종의 수요가 늘어나기 시작했고, 이는 이후 에어버스보잉과 함께 세계 양대 항공기 제작사로 발돋움하는 첫걸음이 되었다. 사실상 대한항공이 지금의 에어버스를 만들어준 셈.[25]

위의 공로를 세운 감사의 표시로 1990년 프랑스 정부는 당시 에어버스 A300 도입을 확정시킨 한진그룹 회장 조중훈 회장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 2등급인 그랑도피시에 훈장을 수여했다. 이는 국가원수 급을 제외한 외국인이 받을 수 있는 최고 등급이자 한국인이 받은 것 중 최고 등급이다. 아들인 조양호 회장은 2004년에 3등급인 코망되르 훈장을 받았고, 이후 2015년에 아버지 조중훈 회장과 동일한 2등급 그랑도피시에로 승격되었다. 에어버스의 최종 조립공장 및 본사가 있는 툴루즈에서는 조중훈이 방문하면 활주로에 레드카펫을 깐다는 소문이 있을 정도로 대한항공은 에어버스에게 있어서 각별한 회사로 대우받는다. 사실 대한항공에는 보잉의 기체가 더 많고, 오히려 아시아나항공이 슬슬 에어버스로 돌아서는 추세이지만, 그럼에도 에어버스는 대한항공이 죽마고우이자 은인같은 존재라며 "에어버스의 빠른 성공 뒤에는 해외 업체 가운데 처음으로 항공기를 구매해 준 대한항공의 결단이 있었다"고 평가했다#. 어쩌면 시작이 반이라고, 애초에 진작에 역사 속으로 사라질 뻔한 회사를 소생시켜준 은인 항공사인만큼 현재 어디 회사의 기종을 더 많이 운용하는지 정도는 개의치 않을 것이다.


10.1.2. 외환 위기보잉 737의 대량 주문[편집]


두 번째로는, 당시 보잉 737 NG(Next Generation)의 대량구매와 관련된 사연이다.

1997년 외환 위기가 터진지 얼마 안 된 1998년 6월 초, 대한항공은 미국 보잉의 당시 최신 협동체 기종인 737 NG 시리즈의 주력 모델인 보잉 737-800 및 737-900 기종을 그것도 국가부도의 위기 속 상황에서 무려 27대나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한다. 그래서 2017년 말에 A220-300이 인도되기 전까지 한동안 대한항공에서 굴리는 협동체는 오직 보잉 737뿐이었다.

당시 대한항공은 구매 계약의 정부 개입설에 대해 완강히 부정했지만, 당시 1997년 외환 위기 여파로 국내의 모든 기업들, 물론 대한항공도 재무 구조 상태가 좋지 않았던 데다가[26] 노후 기종을 처분한다고 쳐도 당시 가뜩이나 국가적으로 모자라서 안달인 외화를 대량 구매로 인해 거액으로 또 다시 유출해야 함에도 대한항공이 선뜻 대량 구매를 질렀던 것, 이건 만일에 대한항공이 재무 구조가 탄탄해서 구매 계약을 독자적으로 추진하려 했다고 치더라도 당시의 국가 경제 사정이 외환 보유고가 바닥난 바람에 결정적으로 위기가 온 만큼, 대량 구매로 인한 거액의 외환 유출을 정부에서 가만히 보고 있지만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결정적으로 김대중 전 대통령의 방미 직전에 구매 계약이 체결되었다는 것은, 결국 새로 출범한 김대중 정부에서 IMF 구제금융을 통해 적극 지원하여 국가적 경제 위기에서 구해 준 미국 정부에 선물을 안겨 주기 위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대량 구매한 것으로 해석될 수밖에 없다. 실제 1998년 6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취임 후 첫 방미 일정 때 빌 클린턴 대통령과 정상회담 직후 가진 기자회견 자리에서 클린턴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대한항공이 보잉 737 NG 여객기를 대량 구매한 데 대해 공식적으로 감사의 뜻을 표하기도 했다.

보잉 또한 대한항공의 대량 구매에 대한 감사의 뜻으로 당시 좋지 않은 대한민국의 외환 사정을 감안하는 서비스 차원에서, 대한항공으로부터 받아야 할 계약금을 줄여 주고 항공기 구입에 필요한 금융을 유리한 조건으로 주선해 주기도 하는 등 이 대량 구매를 계기로 관계가 대한항공과 보잉의 관계도 상당히 돈독해진다. 특히 보잉뿐 아니라 엔진을 납품할 예정인 회사였던 GE[27]도 적극적으로 금융 지원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한항공은 양대 항공기 제작업체인 보잉에어버스 모두와 사이가 아주 돈독해지게 되었다. 단순히 관계가 좋아진 것을 떠나서 이 두 번의 사건들은 대한항공이 메이저급 항공사로 성장하는 데 큰 기여를 하게 되었다. 아예 에어버스는 대한항공이 있었기에 지금의 위치에 오를 수 있게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28][29]더불어 대한항공은 이 대량 구매를 통해 기존에 보유하던 포커 100, MD-82 등의 기재들을 모두 처분한다. 이들 기종은 1990년대 당시 기준으로 오래된 노후 기종은 아니었음에도, 이들 기종의 제작사인 포커MD가 파산하거나 합병되던 상황이었기에 부품 수급이나 정비 비용 측면에서 상당히 비효율적일 것으로 예측되었던 것이다. 현재 기준으로 본다면 그 예측은 당연히 옳았다. 덤으로 포커 100을 처분하면서, 롤스로이스의 엔진을 더 이상 굴리지 않는다. 하지만 절대라는건 없죠?

대한항공은 저효율 기재를 처분하고 효율이 높은 신 기재인 보잉 737 NG 시리즈로 물갈이하는 항공기 구조조정 작업을 단행할 수 있었다. 특히 1990년대 후반에 괌 추락 사고를 비롯한 잦은 항공 사고들로 대한항공의 신뢰도가 추락하고 있어서 내부적인 쇄신이 필요했고, 거기에 경쟁사인 아시아나항공에서 괌 추락 사고 직후 새 비행기를 타이틀로 하여 대한항공을 직접 공격하는 자극적인 마케팅이 가장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30] 그 이후 대한항공 쪽에서 신형 기체들이 왕창 도입하면서, 결국에는 평균 기령의 차이가 역전되었다. 새로 도입된 보잉 737 NG 시리즈는 좌석이 최대 189석으로 기존에 운영했던 포커 100이나 MD-82보다 좌석 공급력이 70% 이상 앞서고, 항속 시간이 5~6시간에 달해 태국까지 커버할 수 있는 등 앞으로 다가올 항공 수요에도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기종이라서, 당시에 얼마 남지 않았던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에 따른 수송량 증대에도 대처할 수 있다고 내다 보았다. 다행히도 그 전망은 완벽히 적중했고, 이를 계기로 2000년대부터 대한항공의 신 기종 투자 전략은 매우 적극적으로 변화하여 1980~1990년대와 다르게 보유 기종이 대폭으로 최신화되기 시작하고, 여객기 기재 교체 주기 또한 이전보다 상당히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2015년 근래 들어 당시 도입한 737 NG들이 15년이 지나는 등 상당히 노후화되고 있어서, 737-8, A321neo 등으로 대체하는 중 이다.


10.2. 엔진[편집]


프랫 & 휘트니VIP 고객이다. 대한항공의 모든 여객기에는 GEP&W제나 합작 회사(CFM, EA)의 엔진이 달려 있다. 이는 첫 제트기였던 DC-9부터 시작된 오랜 전통이고 그 뒤를 이어서 들여온 보잉 707보잉 727, 보잉 747로 더욱 확고히 굳혔는데 당시 위 기종들은 프랫&휘트니 장착이 가능한 상황이었고, 707과 747이 사세 확장에 혁혁한 공을 세운 대한항공으로서는 좋으나 싫으나 P&W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던 상황이었다. 그렇게 PW4000이 달린 보잉 747-400까지 운용해오다 보니 자연히 P&W 계열 엔진의 정비 기술도 보유하게 되어서 경영 효율화를 위해 타 기체의 엔진도 P&W를 선호하게 되었고, 보잉 777-200ER과 300 Non-ER에도 GE90이 아닌 PW4000이 장착되었다. 심지어 2006년에 보잉 747 래식이 완전 퇴역하고 2009년에 보잉 777-300ER이 도입될 때까지의 짧은 시간 동안 모든 광동체 기종의 엔진이 PW4000으로 통일되기도 했고[31] 2010년대에 도입한 A330 추가도입분에도 CF6가 아닌 PW4000이 장착되어 있다. 2016년에는 영종도에 P&W와 함께 엔진 테스트 시설까지 지을 정도로, 관계 또한 돈독해지게 되었다.#

반면, 롤스로이스 엔진은 절대 주문하지 않았던 것으로 유명하다. 대한항공의 RR 엔진 탑재 기체는 포커 100을 마지막으로[32] 한진계열사 VIP수송이나 비즈니스 전세기 서비스용으로 도입한 걸프스트림 G650 단 하나뿐이며, 이마저도 포커 100 퇴역 이후 G650 도입 이전에는 단 1대도 존재하지 않았다. A330보잉 787, A380 이 셋은 RR 엔진 옵션이 존재하지만, 대한항공은 다 무시해 버리고 P&W와 GE, 엔진 얼라이언스[33] 엔진으로 주문했다. 현재 대한항공에서 삼성 전용기로 운용중인 보잉 787-8 BBJ전일본공수가 주문을 취소한 보잉 787에 RR제 엔진이 달려 있자 이를 몽땅 떼어내고 GEnx로 교체할 정도이다. 왜냐하면 RR은 엔진 계약을 할 때 엔진 수리는 무조건 기체 구매와 동시에 유지 보수 패키지까지 계약한 상태로 RR의 자체 정비 공장에서 받거나 델타 항공처럼 합작 정비센터를 세워서 받으라는 방침을 고집하기 때문이다. 비슷하게 버스와 트럭 업계로 치자면 유니버스엑시언트 엔진 수리 받으러 자사 정비공장[34]이 아니라 현대자동차 전주공장까지 가거나 아예 자사 정비공장에 현대차 직원이 상주하는 전용 수리공장을 마련하라는 것과 같다. RR의 엔진은 3단 스풀, 즉 엔진에 축이 3개가 들어가기 때문에 P&WGE, CFM 인터내셔널 등이 생산하는 터보팬 엔진 기종들의 축 2개가 들어가는 2단 스풀 구조에 비해서 엔진 크기의 소형화[35], 추력, 연비 상승 등의 이점이 있는 대신 구조가 훨씬 복잡하여 정비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이같은 정책을 고집하고 있다.

이는 부천시에 자체적으로 원동기 정비 공장[36]을 보유하고 있는 대한항공으로써는 달갑지 않은 조건이다. 설령 RR에서 자체 정비를 허용해 준다 하더라도 P&W, GE 엔진과는 구조가 크게 다르기 때문에 정비 기술을 익히는 비용과 효율면에서 크게 떨어진다. 반대로 엔진 중정비가 불가능한 아시아나항공은 RR의 엔진을 채택한 항공기들이 있다. 오히려 A380에 트렌트 엔진을 장착하는 등 RR 선호 성향으로 움직이는 중이다. 그래서 일찌감치 A350을 주문한 아시아나항공과 달리 대한항공이 A350에 관심을 보이고는 있지만 보잉 787을 뽑고있는 이유도 현재 A350트렌트 엔진밖에 선택할 수 없다는 점 때문인 듯하다. 공식적으로는 '메리트는 있어 보이나 우리에게 이상적인 디자인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으나 이는 최대한 완곡히 거절한 것으로 사실상 엔진 문제 때문에 도입하지 않는 것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콴타스 32편 엔진폭발 사고보잉 787용 트렌트 1000의 팬블레이드 결함으로 인한 ETOPS 인증 하향 사건처럼 트렌트 계열 엔진이 유독 낮은 신뢰성을 보이는 상황에서 RR 엔진의 신뢰성에 대한 의심 때문에 기피 하는 것도 존재한다. 국내 제1의 민항이다보니 사고도 잦았고 이에 노이로제에 걸리다시피 해 안전 만큼은 절대로 타협하지 않을 정도까지 되다시피 한 것이다.

다만 보잉 737보잉 777F/-300ER, 보잉 787, 보잉 747-8, A380 및 과거에 운항하던 A300B4, DC-10-30GE(GE의 합작사인 엔진 얼라이언스CFM 포함)의 엔진을 이용하는데, 이들 기종에는 P&W의 엔진 옵션이 없기 때문이다. P&W2010년대 전반에 들어서 최신 광동체용 엔진이 새로 나오지 않거나 이제서야 개발 중인 등 하락세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최신 기종에서는 P&W의 엔진을 선택할 수가 없는 경우가 점점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보잉 777F/-300ER은 GE90, 보잉 787, 보잉 747-8GEnx로 주문했다. GE 엔진은 P&W 엔진처럼 2단 스풀, 즉 2축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P&W 엔진과 구조적으로 큰 차이가 없고, RR과 다르게 자체 정비공장 이용까지 가능하기 때문에 똑같이 P&W와 GE 엔진을 선호하는 대한민국 공군 소속 기체들의 위탁 정비도 진행하며, RR을 기피하는 대한항공 특성과 잘 맞아 떨어졌던 것이다. 이외에 A380용 엔진인 GP7200GEP&W의 합작사인 엔진 얼라이언스가 공급하며, 보잉 737CFM56LEAP 단독 옵션이다.

그래도 엔진 옵션에서 P&W 옵션이 있는 항공기는 아직도 P&W 라인업으로 통합하고 있다. 예시로 위에서 언급한 A300B4DC-10-30A300-600, A330, MD-11으로 개량되면서 PW4000이 추가되자 기존에 굴리던 CF6이 버젓이 살아있는데도 무시하고 PW4000을 골랐으며 P&W의 따끈따끈한 최신형 엔진이 달리는 A321neo는 얄짤없이 P&W로 주문했다. A220-300PW1500G가 달려 있는데, 이쪽은 737, 747-8, 777F/-300ER처럼 단독 공급이기 때문에 다른 항공사도 좋든 싫든 엔진 변경의 여지 없이 그대로 주문해야 한다. 물론 P&W 엔진에 익숙한 대한항공이라 전혀 문제될 건 없다.

결론적으로, P&W를 가장 선호하지만, P&W 옵션이 없으면 GECFM, EA 등을 장착하며 롤스로이스는 죽어도 안 쓰는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대한항공의 반 롤스로이스 성향이 변화될 가능성이 생겼는데, 영종도에 새로 건설하는 엔진 정비 공장에서 Trent XWB도 정비할 수 있도록 정비권한을 가져오는 것을 검토중이라고 한다.# 이는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에 대비하기 위한 것으로, 인수후 기령이 젊고 리스 계약에 묶여있어서 퇴역시키기도 어려운 아시아나의 A350을 지속적으로 운항할 목적이다.[37] 만약 Trent XWB 정비 권한을 가져오면 아시아나항공의 A350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은 물론이고 대한항공에서 자체 발주할 가능성도 열렸고, 2024년 3월 21일 에어버스에서 대한항공이 A350 33대 자체 발주를 하였다고 발표하며 20년만에 롤스로이스 엔진 주문을 하였다.#

10.3. 특별 도색[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특별 도색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마일리지[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일리지 및 회원등급을 비롯 상용고객 우대제도에 대한 내용은 스카이패스 문서
스카이패스번 문단을
스카이패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노선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노선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서비스[편집]


객관적으로는 세계 순위권의 서비스 역량을 갖추고 있다. 특히 항공 여행의 기대치가 매우 높은 대한민국 승객[38]의 눈높이에 맞춰 '프리미엄 항공사'의 컨셉을 지향한다. 일부 광동체 항공기에 일등석[39]이 설치되어 있으며 유일하게 한국 국내선에서 프레스티지석을 운영 중이다.[40]

다만 국내에서는 예전부터 경쟁사인 아시아나항공의 서비스 고급화에 밀려 서비스 측면에서는 콩라인 이미지가 강했다. 이는 두 항공사의 경영 방침 차이 때문인데, 대한항공은 아무래도 오랜기간 공기업+독점 시장 지배자였던 만큼 서비스의 질 자체보단 광범위한 노선 확보를 통해 꼭 필요한 항공사가 되는데 집중해 왔다. 하지만 아시아나항공오너의 삽질로 인해 비상 경영 체제로 들어가며 서비스의 질적 하락이 이어져 이제는 옛 이야기가 돼 버렸다. 해마다 선정하는 스카이트랙스 항공사 순위에서 대한항공은 꾸준히 소폭 상승하고 있는 반면 아시아나항공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 2020년 트래블러즈 초이스 어워드에서는 세계 10대 항공사 3위에 올랐으며, 아시아 지역 주요 항공사, 한국 최고 항공사 3개 부문을 수상했다. 또한 2020년 5성급 항공사로 격상되는 영예를 안았다.[41]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내외 저비용 항공사들의 다양한 막장급 서비스 덕택에 대한항공의 서비스가 점점 재평가되고 있다. 오너 일가가 워낙에 막장이라 그렇지, 대한항공이란 회사 서비스 자체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평이 좋다. 다만 에어헬프 주관 2018 세계 항공사 순위에서 최하위 10(66위)에 랭크가 되었는데 이는 서비스에서는 8.3의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정시 운행률 6.4와 고객 불만 처리 3.7을 받았기 때문이다. 2019년에는 최하위 탑 4안에 드는 기염을 토해냈는데, 고객 불만 처리에서 최하위인 1점대 점수를 받고 말았기 때문이다. 일단 대한항공은 에어헬프 사 자체의 공신력에 의문을 제기하며 항변했으나 여러 언론에서 신나게 다룬만큼 망신스러운 일임은 부인하기 어렵다.[42] 기내 와이파이 도입과 관련해서는 중국 항공사들만큼이나 보수적인 입장을 고수해 왔지만 델타 항공과의 조인트벤처 이후 델타 항공과 서비스를 맞추기 위해 2019년 중으로 기내 와이파이를 도입한다고 한다. 예정일보다 늦은 2023년 6월, B737-8 기종을 시작으로 2023년 8월, A321-neo 기종까지 와이파이 서비스를 도입했다. 타 국가의 국내선 비즈니스(프레스티지)의 서비스에 비하면 많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다. 외국의 유튜버는 김포-제주 구간을 프레스티지로 탑승했는데 고작 음료 한컵만 서비스를 해 준 것을 지적하고 있다.[43]


13.1. 일등석[편집]


A380-800, B777-200ER, B777-300ER, B747-8i에서 퍼스트 클래스가 운영된다.

2019년 6월부터 A330-200, A330-300, B787-9가 운항하는 노선에서 퍼스트클래스의 운영을 중단하였다.
2022년, B777-300이 코로나와 엔진 사고로 인한 중단 이후로 퍼스트 클래스를 프레스티지로 격하하여 운항중이다.

인천공항 2터미널에서는 전용 체크인 라운지를 운영하고 있고, 일등석 유상발권 승객에게는 탑승 게이트까지 1대 1 에스코트를 해준다.

좌석 종류
적용 기종
전좌석 통로접근
코스모 슬리퍼
B777-200ER
가능
코스모 스위트
B777-300ER 291석 기체[44], A380-800
가능
코스모 스위트 2.0
B777-300ER 277석 기체[45], B747-8i
가능

플래그쉽 좌석인 코스모 스위트 2.0은 747-8I와 일부 777-300ER에 설치되어 있다. 정작 A380에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46]

헤드셋으로 AKG N700이 제공된다.


13.2. 프레스티지석[편집]


흔히 말하는 비즈니스석의 브랜딩이다. A220-300을 제외한 모든 기체에 설치되어 있다.

  • 프레스티지 스위트
비즈니스석의 최신 모델이다. Apex Suite사의 제품을 차용하여 창측에 앉아도 통로로 직접 접근이 가능하게 설계되었다.[47]
  • 좌석 사양
    • 좌석 기울기: 180°(풀 플랫)
    • 좌석 너비/간격: 53cm/190cm
    • 모니터 크기: 43cm
  • 적용 기종

  • 프레스티지 슬리퍼
Collins Aerospace의 Minipod 제품을 채택하였으며[48] 이 좌석도 풀 플랫이지만 전 좌석 통로 접근은 불가능하다.
  • 좌석 사양
    • 좌석 기울기: 180°(풀 플랫)
    • 좌석 너비/간격: 51cm/188cm[49]
    • 모니터 크기: 39cm[50]
  • 적용 기종

  • 프레스티지 플러스
앵글드 라이 플랫 타입으로, 기령이 있는 기재들에 주로 설치되어 있는 좌석이다.
  • 좌석 사양
    • 좌석 기울기: 170°(앵글드 라이 플랫)
    • 좌석 너비/간격: 51~55cm/152cm
    • 모니터 크기: 26cm
  • 적용 기종

  • 프레스티지(B737용 우등고속형 리클라이너)
협동체기에 설치되어있는 비즈니스이며, 리클라이너 방식이다.

  • 좌석 사양
    • 좌석 기울기: 123°(리클라이너)
    • 좌석 너비/간격: 48~53cm/102~127cm
    • 모니터 크기: 23cm
  • 적용 기종


13.3. 일반석[편집]


전 세계적으로 일반석 좌석 간격과 폭을 줄이는 추세에 반해 대한항공은 33~34인치의 좌석 간격을 유지하고 있고, 보잉 777도 3-3-3 배치를 고수하고 있다. 2018년에는 이러한 프리미엄화 정책을 통해 SKYTRAX 최고의 일반석 상을 받았다. A220과 일부 737-800과 Non-ER 737-900 기종을 제외하면 전 좌석에 AVOD와 전원 포트가 달려 있다. A220 기종에는 스트리밍으로 기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종
좌석 배열
너비(인치)
간격(인치)
AVOD
B787
269석
3-3-3
17.2
33~34
O
278석
17.2
32
B777[51]
18.1
33~34
B747-8i
3-4-3
17.2
33~34
B737
-800
3-3
17.2
33~34
-900
30~31[52]
X
-900ER
30-31
O
-8
17.8
31~32
BYOD
A220
2-3
18.5~19[53]
30~31
A321-neo
3-3
17.8
31~32
O
A330
-200
2-4-2
18.1
32~33
-300
272석
33~34
276석
32~33
284석[54]
31~33
A380
3-4-3
18.1
33~34

A220 기종에는 이코노미 플러스 좌석이 설치되어 있지만 별도의 부킹 클래스와 차별화된 서비스가 없는 관계로 프리미엄 이코노미라고 간주하지 않는다. 이마저도 2019년 6월 10일부로 중단되었다. 아무래도 주로 투입되던 노선이 서울발 내륙 국내선이다 보니 1시간도 안되는 거리에 15,000원을 더 내 가면서 앉을 메리트가 부족했던듯 하다. 결국 이코노미 플러스로 운영되던 좌석들은 그대로 이코노미석으로 환원되었다.

2020년대에 들어 단거리 기재에 대한 이코노미 좌석의 고밀도화를 진행하는 추세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A220 기종은 이코노미 플러스를 폐지하면서 140석(30~31인치)으로 모두 개조했으며, 종전 159석(C12 Y147, 일반석 간격 32~33인치)으로 좌석간격에 여유가 있었던 B737-900ER 또한 코로나 시국을 지나는 동안 173석(C8 Y165, 일반석 간격 30~31인치)으로 개조를 단행하였으며, 그 좌석 간격이 수많은 항덕들의 원성을 자아냈던 B737-900 Non-ER 모델의 스펙과 같아졌다. 그리고 A330-300의 일부 276석 사양 기체에도 일반석 1열(8석)을 추가하여 284석을 배치하고, B787의 일부 269석 사양 기체에도 일반석 1열(9석)을 추가하여 278석을 배치하는 등 이코노미에도 앞뒤로 넉넉한 공간을 제공하던 과거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14. 사업 분야[편집]



14.1. 여객 운송[편집]


대한항공을 상징하는 가장 대표적인 사업 분야.


14.2. 항공 화물[편집]


파일:대한항공 카고 로고.svg
대한항공 카고 로고
여객 수송에 가려져 크게 알려져 있지 않은 사실이지만 대한항공의 항공 화물 서비스는 세계에서도 인정받고 있고, 대한민국 항공 화물의 중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과거 해외 여행 자유화가 이뤄지기 전까지 거의 적자만 내던 대한항공과 한진그룹을 먹여 살린 가장 큰 역할을 한 사업이 바로 항공 화물 운송 사업이었다. 때문에 대한항공 카고는 페덱스UPS, DHL 같은 화물 전문 항공사를 포함해 세계 5위[55] 수준의 막강한 항공 화물 수송력을 갖고 있다. 21년 기준으로는 페덱스 카타르 항공 DHL 에미레이트 항공 다음에 대한항공이다.

IATA에서 발표하는 화물 실적 순위에서 2004년부터 2010년까지 6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것만 봐도 화물 분야에서의 대한항공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항공 화물을 담당하는 대한항공 카고는 스카이팀의 화물 동맹인 스카이팀 카고에도 가입되어 있으며, 2020년에는 에어카고월드라는 회사에서 주관한 최고의 항공 화물 분야에서 세계 1위, 다이아몬드 어워드를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2위는 캐세이퍼시픽이 뒤를 이었다. 이미 2015년, 2016년에도 다이아몬드상을 받았다.

거기다가 2020년 창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항공 화물의 가격이 폭등한 현재, 항공 화물은 대한항공의 적자를 적지 않게 줄여주고 있기 때문에 사활을 걸고 있는 중이다. 넘치는 항공 물류 수요를 받아내기 위해 여객기 좌석에까지 화물을 싣고 나르는 중이며, 여행/항공 업계의 줄도산 위기 속에서 대한항공은 전 세계 항공사 중 거의 유일하게 오히려 2분기 흑자를 기록했다. 기사

화물기의 기단은 747F[56]777F로 이루어져 있다.


14.3. 항공 우주[편집]


대한항공은 항공 운수뿐만 아니라 정비, 항공기 부품 제조로도 유명한 회사다.

김해국제공항의 대한항공 테크센터는 자사 항공기 뿐만이 아니라 주한미군 공군, 각 항공사의 기체에 대한 정비 외주도 받고 있다. 같은 김해공항에 주둔하는 제5공중기동비행단의 중정비도 맡는다. # 심지어 스카이팀의 경쟁사인 유나이티드 항공 744 중정비도 #, 그리고 콴타스 A380 도색도 대행했다.

이와 더불어 프랫 앤 휘트니와 함께 세운 엔진 자가 정비 시설을 허브공항에 보유하고 있으며, 제너럴 일렉트릭 GE90, GEnx, 프랫 앤 휘트니 PW4000 등 자사의 모든 여객기에서 사용중인 엔진을 자체적으로 정비, 수리 할 수 있다.[57]

항공기 부품도 제작하여 A320A330neo의 샤크렛과 보잉 737의 윙렛 및 보잉 787의 윙팁, A350 XWB의 카고도어를 보잉과 에어버스에 납품하고 있으며 우주개발 분야에서도 90년대 부터 위성 구조체 사업에 참여해 왔으며 KSLV-1 나로호의 총조립 업체로 선정되어 나로호의 최종 조립을 한 바 있다.

최근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의 스페이스 파이오니어 사업 중 공통격벽 추진제 탱크 개발, 단간 연결 엄빌리칼 개발 사업을 통해 소형 우주발사체 코어 기술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소형발사체 개발역량지원사업에 비츠로넥스텍, 한양이엔지 등 업계 굴지의 기업들과 함께 주관기업으로 참여하여 3톤급 액체로켓엔진을 개발중이다.


14.4. 방위 산업[편집]





  • 대한항공이 맡은 방위 관련 사업
    • KF-5 제공호 면허 생산
    • 500MD 면허 생산
    • UH-60P 면허 생산
    • 공군 중고도 무인기(MUAV) 체계 개발[58]
    • 육군해병대 사단무인기(DUAS) 체계개발
    • P-3C 해상초계기 성능 개량 사업
    • 스텔스 무인전투기 (KUS-X. 일명 가오리-X)

대한항공은 1980년대부터 항공기 창정비나 부품 생산 등을 해 왔기에 당시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항공기를 부품 단위에서 조립'할 수 있는 기업이었다. 이에 따라 KF-5 제공호를 면허생산하기도 하였고 한국 공군이 F-15를 보유하지 못했던 2000년대 이전에도 이미 미공군의 F-15를 창정비할 수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래서 최근까지 미 공군 전투기의 창정비를 계속 해왔다. A-10을 개량하여 A-10C로 만드는 사업 또한 대한항공에서 진행했을 정도지만 정부의 일관성 없는 사업진행으로 도리어 대한항공은 손실을 겪었고 정부의 단발성 항공산업탓에 겨우 모였던 항공기 제작, 개발과 관련된 인프라도 흩어져버렸다. 이후에는 주로 군용 헬리콥터의 면허생산에 주력. 이후 정부 주도로 항공산업 업체를 합쳐 한국항공우주산업을 설립할 때도 대한항공은 여기에 참여하지 않고 독자 노선을 걸었다. 허나 이후로 군용 항공기 체계 개발 업체로서는 밀리게 되었다.[59]

2004년 무인기 개발에 착수함으로서 현재 무인기 분야에서 여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각종 군용 무인기를 포함하여 2012년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틸트로터 스마트 무인기의 라이선스를 구입하여 공동 개발에 착수하였고, 2013년 12월에 틸트로터 무인기의 시제기 개발을 완료하였다.

최근에는 중고도 무인기 사업으로 대한항공으로서는 처음으로 대형항공기 체계개발 사업을 진행중이다. 그러나 이전부터 체계개발을 해오던 인프라가 많은 한국항공우주산업과 비교하면 체계개발 업체로서는 부족한 면이 있고, 국방과학연구소와 마찰도 약간 있는 편이다. 급하게 인력을 확충하다 보니 그나마 대부분의 연구원을 계약직으로 뽑는 등 불안정한 모습도 보였다. 그러나 개발경험이 축적되면서 사업을 안정적으로 진행하고 있고, 사단무인기의 체계 개발에서 한국항공우주산업을 제치고 선정되는 등, 무인기 체계종합 업체로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YA_NP_20151112_00886046.jpg
2015년 11월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대한항공이 제작한 사단급 무인기의 전력화를 승인하였고, 2016년부터 전방 육군 사단과 해병대를 대상으로 도입이 시작될 계획이다.


15. 광고[편집]


1985년 당시 삼부프로덕숀이 기획을 맡았으나 1988년 이후 대홍기획으로 넘겨졌고, 1996년 MBC 애드컴을 거쳐 1997년부터 줄곧 HS애드(구 LG애드)가 기획하다가 2018년 디렉터스컴퍼니를 거쳐 SM C&C로 변경되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SBS 캠페인 및 KBS 환경 캠페인 후원했고, 그중에서 1992년에 EBS만 캠페인을 달랑 한 편씩 방영되었다. 2009년에 청와대 대통령 직속기관인 국가브랜드위원회와 협업을 통해 공익광고 캠페인을 방영하였다.
}}}
캠페인 광고. 모델은 박기웅.
2000년대 초반부터는 광고 캠페인을 아주 세게 밀어붙이고 있다. 모두들 기억하는 미국·동유럽 어디까지 가봤니(#1, #2)와 중원에서 답을 찾다(#), 뉴질랜드로부터 당신에게
[ ]
를 선물합니다(#) 시리즈 이전에, 무강빠마저 설레게 만든다는 명작 광고를 만들었으니 이 광고들의 아이디어는 현 진에어 전무이자 ''조현민이 대한항공 상무 시절 낸 아이디어라고 한다.

2011년 1월부터 광고하는 "일본에게 일본을 묻다"도 감성적인 연출과 제작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1, #2, #3, #4, #5)

}}}
위풍당당 행진곡이 삽입된 대한항공의 유명한 광고.

}}}
}}}
위풍당당 행진곡이 삽입된 대한항공 창립 25주년 광고.

광고 음악으로는 위풍당당 행진곡과 "Welcome to My World"가 유명하다. 후자의 노래는 정말 좋지만 실은 비행기 사고로 사망한 가수인 짐 리브스(1923~1964)가 내 곁으로 와달라고 하는 노래인데 그걸 항공사 광고에 썼다. 1980년대 후반에 다른 곡으로 바꿨다.
}}}
1970년대 초반의 광고 "운항 노선" 편.
유니폼 변경전 모습을 확인할수 있는 광고다. https://youtu.be/aHD-oS1b5gU?t=804

}}}
}}}
우리의 미소(하늘 가득히 사랑을) 광고.[60]
2000년에 제작된 "우리의 미소"라는 광고는 당시 괌 추락 사고, 화물기 추락 사고 등으로 온갖 고초를 겪던 대한항공이 분위기 쇄신을 위해 조종사, 승무원 뿐만 아니라 정비사, 심지어는 관계사 배구선수 등 대한항공과 관련된 여러 분야의 임직원을 출연시키면서 칼[61]을 갈고 기획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당시 정여진이 메인 보컬을 맡았으며, "하늘 가득히 사랑을"이란 소절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CM송이 워낙 잘 뽑혀 나왔던 이유인지 한동안 기내 출발 BGM 등으로 많이 활용되었다.

}}}
2005년 유니폼 변경 후 광고. 배경 음악은 로비 윌리엄스의 Road to Mandalay.

}}}
언제부턴가 배경 음악이 바뀐 버전.
2005년 승무원 유니폼을 바꾸면서 광고를 했는데 언제부턴가 장면은 같은데 배경 음악이 바뀐 적이 있다. 이에 대해선 명확한 근거는 없지만 초기 방송본에 사용된 노래인 Robbie Williams의 Road to Mandalay의 도입부의 가사가 항공사에 어울리지 않는 내용이라 바꿨단 루머가 있다.[62] 2014년 베트남-미얀마 노선 취항시에는 '누구나 저마다의 여행이 있다'라는 슬로건을 걸고, 대한항공 여행정보 홈페이지에서 본인의 여행타입을 알아보는 심리테스트와 함께 본인에게 맞는 여행지를 추천해주는 캠페인을 하고 있다. 이 광고는 리그 오브 레전드와 콜라보레이션되어 소라카, 트위스티드 페이트, 티모, 레오나, 쉬바나 중 한 챔피언을 고르고 각 챔피언의 컨셉에 맞는 여행지를 추천하는 포맷으로 바뀌었다. 놀랍게도 그 챔피언의 성우가 직접 'Excellence In Flight, Korean Air'를 읊기까지 한다.


16. 프로 스포츠 스폰서[편집]


파일:대한항공 한글 로고.svg
스 포 츠 단

[ 펼치기 · 접기 ]



원래 대한항공의 주요 스포츠단은 남자 배구단과 탁구단이었다. 그러나 V-리그 출범 이전 시절 남자 배구단은 V-리그 출범 직전 대통령배-슈퍼리그[63] 시절에는 우승 경력이 없었을 정도로 약체 구단이었다. 거기에 다른 팀들이 스카웃 경쟁을 벌인 것과는 달리 대한항공은 김학민, 신영수, 한선수 같은 다른 대학교 출신 선수를 받아들이기 전까지 한진그룹이 재단으로 있는 인하대학교 배구부에서 스카우트하여 자체 해결을 하는 편이었다. 다만, 최천식-박희상 등 이 팀의 미남 선수 계보는 지금까지도 이어진 게 나름 전통이라면 전통?! 16년까지 팀을 맡았던 김종민 감독도 인하대학교 출신으로 상무에서 군 복무를 한 것을 제외하고 현역 시절에 대한항공에서만 몸담았다. 또 탁구는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등 큰 대회가 있을 때 주목받는 정도라 홍보 효과를 이끌어내기는 어려웠다.

그래서 과감한 홍보를 노린 대한항공은 2010 스타리그를 후원하였다. 그것도 두 번이나 2010년 초 떡밥이 제시되다 1월 20일 확정기사가 떴다. 대한항공과 같은 메이저 기업이 스타리그를 후원하는 것은 상당히 드문 일. 어떤 효과를 노리고 스폰싱을 맡았는지는 모르겠으나 각종 커뮤니티에서는 "결승전은 해외에서?!", "오랜만에 섬맵 보는건가?"라는 글들이 많이 올라왔다. 반면에 온게임넷과 양대 개인리그를 구축했던 MSL은 여러가지 각종 병크가 겹친 상태에서 위의 내용처럼 온게임넷이 대한항공을 스폰서로 잡으면서 결국 확인사살당하고 말았다. 이로써 온게임넷은 5대 본좌에 오르게 되는데 온풍기 항목 참조.

대한항공 스타리그에 걸맞게 공개된 새로운 맵의 이름은 호주의 대 산호초지대인 그레이트 베리어 리프. 스타리그 개막 전 촬영한 호주노선 광고와 어울리는 이름. 그러나 하필이면 맵에 있던 산호초 모양 나무가 말썽을 부렸다. 36강에서 다름아닌 NATE MSL 우승자의 유닛이 산호초 사이에 끼는 상황이 벌어진 것이다. 재경기 요청은 하지 않았지만 경기에 영향을 준 것만은 분명하다.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1의 결승전 장소를 본사 김포격납고로 잡아주는 대인배스러움을 과시하며 또 한 번 이미지 쇄신에 박차를 가할 했다.

결국 흥행은 성공했지만, 온풍기 정전 사고와 맞먹을 만한 방송 중단 사태도 있었고, 격납고 오프를 뛴 팬들이 비가 오는 추위에도 격납고 문을 닫지 않아 벌벌 떨어야 했으며, 늦은 시간까지 격납고에 억류되어 있다가 막차를 놓치는 등 경기 이후 갈 곳을 잃은 채 PC방 등을 전전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심지어 교통수단이 전부 끊긴 시간이라 어찌할 바 모른 채 우는 여성 팬들도 있었다고 하며 결국 MSL 온풍기 사건과 다를게 뭐냐는 원성을 들으며 마무리가 좋지 못하게 되었다. 사실 견학이라는 방법 외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일반인들은 항공사의 격납고를 구경하는 것조차 쉽지 않은 상황에도 예상을 훨씬 상회하는 사람들로 미어터졌으니 이들을 통제 하에 퇴장시키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했다고는 하지만 진행이 매끄럽지 못했다는 비판은 피할 수 없게 되었다.

대한항공은 우승자 김정우 선수에게 우승 당시 사진, 소속 팀 CJ 엔투스의 영문 로고와 게임 아이디 Effort가 새겨져 있는 자사 보잉 747-400기의 모형을 증정하였다. 항공기 등록부호는 HL7477로서 기체는 대한항공의 보잉 747-400 1호기이다. 도입 후 대한항공의 홍보영상 등에 사용되었던 적이 있으나 HL7407로 바뀌었고, 2003년 에어인디아에 임차된다. 2006년에 대한항공으로 돌아와 HL7607로 등록되어 있다가 2011년 퇴역 처리되어 2011년 1월식 A380-800(HL7612)으로 대체 되었다. 부품은 떼어서 타 744기 정비에 쓴다고 한다. 아래 스타크래프트 2 래핑기의 합성 사진(2개의 사진 중 위의 것) 또한 HL7477로 되어 있다. 아무래도 홍보용 영상물 또는 사진물에는 HL7477로 통일하고 있다.

그리고 시즌1의 폭발적인 반응에 대한항공 IMC 팀장인 조현민 팀장은 자신의 싸이월드 미니홈피를 통해서 팬들에게 대한항공 스타리그 시즌2, 즉 또 스폰서를 한다고 발표하였다. 이로써 스덕들에게 새로운 여신이 생겼다. 근데 사실 이분은 대한항공의 모 회사인 한진그룹 가문의 차녀이자 막내딸 된다.

저번 시즌의 테마 비행기가 보잉 747-400이었다면 이번 시즌은 787 Dreamliner로서 컨셉 "꿈을 향한 비상", 신규맵은 飛上-Dreamliner이다. 아무래도 대한항공이 보잉 787의 날개 부분, 특히 Raked Wingtip을 제작하는 것을 적극 활용하기 위함인 듯하다, 상대인 MSL측의 스폰서는 웹하드인 빅파일, MSL 망했어요인 줄 알았는데, 빅파일 MSL은 4강-결승으로 이어지는 명경기의 향연으로 대흥행에 성공한 반면 대한항공 스타리그 2010 시즌 2 관중은 많이 왔으니 흥행은 성공했으나 경기 내용은 망했어요.

6월 24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2시까지 저번 시즌 스타리그의 결승전이 있던 대한항공 본사 격납고 에서 블리자드가 주최하는 스타크래프트2 미디어 데이가 열렸다. 그 자리에서 블리자드는 대한항공과의 공동 마케팅을 발표하였다. 블리자드가 얼마나 협회를 대놓고 까는지 알 수 있다. 블리자드가 대한항공하고 손을 잡았다는 것은 온게임넷쪽 스타리그에 호의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고, 협회와 협상이 결렬되고 그레텍이 지재권을 3년간 행사하는 상황에서 이건 블리자드가 대놓고 협회를 깐다는 말밖에는 안나온다. 그리고 대한항공 747-4B5기의 스타크래프트2 래핑을 공개되었다. 항공기 등록 부호 HL7491이다. 현재는 2015년 9월식 보잉 747-8i (HL7632)로 교체되었다. 7월 초 737-9B5 등록번호 HL7726에도 이 래핑이 적용되었으며, 이 기체들은 6개월간 대한민국내 노선 및 국외노선에 사용되었다.

파일:attachment/KE_STARCRAFT.jpg
대한항공 도색은 컴퓨터그래픽 렌더 이미지와 실제 기체 간의 색감이 크게 다르다. 실제 기체의 푸른색이 훨씬 옅다. 또한 대한항공은 최근 항공기 도색을 기존의 옅은 하늘색에서 옥색이 섞인 티파니 블루로 톤을 살짝 바꾸는 중이다.

이후에도 대한항공의 자매사인 진에어의 이름을 빌려 진에어 스타리그를 후원하였고 2013년 7월 10일 제8게임단과 네이밍 스폰서를 체결해 진에어 그린윙스를 맡으면서 아직도 e스포츠에 애정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시즌 월드 챔피언십의 메인 스폰서를 맡아, 상술한 대한항공 베트남-미얀마 광고를 LOL과 콜라보레이션하기도 했다.

이후 진에어 조현민 상무가 SK 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결승전에 찾아와 자신의 팀이 경기를 하는 것을 지켜보았다. 또한 OGN과 함께 비행 시뮬레이션 조종 대회를 개최하려는 것 같다.(비행 시뮬레이션 대회가 OGN에서 중계될 예정이라는 광고가 최근 OGN에서 가끔씩 나오고 있다.) 비행 시뮬레이션 게임같은 것이 아닌 비행기 조종사 양성 과정에서 사용되는 비행 시뮬레이션 장비라도 사용하려는 생각인 듯한데 자세한 사항은 그 대회 출범 이후에 확인가능할 것이다.

2010 밴쿠버,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금메달리스트 이승훈 선수가 대한항공 빙상단에 소속되어 있다. 이승훈은 대한항공의 "나는 그곳에 있었다" 평창올림픽 광고에도 등장한다. 현재는 은퇴한 올림픽 챔피언 모태범 선수도 대한항공 소속이었다.

2021년 10월에는 한국계 영국인 레이싱 드라이버 잭 에이킨과 파트너쉽을 체결하면서 모터스포츠 스폰서로 다시 복귀했다.[64]

2024년 부터 KBO 리그SSG 랜더스를 후원한다.


17. 자회사[편집]


  • 한국공항 - 대한항공의 지상 조업사.
  • 한진정보통신
  • 아이에이티
  • 항공종합서비스
  • 진에어



18. 문제점 및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문제점 및 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 기타 경영상 논란[편집]



19.1. 부울경 지역 홀대 및 환승 내항기 이용 강제 문제[편집]


부울경 지역에서는 김해국제공항 착발 국제선 확충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부울경 인구만 800만이고, 경상도 전체는 1250만이 넘는다. 대도시권 기준으로 보더라도 부산·울산권은 약 680만이고, 대구권[65]까지 합치면 1000만 명[66]이 넘는다. [67]

이렇게 대한민국 제2의 경제권역임에도 1997년 IMF 이전 부산발 호놀룰루 노선을 잠시 운항한 것 이외에는 장거리 국제선을 전혀 운항하지 않고 있다. 2014년 이후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는 환승내항기를 운영하고 있긴 하나 운임이 비싸고, 외항사를 이용한다면 이용이 아예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KTX 등 육로로 인천까지 가거나 혹은 외항사 환승 여정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부산에서는 원월드의 시장점유율이 제법 높다.

이처럼 대한항공이 부산에 소홀한 동안 외항사들이 야금야금 김해의 국제선 파이를 가져가는 상황이었는데, 외항사들의 진출을 국토교통부가 방해했던 정황이 드러나고 대한항공이 그 수혜자이다 보니 대한항공에 대한 지역 민심이 좋지 않다. 대한항공 086편 이륙지연 사건 이후 국토교통부에 대한항공 출신 공직자 세력, 소위 '칼피아'의 존재가 부각되면서 이들이 영향력을 미친다는 보도가 잇따라 나왔고, 김해국제공항의 외항사 장거리 취항 방해도 이러한 면의 연장선상이라는 소식이 있다.

이중 가장 문제가 된 것이 핀에어 취항 문제로, 2016~17년 사이 벌어졌던 한-핀란드 운수권 협상에서 운항횟수 등에서 불리한 조건을 내걸었다. 그래서 부산에서도 김해공항이 위치한 북구·강서구 을을 지역구로 둔 김도읍 의원은 "국토교통부가 대한항공 지점이냐"고 비판하기도 했다.##

각국 정부가 자국 항공사의 보호를 위해 운수권 협상에 미온적인 것은 흔한 일이지만 부산 - 헬싱키 노선권은 국토부가 직접 국적사의 손실이 연 300억 원에 달한다는 것을 들어 핀에어 측에 대한항공 또는 아시아나항공과의 코드셰어 체결을 종용한 것으로 알려졌고, 그나마도 대한항공이 받아들이지 않아 실현되지 않았다. 웃긴 것은 동일하게 핀에어가 운행 중인 인천 노선에는 오히려 취항을 종용했다는 것이다.

과거 루프트한자 또한 부산-뮌헨 노선을 A340-300을 투입하여 직항 운행하려고 했으나, 국토부가 위와 동일한 핑계로 그 노선을 인천 경유로 억지로 바꾸어버렸다. 당연히 이 노선은 경쟁력이 있을 리가 만무했고, 지금은 인천행으로만 다닌다. 그리고 국토부는 당연하다는 듯이 인천 노선에 대해서는 아무 문제 제기도 하지 않았다.

물론 핀에어가 한국 국적사와 코드셰어를 맺는 것은 설령 다른 얼라이언스에 속한 상황이라도, 단순 항공권 판매 확대 목적으로 본다면 현실적이다.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모두 유럽 역내 환승노선의 확보가 많지 않은 상황인데, 핀에어가 피더 노선의 코드셰어 관계를 확보한다면 대한항공의 간판을 달고 승객을 늘리는 이익이 될 수 있다.

문제는 그게 핀에어 자체의 판단이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가 강요하는 상황이라는 것인데다 부산에는 에어부산이라는 지역 항공사가 이미 있다. 게다가 제주항공이 부산에 나름 신경쓰고 있는 상황이었고, 지역 특성 상 에어부산 혹은 제주항공과 코드셰어를 맺는 것이 더 자연스러웠을 것이다. 에어부산, 제주항공과의 코드셰어를 통해 일본, 동남아시아 등지로 연계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결국 핀에어가 2022년 3월 부로 취항이 확정되기는 했으나,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 때문에 부울경 주민들의 대한항공에 대한 감정은 현재까지도 좋지 않다. 그리고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도 과정에서 진에어에어부산을 합병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이전하려고 하자 반발 여론이 더 심해졌다.

그나마 최근 들어 신규 B787, A350은 부산발 장거리 노선 등을 노려 볼 수 있다. 정리하자면, 지역 주민들은 대한항공이 비싸고 불편한 환승내항기 제도를 폐지하고 신규 장거리 노선의 취항 및 허브 지정을 바라고 있다.


19.2. KCGI와의 경영권 분쟁[편집]


연이은 대한항공 오너 일가의 여러 갑질 논란에 CNN에 갑질이란 단어가 등장 하기도 했다.연합CNN 조 전 부사장은 땅콩회항 사건으로 이미 구설수에 오른바가 있는데, 다시 비슷한 사건이 발생해 외신들이 앞을 다투어 보도하고 있다.[68]

물론 실현 가능성은 별로 없지만 지속적인 나라 망신을 초래한 대한항공 오너 일가에 대한 처벌로 대한항공의 사명에서 대한을 아예 박탈해 버려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대한항공 브랜드 이미지에 먹칠을 하는 주체가 다름아닌 오너 일가이니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 실제로 이런 구설수와 지배 구조 개선을 명분으로 행동주의 펀드인 강성부펀드(KCGI)가 한진칼의 지분을 사들이며 조 회장 일가의 경영권을 인수를 시도했다.# 2019년에 KCGI, 반도건설[69], 조현아 전 부사장의 3자 연합과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간 경영권 분쟁이 일어나기도 했다.

3자 연합의 경영권 인수 시도에 대해 한진그룹 노조에서는 조현아와 손잡는 3자 연합을 비판하는 성명서를 배포했다.# 또한 대한항공과 협력 관계인 델타항공이 한진칼 지분을 매수하며 조원태 회장의 우호 지분으로 들어와 조원태 회장측의 경영권 방어가 유리해졌다.# 결국 2020년 3월 27일 한진칼 주주 총회에서 3자 연합 측 경영진 추천인사 전원 배제 등으로 3자 연합의 경영권 인수 시도는 실패했다. 재계에서는 주주총회의 결정을 "항공운수업이란 중차대한 국가기간산업을 담당하는 한진을 사모펀드에 맡길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2020년 11월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위한 산업은행의 제3자 유상증자 건으로 다시 경영권 분쟁이 일어났다. KCGI측에서 법원에 제3자 유상증자가 불법이라며 가처분 소송을 제기했지만 법원에서 기각하며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계속 진행되었고 조원태 회장은 다시 경영권을 방어했다.#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도 문서 참조.

이후 KCGI가 보유하던 지분은 2022년 4월 호반건설이 전량 인수하고, 반도그룹의 지분 역시 조원태 회장의 우호 주주로 분류되는 LX판토스가 매입했다.# 호반건설은 단순 투자를 목적으로 지분을 인수했다고 했지만, 한진그룹 경영권을 확보하려는 게 진짜 목적이 라는 분석도 있다.# 다만 강성부펀드와 반도건설이 지분을 매각하고 나가버려서 호반건설 보유 지분만으로는 한진그룹 경영권을 확보할 만큼의 비중까지는 되지 않았던 데다[70], 경영권 분쟁이 끝난 이후 한진칼 주가까지 떨어지기 시작해 호반건설은 오히려 손해를 보고 지분을 매각했다.# LX판토스는 물류 운수업에 대한 시너지를 기대하며 지분 투자를 했다고 밝혔다.#


20. 기타[편집]


2014년까지 한국항공대학교를 비롯한 정석학원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후로는 인하대와 파이널퓨전을 거쳐 정석인하재단을 통한 쓰리쿠션 지배로 변화했다.

항공 사고가 나지 않을 확률은 99.29%다. 위 항공사고는 과거의 이야기일 뿐 매우 안전하다. 거기다가 동아시아에서는 2010년에 사고가 한 건도 일어나지 않았다. 거기다가 IATA 멤버들의 사고률은 0.62%로 떨어지니 확률은 더 낮아진다. 여기서 "사고"는 추락 사고만이 아닌 단순사고도 포함하는 수치다. 추락 사고만을 반영한다면 수치는 기하급수적으로 떨어진다. 그래도 만약 지독한 확률에 걸리면 답이 없다.[71]

1993년 MBC에서 방영된 국내 최초의 항공 드라마인 파일럿의 공식 협찬사로서 드라마 제작에 지원과 협찬을 아끼지 않았다. 덕분에 드라마 내의 주무대가 되는 항공사의 마크와 명칭이 대한항공의 원래 모습 그대로 나오는 등 지금으로서는 불가능한 엄청난 홍보 효과를 얻었다. 이 때는 방송 PPL 관련 제도가 도입되기 전이라서 대한항공 명칭을 극중에서 그대로 쓸 수 있었다. 또 대한항공의 지원과 자문 덕분에 항공 업계에 대한 고증이나 관련 정보 등이 정확한 편이고, 오늘날에도 쉽지 않은 보잉과 에어버스 현지 본사 및 공장 촬영까지도 주선해 주는 등 홍보 효과를 얻은 만큼 드라마의 완성도 또한 확실하게 올려주어 매우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에 2012년 SBS에서 제작한 항공 드라마 부탁해요 캡틴의 공식 협찬사인 아시아나항공은 대한항공에 인수절차를 밟는 중이다.

2010년 5월에 아이폰 앱이, 2010년 8월에는 안드로이드 앱이 출시되었다. 2011년 6월 16일, 대한항공에서 도입한 A380인천국제공항에서 독도까지 마케팅 차원에서 시범 비행을 했는데, 이걸 일본이 걸고 넘어져 외교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2011년 6월 20일, 파리 국제에어쇼가 열린 날에 A380의 4번째 테스트 기체(F-WWDD)가 택싱을 하던 도중 윙팁 펜스 부분이 건물을 강타해 건물이 무너지지는 않았지만 윙팁 펜스가 파손되었다.[72] 그러나 마침 행사장에 대한항공의 A380 2호기(HL7612)가 전시되어 있었다. 에어버스 측은 대한항공에 배달될 예정이었던 A380 2번 기체를 대신 시범비행에 투입할 것을 부탁했고 대한항공이 흔쾌히 받아들여 20일~21일 양일간 시범비행을 했다. 사실 시범비행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비행이 아니라 위의 동영상에서도 보는 것과 같이 에어쇼 관람객들의 눈요기를 위해 좁은 영역에서 상당히 하드하게 곡예 비행을 하는 것이다 보니, 항공사에서 저렇게 계획되지 않은 즉흥적인 부탁을 받는다면 무리한 곡예 비행으로 인해 혹시나 모를 사고나 기체 손상을 우려하여 꺼리기 마련인데, 아무래도 대한항공이 에어버스와 워낙 동맹 관계가 깊은 것도 있고 자사의 홍보 효과를 생각해서 나름 리스크를 안고 결정한 셈이다.

2011년 7월 22일, 대한항공의 A380나리타 국제공항에 착륙 도중 측풍으로 인해서 4번 엔진이 조금 긁히게 되었다.

대한항공의 CI를 무단으로 도용한 식당도 있었다. 주로 제주산 축산물, 특히 제주 흑돼지를 판매하는 식당에서 많이 저지른다. 태극김밥이라는 김밥집에서도 그랬으나, 찾아보기 힘들다. 안산 중앙동에 있는 태화부대찌개도 이걸 무단 사용하기도 했는데, 뒷쪽에 아직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응답하라 1988의 주인공 성덕선의 직장이다. 작중 덕선이가 입고 등장하는 옷은 대한항공 구 유니폼이다. 여성 승무원의 유니폼은 파란 자켓과 흰 자켓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승무원들이 입고 싶은 색을 자유롭게 입는 것이 아니라 직급 차이라 한다. 파란 자켓은 시니어 흰 자켓은 주니어다.

기내에서 같은 승객에게 술을 3잔 이상 주지 않는 내부 규정이 있다. 식사 때 나오는 술은 제외된다. 이 규정은 모든 클래스의 고객에게 동일하게 지켜진다. 아주 엄격하게 지켜지지는 않는데, 술 3잔을 마셔도 멀쩡하게 보이는 승객에게는 혹은 장거리 노선에서는 텀을 두고 더 제공하기도 한다. 다만 3잔 이상 마신 고객은 승무원들끼리 리스트를 공유하며, 절대 과음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만약 3잔 넘게 요구하였는데 거절 당하였다면 너무 급하게 빠른 시간 안에 술을 요구하였거나 술이 약하다고 승무원들에게 판단되어진 것이다. 바가 있는 A380에서 바에서 마셔도 3잔에 포함되지만,[73] 아주 엄격하게 지켜지지 않으며 바에서 제공 가능한 주류 외에 다른 주류는 기내에 있더라도 과음 방지를 위해 제공되지 않는다. 노인들 중에 소리 지르고 진상부리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는 건장한 남자 승무원이 출동하기도 한다. 장거리 비행 시 기내에 탑재된 단말기로 들었던 음악을 찾고 싶다면, 대한항공에 메일 등으로 이용 항공편과 관련 정보를 가지고 문의하면 찾아준다. 특히 앨범 트랙은 기내지에 실려있기 때문에 비행기에서 내린 후에도 웹에 공개되는 morning calm과 beyond를 참고하면 찾기 용이하다.

국내선 좌석을 비즈니스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얼마 들지 않는다. 항공 덕질을 하고 있다면 한 번쯤 타 보기 좋다.

전 세계 최후의 보잉 747 여객기를 인도받은 항공사이다. 등록 번호는 HL7644.[74]

2019년 창립 50주년을 맞아서 여러가지 행사를 펼쳤다. 2019년 10월 2일, 최초로 국제선이던 서울-호치민에 취항한지 50주년을 맞아서 객실 승무원들이 역대 11종의 대한항공 유니폼을 입고 인천-호치민 노선 비행기에 탑승했고, 사전 행사로 대한항공 역대 승무원 동호회인 KASA 회원들과 현직승무원들이 공항에서 기념식과 꽃다발 증정행사를 가졌다.

웨스트월드 시즌3 1화에서 로고가 반쯤 보인 상태에서 출연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에게 각별한 추억으로 남는 항공사다.[75] 탈북 후, 대한민국으로 입국할때 이용하는 항공사기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도 있긴 하나 어딘가 어색한 도색인 점과 Korean Air라고 분명하게 한국 국적임을 표시하는 대한항공과는 달리 Asiana란 영어표기 때문에 한국 국적기라는 사실을 모르는 이유도 있어 꺼리낌이 든다고 한다. 한국에 와서도 오랜 기억으로 남아 있을 정도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13화에서 나리타 국제공항 2터미널 행선판에 부산행 한국항공사로 스쳐지나듯이 나오며 라이센스때문이지 고려항공으로 변형되어 나온다.


20.1. 기내 방송[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안내방송/항공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1. 도착 시[편집]


인천, 부산에서 출발하는 대한항공 국제선에서는 착륙 후 도착지 국가의 음악을 브금으로 깔아준다. 도착 시에는 항상 "승객 여러분 우리 비행기는 ○○에 도착했습니다. XX의 도시, ○○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로 도시에 대한 간략한 소개로 안내 방송을 시작하였으나, 2018년 기내 방송문이 개정된 이후 더는 들을 수 없게 됐다.

출발시 비행 시간, "000기장을 비롯한 저희 승무원들은 여러분을 정성껏 모시겠습니다" 등의 문구도 삭제되고 간결하게 개정됐다. 최근 인천국제공항 도착 시 방송되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및 장애인 올림픽의 개최국인 대한민국"이라는 안내도 패럴림픽까지 종료되면서 들을 수 없다.

초, 중, 고등학교의 수학여행 일정에서 대한항공에 탑승한다면 방송에서 학교 이름도 불러 준다. 이는 진에어와 다른 항공사들도 마찬가지.

이제 아래의 도착 도시 소개는 과거의 추억이 되었다.

  • 미국 뉴욕: 세계금융, 예술, 패션의 중심지[76]
  • 미국 로스앤젤레스: 천사의 도시
  • 미국 샌프란시스코: 교육과 낭만의 도시, 아름다운 항구도시
  • 미국 시애틀: 커피와 예술, 첨단기술의 도시
  • 미국 시카고: 바람의 도시, 혹은 세계적인 건축의 도시
  • 미국 애틀랜타: 미국 동남부의 허브
  • 미국 워싱턴 D.C.: 미국 문화가 살아 숨쉬는 도시, 세계 정치의 중심 도시 (아마 사무장님 마음에 드는 것으로 바꾸기도 하는 모양이다.)
  • 미국 댈러스: 미국 중남부 경제/교통의 중심지
  • 미국 호놀룰루: 태평양의 낙원
  • 캐나다 토론토: 캐나다 경제와 교통의 중심지
  • 캐나다 밴쿠버: 미래와 현재가 공존하는 도시

  • 러시아 모스크바: 붉은광장과 크렘린의 도시
  • 독일 프랑크푸르트: 독일 금융의 중심지
  • 프랑스 파리: 예술과 낭만의 향기가 넘치는 문화 의 도시
  • 스페인 마드리드: 태양의 도시
  • 이탈리아 로마: 인류 문화 유산의 도시
  • 영국 런던: 오랜 역사와 전통이 살아숨쉬는 도시
  • 오스트리아 비엔나: 아름답고 푸른 도나우강이 흐르는 비엔나
  • 체코 프라하: 중세의 향기가 가득한 낭만의 도시
  •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풍차와 튤립이 있는 평화로운 도시
  • 일본 도쿄: 세계의 문화가 공존하는 도시 or 일본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
  • 일본 후쿠오카: 전통이 살아 숨쉬는 규슈의 관문
  • 일본 오사카: 역사와 문화가 살아숨쉬는 도시
  • 일본 나고야: 세계를 선도하는 산업 도시
  • 일본 삿포로: 눈과 축제의 도시 홋카이도의 관문

탑승 시에는 2008년에 작곡한 하늘 가까이(신승훈)가 나온다. 이전 이미지송이였던 "하늘 가득히 사랑을"을 대체한 것으로, 한국어 버전과 영어 버전이 존재하고 있으나, 기내에서 쓰이고 있는건 반주 버전이다. TV CF에서는 한번도 쓰이지가 않았다. 출발 전에 클래식 음악과 출발 안내 방송을 하기 전에 내보내고 있다. 안내 방송은 국제선과 동일.
  • 인천국제공항: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의 개최국가 대한민국
  • 부산(김해): 동북아 해상 무역의 중심 도시
  • 사천(진주): 충절의 도시
  • 포항: 제철의 도시
  • 울산: 창조 경제의 도시
  • 대구: 글로벌 지식 경제 도시
  • 청주: 청풍명월의 도시
  • 제주: 유네스코 지정 세계자연유산의 도시
  • 광주: 더불어 사는 도시 또는 행복한 창조 도시[77]
  • 여수: 해양 레저의 메카
  • 원주: 첨단 의료 관광 도시
현재는 도착 시 기내 방송은 없어졌다.


20.2. 기내 안전 비디오[편집]






B777-200 버전(한국어, 영어 더빙)
A380-800 버전(영어자막)
2003 ~ 2019 기내 안전 비디오

위 비디오는 탑승 마감 또는 인사말 및 안전 안내 방송 후에 볼 수 있다. PSP와 맥북만 보아도 알 수 있듯이 2003년에 도입된 비디오로써 비디오 교체 전까지 16년 넘게 사용했다. [78] 16년 전으로 떠나는 여행 비디오에 등장하는 어린이는 PRISTIN시연이니 저 영상을 얼마나 우려먹었는지 증명이 된다. BOEING 787에서는 옷이 바뀐 어린이만 바뀌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기내 A300은 PTV/AVOD도 없어 저비용 항공사 마냥 승무원이 직접 시연(Safety Demo)을 해야 했고 이후 BOEING-737에도 AVOD와 PTV가 도배되면서 한동안 시연을 안했으나 A220은 AVOD와 PTV 대신 기내 Wi-Fi 기반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개인 전자기기로 기내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도입해서 또 다시 승무원이 시연을 한다. 시연 도중에는 스트리밍을 이용할 수 없도록 앱이 자동으로 정지된다.

조양호 회장이 이 기내 안전 비디오와 관련한 모종의 사연이 있어 직원들이 바꾸자는 건의 조차 못한다는 카더라가 있다.

저 영상에 나오는 BGM만 들어도 자동으로 대한항공이 떠오르며 여행의 설렘이 느껴진다는 사람들도 있지만 우스갯소리로 7년 전에 봤던 영상이 그대로 나와 구리다는 얘기도 있다. 한 유튜버는 대학 과제로 기내 안전 비디오를 가상으로 만들었는데 애니메이션에 외국 항공사들이 쓰는 유머를 넣어 네티즌들로 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고 현재 영상에 대한 비난도 있었다고... 이 비디오는 2003년에 제작되어 2005년에 유니폼 변경이 있어 한 번, 배경 음악 교체 등의 두 번 편집된 걸 제외하고 영상 자체는 바뀌지 않았다.

안전 안내 비디오 나래이션은 지미애(1), 은영선(2) 성우이다.


새롭게 개편된 새로운 안전 비디오 2019 ~ 2023[79]

2019년 11월 3일, 드디어 안전 비디오가 새로 개편되었다. SM엔터테인먼트와 협력하여 K-POP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고 SuperM보아가 등장한다. 하지만 뮤직 비디오스러운 산만한 분위기와 지나치게 화려한 영상이 안전 비디오의 본질인 안전수칙 전달을 방해한다는 비판이 존재한다.


링크에서 알 수 있듯이 같은 스카이팀델타항공에어 프랑스의 안전 비디오와 비교해보면 더더욱 두드러진다. 두 항공사가 각각 연대별로 변경된 유니폼을 입은 승무원들과 화려한 색상을 사용해 심미적 흥미를 놓치지 않으면서도 중요한 정보는 실제 장비와 같은 모형을 사용해 전달하는 것과는 대조된다. LCC에어서울의 영상에는 강아지 캐릭터인 LICO의 황구가 등장하지만, 만화 캐릭터를 사용해도 정확한 정보 전달 및 내레이션과 구명조끼 위치와 짐 칸까지 위치를 명확하게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마냥 진지하고 딱딱하기만 한 안전 비디오가 좋은 것은 아니다. 약빤 기내 안전 비디오로 유명한 에어 뉴질랜드버진 아메리카항공의 안전 비디오는 매우 호평받고 있으며, 버진 아메리카항공의 안전 비디오는 쇼티 어워즈를 수상하기도 했다. 대한항공은 위의 두 항공사처럼 병맛 컨셉은 아니지만, 지루하고 딱딱한 안전비디오를 혁신하여 승객의 관심도를 집중시킨다는 점에서는 분명 효과가 있는 것도 사실. 실제로 상기된 국내 반응과는 별개로 해외 네티즌들의 평가는 호평일색이다. 당장 유튜브 댓글만 봐도 1만개에 육박하는 추천을 받은 댓글이 "이게 내가 기내 안전 비디오에 집중하는 유일한 시간이다" 이며 "그게 바로 목적이다", "(대한항공이) 영리하다" 등의 답글이 달리는 등 호평일색. 물론 유튜브 댓글은 실수요자인 탑승객보다 그 아이돌의 팬들이 몰려온 뒤 평가하는 경우가 대부분일테니 평가가 긍정적일 수 밖에 없다

위 항공사는 약빤 컨셉일지라도 필요한 부분은 모두 설명하였다. 하지만 대한항공은 초반부터 MV 비슷하게 연출하며 안전과 관련한 안내는 일절 없다. 이뿐만이 아니라 기내 안전 안내에서도 문제가 있다. 기내 비상등 설명을 하다말고 우주선이 날아가거나 전자기기 및 배터리 압착 위험에 대한 설명 중 주어인 전자기기 및 배터리라는 단어를 오토튠을 먹인 기계음으로 설명하고[80] , 구명조끼는 곰돌이 캐릭터의 랩[81] 및 어린이 목소리[82]로 대체해 자세한 설명을 듣지 못하는 등 정작 알아야 할 안내사항은 알지 못한 채 아이돌 및 CG만 보고 끝날 수 있다. 단순하게 이목을 끄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 사항 전달이 중요한 비디오인 만큼 아쉬움이 남는 건 사실.

2021년 12월 기준 곰돌이 캐릭터의 랩 부분이 변경되었다. 루카스의 파트였는데, 루카스(가수)/사생활 폭로 논란이 일어나면서 마크의 파트로 변경과 동시에 재녹음되었다.


새로운 안전 비디오 2024~

2024년 1월에 다시 새로운 안전 비디오를 공개했다.버추얼 휴먼을 통해 소개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 넷마블 자회사 넷마블에프앤씨의 메타버스엔터테인먼트가 만들었다고 한다. 만화 캐릭터야 에어서울 등의 사례가 있었지만, 가상 인간을 등장시킨 기내 안전 비디오는 대한항공이 세계 최초다.


20.3. 기내 방송 배경 음악[편집]


코로나 사태 이전에는 클래식이나 기악곡을 위주로 편성하고 있었다. 2019년 기준 선곡 예시.

탑승 대기 시간에 재생했다.[83]

도착 후 택싱 중에 재생했다.

연말연시에 탑승하면 들을 수 있었다.[84]

2021년 3월부로 기내 음악이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클래식 음악이나 ABBA 같은 곡의 연주곡 버전이었다면 2021년에는 방탄소년단이나 마룬5 같은 팝송을 재생했다.

2022년, 기내 음악이 다시 OST와 재즈 위주로 변경되었다.

2023년 들어 기존의 클래식 및 기악 위주에서 완전히 탈피해, 대한민국의 대중적인 가요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외 모두 동일하며 세계 어느 나라에서 탑승해도 대한민국 가요를 들을 수 있다.

5월 기준 선곡은 다음과 같다.








2024년 6월 기준 착륙시에는 Let It Be가야금 버젼을 틀어준다.



20.4. 징크스 부여 능력[편집]


의외로 항공사 주제에 엄청난 징크스를 부여하는 능력을 소유하고 있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징크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5.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시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24년 기준, 2020년부터 경쟁사인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13:52:06에 나무위키 대한항공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5] 실제로 미국-동아시아 간 좌석 점유율을 보면 미국의 3사 FSC(유나이티드 항공, 델타 항공, 아메리칸 항공 순) 바로 다음이 대한항공이다.[6] 세계 최초로 건물 내 항공기 격납고를 갖추었기에 건설 당시 최첨단 공법이 총동원되었다. 지하 2층, 지상 7층 규모로, 회색 건물이 업무용 건물이고 뒤편의 하늘색 지붕 부분은 보잉 747-400기 2대와 A300기 1대를 동시에 수용가능한 격납고다. 그 뒤는 김포국제공항과 바로 연결된다.[7] 그래서 1984년 도색 변경 이전에는 항공기에도 'Korean Air Lines' 라고 적혀있었다.[8] 주식회사 항공종합서비스가 법인명, KAL Limousine는 대외 브랜드명이다.[9] 일본항공 역시 약자이자 ICAO 코드인 '잘(JAL)'을 공식 약칭이자 브랜드로 사용하고 있다.[10] '하늘 가득히 사랑을'은 2000년 새로 지정된 슬로건이며 신승훈이 부른 '하늘 가까이' 라는 CM송도 있다. 2002년에는 월드컵을 맞아 기존의 '우리의 날개' 슬로건을 살짝 변경한 '월드컵의 큰 날개' 를 사용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광고에선 2005년부터 Excellence in Flight를 사용했다.[11] 백색 계통 항공기도 있고 운영하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특별기이며, 여객 및 화물용 항공기는 전부 청색이다. 한때 아시아나도 유색(갈색) 항공기를 운영했지만 2006년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색동꼬리 달린 백색으로 전환했다.[12] 하이에어도 있었으나 현재는 운항중단[13] 참고로 전일본공수는 707을 보유한 적이 없고, 아메리칸 항공은 787 도입 전에 도색을 변경했다.[14] 사용 기간이 반 세기를 넘긴 유일무이한 항공사 도색이다. 다만 전일본공수가 2032년까지 현행 도색을 유지하면 이 기록이 깨진다.[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807051745080959[15] 조인트 벤처로 2019년 4월부터 대한항공은 보스턴에, 델타항공은 미니애폴리스인천 노선을 취항했다.[16] 어느 정도냐면 일본항공의 스카이팀 가입을 대한항공이 후원했을 정도다. 하지만 아메리칸 항공과의 관계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원월드에 가입을 하였다.[17] HL8081. 2017년 1월에 도입되었으며, B777-200ER과 에어버스 A330-300 대체용이다. 전 기체에 프레스티지 스위트 좌석이 장착되었다.[18] HL8092. 2017년 12월에 도입하였고,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에서 주로 운용되고 있다.[19] HL8346. 대한항공의 200번째 보잉기이며, 이 기체부터 BCC가 붙지 않는다.[20] HL8212. 2010년 9월에 도입했으며 에어버스 A300-600의 대체용이다. 최대이륙중량이 증가한 HGW(High Gross Weight) 버전으로, 대한항공은 이 기종의 런치 커스터머가 되었다. 프레스티지 슬리퍼가 장착되어 있으며 현재는 도장이 스카이팀 특별 도장으로 변경되었다.[21] HL7632. 2015년 9월에 도입하였으며 보잉 747-400 대체용이다. 이 기종의 막내 기체(10호기)가 마지막으로 생산된 여객형 보잉 747로 유명한 HL7644이며 전 기종에 프레스티지 스위트와 코스모 스위트 2.0이 장착되어 있다. 대한항공 인도분을 마지막으로 여객형 747은 단종 수순을 밟게 되었으며 5년 후인 2022년 12월 초 마지막으로 생산된 747인 N863GT가 출고되면서 747은 53년의 역사를 뒤로 하고 완전히 단종되었다.[22] HL7622. 1호기는 HL7611로, 그 기체는 2010년 11월에 도입된 대한민국 항공사가 처음으로 도입한 A380이다. 보잉 747-400 대체용이며, 프레스티지 슬리퍼와 코스모 스위트 1.0이 전 기종에 장착되었다.[23] HL8505. 2022년 10월에 도입했으며, 12월 정식 운항에 투입되었다. 대한항공 최초의 에어버스 협동체 항공기며, 운항중인 항공기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비즈니스 좌석은 풀 플랫 Collins Diamond의 프레스티지 슬리퍼, 일반석은 뉴 이코노미로 구성되어있다. 이 때문에 좌석시트 색깔도 다르다.[24] 그것도 에어프랑스는 사실상 정부의 반강제적 요구 때문에 계약했다는 소문이 있다.[25] 물론 혼자서 모든 공로를 세운 것은 아니다. 최초로 에어버스를 운용한 곳은 에어프랑스였고, 보잉이 평정하던 미국 시장에 대대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켜 양강구도를 완성시킨 곳은 이스턴 항공이었다. 다만 미국과 유럽 일부를 제외한 여타 국가들(특히 아시아권)은 모두 대한항공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26] 1997년 말 주력인 보잉 747-400A300-600, MD-82 등을 매각 후 임차 재도입해 현금을 마련하고 노후기종 처분을 가속화했다. 1998년 전후로 테일 넘버가 변경된 기종들이 당시 매각 후 임차 재도입된 기체들이다.(HL7477→7407, HL7272→HL7541 등) 그럼에도 자금 사정이 심각해 당시 대부분의 신기재들은 리스로 최대한 비용을 후려쳐 들여왔으며, HL7402나 HL7526 등 보잉 인도분 4대는 인수 대금을 지불하지 못해 1998년 연말까지 모하비 공항에 묶여 있었다.[27] 보잉 737용 엔진을 만드는 CFM 인터내셔널GE가 출자하고 있다. 정작 대한항공이 도입할 A321-neo에는 LEAP(250)이 아닌, PW1100G(270)를 선택했다는 게 함정. 물론 보잉 737 MAX는 100% LEAP이라서, 대한항공은 두 엔진 모두 운용하게 된다. 아시아나항공이 주문한 A321-neo의 엔진은 LEAP이라고 한다.[28] 대한항공 이전의 고객이라고는 A300B2 모델을 고작 본토 메이저 항공사인 에어 프랑스와 독일의 루프트한자에 판매한 전적 뿐이었다. 이후 A300B2 모델 최초로 비유럽권 국가인 인도 항공에 총 5대가 인도됐지만, 인도 항공이 A300B2를 도입한건 1982년, 대한항공이 후속 모델인 A300B4를 도입한 것은 1974년이다. 즉 더 최신 기종을, 대한항공이 인도항공보다 먼저 도입한 것.#[29] 물론 대한항공은 최초의 구매 항공사도 아니었고, 에어버스의 성공을 이끌어 준 유일한 항공사도 아니었지만, 에어버스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비유럽권 지역에 적극적으로 알린 역할을 최초로 했고, 가장 영향력이 컸기에 더더욱 인정받을 수 있었다.[30] 때문에 이 당시 "새 비행기 타세요"라는 광고를 내보내기도 했다.[31] PW4000의 전신인 JT9D까지 포함하면 A300B4, DC-10이 퇴역한 1990년대 중후반부터 2009년까지 10년 정도의 기간 동안 광동체 기단의 엔진을 P&W로 통일한 셈이 된다.[32] 이마저도 롤스로이스 엔진(+동일 클래스 항공기인 MD-80의 존재) 때문에 구매를 안 할 법 했는데, 창사 시절부터 함께해왔던 포커에 대한 의리 때문에 구매했다는 게 중론이다.[33] A380에 해당. GE와 P&W의 합작회사이다.[34] KD 운송그룹이나 선진네트웍스 같은 버스 운송계의 대형기업들은 사내에 1급 정비공장을 갖추고 있어서 엔진 정비 같은 대규모의 수리도 자사 내에서 해결할 수 있다.[35] L-1011에 롤스로이스 RB211만 붙일 수 있었던 것도 이 때문이었다. 아니, 애초에 저 엔진만 쓰는 걸 전제로 설계한 것이라 롤스로이스 부도가 나도 설계변경을 하지 못했다.[36] 2025년까지 영종도로 확장 이전 예정이다. 현재 시설을 건설중이며 준공시 연간 정비 능력이 연 100대에서 350대로 3.5배 증가하고 자체 정비 가능 기종수도 5종에서 10종으로 증가한다.[37] A321neo와 보잉777-200ER은 대한항공도 운용하는 기체라서 그대로 가져올 가능성이 크고 A330-300은 노후화되고 리스 기간 만료가 다가와서 이미 리스반납이 진행중이다. 747-400과 767-300은 대한항공과 합병이 이루어지기 전에 퇴역이 이미 결정되었고, 747-400F는 EU의 합병 승인조건 이행을 위해 아시아나 화물 사업을 분리 매각하면서 함께 송출될 예정이다. A380도 대한항공에서 퇴역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에(2024년 대한항공 보유분 중 3대 퇴역 예정) 아시아나의 A380도 매각될때까지만 운용하다가 퇴역시킬 가능성이 크다.[38] 유럽에서 철도, 항공 등 교통 서비스의 서너 시간 지연은 항의조차 잘 안 들어올 정도로 일상적이다. 한 술 더 떠 툭하면 일어나는 게이트 변경과 파업으로 인한 결항도 부지기수이다. 바다 건너 미국 항공사들은 유나이티드 항공처럼 무성의한 서비스로 악명 높다. 한국 항공사들이 직원들을 그야말로 갈아 넣어 제공하는 고수준의 서비스를 국민들은 그냥 당연한 것으로 여기게 된 상황. 일본도 한국처럼 각종 교통 서비스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은 편인데 일본 웹의 각종 포럼이나 게시판을 보아도 대한항공 CA의 친절도와 미인도에 대해서는 한수 접고 들어갈 정도이다.[39] 원래 모든 광동체에 일등석을 설치하였으나 19년 이후로 A330/B787의 일등석이 폐지되었으며, 22년 이후로 B777-300의 일등석이 폐지되었다.[40] 단, 기내 서비스는 일반석과 별 차이가 없는데, 간혹 외국인 승객들이 프레스티지석에 탑승했는데 음료 한 잔 밖에 주지 않는다고 불평하기도 한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서비스 나쁜 것으로 욕먹는 북미나 유럽항공사들 조차 1시간 거리 단거리 노선에서도 식사시간대 비행이라면 콜드밀을 주고, 식시시간대가 아니더라도 최소한 과자라도 많이 주기 때문이다.[41] 이로써 대한민국일본 다음으로 양대 항공사가 모두 5성급이 되었다. 또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1년 늦춰져 발표한 2021년 스카이트랙스에서 뽑은 항공사 순위에서 대한항공은 순위가 36위에서 22위로 크게 올랐는데, 이로서 대한항공은 순위가 25위로 소폭 올랐던 아시아나항공의 항공사 순위를 비로소 꺾게 되었으며 게다가 2022년 항공사 순위에서는 순위가 9위로 올라가게 되어 최초로 대한항공의 항공사 순위가 10위 안에 들기도 하였다.[42] 다만 에어헬프는 스카이트랙스나 트레블러즈 초이스 어워드처럼 크거나 신빙성이 높은 회사는 아니다.[43] 하지만 국토가 좁은 대한민국의 국내선은 길어봐야 1시간 정도기에 중국, 미국 러시아 등 영토가 넓은 국가들이랑 비교하는건 불공평하다는 의견도 있다.[44] HL77XX HL82XX[45] HL80XX, HL72XX, HL83XX[46] A380을 도입하던 2011년에는 가장 최신 좌석이 코스모 스위트였다. 또한, 대한항공 입장에서는 A380의 좌석을 업그레이드 할 필요가 없다. 대타 기종으로 B747-8을 가지고 있을 뿐더러, 결정적으로 A380이 너무 많아 전량 퇴역은 한참 먼 에미레이트항공과, A380을 도입한지 얼마 안 된 전일본공수, 대부분의 보유한 A380을 업그레이드 한 싱가포르항공 정도를 제외하면 모두 전량 퇴역을 예정하고 있고, 결국 2021년 4월, 대한항공과 함께 B747-8과 A380을 동시에 운영하던 유이한 항공사인 루프트한자는 747-8은 복귀시켰고 A380은 전량 퇴역시켰다. 결국, 2021년 8월, 대한항공은 공식적으로 A380은 5년 안에, B747-8i는 10년 안에 모든 기체를 전량 퇴역시키기로 선언하였다.[47] 양 옆의 두 좌석이 엇갈려서 붙어있기 때문에, 창문 측 좌석에 앉은 사람이 바로 옆사람보다 약간 앞이나 뒤에 있어 옆사람이 180도로 좌석을 젖힌상태라도 쉽게 통로로 나올 수 있다. 반면 아래 언급되는 슬리퍼 타입은 나란히 붙어있기 때문에 평상시엔 넓은 레그룸 덕분에 나올 수 있지만 180도로 좌석을 젖힌 상태라면 나오는 통로가 막혀버린다.[48] A321neo에는 동일사의 Diamond 제품이 설치되어 있다.[49] A330-300은 198~203cm, A321-neo는 160cm[50] A321-neo는 44cm[51] 10열 배치가 대세가 되어 가고 있는 와중에도 9열 배치를 고수하고 있어,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52] 일반석 중 가장 사양이 안 좋은 좌석이다. 이 때문에 대한항공 B739는 항갤에서 똥차라고도 불린다.[53] 일반석 중 좌석 너비가 가장 넓다. B739의 비즈니스와 거의 맞먹을 정도.[54] 수송량 증대를 위해 기존 276석 기체 일부(HL7701을 제외한 HL7584~7720)에 일반석 1줄을 더 추가했다.[55] 국제 화물 수송 기준[56] -400ERF와 -8F. 400F는 2018년 전량 퇴역, 일부는 칼리타 에어, 아틀라스 항공 등으로 매각되었고, 400ERF도 2020년 내로 퇴역할 예정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사태로 항공 화물 수요가 폭등해 일부 항공사는 퇴역한 747-400M을 다시 쓰는 경우도 있어서 퇴역이 미뤄졌다.[57] 그래서 대한항공은 자사 엔진은 무조건 자기네 공장에서 수리받아야 한다는 규정을 내세우는 롤스로이스 plc의 엔진은 거들떠보지도 않는다. 에어프레미아 같이 정비 인프라가 없는 항공사라면 유용하겠지만 충분한 설비를 갖춘 대한항공으로선 받아 들일 수 없는 조건인 것이다.[58] 육군의 차기 군단급 무인기 개발은 KAI에서 맡고 있다.[59] 이후 KF-16 면허 생산이나 FA-50 사업은 전부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 진행되었다. 현재도 항공기 완제품 생산은 여기서만 할 수 있다.[60] 왼쪽 영상 0:07 부분의 B747이 토잉카에 끌려 격납고에서 나가는 장면과 0:15 부분의 조종사들이 엄지척하는 부분은 안전비디오에서 2019년까지 우려먹었다. 오른쪽은 2003년이라 표기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둘 다 2000년에 제작되었다. 2002년 당시의 'Be the reds!' 응원유니폼이 아닌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직전까지의 유니폼인 것이 그 증거이다. 저 유니폼은 국대에서는 프랑스 월드컵 본선에서 다른 디자인으로 교체되었지만, 특유의 태극 무늬 문양에 예선까지의 활약이 겹쳐 응원 유니폼으로서는 본선까지 상당히 많이 활약했다.[61] 물론 그 도구의 칼이지만, 대한항공 명칭의 약칭도 KAL(칼)이다. 사실상 대한항공 분위기 자체를 갈아엎은 것이니 틀린 말은 아니다.[62] 들어보면 알겠지만 "바다에 빠진 날 구해줘"라고 나온다.[63] 이 당시 배구는 1등 삼성 고정 2등 현대 고정 3.4위 가지고 대한항공과 엘지가 싸우는 구도, 꼴찌 가지고 한전과 상무가 싸우는 구도[64] 이전에는 베네통 포뮬러, 그리고 이를 계승한 마일드 세븐 르노 F1 팀에 스폰했다. 현재 이 팀은 르노의 스포츠카 전문 브랜드 알핀 F1 팀으로 명맥을 잇고 있다.[65] 약 340만 명[66] 부산권 680만 + 대구권 340만[67] 경제 규모 역시 그리스, 덴마크보다 더 크며 바이에른의 총생산량과 맞먹는 규모이다.[68] 오죽하면 호주 라디오에서 ''대한항공의 슬로건에서 l을 빼면 완벽하다. Excellent in fight."라며 말하기도 한다. 출처 필요[69] 강성부펀드와 마찬가지로 한진칼의 주식을 사들이며 경영권 확보를 시도했다.[70] 조현아 보유 지분을 합해도 조원태 회장의 경영권에 위협을 가할 정도는 아니다.[71] 말레이시아 항공에서 이 두 차례의 항공기 추락사고로 의붓손자 부부와 친아들 부부가 목숨을 잃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으며 사고 기체도 보잉 777이라는 공통점도 있다.[72] 대한항공 기체가 그런 것이 아니라, 에어버스 소유의 기체가 이랬다는 것이다. 사진은 이곳에서.[73] A380 내 기내 바는 2층 비즈니스 클래스 구역 앞뒤 2곳 및 1층 퍼스트 클래스 앞쪽 1곳이 있는데 2층 뒤쪽의 바텐더 승무원이 있는 바가 아닌 1, 2층 앞쪽의 셀프 바에서 위스키나 보드카를 계속 혼자 먹고 있으면 어느 순간 승무원이 와서 집기를 정리하거나 인사를 하며 말을 건다던가 하는 식으로 상태를 살피고 가기도 한다.[74] 전 세계 최후의 보잉 747-8 화물기 버전을 인도받은 회사는 미국의 아틀라스 항공이다.[75] 탈북하던 당시를 회고하며 대한항공에 탑승해 비행기에서 서울의 야경을 내려다 본 그 순간을 회상하면서 감회에 젖는 일이 많다.[76] 배경 음악으로 프랭크 시나트라의 New York, New York 을 틀어주기도 한다.[77] 광주 비엔날레 기간에는 광주 비엔날레의 도시 라고도 함[78] 다만 B777-200 버전은 PS VITA갤럭시 S2가 나오는 등 약간의 수정은 가해진 것 같다.[79] 비디오 교체 이후 대한항공 공식 유튜브에 업로드되었으나, 2021년 09월 중 루카스(가수)/사생활 폭로 논란의 영향으로 영상이 삭제되었다. 3개월이 지난 12월에 비디오가 변경되었다. 그러나 유튜브에 검색해서 찾아볼 수 있다.[80] 내레이션이 나오긴 하지만 정작 주어인 전자기기 및 배터리는 기계음으로 대체하여 듣기가 힘들다(...)[81] 랩은 발음이 좋다면 전달력이 좋지만 영상에서는 발음을 굴려 전달력이 많이 떨어진다[82] 어린이의 목소리는 성인의 목소리보다 전달력이 다소 떨어진다. 특유의 떽떽거리는 소리나, 발음이 어눌한 문제가 있다.[83] 보딩 뮤직은 에어버스 기종이 더 잘 들린다.[84] 두번째로 나오는 노래이다. 첫 번째는 체코 필하모니 관현악단의 O Tannenbaum이다. 여기나여기서 들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