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계 한국인

최근 편집일시 :

1. 개요
2. 근대 이전 중국계 이주민
2.1. 역사적 인물
2.2. 중국 유래 본관
3. 현대 중국계 한국인
4. 화교 출신 한국인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中國系 韓國人. Chinese Korean. 한국으로 귀화한 중국계인.

역사상 중국 대륙에서 건너온 사람들의 수는 많지만[1] 오늘날에는 1992년 한중수교 이후 넘어와 한국 국적을 취득한 사람을 말한다. 대체로 결혼 이민자들이 많으며 귀화자의 70% 가량을 점하고 있다. 2013년 8월까지 약 13만명의 결혼이민자가 한국인으로 귀화했다.


2. 근대 이전 중국계 이주민[편집]



2.1. 역사적 인물[편집]


  • 기자: 기자조선의 시조로 상나라의 왕족이라고 한다. 현재는 인정되지 않는다.
  • 위만: 위만조선의 시조로 연나라 출신이라고 한다. 단, 조선계 이주민이라는 주장도 있다.
  • 최비: 모용선비에게 패배한 뒤 고구려로 망명한다.
  • 동수: 전연의 인물로 모용인의 쿠데타가 실패하자 고구려로 망명했다.
  • 박암 : 오월국 출신으로 고려에 귀순하였다.
  • 추언규 : 위의 박암과 동일.
  • 쌍기: 후주의 사신단으로 고려에 왔다가 그대로 눌러앉아 고려로 귀화했다. 광종의 총애를 받아 광종의 개혁 정책들을 뒷받침하는 브레인 역할을 했는데 이 사람이 한국사에서 중요한 이유가 한국 최초의 과거 제도를 시행을 건의, 과거 제도가 고려에 정착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사람이기 때문이다.
  • 쌍철(雙哲): 쌍기의 아버지. 후주에서 시어(侍御) 청주수(淸州守)를 지내다가 귀화했다.
  • 왕삼석(?): 고려 말의 간신. 남만 출신의 원나라인으로 고려에 귀화했다. 운남성 혹은 동남아시아 지역 출신으로 추정된다.
  • 두사충: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가한 명나라의 장수. 전쟁이 끝난 후 귀화했다.


2.2. 중국 유래 본관[편집]


한국은 어느 지역 무슨 씨로 집안을 구분하는 경우가 많은데[2] 본관의 시조가 중국에서 유래된 경우를 정리한다.

  • 거제 반씨: 분파인 광주 반씨, 남평 반씨 포함. 남송 시절 가사도원나라 사신으로 보낸 반부의 후손. 유명인으로는 전 유엔사무총장 반기문이 있다.
  • 곡부 공씨: 그 유명한 공자의 가문. 유명인으로 인간문화재 공옥진 여사와 2NE1의 전 멤버 공민지가 있다.
  • 광동 진씨: 임진왜란명나라 장수였던 진린의 자손들. 명나라가 망한 후 조선으로 와서 귀화했다.
  • 광주 노씨: 시조는 당나라에서 벼슬하다 건너왔는데 그 이전에는 무엇을 하였는지 상세한것은 불명이다. 이 본관에서 나온 유명인물로 대한민국 제 16대 대통령 노무현이 있다.
  • 남양 방씨: 당태종고구려에 초청온 시조가 눌러앉으면서 유래된 성씨. 유명인으로 엠블랙미르가 있다.
  • 남양 제갈씨: 제갈규를 시조로 삼고 아들인 제갈량으로 유명한 성씨. 5세손인 제갈충(諸葛忠)이 이주해왔다. 남양 갈씨와 칠원 제씨는 제갈씨에서 갈라져나왔다. 유명인으로 제갈성렬이 있다.
  • 서산 정씨: 신안 주씨와 마찬가지로 송나라 때 몽골의 침입을 피해 건너온 정신보를 시조로 하는 가문. 대표적 인물로 정인홍이 있다.
  • 신안 주씨: 송나라원나라의 침입을 피해 고려에 건너온 주잠(주자의 증손)을 시조로 하는 가문.
  • 여흥 민씨: 송나라고려에 사신으로 파견되었다 귀화한 민칭도[3]를 시조로 하는 가문.
  • 영양 천씨: 임진왜란명나라 장수였던 천만리의 자손들. 종전 후 조선으로 귀화했다.
  • 홍천 피씨: 송나라고려에 건너온 피위종을 시조로 하는 가문. 유명인으로 피천득 시인이 있다.
  • 연안 이씨: 당나라신라로 귀화한 이무를 시조로 하는 가문
  • 강릉 유씨: 북송시대에 한림학사와 병부상서를 지내던 유전(劉筌)이 고려에 귀화했다.[4] 시조는 유승비(劉承備)[5]인데, 족보의 대시조는 한고제 유방이고 중간엔 광무제 유수도 있다고 되어 있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고려로 건너온 유전이라는 사람이 광무제 유수의 증손이고 동한 3대 황제인 효장황제의 아들이며, 안제의 부친인 청하효왕 유경의 28세손이다. 한고제 유방을 기준으로 치면 유방의 40세손이다.
고려로 귀화하고 처음에 정착한 곳은 각주에 전술했듯 강릉이 아닌 현 포항시에 위치한 곳이었는데, 유승비의 증손 유창(劉敞)이 조선개국2등공신에 책록되어 옥천부원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강릉으로 삼게 되었다.
유재석, 유옥우, 유대운, 유정복, 유남규, 유민상(정치인)[6], 유지태, 스티브 유, 에반(유호석), 유지애, 유상무, 유승민, 유극량, 데프콘(유대준), 유준상, 유인나, 영재(유영재) 등이 이 성씨를 쓴다.
  • 회산 감씨: 고려 공민왕의 왕후인 노국대장공주가 시집올때 원나라 측에서 파견한 한림학사 감둥리가 시조로 공민왕에게서 규(揆) 이름을 하사받아 이후에는 감규로 불리웠으나 이후 부정부패가 발각되어 이름을 회수당하고 천민으로 강등당한 뒤 다시 이전 이름인 감둥리로 돌아갔다.[7] 조선이 개국하고 나서 태조 이성계가 인재발굴을 윌해 추진한 사면령에 가까스로 신원이 회복되었으며 이후 16세손 감철(甘喆)이 북벌을 중지시킨 공으로 금자광록대부에 오르고 회산군(檜山君)에 봉함받은 뒤로 본관을 회산으로 한다고 하지만 이게 회산 감씨 문중에서 조상의 공을 위작한 자작극일 가능성이 높다.[8] 조선이 망하고 나서 신분제도가 폐지되는 시기에 조상들의 족보를 회산 감씨 후손들이 위작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3. 현대 중국계 한국인[편집]


스포츠 선수들 중에서 많이 찾아 볼 수 있으며, 중국 내에서의 치열한 경쟁 때문에 한국으로 건너온 탁구선수들이 많다. 부모나 본인이 화교가 아닌 경우만 서술.

  • 곽방방: 탁구선수.
  • 김철욱: 농구선수. 귀화 전 이름은 우띠롱.
  • 당예서: 탁구선수. 귀화 전 이름은 탕나(唐娜).
  • 석하정: 탁구선수. 귀화 전 이름은 스레이(石磊).
  • 이영: 배구선수. V리그 여자부 최초의 귀화선수이자 남녀부 통틀어 두 번째 귀화선수.[9]
  • 전지희: 탁구선수. 귀화 전 이름은 톈민후이(田民惠)
  • 안병훈: 골프선수. 어머니가 중국 탁구선수인 쟈오즈민(焦志敏).


4. 화교 출신 한국인[편집]


중화민국(대만) 국적자, 즉 재한 화교 가운데 2천명 가량이 2011년까지 귀화를 했다. 1980년대까지는 제한 등으로 거의 못 하다가 제한이 풀리면서 조금씩 늘었다. 한국 최초의 귀화자도 화교 출신이다. 특히 재한 화교 중 한국에서 태어났고, 정체성은 한국인이나 여러 사회적 제약 등으로 귀화를 못했던 화교들인 한화(韓華, Korea Born Chinese)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 공상정: 여자 쇼트트랙 선수.
  • 이연복: 요리사.
  • 주현미: 가수.
  • 하희라: 배우.
  • 후인정: 대만계 前 배구선수. 수원 후씨의 시조가 되었고, V리그 남녀부 통틀어 최초의 귀화 선수다. 현재는 경기대학교 배구부 코치로 있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역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지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군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정치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사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외교 ]
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문화 ]
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6:05:02에 나무위키 중국계 한국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특히 중국에서 특정 왕조가 멸망할 때마다 그 왕조의 구 기득권 세력이 한민족계 국가를 포함한 다른 나라로 도망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중국의 마지막 통일왕조인 청나라의 지배민족이었던 만주족 또한 예외가 아니었다.[2] ex - 김해 김씨, 경주 김씨, 전주 이씨, 덕수 이씨, 밀양 박씨 등등등.[3] 공자의 제자인 공문십철 중 하나인 민자건의 후손이다.[4] 1082년(문종 36)에 경상북도 영일군 기계면(현 포항시)에 정착.[5] 유전의 9세손이고, 고려 말에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좌복야로 치사(致仕)했다.[6] 1921~2000. 前 법제처장이자 前 유신정우회 국회의원.[7] 감둥리에게 공민왕이 하사한 이름을 풀어보면 임금 왕(王)+ 북방 계(癸)가 합쳐진 것으로 북쪽의 왕으로 풀이되는데, 당시 시대상황으로 고려는 거의 반쯤 원나라 방계 정도로 인식되고 있었다. 당시 고려 왕족은 원나라 황가의 일부에 불과했고 이미 상당한 수준의 통혼이 서로 이루어져 사실상 방계 가문이었다. 그런 연유로 방계의 득세를 경계하고자 일종의 감시를 위한 인물로 감둥리가 파견되었기에 공민왕이 원나라 측의 경계를 풀고 감둥리의 환심을 사고자 원나라 사람인 감둥리에게 북방의 왕이라는 뜻을 지닌 규(揆)라는 이름을 하사한 것으로 사학계에서 보고있다.[8] 첫째. 감철이 올랐다고 하는 금자광록대부는 고려시대의 종1품∼종2품 문산계로서 이후 1356년(공민왕 5년) 금자광록대부로 바뀌면서 종1품 상계가 되었으며, 1362년에 폐지되었다. 둘째.회산 감씨 문중에서 주장하는 16세손인 감철이 공을 세웠을 수도 있으나 조선시대에 되어서야 가능했을텐데 조선에는 없는 벼슬을 준다는 것이 말이 되지않는다. 셋째.엄연히 다른 회산군(檜山君)이 존재하는데 본관은 전주(全州), 본명은 이염(李恬), 시호는 정간(貞簡)이며. 성종(成宗)의 다섯 째 아들로, 어머니는 숙의 홍씨(淑儀洪氏)인 조선시대 왕족으로 그것도 중종의 친동생인데, 회산 감씨 문중에서 조선시대에 자신들의 문중에 회산군(檜山君) 이 있다고 했다면 당장에 역모죄로 일족이 멸족되었을 것이다.[9] 남녀부 최초의 귀화선수는 후술했듯 후인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