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hy 계열의 라면업체에 대한 내용은 팔도(기업) 문서
팔도(기업)번 문단을
팔도(기업)# 부분을
, 영국 골프 선수에 대한 내용은 닉 팔도 문서
닉 팔도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닉 팔도#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 펼치기 · 접기 ]
경기도
京畿道
강원도
江原道
충청도
忠淸道
전라도
全羅道
경상도
慶尙道
황해도
黃海道
평안도
平安道
함경도
咸鏡道



한국 행정구역의 시대별 변천사

[ 펼치기 · 접기 ]
삼국시대 ~ 고려시대
수도 5부 지방 5부
3경
고구려

5부 5방
22담로
백제

6부 5주
2소경
신라

중앙집권체제 확고 - 삼국통일전쟁
5경 15부 62주
발해
9주 5소경
115군 201현
통일신라 - 고려 경종
10도
성종 - 현종
5도 양계
현종 - 공양왕
조선시대 - 남북분단
1부 8도
조선건국 ~ 고종

파일:조선 국기.svg
23부제
고종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1부 13도
고종 - 경술국치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13도
경술국치 - 남북분단

남북분단 ~ 1963년
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6도
1946년 - 194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5-1948).svg
1특별자유시 9도
1946년 - 1949년

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7도
(자강도 설치)
1949년 - 1951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9도
(서울특별시로 개칭)
1949년 - 1963년

파일:북한 국기.svg
1특별시 7도 1지구
(개성지구 설치)
1951년 - 195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7도 1지구
(평양시를 직할시 승격)
1952년 - 1954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9도 1지구
(량강도 설치, 황해남도·황해북도 분도)
1954년 - 1957년

파일:북한 국기.svg
2직할시 9도
(개성시를 직할시 승격)
1957년 - 1960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함흥시를 직할시 승격)
1960년 - 1963년

1963년 ~ 1995년
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로 승격)
1963년 - 197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1직할시 9도
(부산직할시로 승격)
1963년 - 1981년

파일:북한 국기.svg
2직할시 9도
(함흥시, 청진시를 일반시로 격하)
1970년 - 1977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청진시를 직할시 승격)
1977년 - 1979년

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남포시를 직할시로 승격)
1979년 - 1985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3직할시 9도
(인천직할시대구직할시로 승격)
1981년 - 1986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청진시로 격하)
1985년 - 200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4직할시 9도
(광주직할시로 승격)
1986년 - 198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5직할시 9도
(대전직할시로 승격)
1989년 - 1995년

1995년 ~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특별시 5광역시 9도
(지방자치제 실시 및 행정구역 대개편)
1995년 - 1997년

파일:북한 국기.svg
4직할시 9도
(라선시가 직할시로 승격)
2000년 - 2003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9도
(울산광역시로 승격)
1997년 - 2006년

파일:북한 국기.svg
3직할시 9도
(개성시가 특급시로 격하)
2003년 - 2004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9도
(남포시, 라선시가 특급시로 격하)
2004년 - 2010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8도 1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로 승격)
2006년 - 201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2특별시 9도
(남포시, 라선시가 특별시로 승격)
2010년 - 2019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특별시 6광역시 1특별자치시 8도 1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로 승격)
2012년-

파일:북한 국기.svg
1직할시 3특별시 9도
(개성시가 특별시로 승격)
2019년-




1. 개요
2. 이름의 유래
3. 역사
3.1. 8도 이전
3.2. 8도
3.3. 13도
3.4. 분단 이후
4. 팔도의 일람과 현재 행정구역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조선의 행정구역이다. 전국을 여덟 개의 도(道)로 나누어 팔도라고 한다.

근대에 들어서 분리되고 개편되면서 여덟 개의 도라는 의미의 팔도라는 말은 행정구역상으로는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었지만, 1896년 개편에서는 경기도, 강원도, 황해도를 제외한 각 도가 '~남/북도'라는 비슷한 명칭으로 나뉘기도 했고, 여전히 문화/언어/생활권상으로는 8도에 따라 얼추 나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이 8도 단위에 소속감을 느끼고 있다.

전국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쓰인다. 1896년까지의 행정구역이라 전통문화나 군가 등 역사적 정통성이 중요한 맥락을 강조할 때 쓰인다. 군가 팔도 사나이, 방탄소년단의 팔도강산이 있고, 기업 팔도의 이름 역시 이 의미에서 나왔다.


2. 이름의 유래[편집]



경기도를 제외한 각 도의 이름은 조선시대 당시 각 도에서 가장 유명했던 두 도시의 첫 글자에서 따왔다. 도의 이름을 구성하는 도시는 조선시대 동안 몇차례 바뀌기도 했으며, 가령 함길도의 경우 길주군이 경성군으로 바뀌어 함경도가 된 것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도시들은 조선시대 당시에는 각 도를 대표하는, 현재의 광역시급 위상을 가진 도시였다. 그러나 근대화 이후 지역 개발이 경부축으로 쏠리면서 대부분 쇠퇴하고 과거의 위상은 사라졌다. 현재에도 과거의 위상을 유지하는 도시는 북한의 수도가 된 평양시[2]와 북한 제2의 도시 함흥시, 그리고 충북의 중심지 청주시 뿐이다. 지역권 자체가 낙후된 전라북도전주시강원도강릉시, 원주시도 도내 대표도시라는 위상은 유지하고 있다.


3. 역사[편집]



3.1. 8도 이전[편집]


이전 남북국시대신라 9주 5소경발해 5경 15부 62주를, 고려시대에는 10도5도 양계 체계를 사용했다.

3.2. 8도[편집]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평안도, 함경도, 황해도로 나누었다. 각 도는 한성부를 기준으로 좌도/우도로 얼추 나뉘었으나[3] 임의적인 지역 구분이었을 뿐 정치적 단위는 아니었다.

3.3. 13도[편집]


1895년 제2차 갑오개혁으로 23부로 개편하였으나 이듬해에 도로 도제로 환원하면서 기존의 팔도 중 경기, 강원, 황해를 제외한 나머지 도를 남북도로 나누어 13도 체계가 되었다.

13도 체계는 일제강점기에도 큰 틀에서는 그대로 유지되었고 한국 한자음 지명을 일본 한자음으로 읽었다는 정도의 차이는 있었다.[4] 예를 들어 충청 남/북도(Chungcheong nam/buk do)를 츄세이 난/호쿠도(Chusei nan/hoku do)로 읽거나, 경상 남/북도(Kyeongsang nam/buk do)를 케이쇼 난/호쿠도(Keisho nan/hoku do)로 읽거나, 전라 남/북도(Jeolla nam/buk do)를 젠라 난/호쿠도(Zenra nan/hoku do)로 읽는 식이었다.

부군면 통폐합이 단행된 시기기도 하다.

3.4. 분단 이후[편집]


남북분단 직후 남한에서는 제주도를 분리시킨다. 전통적으로 제주도(島)는 전라도(道)의 일부로 간주되었는데, 이 이후 그런 시각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북한황해도를 남북으로 나누는데 황해남도, 황해북도의 위치를 보면 남북으로 나누기보단 동서로 나눈 것에 더 가깝다. 또한 자강도량강도를 새로 만들었다.

지금은 광역시특별자치도를 제외하면 광역자치단체로서의 '도'는 남한만 해도 7도다.[5] 북한은 9도. 원래는 제주도와 강원도가 특별자치도가 아니였기에 원래는 둘 다 9도였다. 이에 대하여 북한이 '도를 늘려 한국과의 균형을 맞추고 지역간 통일협상에서 대등한 위치에 서기 위해 량강도자강도를 추가로 만들었다'는 설이 유명하다.

물론 그런 이유도 없지 않겠지만 더 큰 이유는 행정구역을 기존보다 더 세분화해서 더 쉽게 통치하기 위한 것. 황해남/북도나 자강도, 량강도, 평양직할시[6] 등 '북한 당국이 멋대로 만든' 행정구역을 인정하지 않는 대한민국 정부와 달리 북한은 특별자치도나 광역시 등 '남조선 당국이 멋대로 만든' 행정구역을 인정한다.

4. 팔도의 일람과 현재 행정구역[편집]


조선
남한
북한
경기도
서울특별시[7], 인천광역시[8], 경기도
개성시[9], 강원도[10][11]
강원도
강원특별자치도[12], 경기도[13], 경상북도[14]
강원도
충청도
대전광역시[15], 충청북도, 충청남도[16],
세종특별자치시[17], 경기도[18], 전라북도[19]
-
경상도
부산광역시[20], 울산광역시[21], 대구광역시[22],
경상북도, 경상남도, 강원도[23]
-
전라도
광주광역시[24], 전북특별자치도[25], 전라남도,
제주특별자치도[26], 충청남도[27]
-
함경도
-
함경남도, 함경북도, 라선시[28],
자강도[29], 량강도[30], 강원도[31], 평안남도[32]
평안도
-
평양시[33], 남포시[34],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35], 량강도[36], 황해북도[37]
황해도
인천광역시[38]
황해남도, 황해북도[39], 남포시[40], 평안남도[41], 강원도[42]

이외 금산군, 울진군, 울릉군 등 몇몇 행정구역의 소속 도가 변경되기도 하였다.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관련 문서

[ 역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지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군사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정치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경제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사회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외교 ]
일반
한국의 외교 · 남북통일 · 대통령 해외순방 일지 · OECD · G20 · IPEF · MIKTA · 동아시아 국제정세 · 한반도 주변 4대 강국 · 혐한 · 반한 · 지한 · 친한 · 한빠
6자​회담
남북관계 · 한미관계 · 한중관계 · 한러관계 · 한일관계
다자
한중일관계 · 한미일관계 · 남북러관계 · 한중러관계 · 한대일관계
순서는 가나다순 정렬, 이하 국명만 있는 링크는 한국과 해당 국가의 관계 문서임.
##
예: 네팔 → 한국-네팔 관계
>
아시아
네팔 · 대만 · 동티모르 · 라오스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브루나이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우즈베키스탄 · 위구르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캄보디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티베트 · 파키스탄 · 필리핀 · 홍콩
중동
레바논 · 리비아 · 모로코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수단 공화국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알제리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이집트 · 카타르 · 쿠웨이트 · 튀니지 · 팔레스타인
유럽
그리스 · 네덜란드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루마니아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불가리아 · 산마리노 · 세르비아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안도라 · 알바니아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아메​리카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베네수엘라 · 벨리즈 · 볼리비아 · 브라질 · 세인트키츠 네비스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자메이카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페루
아프​리카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소말리아 · 시에라리온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오세​아니아
나우루 · 뉴질랜드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바누아투 · 사모아 · 솔로몬 제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파푸아뉴기니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 문화 ]
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한국의 명절 (설날 · 추석)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 문화재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언어 · 문자
한국어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국궁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계의 문제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100대 명반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기원설



[1] 당시에는 함경도가 아닌 함길도로 불렸다.[2] 다만 평양은 남북국시대를 제외하면 한국사에서 대부분 주요도시로 기능했다.[3] 예외로 함경도는 좌도/우도가 아닌 남도/북도로 나뉘었고 평안도는 좌도/중도/우도로 나누었다.[4] 마치 '홋카이도'를 우리식으로 읽으면 '북해도'가 되는 것과 같은 맥락[5] 2024년 1월 18일부터는 6도로 바뀐다.[6] 엄밀히는 직할시의 지위로서 평안남도에서 분리만 되었지 실제 공식 명칭은 '평양직할시'가 아니라 그냥 '평양시'지만 도에서 분리된 직할시임을 명시하고자 편의상 평양직할시로 기술. 대한민국 정부는 직할시로서의 평양시는 부정하고 평안남도 관할의 일반시로서만 간주한다.[7] 한성부(한양)는 경기도 소속이 아닌 별도의 행정구역으로서 존재했었다. 하지만 강서구와 같이 한성부가 아니었지만 현재 서울에 편입된 경우도 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경기도 경성부로서 경기도 산하로 격하되었다가 해방 직후 서울특별자유시로 재승격되었으므로 서술. 부(행정구역), 서울특별시/역사 문서 등 참조.[8] 1981년 경기도에서 분리, 인천직할시로 승격.[9] 2019년 10월 황해북도에서 분리 승격[10] 1914년 경기도 삭녕군 내문면, 마장면, 인목면이 강원도 철원군으로 이관.[11] 6.25 전쟁 직후 경기도 연천군 삭녕면이 강원도 철원군에 편입되어 폐지됨.[12] 2023년 특별자치도로 전환.[13] 1963년 강원도 철원군 신서면을 경기도 연천군으로 이관.[14] 1914년 강원도 울도군(현재의 울릉군)(전통적으로 강원도의 일부로 간주되었으나 1906-1914년 사이에는 경상남도 소속. 따라서 이관 당시에는 경상남도 소속이었다), 1963년 강원도 울진군을 경상북도로 이관.[15] 1989년 충청남도에서 분리, 대전직할시로 승격.[16] 금산군전라북도에서 충남으로 이관.[17] 2012년 충청남도와 충청북도 일부 지역에서 분리 신설.[18] 1914년 충청남도 평택군경기도 진위군에 통폐합.[19] 1914년 보령군, 비인군 관할 도서 일부를 전라북도로 이관.[20] 1963년 경상남도에서 분리, 부산직할시로 승격.[21] 1997년 경상남도에서 분리 승격.[22] 1981년 경상북도에서 분리, 대구직할시로 승격.[23] 1963년 경상북도 봉화군의 일부(춘양면 덕구리, 천평리)가 강원도 영월군으로 편입되었다.[24] 1986년 전라남도에서 분리, 광주직할시로 승격.[25] 2024년 전라북도에서 전북특별자치도로 전환 예정.[26] 1946년 전라남도에서 분리 승격, 2006년 특별자치도로 전환.[27] 1914년 전라북도 여산군 채운면이 논산군으로, 1963년 전라북도 금산군 전역이 충청남도로 이관되고 전라북도 익산군 황화면이 논산군 구자곡면과 통합하여 논산군 연무읍으로 편입.[28] 2000년 함경북도에서 분리 승격. 2003년 폐지되어 함경북도로 환원되었으나 2010년 다시 분리 승격.[29] 1952년 함경남도 장진군 북면, 동상면, 동하면으로 자강도 랑림군을 신설.[30] 1954년 함경남도 북부, 함경북도 무산군 대부분, 자강도 후창군으로 신설.[31] 1946년 원산시, 문천군, 안변군을 강원도로 편입.[32] 1952년 함경남도 요덕군을 신설하면서 구 영흥군의 땅거스러미가 평안남도 맹산군으로 편입.[33] 1949년 평안남도에서 분리 승격.[34] 1979년 평안남도에서 분리 승격. 2004년 폐지되어 평안남도로 환원되었으나 2010년 다시 분리 승격.[35] 1949년 평안북도에서 분리 승격.[36] 1954년 량강도 신설로 자강도 후창군을 량강도로 이관.[37] 2010년 평양시 중화군, 상원군, 승호구역를 황해북도에 편입.[38] 1945년 38선이 그어지면서 황해도 옹진군장연군 백령면(백령도, 대청도, 소청도)과 벽성군 해남면, 대강면, 송림면을 편입하여 경기도로 이관하였으나, 6.25 전쟁 결과 옹진반도 본토를 상실하고 백령면과 송림면(대연평도, 소연평도) 두 개 면으로 이루어진, 서해 5도만 남은 상태에서 1973년 부천군의 폐지로 부천군 도서 지역을 편입한 후 1995년 인천광역시로 편입.[39] 1954년 황해도를 남북으로 분도.[40] 1988년 황해남도 은률군 송관리를 와우도구역, 1996년 황해남도 과일군 초도리를 항구구역에 편입.[41] 1952년 신양군을 신설하면서 곡산군 봉명면 일부를 편입.[42] 1952년 판교군을 신설하면서 곡산군 등촌면 일부를 편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팔도 문서의 r8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팔도 문서의 r8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12:39:01에 나무위키 팔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