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덤프버전 :

파일:투표 아이콘(흰 테두리).svg 대한민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
최근선거
다음선거
대통령 선거
19대
2017년 5월 9일
20대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대 · 2대 · 3대 · 3.15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국회의원 선거
21대
2020년 4월 15일
22대
2024년 4월 10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제헌 · 2대 · 3대 · 4대 · 5대 · 6대 · 7대 · 8대 · 9대 · 10대 · 11대 · 12대 · 13대 · 14대 · 15대 · 16대 · 17대 · 18대 · 19대 · 20대 · 21대 · 22대

전국동시지방선거
7회
2018년 6월 13일
8회
2022년 6월 1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52 · 1956 · 1960 · 1991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재보궐선거
2021년
2021년 4월 7일
2022년 1분기
2022년 3월 9일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2대 부선* · 1993 · 1994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 2012( · ) · 2013( · ) · 2014( · ) · 2015( · ) · 2016 · 2017(4월 · 5월)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3월 · 6월)

국민투표**
6차
1987년 10월 27일
시행 불가능***
[ 역대 투표 펼치기 · 접기 ]
1차 · 2차 · 3차 · 4차 · 5차 · 6차

* 제2대 부통령 선거는 대통령 선거와 병행하지 않고 이시영 부통령의 사임에 의해 별도로 시행한 보궐선거이므로 편의상 보궐선거로 분류함.
** 국민투표는 선거에 포함되지 않으나, 편의상 기술함.
*** 2014년 7월 24일 헌법재판소가 국민투표법 제14조 제1항 내용 중 일부에 대해 헌법 불합치 결정을 내렸으나, 국회에서 추가적인 법률 개정이 이뤄지지 않아 2016년 1월 1일자로 효력을 상실하여 시행 불가함.




1. 개요
1.1. 헌법 조항
1.2. 공직선거법 조항
2. 선거권과 피선거권
3. 후보 등록과 선거운동
4. 지역구
5. 비례대표
6. 투표시간
7. 선거일
8. 역대 국회의원 선거
8.1. 정당별 순위
8.2. 최다 의석 정당 순위
8.3. 지역별 역대 총선 당선 의원 최다 정당
8.3.1. 수도권
8.3.1.1. 서울
8.3.1.2. 경기
8.3.1.2.1. 수원
8.3.1.2.2. 용인
8.3.1.2.3. 고양
8.3.1.3. 인천
8.3.2. 관동권
8.3.2.1. 강원
8.3.3. 호서권
8.3.3.1. 대전
8.3.3.2. 세종
8.3.3.3. 충남
8.3.3.4. 충북
8.3.4. 호남권
8.3.4.1. 광주
8.3.4.2. 전남
8.3.4.3. 전북
8.3.5. 대경권(TK)
8.3.5.1. 대구
8.3.5.2. 경북
8.3.6. 동남권(PK)
8.3.6.1. 부산
8.3.6.2. 울산
8.3.6.3. 경남
8.3.6.3.1. 창원
8.3.7. 제주권
8.3.7.1. 제주
9. 역대 투표율
10. 역대 국회의원 선거 기록
10.1. 최소 표차 당선
10.2. 최고 득표율 당선
10.3. 최저 득표율 당선
10.4. 현행 헌법 체제하 무투표 당선
11. 관련 문서
12. 둘러보기


1. 개요[편집]


/ Republic of Korea General Election

대한민국국회의원을 선출하는 선거.

사실 엄밀히 말하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국회의원 선거'의 의미인 국회의원 300명 전원을 선출하는 선거는 '국회의원 선거'가 아닌 '국회의원 선거'라고 불러야 옳다. 왜냐하면 단순히 '국회의원 선거'라고만 하면 재보궐선거까지 '국회의원 선거'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 국회의원은 대통령 등과는 달리 한 명만 존재하는 게 아니므로 국회의원을 2명 뽑든, 10명 뽑든 간에 모두 '국회의원 선거'가 된다. 따라서 '국회의원 총선거'라고 하는 것이 의미상으로도 '국회의원을 모두(총) 선출하는 선거'가 되므로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국회법, 공직선거법 등의 법령에서도 혼동 방지를 위해 '국회의원 총선거' 또는 '임기만료에 의한 선거'라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건 어디까지나 법률론적인 이야기이고, 알다시피 민간에서는 그냥 '국회의원 선거'나 '총선'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더 많다. 그나마 이 둘 중에서는 '총선'이라는 표현이 '국회의원 선거'보다는 '국회의원 4년 임기 만료에 의한 선거'라는 의미를 더 잘 담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다만, 대한민국 선거관리위원회는 약칭으로 '국선'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국회는 단원제이며, 국회의원은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 의원으로 구성된다. 지역구 의원은 한 선거구에 한 명의 의원을 뽑는 소선거구제가 시행되며[1], 비례대표제 의원[2]은 전국을 한 선거구로 보고 선출하게 된다.


1.1. 헌법 조항[편집]


대한민국 헌법 제41조

국회국민보통·평등·직접·비밀선거에 따라 선출된 국회의원으로 구성한다.

② 국회의원의 수는 법률로 정하되, 200인 이상으로 한다.

③ 국회의원의 선거구비례대표제 기타 선거에 관한 사항은 법률로 정한다.

대한민국 헌법 제42조

국회의원의 임기는 4년으로 한다.


1.2. 공직선거법 조항[편집]


제21조(국회의 의원정수)

① 국회의 의원정수는 지역구국회의원 253명과 비례대표국회의원 47명을 합하여 300명으로 한다.

하나의 국회의원지역선거구에서 선출할 국회의원의 정수는 1인으로 한다.


제34조(선거일)

①임기만료에 의한 선거의 선거일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대통령선거는 그 임기만료일전 70일 이후 첫번째 수요일

2. 국회의원선거는 그 임기만료일전 50일 이후 첫번째 수요일

3. 지방의회의원 및 지방자치단체의 장의 선거는 그 임기만료일전 30일 이후 첫번째 수요일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선거일이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민속절 또는 공휴일인 때와 선거일전일이나 그 다음날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다음주의 수요일로 한다.


2. 선거권과 피선거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선거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피선거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선거권과 피선거권은 만 18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으로 정해져 있다. 전국동시지방선거와 달리 외국인 선거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단, 피성년후견인, 공직선거법 위반자[3], 금고형 이상의 형벌을 받은 자 중에서 그 형이 실효되지 않은 자는 피선거권이 없다.

또한 주민등록이 되어 있지 않은 재외국민은 지역구 국회의원 투표권은 없으며 비례대표 투표권만 있다.[4]

3. 후보 등록과 선거운동[편집]


  • 후보 등록 조건
    • 정당: 정당원으로서 소속된 정당에서 추천받을 것.
    • 무소속: 선거권자에게 추천받을 것.(300명에서 500명)
  • 후보 등록을 위한 기탁금[5]
    • 지역구: 1,500만 원
    • 비례대표: 500만 원
  • 기탁금 반환 조건
    • 지역구
      • 후보자가 당선되거나 사망한 경우와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15 이상을 득표한 경우[6] : 기탁금 전액
      • 후보자가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10 이상 100분의 15 미만을 득표한 경우[7] : 기탁금 반액
    • 비례대표
      • 후보자 명부에 올라 있는 후보자 중 당선인이 있는 때 기탁금 전액을 반환. (단, 당선인 결정 전 사퇴하거나 등록무효된 후보자는 제외)
      • 당선인 결정 전 사망한 후보자는 해당 후보자가 속한 후보자 명부의 당선인 유무에 관계없이 기탁금 전액을 반환.
  • 선거운동
    • 후보자 등록 마감일 다음날부터 선거일까지의 선거기간은 14일.


4. 지역구[편집]


대한민국국회의원 지역구는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에서 선거구를 결정하여 국회의장에게 제출하면 국회의장은 이를 존중하여 국회의원 선거구를 만들도록 하고 있다. (단, 국회 교섭단체의 입김이 크기 때문에 진정성이 발효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편이다.)

대한민국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2019년까지 지역구비례대표 의원 정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았었기 때문에 선거 직전에 국회의원들의 지역 이기주의가 결합되어 게리맨더링이 심각한 수준이다. 이 때문에 아예 선거구 획정을 하는 별도의 독립된 기관을 만들자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양자의 정수는 2020년 1월 14일부터 명확히 규정되기 시작했지만, 선거구는 선거구획정위원회를 중앙선거관리위원회[8]에 두도록 되어 있으나 선거구 규정이 법률 사안이다 보니 최종 승인권을 입법권을 갖고 있는 국회에 줄 수밖에 없다.

대한민국 공직선거법에서는 지역구 인구 차이의 비율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2001년 헌법재판소에서 내린 기준인 3:1, 2014년 2:1에 맞춰서 국회의원 선거구의 인구조절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대 총선에서는 대규모로 선거구가 개편되었다. 인구가 많은 수도권은 총 10석(서울 1석, 인천 1석, 경기 8석)이 증가하였으나 지방에서는 3석이 줄었고[9], 특히 강원도에는 서울시 10배 크기의 단일 선거구(홍천, 철원, 화천, 양구, 인제)가 출현하기도 하였다.(...)

지역구에 단 1명의 후보만 등록한 경우 해당 후보는 무투표 당선 처리되고 해당 지역구의 유권자에게는 비례대표 투표용지만 배부된다.


5. 비례대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비례대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투표시간[편집]


  • 오전 6시 ~ 오후 6시. 재보궐선거보다 2시간 짧다.
  • 투표 시작부터 오후 5시까지 출구조사가 이루어지며, 이를 토대로 당선 예상 등을 측정한다.


7. 선거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국회의원 선거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역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파일:대한민국국회정당별의석20180716.pn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
1948년
제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대한독립촉성국민회
]]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대동청년단|
대동청년단
]]


[[조선민족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
]]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대한독립촉성노동총연맹
]]


[[무소속|
무소속
]]

55
29
12
6
2
1
85

[[조선민주당|
조선민주당
]]


[[교육협회|
교육협회
]]


[[대성회|
대성회
]]


조선공화당


[[부산15구락부|
부산15구락부
]]


[[단민당|
단민당
]]


1
1
1
1
1
1


파일:대한청년단 글자.png


민족통일본부






1
1
1
1



1950년
제2대







24
24
14
10
3
3
126







2
1
1
1
1


1954년
제3대




[[제헌동지회|

제헌동지회
]]


114
15
3
3
1

67
1958년
제4대







126
80
1



26
1960년
제5대
참의원







31
4
1
1
1

20
제5대
민의원







175
4
2
1
1
1
49
1963년
제6대






출마 금지
110
40
14
9
2

1967년
제7대






129
45
1



1971년
제8대






113
89
1
1


1973년
제9대
+






73 + 73
52
2



19
1978년
제10대
+






68 + 77
61
3



22
1981년
제11대







151
81
25
2
2
2
11







1
1





1985년
제12대







148
67
35
20
1
1
4
1988년
제13대







125
70
59
35
1

9
1992년
제14대







149
97
31
1


21
1996년
제15대







139
79
50
15


16
2000년
제16대







133
115
17
2
1

5
2004년
제17대







152
121
10
9
4
1
2
2008년
제18대







153
81
18
14
5
3
25
2012년
제19대







152
127
13
5


3
2016년
제20대







123
122
38
6


11
2020년
제21대
+
+





163 + 17
84 + 19
6
3
3

5
교섭단체를 구성할 정도로 의석을 확보한 정당의 기록은 주황색으로 표시.[10]



8.1. 정당별 순위[편집]



1위
2위
3위
4위
5위
6위
7위
1대

















85
55
29
12
6
2
1
2대












126
24
14
10
3
2
1
3대





[[제헌동지회|

제헌동지회
]]
114
67
15
3
1
4대




126
80
26
1
5대 참의원






31
20
4
1
5대 민의원







175
49
4
2
1
6대





110
40
14
9
2
7대



129
45
1
8대




113
89
1
9대





73 + 73
52
19
2
10대





68 + 77
61
22
3
11대









151
81
25
11
2
1
12대







148
67
35
20
4
1
13대






125
70
59
35
9
1
14대





149
97
31
21
1
15대





139
79
50
16
15
16대






133
115 + 17[11]
5
2
1
17대







152
121
10
9
4
2
1
18대







153
81
25
18
14
5
3
19대





152
127
13
5
3
20대





123
122
38
11
6
21대








163 + 17[12]
84 + 19[13]
6
5
3


8.2. 최다 의석 정당 순위[편집]


순위
정당
의석
총선
1위


180석
21대
2위

175석
5대
3위

153석
18대
4위

152석
17대

19대
6위

151석
11대
7위

149석
14대
8위

148석
12대
9위

139석
15대
10위

133석
16대
11위


132석
16대
12위

129석
7대
13위

127석
19대
14위

126석
2대

4대
16위

125석
13대
17위

123석
20대
18위

122석
20대
19위

121석
17대
20위

114석
3대
21위

113석
8대
22위

110석
6대
23위


103석
21대
24위

97석
14대
25위

89석
7대
26위

85석
1대
27위

81석
11대

18대
29위

80석
4대
30위

79석
15대
31위

73석
9대
32위

70석
13대
33위

68석
10대
34위

67석
3대

12대
36위

61석
10대
37위

59석
13대
38위

55석
1대
39위

52석
9대
40위

50석
15대
41위

49석
5대
42위

45석
7대
43위

40석
5대
44위

38석
20대
45위

35석
12대

13대
47위

31석
14대
48위

29석
1대
49위

26석
4대
50위

25석
11대

18대

8.3. 지역별 역대 총선 당선 의원 최다 정당[편집]


  • 현재 체제인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기록한다.

지역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전적
수도권
서울
평민
민주
신한국
새천년
우리
한나라
민주
더민주
더민주
2:7
4:5
인천
민정
민자
신한국
새천년
우리
한나라
새누리
민주
더민주
더민주
5:5
경기
민정
민자
신한국
새천년
우리
한나라
민주
더민주
더민주
4:5
강원권
강원
민정
민자
신한국
새천년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8:1
충청권
대전
공화
민주

자민련
자민련
우리
선진
새누리
민주
더민주
더민주
4:5
3:4
세종
공화
통국
자민련
자민련
우리
선진
민주

더민주
4:3
충남
공화
민자
자민련
자민련
우리
선진
새누리
새누리
더민주
3:4
충북
민정
민자
자민련
한나라
우리
민주
새누리
새누리
더민주
5:3
호남권
광주
평민
민주
국민회의
새천년
우리
민주
민주
국민
더민주
1:9
1:9
전남
평민
민주
국민회의
새천년
우리
민주
민주
국민
더민주
1:9
전북
평민
민주
국민회의
새천년
우리
민주
민주
국민
더민주
1:9
대경권
대구
민정
민자
자민련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8:1
9:1
경북
민정
민자
신한국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9:0
동남권
부산
통민
민자
신한국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8:1
9:0
울산
민정
통국
신한국
민주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8:1
경남
민정
민자
신한국
한나라
한나라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9:0
제주권
제주


신한국
새천년
우리
민주
민주
더민주
더민주
2:6
전국
지역구
민정
민자
신한국
한나라
우리
한나라
새누리
더민주
더민주
6:3
비례대표
민정
민자
신한국
한나라
우리
한나라
새누리
새누리
통합
8:1
총합
민정
민자
신한국
한나라
우리
한나라
새누리
더민주
더민주
6:3

보수
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충청보수
정당 /

제3지대
정당 /

무소속

(과반수 이상의 의석이었을 경우 상단 색상을 사용하였다.)
{{{#ffd2d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4px"
보수 정당 / {{{#dbf3f4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urrentcolor; font-size: 14px"
민주당계 정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ffcc; font-size: 14px"
충청보수 정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9C00; font-size: 14px"
제3지대 정당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dd; font-size: 14px"
무소속


8.3.1. 수도권[편집]


수도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33
41
56
39
33
84
43
36
17
383
43.2%
충청보수
9
0
5
1
0
0
0
0
0
15
민주당계
35
35
35
56
76
26
65
82
103
513
55.8%
진보정당
0
0
0
0
0
0
4
1
1
6
제3지대
0
7
0
0
0
1
0
2
0
10
1.0%
합계
77
82
96
97
109
111
112
122
121
927


8.3.1.1. 서울[편집]

서울특별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0
16
27
17
16
40
16
12
8
162
39.1%
충청보수
3
0
0
0
0
0
0
0
0
3
민주당계
29
26
20
28
32
7
30
37
41
248
59.8%
진보정당
0
0
0
0
0
0
2
0
0
2
제3지대
0
2
0
0
0
1
0
2
0
5
1.1%
합계
42
44
47
45
48
48
48
49
49
420


8.3.1.2. 경기[편집]

경기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8
18
22
18
14
35
21
19
7
177
44.3%
충청보수
6
0
5
1
0
0
0
0
0
12
민주당계
5
8
13
22
35
17
29
40
51
220
54.0%
진보정당
0
0
0
0
0
0
2
1
1
4
제3지대
0
5
0
0
0
0
0
0
0
5
1.7%
합계
28
31
38
41
49
51
52
60
59
409


8.3.1.2.1. 수원[편집]

수원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
2
2
3
1
3
1
0
0
13
44.0%
충청보수
1
0
1
0
0
0
0
0
0
2
민주당계
0
0
0
0
3
1
3
5
5
17
53.5%
제3지대
0
1
0
0
0
0
0
0
0
1
1.7%
합계
2
3
3
3
4
4
4
5
5
33


8.3.1.2.2. 용인[편집]

용인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
1
1
0
1
2
2
2
1
11
51.0%
민주당계
0
0
0
2
1
1
1
2
3
10
49.0%
합계
1
1
1
2
2
3
3
4
4
21


8.3.1.2.3. 고양[편집]

고양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1
2
0
1
4
1
0
0
9
35.7%
충청보수
1
0
0
0
0
0
0
0
0
1
민주당계
0
0
0
4
3
0
2
3
3
15
53.6%
진보정당
0
0
0
0
0
0
1
1
1
3
10.7%
합계
1
1
2
4
4
4
4
4
4
28


8.3.1.3. 인천[편집]

인천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6
6
9
5
3
10
6
6
2
53
53.2%
민주당계
1
1
2
6
9
2
6
7
11
45
46.8%
합계
7
7
11
11
12
12
12
13
13
98


8.3.2. 관동권[편집]


관동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0
10
9
3
6
4
9
7
5
63
74.3%
충청보수
1
0
2
0
0
0
0
0
0
3
민주당계
3
0
2
5
2
4
0
1
3
20
20.7%
제3지대
0
4
0
1
0
0
0
0
0
5
1.7%
합계
14
14
13
9
8
8
9
8
8
91


8.3.2.1. 강원[편집]

강원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0
10
9
3
6
4
9
7
5
63
74.3%
충청보수
1
0
2
0
0
0
0
0
0
3
민주당계
3
0
2
5
2
4
0
1
3
20
20.7%
제3지대
0
4
0
1
0
0
0
0
0
5
1.7%
합계
14
14
13
9
8
8
9
8
8
91


8.3.3. 호서권[편집]


호서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9
16
4
4
1
1
12
14
8
76
64.0%
충청보수
15
0
24
13
4
14
3
0
0
73
민주당계
3
4
0
8
19
9
10
13
20
86
35.4%
제3지대
0
6
0
0
0
0
0
0
0
6
0.6%
합계
27
28
28
24
24
24
25
27
28
235


8.3.3.1. 대전[편집]

대전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3
0
1
0
0
3
3
0
10
51.7%
충청보수
4
0
7
3
0
5
0
0
0
19
민주당계
0
2
0
2
6
1
3
4
7
25
48.3%
합계
4
5
7
6
6
6
6
7
7
53


8.3.3.2. 세종[편집]

세종자치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충청보수
1
0
1
1
0
1
0
0
0
4
49.0%
민주당계
0
0
0
0
1
0
1
1
2
5
50.0%
제3지대
0
1
0
0
0
0
0
0
0
1
1.0%
합계
1
1
1
1
1
1
1
1
2
10


8.3.3.3. 충남[편집]

충청남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2
9
1
0
1
0
4
6
5
35
69.6%
충청보수
8
0
11
7
4
8
3
0
0
41
민주당계
3
1
0
4
5
2
3
5
6
29
28.5%
제3지대
0
3
0
0
0
0
0
0
0
3
1.7%
합계
13
13
12
11
10
10
10
11
11
101


8.3.3.4. 충북[편집]

충청북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7
6
3
3
0
1
5
5
3
35
60.2%
충청보수
2
0
5
2
0
1
0
0
0
10
민주당계
0
1
0
2
8
6
3
3
5
28
38.4%
제3지대
0
2
0
0
0
0
0
0
0
2
1.4%
합계
9
9
8
7
8
8
8
8
8
73


8.3.4. 호남권[편집]


호남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2
1
1
1
0
0
2
0
7
2.2%
민주당계
37
37
36
28
25
31
27
3
28
252
91.4%
진보정당
0
0
0
0
0
0
3
0
0
3
제3지대
0
0
0
0
5
0
0
23
1
29
6.9%
합계
37
39
37
29
31
31
30
28
28
290


8.3.4.1. 광주[편집]

광주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0
0
1
0
0
0
0
0
1
0.5%
민주당계
5
6
6
5
7
8
7
0
8
52
97.8%
진보정당
0
0
0
0
0
0
1
0
0
1
제3지대
0
0
0
0
0
0
0
8
0
8
2.7%
합계
5
6
6
6
7
8
8
8
8
62


8.3.4.2. 전남[편집]

전라남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0
0
0
1
0
0
1
0
2
1.0%
민주당계
18
19
17
13
7
12
10
1
10
113
96.3%
진보정당
0
0
0
0
0
0
1
0
0
1
제3지대
0
0
0
0
5
0
0
8
0
13
2.7%
합계
18
19
17
13
13
12
11
10
10
123


8.3.4.3. 전북[편집]

전라북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2
1
0
0
0
0
1
0
4
3.8%
민주당계
14
12
13
10
11
11
10
2
9
92
93.6%
진보정당
0
0
0
0
0
0
1
0
0
1
제3지대
0
0
0
0
0
0
0
7
1
8
2.6%
합계
14
14
14
10
11
11
11
10
10
105


8.3.5. 대경권(TK)[편집]


대경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25
28
18
27
26
26
27
23
25
226
97.2%
충청보수
2
0
11
0
1
0
0
0
0
14
민주당계
2
0
3
0
0
1
0
2
0
8
3.0%
제3지대
0
4
0
0
0
0
0
0
0
4
1.8%
합계
29
32
32
27
27
27
27
25
25
251


8.3.5.1. 대구[편집]

대구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8
9
2
11
12
12
12
10
12
89
94.0%
충청보수
0
0
9
0
0
0
0
0
0
9
민주당계
0
0
2
0
0
0
0
2
0
4
4.0%
제3지대
0
2
0
0
0
0
0
0
0
2
2.0%
합계
8
11
13
11
12
12
12
12
12
103

8.3.5.2. 경북[편집]

경상북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7
19
16
16
14
14
15
13
13
137
96.4%
충청보수
2
0
2
0
1
0
0
0
0
5
민주당계
2
0
1
0
0
1
0
0
0
4
2.0%
제3지대
0
2
0
0
0
0
0
0
0
2
1.6%
합계
21
21
19
16
15
15
15
13
13
148


8.3.6. 동남권(PK)[편집]


동남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3
36
39
37
35
37
37
27
32
281
83.1%
충청보수
0
0
1
0
0
0
0
0
0
1
민주당계
23
1
3
0
4
2
3
8
7
51
15.3%
진보정당
0
0
0
0
2
2
0
5
0
9
제3지대
1
3
1
1
1
0
0
0
0
7
1.6%
합계
37
39
44
38
41
41
40
40
40
360


8.3.6.1. 부산[편집]

부산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
16
21
17
17
17
16
13
15
133
83.6%
민주당계
14
0
0
0
1
1
2
5
3
26
16.4%
합계
15
16
21
17
18
18
18
18
18
159

8.3.6.2. 울산[편집]

울산광역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2
1
2
4
3
6
6
4
5
33
66.6%
민주당계
1
0
2
0
1
0
0
0
1
5
16.9%
진보정당
0
0
0
0
1
0
0
2
0
3
제3지대
1
3
1
1
1
0
0
0
0
7
16.5%
합계
4
4
5
5
6
6
6
6
6
48

8.3.6.3. 경남[편집]

경상남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10
18
11
16
14
14
15
12
13
128
85.1%
충청보수
0
0
1
0
0
0
0
0
0
1
민주당계
8
1
1
0
2
1
1
3
3
20
14.9%
진보정당
0
0
0
0
1
2
0
1
0
4
합계
18
19
18
16
17
17
16
16
16
153


8.3.6.3.1. 창원[편집]

창원시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0
4
5
5
4
4
5
4
5
35
81.5%
민주당계
4
1
0
0
0
0
0
0
0
5
18.5%
진보정당
0
0
0
0
1
1
0
1
0
3
합계
4
5
5
5
5
5
5
5
5
44


8.3.7. 제주권[편집]


제주권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2
3
3
1
0
0
0
0
0
9
33.3%
민주당계
1
0
0
2
3
3
3
3
3
18
66.7%
합계
3
3
3
3
3
3
3
3
3
27

8.3.7.1. 제주[편집]

제주도 역대 총선 결과
분류
13대
14대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21대
합계
보수정당
2
3
3
1
0
0
0
0
0
9
33.3%
민주당계
1
0
0
2
3
3
3
3
3
18
66.7%
합계
3
3
3
3
3
3
3
3
3
27

9. 역대 투표율[편집]




10. 역대 국회의원 선거 기록[편집]



10.1. 최소 표차 당선[편집]


※ 볼드체는 당선자.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경북 경산군·청도군 - 민주정의당 박재욱 41,719표 vs 신민주공화당 이재연 41,827표 (108표차)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경남 울산시 중구[16] 민주자유당 김태호[17] 50,127표→50,088표[재검표] vs 통일국민당 차화준[18] 50,138표→50,111표[재검표] (11표차→23표차[재검표])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노원구 을[14] - 민주자유당 김용채 40,551표→40,433표[재검표] vs 민주당 임채정 40,515표→40,602표[재검표] (36표→169표[재검표])[15]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안양시 만안구 - 신한국당 박종근 29,262표 vs 자유민주연합 권수창 29,612표 (350표차)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광주군[21] - 한나라당 박혁규 16,675표 vs 새천년민주당 문학진 16,672표 (3→2[재검표]→3표차)[22] 전설의 문세표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동대문구 을 - 한나라당 김영구 34,796표 vs 새천년민주당 허인회 34,785표 (11표차→3표차[재검표])[19][20]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충남 당진군 - 열린우리당 박기억 17,702표 vs 자유민주연합 김낙성 17,711표 (9표차)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성남시 수정구 - 통합민주당 김태년 29,833표 vs 한나라당 신영수 29,962표 (129표차)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경기 고양시 덕양구 갑 - 새누리당 손범규 43,758표 vs 통합진보당 심상정 43,928표 (170표차)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인천 부평구 갑 - 새누리당 정유섭 42,271표→42,258표[재검표] vs 국민의당 문병호 42,245표→42,235표[재검표] (26표→23표차[재검표])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인천 동구·미추홀구 을 - 더불어민주당 남영희 46,322표 vs 무소속 윤상현 46,493표 (171표차)


10.2. 최고 득표율 당선[편집]


해당 지역구가 호남이나 TK 같은 텃밭에, 공천 반발 무소속 후보나 비슷한 성향의 군소정당 후보가 없어 표가 갈리지 않았을 때 종종 볼 수 있다.



10.3. 최저 득표율 당선[편집]


해당 지역구에 호남이나 TK 같은 텃밭에, 공천 반발 무소속 후보나 비슷한 성향의 군소정당 후보들이 나와서 다자 구도로 전개되었을 경우 종종 볼 수 있다.



10.4. 현행 헌법 체제하 무투표 당선[편집]



11. 관련 문서[편집]




12. 둘러보기[편집]



[1] 1973년부터 1985년까지는 두 명의 의원을 뽑는 중선거구제가 시행되었다. 소선거구제가 시행된 시기는 1988년이다.[2] 2004년까지는 전국구였다.[3] 100만원이상의 벌금형이 확정된 후: 5년간, 집행유예선고 받은 후: 10년간, 징역형을 선고 받은 후: 집행의 종료·면제후 10년간.[4] 과거에는 외국 영주권을 보유한 재외국민 및 외국국적을 보유한 복수국적자 중 해외이주신고를 한 사람 주민등록이 불가하고 국내거소신고만 가능했어서, 국내거소신고 시 지역구 및 비례대표 투표권이 모두 존재하지만, 지역구 의원에 투표하고자 한다면 반드시 국내에서 해야 했다. 하지만 현재는 재외국민 국내거소신고제가 폐지되고 재외국민 주민등록제가 시행되고 있기 때문에 국외에서도 지역구 의원에 투표할 수 있다. 현재 국내거소신고제는 외국국적동포, 즉 한국계 외국인만 적용 대상이며, 이들은 법적으로 외국인이기 때문에 국회의원 선거권이 없다.[5] 후보자가 장애인이거나 29세 이하인 경우에는 50%, 후보자가 30세 이상 39세 이하인 경우에는 70%[6] 후보자가 장애인이거나 39세 이하인 경우에는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10 이상을 득표한 경우[7] 후보자가 장애인이거나 39세 이하인 경우에는 유효투표 총수의 100분의 5 이상 100분의 10 미만을 득표한 경우[8] 과거에는 국회에 뒀으나 하도 여야 싸움만 나는 경우가 많아 개정되었다.[9] 그나마 충청남도대전광역시가 각각 1석씩 늘어서 이 정도고, 에서는 5석이 줄어들었다.[10] 20석 이상.[11] DJP연합에 의한 연립 정부[12] 비례대표용 위성정당[13] 비례대표용 위성정당[14] 선거구 명칭 자체는 노원구 을이지만,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노원구가 3개 선거구로 분구되면서 현재의 노원구 병 선거구가 당시 노원구 을 선거구의 영역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다.[재검표] A B C D E F G H I J K 재검표 후[15] 표차는 적지 않지만, 재검표 결과, 선거 결과가 뒤바뀐 초유의 사건이라 수록. 법원이 임채정 후보의 표 98표가 김용채 후보의 표로 잘못 계산되었다고 판결하며 선거 결과가 뒤바뀐 것. 이로 인해 김용채는 임기 시작 50여일만에 의원직을 잃었고, 동시에 정무1장관직에서도 물러나야 했다.[16] 당시에는 광역시 승격 전이었다.[17] 이혜훈 전 의원의 시아버지이기도 하다.[18] 연설 중 틀니가 빠지는 영상으로 유명하신(...) 분이다.[19] 재검표 결과 광주시와 동률인 3표차. 당시 허인회 후보는 표차가 줄었을 뿐 결과가 바뀌지 않자, 위장전입을 문제삼았고, 두 후보의 표에서 위장전입된 표를 빼면(김영구 후보 측의 위장전입 인원은 14명, 허인회 후보의 위장전입 인원은 9명), 결과가 뒤바뀐다는 주장을 한 결과, 선거가 무효화되고 재선거가 치러지게 되었다.[20] 이후 스토리를 간략하게 소개하자면, 그렇게 치러진 재선거에서는 김영구 의원이 "선거를 또 치를 생각을 하니 너무 힘들어 못하겠다. 가족들의 반대도 아주 심했다"며 불출마 선언을 하고, 대신 의원직 사퇴 이후 야인으로 생활하던 홍준표가 공천되어 허인회를 3700여표 차로 누르고 승리했다. 이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출구조사 결과 허인회의 당선이 예측되었으나(심지어 경합 판정이 나오지도 않았었다.), 정작 선거 결과는 홍준표의 1000여표차 승리. 결국 이 선거를 끝으로 허인회 후보는 정계를 은퇴한다.[21] 이 선거구는 광주시의 인구 증가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광주시 갑광주시 을로 분구되었다.[22] 역대 국회의원 선거 최소 표차. 중간 판결에서 2표차로 바뀌었으나, 최종 판결에서는 다시 3표차가 되었다.[23] 당선 직후 부인의 선거법 위반으로 당선 무효 처리되었다.[24] 이 선거구에 무려 13명의 후보가 난립했다. 이곳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여러 곳에서 후보들이 난립해 20%대 득표율로 당선된 사람들도 매우 많았다.[25] 이 선거구에 무려 12명의 후보가 난립했다. 1~2대 총선과 마찬가지로 이곳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여러 곳에서 후보들이 난립해 10~20%대 득표율로 당선된 사람들도 매우 많았다.[26] 이 선거구에 무려 9명의 후보가 난립했다.[27] 이 선거구에 무려 14명의 후보가 난립했다.[28] 현재 체제 하 총선(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래 재보선을 제외한 정규 총선에서의 역대 최저 득표율 당선[29] 참고로 박주선 의원은 직전 선거에서는 전국 최고 득표율(88.74%)로 당선되었었다(...)[30] 현재 체제 하 총선 이래 재보선을 포함한 모든 국회의원 선거에서의 역대 최저 득표율 당선[31] 현재 체제 하 총선(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래 재보선을 제외한 정규 총선에서의 무투표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