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무역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일본

[ 정치 · 군사 ]

상징일장기(니시키노미하타) · 기미가요 · 국장 · 국호 · 천황 · 일본 황실
정치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사라진 정당) · 국회(참의원 · 중의원)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선거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외교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추축국)
군사군사 전반(군사사) · 자위대(편성 · 역사 (일본군) · 계급) · 문제점(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계급 · 일본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역사 ]
[ 사회 · 경제 ]

경제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수출/수입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지진(대지진) · 후지산
사회사회 전반(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알레프)) · 국수주의(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일본어족 · 일본어(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교통 전반 · 도로(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 문화 ]

예술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오키나와 음악
음식음식 전반(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종이)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스포츠 전반(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1. 무역
1.1. 수출
1.2. 수입


1. 무역[편집]


상품과 서비스에 의한 일본 무역수지 추이
연도무역수지 (단위: 10억 달러)
1995년73.1
1996년21.8
1997년46.3
1998년73.2
1999년70.6
2000년68.6
2001년26.6
2002년53.5
2003년71.7
2004년91.2
2005년64.6
2006년54.7
2007년73.7
2008년8.4
2009년18.8
2010년65.5
2011년-54.6[1]
2012년-117.2
2013년-121.8
2014년-106.4
2015년-10.8
2016년40[2]
2017년28.3#
2018년-10 #
2019년5.4#
2020년58.9#

연도일본의 경상수지
1980년-10.750
1981년4.761
1982년6.847
1983년20.804
1984년35.009
1985년50.180
1986년84.522
1987년84.253
1988년79.173
1989년63.142
1990년44.709
1991년68.116
1992년112.394
1993년131.918
1994년130.54
1995년110.422
1996년68.937
1997년95.154
1998년115.093
1999년114.244
2000년130.651
2001년86.186
2002년109.125
2003년139.414
2004년182.049
2005년170.135
2006년174.536
2007년212.138
2008년142.599
2009년145.250
2010년220.986
2011년129.834
2012년59.703
2013년45.944
2014년36.477
2015년135.580
2016년187.679#
2017년200.324#
2018년171.150#
2019년182.680#
2020년159.019#
  • 단위: 10억 달러(약 1조 원), 소수점 세자리까지 표시함.
  • 급격한 추락(10억 달러 이상)은 붉은 글씨로 표시함.

구분비중
내수가계소비55.5%
정부소비19.6%
투자고정투자24.0%
재고투자0%
순수출수출17.7%
수입(16.8%)
2017년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일본/경제 문서의 r237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일본/경제 문서의 r237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1. 수출[편집]


순위품목비중수출액(USD)
1자동차12.2%890억
2산업용로봇5.3%385억
3집적회로5.1%369억
4자동차부품4.2%306억
5정유2.0%145억
6건설기계1.8%130억
7압연강판1.5%112억
81.5%109억
9상용차1.4%103억
10반도체소자1.4%99억
2022년 재화 수출액 기준#

세계은행에 따르면 2022년 일본은 9,212억 달러를 수출하며 수출액 기준 세계 6위에 올랐다. 준수한 소비력을 갖춘 1억 2,500만명의 인구를 바탕으로 탄탄한 내수 경제를 갖추고 있지만, 수출 역시 매우 강력한 편이다. 다만 국내총생산에서 내수와 고정투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여타 비슷한 경제규모를 갖춘 서유럽 국가들 대비 높은 편이다. 국내총생산에서 순수출 혹은 수출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낮지만, 경제 규모가 워낙 큰 탓에 세계 6위의 수출 규모를 갖추고 있다. 즉 대한민국이나 대만처럼 수출 의존형 경제 구조는 아니다. 일본의 수출을 담당하는 두 축은 상술된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중국과 미국이다.[3]

한편 일본은 글로벌 전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전세계의 나라 중에서 해외 현지법인이 가장 많고 현지 생산, 현지 법인을 통해서 생산, 판매를 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산업이 있는데 2022년 일본 국내 자동차 수출 대수는 386만대 정도인데, 일본기업은 세계 각지에 생산거점, 해외 현지법인을 두고 있어 현지 법인을 통해 판매됩다. 일례로 일본 자동차 메이커 중 2022년 토요타 자동차 1사에서 전 세계에 1,048만대 판매하고 있다. 일본 국외 해외 현지법인에서 생산, 판매된 것은 수출에 포함되지 않고 무역수지가 아니라 1차 소득수지, 경상수지에 포함된다. 또 일본 국외에서의 생산, 판매 및 설비투자는 GDP(국내총생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본은 무역수지보다 1차 소득수지, 경상수지 비중이 더 많아지는 구조다.## 2021년 기준 일본기업 해외거점의 매출액은 303조 엔이었으며 같은 해 일본 내 총수출액 85조 엔의 3.6배에 달한다.#

자원빈국이기 때문에 주로 원자재를 수입한 뒤 이를 가공하여 철강, 정밀기계[4], 화학, 디스플레이 등의 B2B 분야를 위주로 높은 경쟁력과 기술력을 갖추고 있다. 이렇듯 소재, 부품, 장비 분야에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 때문에 산업화 과정에서 일본의 영향을 많이 받아 의존도가 높은 대한민국은 국교정상화 이래 아직까지 단 한 번도 대일무역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5] 대한민국은 원자재와 더불어 일본의 소부장 분야에서 수입을 한 뒤 B2C 분야의 최종생산품으로 수출하는 경향이 높다. 이로 인해 대한민국의 대일 무역 적자의 대부분은 소재, 부품, 장비 등의 B2B 제조업 분야에서 발생한다. 반면 일본은 내수 중심으로 B2C 분야 자립화도 고도화되었기 때문에 타 국가들과 달리 한국산 완제품 수요도 낮은 편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마우지 경제라고 표현한다.

반면 B2C 분야에서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최전성기를 만개하다 거품경제가 정점을 찍은 이후 플라자 합의, 미일 반도체 협정, 루브르 합의, 아시아 외환위기, 대침체, 동일본 대지진 등의 악재가 연달아 터져나오며 잃어버린 20년이라는 멸칭이 붙을 정도로 암흑기가 도래하며, 21세기 들어서는 중국, 대한민국, 대만 등에 주도권을 내어주었다. 이들 국가는 일본과 비슷한 경제개발모델 및 수출 주도형 산업 구조를 갖추며 양적 투입의 효용성을 극대화시켜 빠르게 일본 기업들의 자리를 꿰찼다. 이로 인해 일본은 수출 분야에서 B2B 중심으로 전환함과 동시에 낮아진 B2C 분야의 대외 경쟁력으로 인해 상당수의 통화 유동성이 금융과 사회간접자본 분야로 흘러들어갔다. 이로 인해 내수형 B2C 기업들이 발전하기 시작했으며, 상술된 상황 덕분에 일본의 내수가 매우 탄탄해졌다.[6]

다만 B2B 분야의 압도적인 경쟁력에 대비되며 전성기에 비해서 위세가 줄어들었을 뿐 B2C 제조업은 여전히 일본의 수출 비중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자동차, 오토바이, 건설기계, 농기계, 조선, 전자, 카메라, 비디오 게임 등이 대표적인 분야다. 특히 산업 규모가 압도적인 자동차 분야 수출이 효자 종목인데, 오랜 기간동안 독일과 더불어 판매량 기준 세계 수출 1위를 양분하고 있다.[7][8]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일본/경제 문서의 r231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일본/경제 문서의 r23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2. 수입[편집]


순위품목비중수입액(USD)
1원유10.6%867억
2천연가스7.8%642억
3석탄6.6%537억
4집적회로3.5%289억
5통신장비2.5%203억
6백신관련의약품2.4%196억
7정유2.3%187억
8포장의약품1.9%153억
9컴퓨터1.6%130억
10구리1.5%124억
2022년 재화 수입액 기준#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7 16:30:02에 나무위키 일본/무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11년 3월에 일본에서 토호쿠 대지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발생함. 이로 인해 재해복구비용도 들어갔지만 무엇보다 원자력발전소 가동중지에 따른 화력발전용 에너지 원자재 수입비용이 많이 든 것이 주 이유이다. [2] 대지진 이후 처음으로 달성한 흑자 #[3] 중국은 일본의 B2B 수출을 대표하는 국가다. 아직 중국의 장악력이 낮은 고부가가치 산업에서 상당수의 수출을 창출해낸다. 정밀기계, 소재, 화학, 제약, 광학 등의 분야가 대표적이다. 반면 미국은 일본의 B2C 수출을 대표하는 국가다. 자동차, 오토바이, 전자 등.[4] 대표적으로 산업용 로봇 분야에서는 야스카와 전기, 화낙 등이 있으며 일본지식정보센터의 보고서에 의하면 일본은 세계 산업용 로봇 시장의 70% 가량을 선점하고 있다.[5] 1965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된 대일무역 적자가 무려 6,933억 달러에 육박한다.# 이는 대한민국의 최대 무역 흑자국인 중국으로부터 지난 1980년대부터 벌어들인 누적 흑자 규모과 맞먹는 수준이다.[6] 2010년대에 시행되었던 아베노믹스의 목표는 무제한적으로 통화 유동성을 늘리며 내수 디플레를 극복하고, 엔저 효과를 통해 수출까지 동시에 확충하는 것이다. 내수 쪽은 근본적인 문제 해결이 안 되는 상황이라 결국 진통제 맞은 효과밖에 내지 못했다. 다만 2020년대 들어서 드디어 디플레를 차츰 벗어나기 시작했다. 반면 수출은 엔저 정책을 통해 위기에서 회생하는 효과를 냈다.[7] 토요타, 혼다, 닛산, 스즈키 등이 대표적이다. 다만 2023년 상반기에 214만대를 수출한 중국에 1위 자리를 내주면서, 사상 처음으로 수출 순위를 역전당했다. 러시아 사업 철수, 중국의 전기자동차 산업 급성장 등이 주원인으로 뽑힌다.[8] 다만 중국의 성장세가 거셌을 뿐이지, 일본도 전년 대비 17% 증가한 202만대를 수출하며 여전한 성장세를 보였다. 전기자동차 시장은 아직까지 내연기관 대비 가격이 비싼 사치재 경향이 높을 뿐더러 침투율이 10% 수준에 불과하다. 이로 인해 평균판매단가가 일본보다 2배 가까이 높아, 비싼 전기자동차 모델들과 경쟁하는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오히려 타격이 더 큰 편이다. 반면 일본은 하이브리드 자동차 분야에서 상당한 성과를 내고 있기 때문에 시간은 충분하다는 평이 대다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