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24 채피

덤프버전 : (♥ 0)

분류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미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미군기갑차량
전차경전차M1, M2 (A1, A2, A3, A4), M3 (A1, A3), M5, M5A1, M22 로커스트, M24
중형전차M2A1, M3 (A1, A2, A3, A4, A5, A6), M4A1 "터틀백", M4A1 (76) W, M4A1E8, M4A1E9, M4 "컴포지트 헐", M4, M4A2, M4A2 (76) W VVSS, M4A2E8, M4A3, M4A3E4, M4A3 (76) W, M4A3E8, M4A3 (75) W HVSS, M4A4, M4A6
중전차M4A3E2 ((75) W "점보 셔먼", (76) W), M6, M26 퍼싱, T26E4-1 슈퍼 퍼싱
장갑차차륜 장갑차M8 경장갑차, M20 유틸리티 카, M3 스카웃 카, M3A1 스카웃 카, 포드-오스트레일리아 S1 스카웃 카, T18 보어하운드, T24 스카웃 카, M5 중형장갑차, T27 장갑차
궤도형 장갑차M39 AUV
반궤도 장갑차M2, M3, M5, M9
상륙장갑차LVT, LVT(A)-4
자주포자주박격포M4 MMC, M4A1 MMC, M21 MMC
자주곡사포M7 HMC, M8 HMC "스콧", M12 GMC, M40 GMC, M43 HMC, M4 (105) VVSS, M4A3 (105) VVSS, M4 (105) HVSS, M4A3 (105) HVSS
대전차 자주포M6 파고, M3 GMC, M10 GMC, M10A1 GMC, M18 헬캣, M36 GMC, M36B2 GMC, M36B1
자주대공포M13 MGMC, M14 MGMC, M15 CGMC, M15A1 CGMC, M16 MGMC, M17 MGMC, M19 더스터
차량CCKW, 윌리스 MB, 포드 GPA, DUKW, 스튜드베이커 US6, M4 포병트랙터, M29 위즐,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M24 1톤 트럭, M25 드래곤 웨건
모터사이클할리 데이비슨 WLA, 할리 데이비슨 ELA, 인디언 640B, 인디언 340, 인디언 M1
프로토타입T1, T1 경전차, M1, T2, T7, M7, M3A2, M4A1 (T1), M4A4E1, T14, T20, T21, T22, T23, T25, T28,
T29, T30, T32, T34, T40, T49, T67, T92, M38 울프하운드, T55E1 GMC
노획 차량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신포탑 치하S, 하고S, 4식 포전차 호로S, 치누S,5식 중전차 치리S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1호 전차 C형E, 2호 전차 F형, 2호 전차 G형,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E, 6호 전차 티거E, 티거 2E,M3 하프트랙E, T-34-76E, T-26E, 7TPE, BT-7E, KV-2E, 르노 FTE, 소뮤아 S35E, 세모벤테 90/53E, 세모벤테 149/40E, 4호 구축전차 (A)E, 게쉬츠바겐 티거E, 로이머 SE, 판터IIE, 세모벤테 149/40E, Sd.Kfz. 231 8 räd, 6호 중구축전차 야크트티거E, Sd.Kfz. 251/8E, Sd.Kfz. 250/9E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 1941년형, KV-1 1941년형 파일:영국 국기.svg 마틸다 II, M4A3 17 Pdr, 처칠 III, 크루세이더 III
※ 윗첨자S: 태평양 전선에서 노획.
※ 윗첨자E: 유럽 전선에서 노획.






파일:M24.jpg
Light Tank, M24
1. 개요
2. 제원
3. 내부
4. 개발사
5. 형식
5.1. 초기형
5.2. 후기형
6. 평가
6.1. 장점
6.2. 단점
6.3. 총평
12. 참고 문헌 및 사이트
1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M24 채피 기동 영상
제2차 세계 대전미군에서 채용한 경전차. M3/M5 스튜어트 경전차의 후계차량이며,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참전했던 경전차 중에서 최고의 성능을 지니고 있던 차량이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6.25 전쟁에서도 투입, 동란 와중에 대한민국 국군에 잠깐 공여되어 사용하였다. 이밖에도 친미 국가나 도로 사정이 열악한 국가들에 판매되어 여러 전장에서 나타나 활약하기도 하는 등, 제 본분을 다한 경전차라 평가받는다.


2. 제원[편집]


Light Tank, M24 "Chaffee"
M24 경전차 "채피"
개발기관캐딜락 모터스
개발연도1943년 ~ 1944년
생산기관캐딜락 모터스, 매시-해리스 주식회사
생산연도1944년 4월 ~ 1945년 8월
생산 댓수4,731대
운용 연도1944년 ~ 현재[1]
운용 국가미국 포함 도합 38개국 사용
전장5.56m
전폭3.00m
전고2.77m
전비 중량18.4t
탑승 인원5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장전수, 부조종수)
엔진캐딜락 시리즈 44T24 W형 8기통 엔진
최고 출력300hp
출력비16.09hp/t
현가 장치토션바 서스펜션
최고 속도56km/h / 40km/h (평지 주행 시 / 야지 주행 시)
항속 거리161km
주무장75mm 39구경장 M6 저반동포 1문 (48발)
부무장7.62mm M1919A4 2정[2] (3,750발)
12.7mm M2HB 1정[3]


3. 내부[편집]


파일:M24-cutaway.jpg
M24 채피 내부 구조도
M24 채피의 내부는 상단의 사진과 같다.

세계 최초로 저반동포를 채용한 경전차로 알려져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에 사용되었던 경전차 중에서 최강이라고 평가받는다.

현대 미국 전차의 디자인 계보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는데, 미군 전차 중 양산형으로는 최초로 토션바 현가장치를 장착한 전차였기 때문이다.[4] 이는 실전에서 HVSSVVSS를 장착한 차량들보다 훨씬 이점이 있었다.

이외 추가적 보완으로 좁은 궤도폭으로 인한 접지압의 부족을 차량 자체의 전폭을 늘려 해결했으며,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셔먼과 같이 정중앙에 위치하여 있는 둥그스름한 포탑과, 약한 장갑을 보완하기 위한 전방위 경사장갑, 또한 체급에 비하여 강력한 포를 얹었던 것 등, 현대 미국 전차와 유사한 점이 매우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구식적인 부조종수 구조는 채피와 M26 퍼싱 및 그에 기반한 M46, M47 패튼까지 이어졌고, 이 이후에 나온 M41 워커 불독M48 패튼, M103 전차부터는 승무원 유형이 넷[5]으로 고정됐다. 또한 2차 대전에 초반부터 후반까지 미국이 생산한 전차의 특징인 보병/승무원 중 손이 노는 인원이 전차 차체 상부에 올라타 포탑 후방 상부에 설치된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을 이용하는 구조는 채피와 M26 퍼싱을 끝으로 미국에서 사용되질 않으며, 중기관총을 전차장 해치 앞에 설치하기 시작한다. 이중 M48 패튼은 전차장 M2 중기관총을 M60 기관총으로 바꾸기도 했다.


4. 개발사[편집]


파일:T24.jpg
시제 경전차 T24
M3/M5 스튜어트 경전차의 성능은 동급 차량 중 가장 우수한 것이었으나 설계사상이 낡은 탓에 한계 또한 명백했다.

특히 기존의 37mm M6 전차포는 37mm급에서는 우수한 포지만, 이미 대전 초반을 넘어간 상황에서는 대전차용으로도 보병지원용으로도 전혀 쓸모가 없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았다.

때문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방편이 연구되어, 1943년 3월, 개발중이던 M7 중형전차를 소형화하는 초기안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게 너무 무겁다는 이유로 군부가 이를 거부했고, 다시 M5A1 경전차와 동일한 동력계통을 가진 75mm 포 장비형 경전차가 제시되었으나 이것도 무장과 차체가 균형을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거부당해서 최종적으로는 M18 헬캣에 도입된 신형 토션바 현가장치를 참고하여 현가장치를 만든 후 신형 차체와 포탑을 개발해서 만든 것이 채피다.

'채피'라는 이름은 이 전차가 영국군에 공여되었을 때, 영국군이 미군 제2대 육군참모총장애드너 채피의 아들이자 미군 기갑부대의 아버지라 할 수 있는 애드너 채피 주니어 소장의 이름을 붙여준 데서 유래한다.


5. 형식[편집]


M24 채피는 당대 기술로 선진적, 인체공학적인 구조가 다수 반영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초기형과 후기형의 사양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초기형에는 정면 하단에 발판이 있고, 후기형에는 발판 대신 M3 불도저 날을 장착할 수 있는 마운트가 설치되어 있다.
파일:T75E1_T85E1_tracks.jpg
T72E1 궤도(위), T85E1 궤도(아래)
이 외에도 M24 채피는 41cm 길이의 T72E1 강철제 무한궤도와 36cm 길이의 T85E1 쐐기형 고무패드 장착 무한궤도를 사용했는데, 이 때문에 미국에서는 채피를 구매한 국가의 환경에 따라서 궤도를 분배하여 공여했다.


5.1. 초기형[편집]


파일:M24_Chaffee_33314_4CV_pic07.jpg
M24 Chaffe (Early)
M24 채피의 초기형에는 탑승의 편리에 중점을 두어, 조종수 및 동축사수 탑승 시 사용 가능한 발판을 부착하였으며, 전면 변속기를 보호하는 장갑판이 없는 것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5.2. 후기형[편집]


파일:pysma_M24_Chaffee.jpg
M24 Chaffee (Late)
M24 채피의 후기형은 초기형에 부착되어 있던 탑승용 발판이 제거되고, 그 대신 전면 변속기 보호용 철판이 증설됨과 동시에 M3 도저블레이드 마운트가 해당 위치에 신설되었다.

파일:chaffee_late.jpg
M24 채피 M3 도저블레이드 장착 후기형
이 도저 마운트 덕분에 후기형 채피의 경우 유사시 공병전차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6. 평가[편집]



6.1. 장점[편집]


  • 선진적인 구조
M24 채피는 매우 선진적인 구조를 여럿 채택하고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B-25 폭격기가 지상 공격용으로 사용했던 75mm M6 저반동포를 주무장으로 하였다는 점과, 경사장갑, 토션바 서스펜션, 주포 안정기, 조종수의 시야 확보를 위한 접이식 윈드가드, 토션바 현가장치로 험지기동력이 크게 향상되어 전반적으로 스튜어트에 비해 상당한 개선이 이루어졌기에 1944년 기준으로도 여러 기술의 혁신적인 면모를 보여주었다.

  • 높은 기동성
W형 캐딜락제 8기통 엔진은 전임자인 M5 스튜어트가 사용하던 것으로, 매우 적절한 엔진 밸런스와 더불어 험지나 늪지 등지에서도 가벼운 무게 덕분에 항상 높은 신뢰성과 기동성을 자랑하였다.

  • 뛰어난 정비 호환성
구동계는 M5 스튜어트가 사용하는 W형 캐딜락 8기통 엔진을, 주무장은 구형 셔먼 시리즈와 호환되는 75mm M6 저반동포를 사용하고 있었기에 정비의 호환성이 높은 편에 속하였다. 이 덕에 아르덴 대공세 당시 투입되었음에도 탄약은 M4 셔먼의 75mm를, 구동계통 및 기타 부품은 M5 스튜어트와 호환이 가능하니 보급의 혼동없이 양 차량을 모두 사용하는 부대에서도 문제 없이 운용이 가능하였다. 특히 이는 후일 스튜어트를 다수 공여받았던 남미 국가에 채피가 공여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


6.2. 단점[편집]


  • 경전차의 한계
아무래도 경전차인 이상 20톤 이하여야 한다는 요구사항에 맞추느라 장갑방어력에서는 포탑 전면 38mm (1.5인치), 차체 전면 25mm (1인치) 경사장갑으로 M5 스튜어트보다 장갑이 얇다는 문제점 탓에 경사장갑을 채용했음에도 큰 방호력 향상 효과는 보지 못했으며, 더 큰 체급의 독일군 중전차들에게 정면으로 전투를 치루는 것은 무리였었다.

  • 낮은 대전차화력
75mm M6 저반동포는 구형 셔먼과 동급의 화력을 지녔기에 고폭탄 및 축성진지 파괴용으로서의 성능은 한 단계 더 높은 급의 포인 76mm M1 전차포 시리즈보다 좋았지만 대전차화력은 구경장이 외려 M3 75mm 포보다 짧았기에 안 그대로 낮은 탄속의 M61/M72 철갑탄의 사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탓에 상술한 경전차의 한계와 부딪혀 6.25 전쟁 당시 T-34-85를 상대로 채피가 큰 피해를 입는 원인이 되었다.

6.3. 총평[편집]


드디어 우리에게도 전차가 생겼다!

-

-M24 채피가 배치된 직후 한 학도병이 외친 말.


비록 후계인 M41 워커 불독의 이른 등장으로 미국 본토에서는 빠르게 밀려났고, 특히, 6.25 전쟁 당시 본격적인 대전차전에 있어서는 부실한 모습을 보였지만, 전선이 안정화 된 이후로는 초반의 패배를 딛고 여러 정찰 지원과 보병 지원을 도맡아서 자신의 본분에 맞는 활약을 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전차 한대가 아쉬웠던 국군에게 그나마 한 줄기 빛과 같았던 채피는 총평으로는 선진적인 여러 구조를 채택하고, 상술한 장점들 덕분에 매우 오랜시기 세계 각지에서 헌역으로 사용된 베스트셀러 경전차로 볼 수 있다.


7. 파생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24 채피/파생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실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24 채피/실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운용국[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24 채피/운용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미디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24 채피/미디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모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M24 채피/모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2. 참고 문헌 및 사이트[편집]




13. 둘러보기[편집]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 펼치기 · 접기 ]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T-80,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T-60-Z, T-90, ZUT-37,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GAZ-67
모터사이클M-72
랜드리스 및 개조 차량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M4A2 (76)W, M4M, M4A2 (76) W HVSS,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СУ-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ЗСУ M15A1 CGMC, ЗСУ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기갑차량
파일:영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기갑차량
전차탱켓L3/35C
경전차M2A4, 경전차 Mk.I, 경전차 Mk.II, 경전차 Mk.III, 경전차 Mk.IV, 경전차 Mk.V, 경전차 Mk.VIA, ,경전차 Mk.VIB, 빅커스 Mk. ET, 테트라크 I/CS, 해리 홉킨스, 하고C, 2호 전차 L형 '룩스'C
순항전차순항전차 Mk. I (A9), 순항전차 Mk.II (A10), A13 Mk.I, A13 Mk.II, A13 "커버넌터", 순항전차 Mk.VIA 크루세이더 I/II/II CS/III (A15), 카발리어 (A24), 순항전차 Mk.VIII 센토어 I/II/III/IV/V/VI/VII/VIII/CS (A27L), 순항전차 Mk.VIII 크롬웰 I/II/III/IV/V (A27M), 챌린저 (A30), 코멧 I (A34)
보병전차빅커스 미디엄 Mk.II, 보병전차 Mk. I "마틸다" I (A11), 보병전차 Mk.II "마틸다II" I/II/IIA/III/IV/IV CS (A12), 보병전차 Mk. III "밸런타인" I/II/III/IV/V/VI/VII/VIII/IX/X/XI, 보병전차 Mk.IV "처칠" I/II/III/IV/V/VI/VII(A22)
중형전차그랜트 I/II/III/IV/V/VI/VII/VIII/IX, 셔먼 IC/IC 하이브리드/셔먼 VC, Pz.Kpfw. T-34/85 747(r)C, 3호 전차C, 4호 전차 D/G형C
중전차Mark VC, Mark VIC
랜드리스 차량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스튜어트 I/II/III/IV/V/VI, 채피, 리 I/II/III/IV/V/VI/VII/VIII/IX, ,셔먼 V,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II, 셔먼 IIA, 셔먼 IIAY, 셔먼 IB, 셔먼 IBY, M10 Mk.I, M10 Mk.II, T26, T26E3, "튤립" 파생형 전차 및 장갑차(M4 셔먼, 크롬웰 문서 참고.), 그레이하운드 파일:소련 국기.svg German Heavy Tank,Mark V
시험 차량인디펜던트 (A1E1)), TOG I, TOG II*, A39 토터스, A33 엑셀시어, A38 발리언트, A7 전차, A41 센추리온A, A43 블랙 프린스
대전차 자주포알렉토 I/II/III/IV, T48 GMCL, M10 Mk.IL, M10 Mk.IIL, M10 IC 아킬레스L/M, M10 IIC 아킬레스L/M, Mk.I 아처, AEC Mk.I 건 캐리어
보병지원용 조명전차셔먼 CDLL/M, 마틸다 CDL, 그랜트 CDL
구난전차크루세이더 ARV, 처칠 ARV, 그랜트 ARV
해변용 구난전차셔먼 BARV, 그랜트 BARV
공병전차처칠 AVRE
화염방사전차처칠 크로커다일
지뢰제거전차셔먼 III 크랩, 셔먼 V 크랩, 그랜트 스콜피온 III/IV, 밸런타인 스콜피온
가교전차처칠 가교전차, 밸런타인 가교전차, 커버넌터 가교전차
자주포섹스턴, 프리스트L, 비숍
장갑차롤스로이스 장갑차, AEC Mk.I 장갑차, AEC Mk.II 장갑차, 스탠다드 비버레테, 카든-로이드 Mk.VI, 유니버설 캐리어 Mk.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컨벤트리 장갑차, 다임러 AC 장갑차,
가이 장갑차, 험버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캥거루 APC, 란체스터 6x4 중장갑차, 테라핀 수륙양용 장갑차, ACV-IP 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L, 화이트 스카웃 카L,디어하운드L,
정찰 차량다임러 딩고, 험버 LRC, 모리스-커머셜 LRC, 모리스-커머셜 CS9, T17E1 스태그하운드
차량AEC "도체스터" ACV 4x4/6x6 장갑지휘차, 베드포드 QL 다목적 트럭, 베드포드 OX/OY 다목적 트럭,
오스틴 K2/Y 중 의무후송트럭(앰뷸런스), 오스틴 K3/YF 다목적 트럭, 오스틴 K5 다목적 트럭,
모리스-커머셜 C8 quad FAT(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DSW 6x4 포병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9/B 4x4 40mm 보포스 탑재형
AEC "마타도르" 포병용 중 트랙터/하프트랙, 레일랜드 "레트라이버" 6x6 10톤 대형 수송트럭,
레일랜드 "히포" MK.II 중형 다목적 트럭, 레일랜드 비버-얼(장갑화) 건트럭, GMC DUKWL, 윌리스 MBL, Sd.Kfz. 7C, Vauxhall B.T. Three-Quarter track Traclat
자주대공포크루세이더 AA Mk.I, 크루세이더 AA Mk.II, 크루세이더 AA Mk.III, 경형 AA Mk.I, AEC AA, T17E2 스태그하운드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76, KV-1 1941년형
기타 전차퍼니전차, A46, FV301, FV 시리즈, AT 시리즈

윗첨자A: 전후 도입
윗첨자C: 노획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윗첨자L: 랜드리스 차량
윗첨자T: 훈련용 차량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UN기.svg
[ 펼치기 · 접기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기갑차량
전차경전차공신호 전차CN, M5A1CN/?
중형전차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IS-2CN
화염방사전차OT-34CN
장갑차BA-64, BTR-40
자주포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M-72
노획 차량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질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냉전기의 미군 기갑장비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미군기갑차량
기타전차M4A1R, M4R, M4A2R, M4A3R, M4A4R, T-34-85C/R, M26 퍼싱R, M103R,
T42, T95, T57, T110, T54, T69, 크라이슬러 K, TV-8
MBT1세대M46 패튼R, M47 패튼R, M48 패튼R, M48A1 패튼R, M48A2 패튼R, M48A3 패튼R, M48A5 패튼R
2세대M60, M60A1, M60A2, M60A3 TTS
3세대XM815P · XM1P · IPM1 · M1 에이브람스, M1A1 (HA · HC) 에이브람스, MBT-70
경전차/공수전차경전차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T49, HSTV-L
공수전차T71, T92, RDF/LT, M551 셰리든
장갑차차륜형 장갑차V-100, V-150, LAV-25, XM800W
궤도형 장갑차LVT(A)-4R, LVT(A)-5R M113(A1 ~ A3), M114(A1 ~ A2)R, M59, M75, M2 브래들리, M3 브래들리, AAV-7A1, LVTP-7, LVTP-5(A1), LVTH-6R, LVT-6, XM800T, COMVATP
차량소형M151, 험비, M1009 CUCV
트럭건 트럭, M602, M35, M37, M715, M809 5tR, M939 5tR, M977 HEMTT
자주포자주곡사포M37 자주곡사포R, M41 고릴라R, M44 자주포R, M4 (105)R, M52 자주곡사포, M53/M55,
M107, M108, M109(A1 ~ A5), M110(A1/A2), SU-76MC/R,
자주박격포M125A1, M106A2, LAV-M
대전차 자주포SU-76MC/R,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42 더스터, M163 VADS, M6 라인베커, T249 비질란테, XM246, Phòng không T-34C
대공미사일M1097 어벤저, M48 채퍼럴, XM975 롤랜드, MIM-46 마울러
다연장 로켓M270 MLRS
※ 윗첨자R: 냉전 중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P: 냉전 당시 프로토타입(냉전 이후 운용)
취소선: 도입 자체가 무산됨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파일:소련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냉전기
소련군기갑차량
전차 시대별 세대 구분 1세대 전차 中전차Т-2597 "Чи-Ха"L/R, 47mm "Шин-Хо-То" Чи-Ха"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重전차МК-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中전차K-91, T-54, T-55, T-62(A/M), T-64
重전차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PT-76 «Плавун», PT-76B «Плавун», PT-85, T-100
미사일 전차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 전차T-64A
2세대 주 전차T-72
3세대 주 전차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T-62B, T-64(A/R), T-72A
2세대 MBT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MAZ-7310, ATS-59, GAZ-51, GAZ-63,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SU-M10L/R, SU-76I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T-26R, M24 채피L/R, Т-2595 "Ха-Го"L/R, MK-IIIL
기타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냉전기의 이라크군 기갑차량
파일:이라크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경전차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M551 셰리든
주력전차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차륜장갑차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소형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자주곡사포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M125, M106
대전차 자주포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자주 대공포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현대 미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미군 (1975~현재)
United States Armed Forces
전차주력전차M1A1 SA, M1A2 SEP(v2 · v3), M1A3, XM1202 MCS, M1A2 SEP v4 (M1A2D), {M1E3}, {DLP}, T-72OpFor
공수전차M551 셰리든R, XM8 AGS, M10 부커
경전차M24C/R, M10 부커
장갑차차륜장갑차M8 LACC/R, LAV-25, M93A1 폭스, M1126~35 스트라이커, M1296 드래군, M1117 가디언, AGMS, LAV-II 바이슨, {ACV}
궤도장갑차AAV-7A1, M2 · M3 브래들리, M113(A1 ~ A3), AMPV, FCS MGV, EFV, {XM30 MICV}
자주포자주곡사포M109(A6 팔라딘/A7), XM2001 크루세이더, XM1203 NLOS-C, {M1299 아이언 썬더}, {호크아이 105}, {브루투스 155}
자주박격포M1064, M1129, XM1204 NLOS-M, LAV-EFSS
돌격전차M4A3 (105) HVSSC/R
대전차 자주포M18 헬캣C/R, M36C/R, M36B1C/R
다연장로켓M270 MLRS, M142 HIMARS
대공 차량자주대공포M163 VADSR, 센추리온 LPWS, M247 서전트 요크
단거리 대공미사일M6 라인배커R, LAV-AD, AN/TWQ-1 어벤저, M-SHORAD, NASAMS, 아이언 돔, {MML}, XM975, MIM-146 ADATS
중장거리 대공미사일MIM-23 호크R, MIM-104 패트리어트, THAAD, GBI
수송 차량소형험비, L-ATV, MRAP, M-ATV, M1224 맥스프로, M1161/3 그라울러 ITV, IFAV,
LSSV 타호/실버라도, 하이럭스, DPV, GAARV, RSOV, MRZR, MRZR-D, M1030M1, 플라이어 72 · 60, 렌코 베어캣
트럭2½톤R, M35R, M39 5tR, M939, FMTV(LMTV · MTV), MTVR, LVSR, 건 트럭, M977 HEMTT, M911 HET, M1070 HET
지원 차량구난차량M984, M88A2 허큘리스, M1 ARV, XM1205 FRMV
교량차량M60A1 AVLB, M104 울버린, M1074/M1110 JAB, M1975 DSB 런처, M1977 CBT
전투공병차량M9 ACE, M1150 ABV, M1 그리즐리, 캐터필러 D9
지휘차량M577, M4 C2V
탄약보급차량M992 FAASV, XM2002 RSV
UGV드래곤 러너, PackBot 510, XM1216 SUGV, FirstLook 110, Warrior 710, TALON
MARCbot, ANDROS, R-Gator, SMSS, M160 MV-4, S-MET
윗첨자R: 퇴역 차량
윗첨자C: 노획 및 타국에서 회수한 차량
윗첨자OpFor: 대항군 차량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1] 일부 국가 한정. 본 사용국인 미국에서는 1953년에 퇴역 후 치장장비로 전환되었다.[2] 부조종수 겸 차체기관총 사수석과 공축기관총으로 각각 1정씩 있다.[3] 포탑 후방 대공마운트에 탑재되었다.[4] 모든 기갑차량을 따지자면 M18 헬캣 대전차 자주포가 시기상으로는 가장 먼저다.[5]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