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식 장갑차

덤프버전 :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
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
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
99A식 전차
경전차
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
차륜장갑차
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
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
소형
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
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
자주곡사포
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
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U-76ML/R,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
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
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파일:Type_63_APC_Thumbnail.png
63式 装甲输送车
1. 개요
2. 제원
3. 내부
4. 개발사
5. 형식
5.1. WZ-A531 (63식 양산형)
5.2. WZ-531C (해병대전용 63식)
5.2.1. YW-531C/D/E
5.3. WZ-531D (63식 지휘차량형)
5.3.1. YW-701
5.4. 63식 I형
6. 파생형
6.1.1. 무장 증강 파생형
6.1.1.1. ZSD-63 자주대공포
6.1.1.3. YW-304/381
6.1.1.4. YZ-303 다연장로켓
6.1.2. 비무장 개수형
6.1.2.1. YD-801 장갑소방차
6.1.2.2. ZZM-88 암호통신차
6.1.2.3. WZ-721 통신차량
6.1.2.4. WZ-750 장갑구급차
6.1.2.4.1. YW-750
6.2.1. 기술 기반 파생형
6.3.1. 무장 증강 파생형
6.3.1.1. YW-531 (L5A1)
7. 실전
8. 사용국
9. 매체에서의 등장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노획 YW-701 탱크페스트 참가 영상
1963년부터 개발된 중국 최초의 국산 궤도형 장갑차이다. 중국제 M113이나 MT-LB라고 볼 수 있다.

형식 번호는 WZ-531이며, 중국에서 생산된 자체 생산 기갑차량들 중 성능이 뛰어난 편에 속했기에 수출 실적이 매우 높았다. 현재도 중국군에서는 박격포다연장로켓의 자주화 차량으로 쓰이거나 혹은 2선급 전력으로 사용중에 있다.

2. 제원[편집]


63式 履带装甲输送车
제원
개발기관
중국 인민해방군 병수산업부, 제30 연구소, 제618 북부자동차공장
개발연도
1958년 7월 ~ 1963년 2월
생산기관
제618 북부자동차공장
생산연도
1963년 ~ 현재
생산 댓수
8,000대 이상[1]
운용 연도
1963년 ~ 현재
운용 국가
중국 포함 도합 14여개국 사용
전장
5.47m
전폭
2.98m
전고
2.58m
전비 중량
12.6t
탑승 인원
승무원: 3명 (조종수, 부조종수, 전차장)
수송 인원: 10명
엔진
초기형: 6150L 6기통 엔진
후기형: KHD 8F8L 8기통 터보차저 엔진
사용 연료
디젤
최고 출력
초기형: 260hp
후기형: 320hp
출력비
초기형: 20.6hp/t
후기형: 25.4hp/t
현가 장치
토션 바 현가장치
최고 속도
지상 주행: 65km/h
수중 도하: 6km/h
항속 거리
500km
주무장
12.7mm 54식 기관총 1정


3. 내부[편집]


파일:Type_63_inside_cutaway.jpg
63식 장갑차 내부 도면
"63식 장갑차"의 내부는 상단의 사진과 같다.

조종석과 부조종석은 전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존재하며, 특이하게도 엔진의 위치는 차체의 정 중앙에 있으며, 전방의 변속기에 동력이 전달되어 움직이는 구조이다.[2]

조종수 해치에는 전면과 우측에 시야를 제공하는 2개의 주간용 페리스코프가 부착되어 있는데 야간용으로 교체할 수 있다.

조종석의 바로 뒤에 있는 전차장석에는 360도 회전 페리스코프가 있으며, 출입구는 차체 상면에 존재하는 두개의 해치와 후방 출입구로 승무원과 병력이 탑승한다.

미국에서 제작된 M113과 유사한 점이 많은데, 우선 병력 수송칸 상단의 해치에 12.7mm 54식 중기관총을 무장으로 장비하였으며, 후방 출입문으로 보병들이 탑승한다는 점이 있다.

다만, M113과 다른 점은 알루미늄 장갑인 M113과 달리 63식은 용접식 강철 장갑이며 전면 장갑은 14mm, 그 외 7~8mm 정도의 두께로, 전면부는 보병용 경기관총은 완전 방호가 가능, 12.7mm 중기관총은 사용 탄종과 거리에 따라 제한적으로 방호가 가능하다.[3]


4. 개발사[편집]


파일:s5q1ai74eeq51.jpg
WZ-531 시제형
원래 중국은 차량제작기술이 전무했으나, 1950년 한국전쟁에 참전하기로 하면서 소련으로부터 T-34 전차, IS-2 전차를 수입하면서 수리용 부품의 자체제작을 추진하게 된다. 그리고 T-54의 라이센스를 받아내어 59식 전차를 생산하게 되었다. 이렇게 수입된 소련제 기갑차량들의 부품을 자체생산하고 전차의 라이센스 생산 기술을 도입하면서 관련 기술을 축적하게 된다.

이렇게 중국은 이렇게 축적된 기술이 어느정도 소화되어 독자적인 기갑차량을 만들 수 있다고 판단되자, 1958년 7월에 63식 장갑차의 자체 설계 및 개발이 착수되었으며, 개발은 중국 인민해방군 병수산업부와 제30 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제618 북부자동차공장에서 진행되었다.

공장내부에서 "58-72"[4]라는 명칭 하에 진행된 프로젝트의 기본 골자는 소련의 BTR-50과 유사한 수륙양용장갑차라는 컨셉트였으며, 엔진은 소련에서 수입한 260마력 6150L 수랭식 6기통 디젤 엔진을 사용하였으며, 마찬가지로 변속기도 소련제를 사용하였다.

프로토타입의 최종 조립은 1959년 3월에 완료되었으며, 동년 5월에 진행된 테스트에서 이 프로토타입은 "WZ-531"[5]이라는 코드명을 부여받았으며, 테스트 도중 지적된 문제점을 수정하라는 명령을 받게 되어 다시 설계작업에 들어가게 된다.

1961년, 프로토타입은 계속해서 수정 작업을 거쳐 WZ-531A라는 명칭으로 재명명되었으며, 이후 1963년, 드디어 최초로 양산형 차량이 모습을 드러냈으며, 제식화 연도에 따라 "63식 장갑수송차"라는 제식명을 부여받았다.

제식화 이후 이듬해인 1964년 최초의 장갑차가 중국군에 지급되었으나, 최초로 지급된 차량에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고[6] 개발진들은 심기일전하여 몇 년 동안 그 동안 부대에서 제기되었던 결함, 불편사항들을 접수하여 개선을 거쳤으며, 이후 1966년에 이를 수정한 "WZ-A531"을 제출하였으며, 이 개량형은 군부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아 양산이 결정되었다.

하지만 얼마 안가 벌어진 문화대혁명 때문에 생산에 차질이 빚어졌고, 일선 부대에게 지급될 수량도 덩달아 계획보다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 및 생산기관인 북부자동차공장에서는 품질과 생산 능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켜 1985년 완성차의 연간 최고 생산량은 703대로 늘리는 등 노력을 꾀하였다.

이후 북부자동차공장에서 합병 후, 사명을 변경하며 새롭게 출범한 중국북방공업에서는 1980년에 한번 더 개량형을 제작하여 "YW-531C"과 "80식 장갑차"라는 명칭으로 수출을 개시했으며, 추가로 종전의 소련제 엔진 대신 독일과의 합작으로 가져온 KHD[7] 8F8L 413F 8기통 공랭식 터보차저 디젤 엔진을 사용하는 등 성능 향상을 이루어냈다.

이렇게 수출된 63식 장갑차의 개량형들은 국제 무기 시장에서 효자상품이 되었으며, 2023년 현재까지도 여러 국가들이 일선에서 사용하는 등, 각지에서 사용 중에 있다.


5. 형식[편집]


중국군이 최초로 제작한 궤도장갑차답게 많은 파생형이 존재한다.


5.1. WZ-A531 (63식 양산형)[편집]


파일:attachment/63식 장갑차/200.jpg
WZ-A531
기존의 7.62mm 기관총에서 12.7mm 54식 중기관총으로 무장이 변경되었으며, 추가로 현가장치의 변화와 보병용 해치가 2개 추가되었다.


5.2. WZ-531C (해병대전용 63식)[편집]


파일:1920px-Type_63_Amphibious_APC_20131004.jpg
WZ-531C
해병대 용으로 상륙장갑차 개조 키트를 장착 가능해진 파생형이다.


5.2.1. YW-531C/D/E[편집]


파일:20100608094311_2.jpg
YW-531C
기존의 WZ-531C형의 수출 버전으로, 소련제 엔진을 독일제 KHD BF8L 터보차저 엔진으로 교체하였다.

C형은 기존의 WZ-531C와 외관상 차이점이 없으며, D형은 좌측에만 총안구가 존재하고, E형은 D형에 무전기가 추가된 형식이다.


5.3. WZ-531D (63식 지휘차량형)[편집]


파일:type_63_article_09.jpg
WZ-531D 지휘차량
지휘차량으로써, 승무원들의 탑승칸이 더 커진 것이 특징이다.

종전의 사양과 달리 전차장석 해치에 기관총이 장비된다.


5.3.1. YW-701[편집]

파일:4738814447_d65727b100_b.jpg
YW-701
WZ-531D형의 수출용으로써, 차장용 큐폴라에 중기관총을 올린 사양이다.


5.4. 63식 I형[편집]


파일:20100608094311_1 (1).jpg
63식 I형
보기륜을 4개에서 5개로 늘리고 궤도 사이에 지지륜 3개를 추가로 증설한 후, 기관총 포탑에 증가장갑을 부착한 개량형으로, 대다수의 차량이 YZ-302 자주포의 차체로 활용되었다.


6. 파생형[편집]



6.1. 중국[편집]



6.1.1. 무장 증강 파생형[편집]



6.1.1.1. ZSD-63 자주대공포[편집]

파일:1633910471_zsu-type-63ars.jpg
ZSD-63 자주대공포
1990년대에 전차소대 보조 및 보병 보조 용도로 개발된 87식 수평쌍대 기관포를 장착한 자주대공포 파생형이다.


6.1.1.2. YZ-302 자주곡사포[편집]

파일:599a5b01fa787653.jpg
YZ-302 자주곡사포
122mm 탑재 자주포로, 63식 I형의 차체를 사용하였다. 자세한 것은 항목 참조.


6.1.1.3. YW-304/381[편집]

파일:type_63_article_25 (1).jpg
YW-381 자주박격포
63식 C형을 베이스로 제작한 수출용 자주박격포 파생형으로써, 일련번호 304는 82mm 박격포 장착형, 일련번호 381은 120mm 박격포 장착형을 뜻한다.


6.1.1.4. YZ-303 다연장로켓[편집]

파일:800px-Type_70_(WZ303)_130mm_(19-tube)_self-propelled_rocket_launcher_20131004.jpg
YZ-303 다연장로켓
130mm 다연장로켓을 장비하고 있는 파생형이다.


6.1.2. 비무장 개수형[편집]



6.1.2.1. YD-801 장갑소방차[편집]

파일:type_63_article_31.jpg
YD-801 장갑소방차
소방용으로 개조된 사양으로, 진화임무를 담당한다.


6.1.2.2. ZZM-88 암호통신차[편집]

파일:type_63_article_18.png
ZZM-88 암호통신차
WZ-531D을 베이스로 하여 제작된 암호통신차이며, WZ-531D와 외관상 구분이 전혀 되지 않으므로 설계도면으로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6.1.2.3. WZ-721 통신차량[편집]

파일:type_63_article_16-600x371.jpg
WZ-721 통신차량
WZ-531D형을 베이스로 무전기를 추가로 증설한 통신차량이다.


6.1.2.4. WZ-750 장갑구급차[편집]

파일:YW_750_Ambulance_Chine_02.jpg
WZ-750 장갑구급차
WZ-701을 기반으로 장갑구급차로 개조된 파생형이다.


6.1.2.4.1. YW-750[편집]

파일:4820060725_1faca34044_b.jpg
YW-750
WZ-750 장갑구급차의 수출용 사양이다.


6.2. 북한[편집]



6.2.1. 기술 기반 파생형[편집]



6.2.1.1. VTT-323[편집]

파일:North_korean_VTT_323.webp
VTT-323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VTT-323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타밀 엘람 해방 호랑이[편집]



6.3.1. 무장 증강 파생형[편집]



6.3.1.1. YW-531 (L5A1)[편집]

파일:28089cc2348943b781c239f4ccb263e7.jpg
YW-531 (L5A1)
타밀 엘람 해방 호랑이 반군들은 YW531을 노획한 후, 정면 장갑판을 잘라 새로 용접하여 경사각을 늘린 뒤에 FV601 살라딘의 포탑과 54식 중기관총을 얹은 개조형을 만들기도 했는데, 스리랑카 육군이 이를 노획하여 현재 소장 중에 있다.


7. 실전[편집]


초창기 중국의 빈약한 공업력으로 제작된 기갑차량이었지만, 싼 가격과 미국제 M113에 꿀리지 않는 좋은 성능으로 실전에서 대활약을 하였다.


7.1. 냉전기[편집]



7.1.1. 베트남 전쟁[편집]


파일:mmzimg1338324244956.jpg
베트남 전쟁 당시의 북베트남 육군 소속 K-63 "R143번차"
파일:viet-nam-tai-bien-che-xe-thiet-giap-loi-nuoc-type-63-.webp
도하중인 북베트남 육군 소속 K-63 "383번차"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중국으로부터 다수를 공여받아 다국적군의 M113 장갑차에 대항하여 사용했으며, 북월군은 이를 사용하고 나서 매우 좋은 평가를 내렸다고 한다.


7.1.2. 중국-베트남 전쟁[편집]


파일:Sino-Vietnamese_War.webp
베트남을 침공 중인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59식 전차와 63식 장갑차들
중국군과 베트남군이 모두 사용하였다. 중국군 측에서는 최초로 실전에 투입된 것으로, 중국군도 베트남군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만족스럽다는 평가를 내렸다.


7.1.3. 스리랑카 내전[편집]


파일:93a7bdd538424073931fe21495e024bb.jpg
스리랑카 내전 당시의 스리랑카 육군 소속 YW-531
스리랑카 내전 당시 스리랑카 육군 측에서 63식을 다수 구입, 주력 장갑차로 사용하였다.


7.1.4. 천안문 6.4 항쟁[편집]


파일:external/www.abc.net.au/an-armoured-personnel-in-flames-as-students-set-it-on-fire-near-data.jpg
천안문 6.4 항쟁 당시 분노한 시민들에 의해 불타는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WZ-701 "003번차"
시위대를 진압하기 위해 63식 장갑차들이 대거 투입되었다.

장갑차 승무원들은 비무장한 시위대를 향해 돌진해 많은 수의 사람들을 역과시켜 잔인하게 죽였고, 이에 격분한 시민들은 일부 차량에 자전거를 분해해서 만든 쇠파이프를 보기륜에 끼워 넣어 궤도를 고장내거나, 담요나 이불에 불을 붙여 장갑차 위로 던져 화재를 일으켰고, 이로 인해 승무원들은 장갑차 채로 소사하거나 살아남았더라도 시민들에게 끌려나와 잔인하게 구타당해 사망했고, 맞아죽은 승무원의 시체를 질질 끌고다니면서 불을 붙여서 다리에 매달거나 버스 채로 태워버리기도 했다.


7.1.5. 이란-이라크 전쟁[편집]


파일:2003-03-23T120000Z_1703426011_RP3DRINVBGAA_RTRMADP_3_IRAN-IRAQ-1024x482.jpg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의 이라크 육군 소속 YW-531
이라크군이 주로 사용하였으며, 전쟁 후반기에 들어서면 기존에 비축하던 APC의 수량이 부족해졌기에 중국으로부터 수많은 수량을 구입하였다.


7.1.6. 걸프 전쟁[편집]


파일:Type_63_Shalamcheh.jpg
걸프전 당시 샬람체 사막에서 파괴당한 이라크 육군 소속 YW-531
후세인 치하 이라크 육군이 63식 장갑차의 수출형인 YW-531을 굉장히 많이 운용하고 있었는데, 지상공격기와 폭격기, 무장헬기가 하늘을 뒤엎은 미군과 영국군 등의 다국적군의 공중우세하에서 무수히 파괴되었다. 물론 비슷한 상황에서 무수히 파괴된 T-72의 사례에서 보듯이 이는 63식의 성능 문제가 아니라 제공권 없이 전개하는 기갑차량의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걸프 전쟁 당시 벌어진 카프지 전투에서는 사우디아라비아군TOW에 맞거나 V-150 장갑차의 90mm 포와 20mm 기관포에 피격당하거나 카타르군AMX-30 상대로 105mm 주포와 20mm 기관포에 피격당해 많은 수가 파괴되기도 했다.


7.2. 현대전[편집]



7.2.1. 이라크 내전[편집]


파일:58656782d2435eb03e2cca17aaa928294e34d58e.png@747w_498h_progressive.webp
이라크 내전 시기의 페슈메르가 소속 YW-531
쿠르드족 무장세력인 페슈메르가 측에서 이슬람 국가 토벌전에서 이용, 큰 전과를 올렸다.


8. 사용국[편집]


중국이 국제 영향력을 늘리기 위해 저렴한 가격을 세일즈 포인트로 삼아 국제 무기 시장에 뛰어들며 8000대 이상 생산되어 세계 각국에 판매되었다.


8.1. 아시아[편집]



8.1.1. 동아시아[편집]



8.1.1.1. 중국[편집]

파일:attachment/63식 장갑차/100.jpg
베이징 군사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육군 소속 63식 "104번차"
1990년대까지 주력 장갑차량으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1선에서 퇴역한 후 인민해방군 해병여단이나, 화포의 이동식 차대 등으로 사용 중에 있다.


8.1.1.2. 북한[편집]

파일:4y356.jpg
조선인민군 육군 소속 63식 장갑차
1970년대 당시 중국으로부터 다량의 차량을 구입하여 주력 경전차로 사용중에 있다.


8.1.2. 동남아시아[편집]



8.1.2.1. 베트남[편집]

파일:k63-500_KQPG.jpg
훈련 중인 베트남 인민육군 소속 K-63
베트남 육군 내에서의 제식명은 "K-63"으로, 상술했듯,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부터 다수를 공여,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원래 예비 부품의 부재로 퇴역 처리과정을 밟았으나, 최근 중국과의 합동훈련에서 다시금 등장해 재취역되었음을 알렸다.


8.1.2.2. 캄보디아[편집]

파일:Training_Cambodian_Type-63.jpg
훈련 중인 캄보디아 육군 소속 YW-531
다수의 차량을 중국으로부터 수입 후, 주력 보병장갑차로 이용 중에 있다.

8.1.3. 서아시아[편집]




8.1.3.1. 이라크[편집]

파일:YW_531_Iraqi_armoured_vehicle_personnel_carrier_640.jpg
이라크 육군 소속 YW-531
냉전시기 주력 장갑차로 사용하였으며, 현재도 사용중에 있다.


8.1.3.2. 이라크 쿠르디스탄[편집]

파일:58656782d2435eb03e2cca17aaa928294e34d58e.png@747w_498h_progressive.webp
페슈메르가 소속 YW-531
일부 차량을 입수해 현재까지도 운용중이며, 이라크 내전 당시 ISIS와의 격전에서 대활약하였다.


8.1.4. 남아시아[편집]



8.1.4.1. 스리랑카[편집]

파일:SLA_Armoured_Corps_T63-II.jpg
스리랑카 육군 창립 60주년 전시회 참가 스리랑카 육군 소속 63식 II형
중국으로부터 다수의 차량을 구매하여 현재도 사용하고 있으며, 스리랑카 내전 당시 활약하였다.


8.2. 유럽[편집]



8.2.1. 서유럽[편집]



8.2.1.1. 영국[편집]

파일:4748805689_1b8d896b80_b.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이라크 육군 소속 YW-701
걸프전 당시 다국적군이 노획한 차량 한대를 인수받아 현재 보빙턴 전차 박물관에 전시 중에 있다. 간간히 탱크페스트에도 등장하는 중.


8.2.2. 남유럽[편집]



8.2.2.1. 알바니아[편집]

파일:5496155345_dbeb032d92_b.jpg
창고에 보관되어 있는 알바니아 육군 소속 YW-701[8]
63식 장갑차를 최초로 구매한 유럽 국가로써, 1963~1974년에 103개를 구매 후 배치하여 열병식에 이를 등장시켰는데 이 때문에 서방에서도 중국이 신형 장갑차를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음을 알아챘다.


8.3. 오세아니아[편집]



8.3.1. 오스트랄라시아[편집]



8.3.1.1. 호주[편집]

파일:800px-Puckapunyal-YW531-1.jpg
왕립 호주 기갑군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노획 베트남 인민 육군 소속 YW-531
1972년에 베트남 공화국군이 노획한 차량 1대를 선물받아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당시 호주군은 63식을 테스트하며 M113과 성능은 비슷하면서, 외려 이보다 더 나은 부분마저 있다고 놀라워하며 극찬하였다고 한다.

9. 매체에서의 등장[편집]



9.1. 게임[편집]



9.1.1. 워게임: 레드 드래곤[편집]


중국군과 북한군의 장갑차로 등장한다. 63식 A, B, C형이 있고 자주포와 다연장 로켓,[9] 박격포 차량, 지휘차량 등의 형식이 나온다. 캠페인을 진행하다보면 정말 말 그대로 기갑 웨이브로 떼거지로 몰려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9.1.2. 워 썬더[편집]


상부에다 25mm 87식 기관포를 얹은 파생형이 B.R 4.3으로 등장한다.

기본이 장갑차라 기동성은 나쁘지 않은 수준이며, 기관포의 부앙각도 좋은데다 화력이 매우 높아 미국 트리의 M168 벌컨과 맞먹는 고화력으로 지대지 지대공 모두 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차량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장전속도가 느린 편에 속하기에 포탄의 사용 수량을 어느정도 계산하고 끊어서 쏘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가지 고증오류로, 원본 차량은 수중 도하가 가능한데 반해 게임 내에서는 구현되어 있지 않다.


10. 둘러보기[편집]





베트남전기의 미군 및 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미국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제2차 인도차이나 전쟁, 캄보디아 내전, 라오스 내전
미군다국적군 기갑차량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Khmer_Republic.svg.png 파일:라오스 왕국 국기.svg
기타전차
M31 TRVFR, 89식 중전차 치로 을형FR, M4A1FR, 전투공병전차, M67A1 지포 화염방사전차, T-34-85C
전차
경전차
95식 경전차 하고FR, AMX 13ROV/KH, M41(A1/A3)ROV, M5 스튜어트FR/ROV, M24 채피FR/ROV/KH/LAO
공수전차
M551 셰리든
주력전차
M48(A2C/A3), 센추리온 Mk.5/1AUS, 59식 전차C/ROV
장갑차
차륜장갑차
닷지 WC62FR, GMC CCKWFR, Coventry Mk.IFR, V-100, M8 LACFR/ROV/LAO, 험버 정찰장갑차FR, 파나르 178BFR/ROV, 링스ROV, 알비스 살라딘(FV601)AUS, M3 스카웃 카FR
궤도장갑차
94식 경장갑차 TKFR, 르노 UE 슈니예트FR, Sd.Kfz. 251FR, LVT-4FR, LVT-4/40FR, M113ROK/ROV/KH, M59, LVTP-5ROV, LVTH-6, M113 76mm FSVAUS, M114 장갑차, M2 하프트랙FR/ROV, M3 하프트랙FR/ROV/LAO, 유니버설 캐리어FR, M29C 위즐FR
차량
소형
M151, M715, 랜드로버 시리즈 IIAUS
트럭
건 트럭, M37, M602, M211, M274
자주포
자주곡사포
LVT(A)-4FR, M8 스콧FR, M53/M55, M107, M109, M108, M110
자주박격포
M125, M106
대전차 자주포
M50 온토스, M56 스콜피온, M36B2FR
대공 차량
자주 대공포
GMC CCKW 353 AAFR, M16 MGMC 미트쵸퍼, M167 VADS, M42 더스터, Phòng không T-34C/ROV
※ 윗첨자ROV: 남베트남(Republic Of Vietnam)군 소속 차량
※ 윗첨자AUS: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군 소속 차량
※ 윗첨자FR: 프랑스(FRance)군 소속 차량
※ 윗첨자KH: 캄보디아 왕국 및 크메르 공화국(KHmer)군 소속 차량
※ 윗첨자LAO: 라오스(LAOS) 왕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ROK: 대한민국(Republic Of Korea) 국군 소속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파일:베트남 국기.svg 현대 베트남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기타전차
T-34-85CZ, T-34-85M, T-34-85M1
MBT
1세대
59식 전차, T-54, T-55(MV/M3), M48A3C/R
2세대
T-62, T-72M1
3세대
T-90(S/SK)
경전차
M24 채피C/R, PT-76, 62식 전차, 63식 전차, M41 워커 불독C/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C/R, BTR-152, BTR-60, BTR-70, BTR-80, BRDM-1, BRDM-2, V-150C/R
궤도장갑차
M113C, 63식 장갑차, BMP-1, BMP-2, BTR-50(P/PK)
차량
소형
UAZ-469, UAZ-452, M151C, 둥펑 EQ-2050
트럭
ZiL-130 · 157 · 485, KrAZ-214B · 255B, KamAZ-43253, M35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2S3 아카치야, M110C/R, M107C/R
대전차 자주포
SU-76MR, SU-100, ASU-85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Phòng không SU-76MR, Phòng không T-34R, ZSU-57-2, ZSU-23-4 쉴카
다연장로켓
BM-14, BM-21, BM-24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호주 국방군 (1945~현재)
Australian Defense Force

기타전차
경전차
M24 채피R
중형전차
그랜트 IXR
보병전차
마틸다 Mk. IVR, 마틸다 Mk. VR, 마틸다 Mk. IV CSR, 마틸다 Mk. V CSR, 마틸다 헤지호그R, 마틸다 도저R, 마틸다 프로그R, A22 처칠R, 밸런타인 전차R
MBT
1세대
센추리온 Mk.5/1R, 59식 전차C/R
2세대
레오파르트 AS1R
3세대
M1A1 AIM 에이브람스
3.5세대
{M1A2 SEP v3 에이브람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복서 CRV, ASLAV-(25/PC), 부시마스터 PMV, LARC-V, FV601 살라딘R
궤도장갑차
{AS-21 레드백}, M113 76mm FSV/MRVR · M577A1 · M113AS4
차량
소형
나리 HMT, G 바겐 300 · 6x6, 랜드 크루저 6x6, 랜드로버 페런티, 랜드로버 FFR/GS, 호카이 PMV
트럭
Mack MC3, MAN KAT I, RMMV HX40M · HX77, 유니목 U 1700 L,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SF2670, HMT 익스텐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8R, 25Pdr 예람바R, {AS-9 헌츠맨}
자주박격포
M125R
다연장로켓
{M142 HIMARS}
대공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호카이 NASAMS 2}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M88A2 허큘리스, M113 피터 ARV
전투공병차량
HMEE, 허스키 VMMD Mk.3, MWL, {M1150 ABV}
교량차량
FSB, IRB, {M1074 JAB}
기타
캐터필러 D3 불도저, DJ 850J 불도저, 히타치 LX120 로더, 코마츠 PC50MR-2 굴착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현대 알바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알바니아군 (1991~현재)
Forcat e Armatosura të Republikës së Shqipërisë

MBT
1세대
59식 전차
장갑차
차륜장갑차
티투스
궤도장갑차
63식 장갑차, BMP-1, M113
차량
소형
아라비스, 이베코 LMV, M1114 험비, M1224 MaxxPro,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 랜드로버 디펜더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X: 프로토타입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9 04:34:59에 나무위키 63식 장갑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자세한 수량 추산 불가. 대략적으로 8,000대 이상이 생산되었고, 현재도 생산중이라고 한다.[2] 흔히 미드쉽이라고 부르는 방식이다.[3] 12.7mm M903탄을 쓰면 관통이 확실하지만 이 탄종은 1993년에 나온 특수탄이다. 저 탄으로 60년대 장갑차들인 마르더, BMP-1, M113 모두 초기형 장갑차라면 관통이 가능하다.[4] 1958년 7월에 제출된 2번째 시안이라는 말로, 비밀 유지를 위해 "거중기"라는 명칭으로 불렸다고 한다.[5] 뒷자리의 번호들 중 5는 운송 차량을 의미하고 3은 수륙양용차량을 의미하며 1은 설계 일련 번호를 의미한다.[6] 대표적으로 후방 출입문의 잠금장치가 풀려 기동훈련 중에 보병이 낙차하는 사고가 일어났다.[7] 독일업체로 현재는 Deutz AG로 사명을 바꾸었다.[8] 2003년 3월 경 촬영된 사진이다.[9] 성능이 심각하게 구려서 멀티플레이에서는 거의 보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