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24 채피/운용국

덤프버전 :

분류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M24 채피



1. 개요[편집]


M24 채피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

M24 채피 경전차는 제1세계 소속의 국가들과 제3세계 국가들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2. 아메리카[편집]



2.1. 북아메리카[편집]



2.1.1. 미국[편집]



파일:50284144663_42b0664507_b.jpg

포트 칼슨 제4사단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원조 사용국. 제2차 세계 대전이 종전된 이후, 1953년까지 미 본토에서 운용했으며 한국전쟁 와중에 채피의 화력 부족이 부상하자 M41 워커 불독으로 대체하며 퇴역하였다. 주독미군은 1960년대까지 사용했다.


2.1.2. 캐나다[편집]



파일:800px-Chaffee_light_tank_cfb_borden_2.jpg

보든 기지 군사 박물관 소장 캐나다 육군 소속 M24 채피



온타리오 기갑 박물관 소장 M24 채피 "바비" 기동 영상
제2차 세계 대전 중 1량이 시범용으로 캐나다에 공여되었으며, 이후 1947년에 캐나다가 미국으로부터 M4A2E8 이지에잇 셔먼 294대를 구매할 때 채피도 추가로 도합 32량을 구매하여 냉전시기 내내 주력 경전차로 이용했다고 한다.


2.2. 남아메리카[편집]



2.2.1. 우루과이[편집]



훈련 중의 우루과이 육군 소속 M24UR
1957년 9월 30일에 도합 17량을 공여받아 1980년대에 전량 M24UR로 개수하였으며, 이후 2019년에 완전 퇴역하였다.


2.2.2. 칠레[편집]



파일:AntofagastaM24.png

안토파가스타에서 훈련 중인 칠레 육군 소속 M24 채피[1]
칠레는 1952년에 총 21량의 채피를 구매하였으며, 이 채피들은 칠레 중북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인 안토파가스타에서 수령되었다.

칠레는 수령받은 채피의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마운트를 포탑 전면으로 배치하고, 원래 존재하던 마운트의 위치에는 M1919 브라우닝 기관총을 장착할 수 있도록 개조했다.

칠레의 채피는 안토파가스타에 위치한 칠레 육군 제2기갑분견대에 배치되어 1975년까지 주로 훈련용 차량으로 사용되었는데, 이 기간 동안 고장이 극심해졌으며 부실한 유지 보수 문제로 인한 스테빌라이저의 고장과, 엔진의 성능 저하가 심했고, 특히 이들 중 5대의 채피들은 방치되어 녹이 슬었고, 나머지 6대는 분견대 입구에 그냥 방치되어 있었을 정도로 문제가 심각했다.

1975년, 제2기갑분견대는 산티아고에 있는 산타 로사로 옮겨졌으며 이 당시 창고에 방치된 개체들을 전부 포함하여 모든 채피가 산타 로사로 열차로 옮겨졌다. 산타 로사로 옮겨진 채피들은 정비창에서의 정밀 점검 후 엔진, 스테빌라이저 및 주포 모두 신품급으로 완벽히 복원되었으며, 21량 모두 훈련용 탱크로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판정을 받게 된 채피들은 산타 로사와 펠데후에에 있는 사관학교에 주둔했으며, 훈련 과정에 참여하였다.


3. 유럽[편집]



3.1. 동유럽[편집]



3.1.1. 소련[편집]



파일:800px-M24_Chaffee_“CRUISER”_(37931984741).jpg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M24 채피 네임드 차량 "크루저"[2]

파일:pysma_M24_Chaffee.jpg

우랄 군사 영광 박물관 소장 M24 채피

파일:kubinka_M19.jpg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M19 더스터 "40190207호차"
소련군이 공식적으로 M24 채피를 사용하진 않았지만, 현재 쿠빙카 전차 박물관과 우랄 군사 영광 박물관에 각각 한량씩 전시되고 있다.

소련의 채피들 출처는 다음과 같은데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슬슬 유럽전선의 향방도 정해졌을 즈음, 소련군은 그 동안 운용하던 중장갑 경전차인 밸런타인 전차스튜어트 전차 등의 화력 저하를 실감하여 이를 대체할 물건을 찾았는데, 마침 시기 좋게 미국에서 신형 중장갑 경전차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에 바로 미국에 연락을 취하게 된다.


파일:KubinkaM24.jpg

쿠빙카 NIIBT 시험장의 M24 채피[3]
이후 소련에선 M24 채피 2량의 공여를 요청하여 쿠빙카 전차 시험장에서 테스트를 치뤘는데, 대부분의 요소에 대하여 좋은 평가를 했지만 장전수 좌석의 불편함과 로드휠의 고무 패드의 이탈 문제, 그리고 카탈로그 상의 엔진 스펙이 문제가 있어[4] 결국 채용을 포기하였다.

테스트를 끝마친 차량들은 피스마와 쿠빙카로 넘겨져 현재까지 전시되고 있으며, M19 더스터의 경우도 채피와 마찬가지로 시험용으로 보내진 차량으로 추산된다.[5]

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 베트남 인민군이 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한 M24 채피들을 소련이 인수하기도 했다.


3.2. 서유럽[편집]



3.2.1. 영국[편집]



파일:34565140260_7db73683f1_b.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영국 육군 소속 채피 "T330553호차" 네임드 차량 "트리거 해피"

파일:british_chaffee.jpg

영국 육군 제5보병사단 정찰연대 산하 C중대 소속 채피 "T330512번차"[6]



영국 육군 채피 "애니" 기동 영상
1944년부터 무기대여법으로 총 302량의 채피가 영국군에 공여되었으나 실전을 직접적으로 치룬 차량은 없었고 전후 주독영국군 부대가 운용하는걸로 그쳤다.

그렇지만 M24를 공여받은 영국군은 M24의 역사에 한 획을 그었는데, M24의 별명 "채피"가 바로 영국군이 붙여준 별칭이었기 때문이다.

이후 냉전 시기까지 현역으로 배치되어 있다가 현재는 퇴역하였다.


3.2.2. 프랑스[편집]



파일:M24French.jpg

소뮤아 전차 박물관 소장 프랑스 극동 원정 군단 소속 M24 채피 네임드 차량 "메츠"



프랑스 육군 소속 M24 채피 "됭케르크" 주행 영상
2차 세계대전과 냉전을 통들어 총 1,254량이 공여되었으며, AMX-13이 개발되기 전 프랑스군의 주력 경전차로 사용되었다.


3.2.3. 네덜란드[편집]



파일:M24_Chaffee_33314_4CV_pic07.jpg

네덜란드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33314호차"
도합 50량을 공여받아 1962년까지 사용하였다.


3.2.4. 벨기에[편집]



파일:m24_chaffee_at_bastogne_barracks.jpg

바스토뉴 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셔먼 파이어플라이와 아킬레스 대전차자주포, 224대의 M24 채피를 NATO로부터 공여받아 사용하였다.


3.3. 중부유럽[편집]



3.3.1. 오스트리아[편집]



파일:No.235Chaffee.jpg

오스트리아 군사 박물관 소장 오스트리아 육군 소속 M24 채피 "235번차"
1956년부터 1966년까지 46량을 NATO를 통해 구매하여 사용하였으며, 퇴역한 M24 채피 중 몇몇 차량은 전차호로 사용되었다.


3.4. 남유럽[편집]



3.4.1. 포르투갈[편집]



파일:portugese_M24.jpg

포르투갈 육군 소속 M24 채피 "809번차"
NATO로부터 16대의 M24 채피를 공여받았으며, "Carro de Combate 18 ton. 7,5 cm M24 Chaffee m/1952" 라는 제식명으로 운용했다.


3.4.2. 스페인[편집]



파일:spanishM24.jpg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7]

파일:Museo_de_Unidades_Acorazadas_de_El_Goloso_(8615951261).jpg

엘 골로소 군사 박물관 소장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37 자주곡사포
1950년대 MDAP(군사 방어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스페인은 1954년 2월에 도합 34량의 채피를 공여받았으며 동시에 M37 자주곡사포도 일부 공여받아 주요 전력으로 사용했다.

스페인군은 "Carros de combate M-24 Chaffee"라는 명칭으로 운용했으며, M37의 경우 "Obús autopropulsado M-37"라는 명칭으로 운용했다.

이후 이프니 전쟁 당시에도 공여받은 채피와 M37을 동원하는 등 1970년대까지 1선으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스페인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훈련 영상
상단의 영상에서 훈련 중인 스페인군의 채피를 볼 수 있다.


3.4.3. 그리스[편집]



파일:greek-war-museum_M24.jpg

그리스 전쟁 박물관 소장 그리스 육군 소속 M24 채피
NATO를 통해 총 170량을 구매해 현재도 사용중에 있다.


3.4.4. 이탈리아[편집]



파일:15157798_original.jpg

이탈리아 육군 소속 M24 채피
1950년대 초 도합 518대를 NATO로부터 공여받아 냉전 시기 내내 주력 경전차로 운용하였다.


3.5. 북유럽[편집]



3.5.1. 노르웨이[편집]



파일:NorwayChaffe.jpg

노르웨이 육군 예비군 소속 M24 채피[8]
1950년대까지 총 125량을 NATO로부터 공여받아 "Stridsvogn M24"라는 제식명으로 사용하였다.

채피와 NM-116 대전차자주포 모두 1993년까지 노르웨이 육군 내에서 현역으로 사용되었다가 현재는 전량 퇴역했다.


3.5.2. 덴마크[편집]



파일:Næstved_Royal_Hussars_Historic_Collection_M24.jpg

네스트베드 왕립 후사르 역사 컬렉션 소장 덴마크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1953년부터 1957년까지 67대의 M24 채피가 덴마크군에 공여되었다.


4. 아시아[편집]


T-34-85와 더불어, 수많은 수량이 아시아권에서 사용되었으며 이 중 몇몇 국가는 현역으로 사용 중이다.


4.1. 동아시아[편집]



4.1.1. 중화민국[편집]



파일:1920px-M24_Display_in_Chengkungling_History_Hall_Front_20111009a.jpg

청궁링 역사 박물관 소장 중화민국 육군 소속 M24A1
1954년에 233량의 M24 채피를 공여받았으며, 상술한 M24A1으로 전량 개수하여 현재까지 사용 중에 있다.


4.1.2. 대한민국[편집]



파일:사천항공우주박물관 소장 채피.jpg

사천항공우주박물관 소장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한국전쟁 당시 총 30량을 공여받아 소년전차병 훈련용 전차로 사용하였으며, 휴전 협정 이후 전량이 회수되어 대만으로 공여되었으나 1974년에 미국으로부터 한 량을 기증받아 사천항공우주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4.1.3. 중국[편집]



파일:M24_Chaffee_in_China_Military_Museum.jpg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30120995호차"

파일:CHINESE_M19.jpg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19 더스터

파일:beijingM41.jpg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지원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41 고릴라
한국전쟁 당시에 유엔군과 대한민국 국군으로부터 일부 차량을 노획해 임시로 사용했다고 한다.

중공군은 채피를 노획 한 뒤 "T-34-85보다는 빠르지만, 장갑과 무장이 빈약하다"라고 평가했다.

이 노획 채피 중 한 량이 현재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소장, 전시 중이다.

이 밖에도 M41 고릴라 2문을 노획하여[9] 마량산 전투 당시 사용했다고 하며, 이 중 한 문이 채피와 동일하게 중국인민혁명군사박물관에 소장 및 전시되고 있다.


4.1.4. 북한[편집]



파일:1a96a5b5d14424cd2e77486a6b9252ab.jpg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조선인민육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24 채피 "3012132호차"

파일: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_소장_M19.jpg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소장 조선인민육군 노획 미 육군 소속 M19 더스터 "40190180호차"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전쟁 당시 일부 차량을 노획하여 사용했으며, 상태가 매우 좋지 않은 채피 한 량이 현재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에 소장, 전시 중이다.[10]

이 밖에도 피해없이 노획한 M19 더스터 한 량도 이곳에 전시중이다.


4.1.5. 일본[편집]



파일:JGSDF equipment display M24.jpg

육상자위대 무기 전시회 소장 일본 육상자위대 소속 특차
1952년 경찰 예비대 시절에 M4A3 (76) W HVSS와 함께 M24 채피를 공여받았다.

일본에 채피가 공여된 이유는 이렇다.

일단 일본의 지질 특성상 및 철도 건축한계상 중량이 무거운 전차를 운용하기에 무리가 크며, 또한 채피는 전차 훈련용은 물론 보병 지원용으로 매우 적합하다 판정이 되어서 공여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한국전쟁 당시의 채피가 가진 문제점과, 포의 저화력 등의 문제점으로, 주력으로 사용한 셔먼과 달리 채피는 2선급 전력으로 머물다가 이후 1974년 M41 워커 불독이 공여되며 퇴역하였다.

일본 경찰예비대에서는 M24 채피를" 특차(特車)"로 불렀는데, 그 까닭은 일본 헌법 제9조를 준수하기 위해서 전차 대신에 특별차량이라는 뜻으로 붙인 것이라고 한다.


4.2. 동남아시아[편집]



4.2.1. 베트남[편집]


북베트남과 남베트남을 분할하여 설명한다.


4.2.1.1. 북베트남[편집]


파일:french_M24_Chaffee_at_Dien_Bien_Phu.jpg

디엔비엔푸 기념관 소장 프랑스 육군 소속 M24 채피[11]

파일:NorthvietnamM24chaffee.jpg

훈련 도중의 베트남 인민군 소속 M24 채피
디엔비엔푸 전투 이후 패퇴한 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들 중 3량을 복원한 것을 시작으로, 전쟁 내내 남월군 소속의 채피들도 노획하여 사용했다.


4.2.1.2. 남베트남[편집]


파일:South_Vietnamese_M24.jpg

사이공 열병식 참가 베트남 공화국 육군 소속 M24 채피
도합 137량을 프랑스와 미국에게 공여받아 베트남 전쟁 내내 사용하였다.


4.2.2. 캄보디아 왕국[편집]



파일:Cambodian_M24_at_Phnom_Penh,_1963.jpg

프놈펜 열병식 참가 캄보디아 왕국군 M24 채피[12]
36량을 구매해 사용했다.


4.2.3. 태국[편집]



파일:ThaiM24chaffee.jpg

퍼레이드 참가 태국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13]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태국은 미국의 MDAP(군사 지원 프로그램)에 합류했으며 이에 대한 일환으로 1952년 채피를 20대 구매 후 1962년까지 헌역으로 사용했다. 이후 M41 워커 불독이 공여되며 일선에서 은퇴하였지만 현재에도 의장용 및 2선급 전력으로 활용되고 있다.



태국 왕립 육군 소속 M24 채피 기동 시연 영상
상단의 영상에서 태국 왕립 육군 소속의 채피가 퍼레이드에 참가한 것을 볼 수 있다.


4.2.4. 필리핀[편집]



파일:3283409592_daa9b9aa11_b.jpg

팡가시난 주 링가옌 야외 전시관 소장 필리핀 육군 소속 M24 채피
도합 17량의 채피를 한국 전쟁 당시와, 휴전 협정 이후 냉전 시기에도 사용하였다.


4.3. 서아시아[편집]



4.3.1. 튀르키예[편집]



파일:turkish_M24.jpg

에티메스구트 전차 박물관 소장 튀르키예 육군 소속 M24 채피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튀르키예 육군은 채피 238대와 M19 더스터 다량을 구매하여 1970년대까지 사용하였다.


4.3.2. 이라크[편집]



티그리트 군사 기지 소장 이라크 육군 소속 M24 채피
도합 78량을 공여받아 냉전시기 내내 사용했으며, 이밖에도 소수의 차량을 이란군으로부터 노획하기도 하였다.

이후에는 치장물자로 존재하다 소수의 차량들이 이라크 전쟁 당시 미군에게 발견되어 미국으로 돌아가 복원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4.3.3. 이란[편집]



파일:iranM24.jpg

이라크 혁명수비대 노획 이란 이슬람 공화국 육군 소속 M24 채피[14]
1951년 이란 제국은 체코슬로바키아제 TNH 경전차를 대체하기 위해 M4A1 (76) W, M4A3 (105) W HVSS 15량과 M24 채피 180량을 구입하였다.

이란 소속의 채피와 셔먼은 이미 1973년에 예비물자로 전환되었지만 1980년 이라크가 이란을 침공하자 이란 이슬람 공화국군은 예비물자로 있던 셔먼과 채피를 다시 창고에서 꺼내 151방어대대 소속으로 참전시켰다.

그러나 이렇다할 활약은 하지 못하였으며, 오히려 이라크군에게 노획되거나 혹은 격파되었다고 한다.


4.4. 남아시아[편집]



4.4.1. 파키스탄[편집]



기병기갑박물관 소장 인도 육군 노획 파키스탄 육군 소속 M24 채피 "T330571호차"
도합 132대를 구매하여 제2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에 사용했다.


4.4.2. 방글라데시[편집]



파일:Bangladesh_Military_Museum_M24_Chaffee.jpg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24 채피

파일:Bangladesh_Military_Museum_M19.jpg

방글라데시 군사 박물관 소장 방글라데시 육군 소속 M19 더스터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당시 10량을 파키스탄군으로부터 노획하여 사용했으며, M19 더스터도 소량 운용하였다.


5. 오세아니아[편집]



5.1. 오스트랄라시아[편집]



5.1.1. 호주[편집]



파일:68qj0oaqlm511.jpg

호주 군사 박물관 소장 호주 육군 소속 M24 채피
1945년 4월 경 미국으로부터 2대를 공여받아 부간빌에서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러나 사용 환경이 채피와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였고, 결국 채용을 거부하였다.


호주 육군의 M24 채피 테스트 영상
상단의 영상에서 호주군 소속의 채피를 볼 수 있다.


[1] 1975년에 촬영된 사진이다.[2] 프랑스군이 인도차이나에서 사용했던 차량이다.[3] 1945년 4월에 촬영된 사진이다.[4] 카탈로그에는 엔진 하나당 110마력을 낸다고 적혀있었는데, 이는 엔진 전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엔진 한 기의 출력을 말하는데다 심지어 이 출력도 원래는 148마력인데 이것에서 더 축소된 것이라 소련이 채피를 저평가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었다.[5] 한국전쟁 참전 더스터들의 사진을 보면, 사이드스커트가 제거된 개체들인 것을 알 수 있는데, 쿠빙카에 전시된 더스터의 경우 극초기형의 특징인 사이드스커트를 장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6] 1946년 독일에서 촬영되었다.[7] 1960년대 훈련 시연 영상에서 발췌한 사진이다.[8] 1977년 훈련 중 촬영된 사진이다. 또한, 이 사진의 채피는 NM-116 및 구난차량으로 개조되지 않았던 마지막 4대의 채피 중 하나이다.[9] 이 M41 고릴라들의 출처는 임진강 전투 와중으로 추정된다. UN군의 기갑차량 손실 기록에 이 2문이 기술되어 있기 때문. [10] 한국전쟁 당시 포탑 측면에 피격당해 격파된 차량인데, 주포와 보기륜, 가동륜, 큐폴라, 궤도, 사이드스커트가 유실된 상태이다. 복원할 수 있다면 충분히 할 수 있겠지만 미국을 철천지 원수로 여기는 북한 특성상 일부러 이렇게 격파한 차량을 전시한다는 듯.[11] 이 차량은 상술한 네임드 차량인 "바젤"의 잔해일 확률이 높다고 한다.[12] 1963년 촬영된 사진이다.[13] 하단의 퍼레이드 영상에서 발췌하였다.[14]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노획되었다가 2003년 이라크 전쟁 당시 티그리트 군기지에서 미군에 의해 발견된 차량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3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314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14:40:27에 나무위키 M24 채피/운용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