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리그2

덤프버전 : (♥ 0)

분류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K리그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4년 시즌에 대한 내용은 하나은행 K리그2 2024 문서
하나은행 K리그2 2024번 문단을
하나은행 K리그2 2024#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축구 리그
[ 펼치기 · 접기 ]



K리그2
파일:K리그2 로고.svg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
정식 명칭국문: K리그2
영문: K LEAGUE 2
종목축구
창설2013년 3월 16일(11주년)
참가 구단 수13개 구단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운영 주체한국프로축구연맹
총재권오갑(2013~ )
최근 우승 구단김천 상무 FC(2023)
최다 우승 구단광주 FC(2회)
상주 상무 FC(2회)
김천 상무 FC(2회)
상위 리그K리그1
하위 리그K3리그[1]
웹 사이트파일:K리그 로고.svg [[파일:K리그 로고(흰색).svg
파일:K리그 로고.svg [[파일:K리그 로고(흰색).svg
파일:K리그 로고.svg [[파일:K리그 로고(흰색).svg
소셜 미디어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참가 구단
2.1. 참가 예정 및 추진 구단
3. 진행 방식
4. 우승 트로피
5. 시즌별 일람
6. 연혁
6.1. 역대 우승 구단
6.2. 우승 횟수
6.3. 역대 플레이오프
6.4. 역대 승격 구단
7. 10-10 클럽
8. 개인상
9. 승격 경험이 없는 구단
10. 특징
11.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하나은행 K리그2 2024 공식 인트로

ALL in the Pitch

대한민국 프로 축구 2부 리그. 상위 리그로는 1부 리그 K리그1이 있으며 하위 리그로는 3부 리그 K3리그[2]가 있다. 하지만 아직 하위 리그인 K3리그와 승강제를 실시하지는 않고 있다.

2013년에 창설했으며 대한민국 프로 스포츠 사상 최초로 생긴 2부 리그다. 2013년 'K리그 챌린지'라는 이름으로 총 8개 구단이 참가하는 리그로 출범했다. 2018년에는 K리그 리브랜딩 정책으로 현재와 같은 'K리그2'로 명칭이 변경했다. 2023년 기준 총 13개의 구단으로 운영하고 있다.[3][4] 추후에도 다수의 세미프로 구단이 프로화 계획을 발표하거나 새로이 프로축구 구단을 창단하려는 움직임이 많아 참가 구단 수가 더 늘어날 여지가 많은 리그이기도 하다.


2. 참가 구단[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역대 참가 구단에 대한 내용은 K리그/역사 문서
K리그/역사번 문단을
K리그/역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2024 시즌 참가 구단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width=25%>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width=25%>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파일:FC 안양 로고.svg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
||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2><bgcolor=#001c48> {#ffffff ◀}}} [[파일:K리그1 로고(가로형/흰색).svg ||<-2><bgcolor=#e0002e> 파일:K3리그 로고.svg K3리그 ▶ ||
||<-2><bgcolor=#0067ac> ◀ 2023년 참가 구단 ||<-2><bgcolor=#001c48> 2025년 참가 구단 ▶ ||
||<-2><bgcolor=#104297> FA컵 참가 구단 ||<-2><bgcolor=#444444> 과거 참가 구단 ||





2.1. 참가 예정 및 추진 구단[편집]


  • 고양시는 프로 축구단 창단 염원 추진위원회 발대식 및 포럼을 개최했으며, 고양시를 연고로 하는 세미프로 구단 고양 KH는 2023 시즌 K리그2 참가를 목표로 했으나 고양시의회의 예산안 부결로 참가가 무산됐고 모기업 측에서는 프로화 노력을 지속하겠다고 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건설을 모기업으로 하는 데이원자산운용이 경기도 고양시에 프로축구단 창단을 준비 중이며, 고양시에 프로 축구단 창단 관련 제안을 한 상태로 알려졌다.# 2022년 9월 7일, 고양시는 프로축구단 창단을 통해 지역과 함께 성장하며 스포츠 산업의 새로운 길을 열고자 하는 기업 및 법인을 공개 모집한다고 밝혔다.# 모집 결과 (주)데이원스포츠와 (주)KH스포츠가 지원했으나, (주)KH스포츠는 중도에 철회했고 (주)데이원스포츠 한 군데만을 대상으로 프로 축구단 창단 우선 협상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한 심사위원회를 열었지만 (주)데이원스포츠는 기준 점수를 넘지 못해 최종 부적격 판정을 받았다.[5] 고양시 관계자는 "고양시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단은 시민 구단이 아니라 기업 구단을 찾고 있으며 시에서도 어느 정도 재정 지원을 할 수 있지만, 재정 자립도가 확실한 기업 구단을 공모 중이며 현실적으로 내년도인 2023년 K리그 참가는 어렵게 됐고 창단 의사가 있는 기업을 새로 찾아서 내후년인 2024년 프로 축구에 참가하는 것이 현실적인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2023년 7월 4일 K4리그 구단인 고양 해피니스가 클럽 자격을 박탈당하면서 언제 고양에 프로 구단이 생길지는 미지수가 됐다.#

  • 김천시는 추후 프로축구단을 창단하는 조건으로 김천 상무를 유치했기 때문에# 한국프로축구연맹국군체육부대와의 연고 계약이 종료되기 전까지 단계적으로 프로축구단 창단을 추진하고 있다. 군경 구단 운영을 토대로 프로축구단 창단을 준비하고, 그 유산을 이어받아 신생 구단이 원만히 운영되고 정착될 수 있도록 도운 성공적인 사례는 광주 상무광주 FC, 안산 무궁화 FC안산 그리너스 FC, 아산 무궁화 FC충남 아산 FC가 있다. 반면 상주 상무처럼 프로축구단 창단을 약속하고 각종 지원을 받아왔지만 마지막에 갑자기 약속을 깨고 먹튀하는 부정적인 사례도 있었기에 추후 진행 상황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 물론 김천 상무가 상주 상무 사태 직후 창단된 구단이라는 점을 감안하면[6] 계약 과정에서 해당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 조항을 충분히 보완하여 계약했을 것이기에# 특별한 사정이 발생하지 않는 한 상주 상무 사태와 같은 극단적 사태는 쉽게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 용인시는 2019년 프로 축구단 창단을 염원하는 서명 운동과 함께 시민 청원이 접수됐고, 2020년 3월 프로 축구단 창단을 위한 검토 및 K리그 시민 구단 사례 분석 등 기초 조사 후 시민 여론 수렴을 위한 여론 조사를 완료했다. 2022년 4월 지자체와 한국프로축구연맹 간 간담회를 진행했고, 용인시는 관내·외 기업에 구단 창단을 제안하는 한편 시민 구단 창단도 검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프로 축구 구단 창단 기본 계획 연구 용역에 1억 원을 투입하여 2022년 11월까지 시의 축구 인프라와 K리그 현황 및 발전 가능성, 프로 축구단 연고지로서의 적합성, 운영 방식, 기업 구단 창단 시 지원 가능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진단할 계획이다.# 최근 기사에 따르면 용역 결과는 2023년 1월 말 안에 나올 예정이다.# 2026년에 K리그2에 참가할 가능성이 생겼다.

  • 전주시는 지난 2020년 3월 전주시민축구단의 양영철 감독이 인터뷰에서 수년 후 프로화를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다만 2024년 기준으로도 후속 보도가 나오지 않는 중이다.

  • 평택시는 2021년 10월 지자체와 한국프로축구연맹 간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2022년 4월 프로 축구단 창단 기본 구상 용역 착수 보고회를 개최했다. 평택시는 이번 용역을 통해 프로 축구단 창단을 위한 기본 구상 및 로드맵을 수립하고 이를 위한 필요 예산 산출 및 재원 확보 방안 등을 검토할 계획이며, 특히 기존 구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면밀하게 분석하여 향후 프로 축구단 창단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6월 21일, 프로 축구단 창단 기본 구상 용역 최종 보고회에 정장선 평택시장이 참석했다.# 용역 평가에 따르면 평택시 프로 축구단 설립의 비용대비편익값(B/C)은 1.08로 나타났으며, 운영 효율성을 위해 새로 창단하는 구단과 평택 시티즌 FC를 통합하고 창단 방식으로는 지역과의 연고와 관리의 용이성 등을 고려해 지자체 출자·출연기관 창단이 제시됐다. 전용 구장 건립과 관련해선 3만 129명을 수용할 수 있는 평택 소사벌레포츠공원 내 구장을 활용하고, 신규 구장은 K리그2 정착 후 건립이 제시됐다. 시 관계자는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 의견 수렴 등을 거쳐 추후 구단 창단 가능 여부 등을 검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근 시회의록에 따르면 향후 평택시가 체육이나 도시 기반 시설을 확충하고 어느 정도 성숙기에 오른 상태에서 프로축구단 창단을 재검토하는 것으로 밝혔다.#

  • 화성시에서는 화성 FC가 프로화 및 K리그2 참가를 추진하고 있다. 2023년 7월 27일 경인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화성 FC는 현재 K리그2 참가를 위한 업무 절차가 진행 중이다.# 참고로 화성 FC는 2023 시즌에 많은 홈 경기에서 2천 명이 넘는 관중이 꾸준히 관람하고 있다. 또한 통합 K3리그 출범 이전부터 공공연하게 프로 진출 가능성이 언급되던 구단이다. 이미 오래 전 법인화를 완료했고, 최근에 축구단으로는 다소 성의가 없어 보였던 엠블럼을 깔끔하게 교체하는 등 프로화를 위한 준비를 이미 시작한 구단으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2023년 10월 초에 나온 소문에 의하면 화성 FC의 2024 시즌 K리그2 참가는 무산됐다고 한다.# 그럼에도 현존하는 K3와 K4팀들 중에서는 화성 FC의 프로화 가능성이 가장 높다.

3. 진행 방식[편집]


  • 2024년 기준
K리그2 정규 리그 순위
1위K리그1 승격
2위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3위플레이오프 진출
4위준플레이오프 진출
5위
6위잔류
7위
8위
9위
10위
11위
12위
13위

K리그2 최종 순위
1위K리그1 승격정규 리그 1위 구단
2위K리그1 11위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정규 리그 2위 구단
3위K리그1 10위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플레이오프 승리 구단
4위잔류플레이오프 패배 구단
5위준플레이오프 패배 구단
6위정규 리그 6위 구단
7위정규 리그 7위 구단
8위정규 리그 8위 구단
9위정규 리그 9위 구단
10위정규 리그 10위 구단
11위정규 리그 11위 구단
12위정규 리그 12위 구단
13위정규 리그 13위 구단
  • K리그2에 참가하는 13개 구단은 한 시즌 동안 정규 라운드로 구성한 정규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통해 최종 순위를 결정한다. 정규 라운드는 3라운드 로빈의 총 39라운드로 치르며(출전 구단당 36경기, 한 구단과 3경기씩), 참가 구단 수가 홀수이기 때문에 매 라운드 1구단은 휴식을 가진다.
  • 정규 라운드 결과에 따라 정규 리그 순위를 결정한다. 정규 리그 1위는 K리그1으로 자동 승격하며 정규 리그 2위는 K리그1 11위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그리고 정규 리그 3위는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며, 정규 리그 4~5위는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는 단판으로 치른다. 홈경기 개최권은 정규 리그 상위 구단이 갖고 90분 안에 승부가 가려지지 않을 경우, 연장전이나 승부차기 없이 정규 리그 상위 구단의 승리로 처리한다. 정규 리그 4위와 5위가 준플레이오프를 치러 패배한 구단은 최종 순위 5위로 결정하고 승리한 구단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정규 리그 3위와 준플레이오프 승리 구단이 플레이오프를 치러 패배한 구단은 최종 순위 4위로 결정하고 승리한 구단은 최종 순위 3위로 결정하며 K리그1 10위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한다.


4. 우승 트로피[편집]


파일:900_170134.jpg
  • 제작에 총 5개월이 걸렸으며 축구, 미술, 디자인계의 전문가가 참여해 2013년 11월에 제작을 완료했다.
  • 형태는 방패형이며 재질은 백도금, 지름은 45cm이다.


5. 시즌별 일람[편집]







6. 연혁[편집]



6.1. 역대 우승 구단[편집]


||




6.2. 우승 횟수[편집]


구단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광주 FC212019, 20222014
상주 상무 FC202013, 2015-
김천 상무 FC202021, 2023-
대전 하나 시티즌1220142021, 2022
안산 무궁화 FC1120162013
경남 FC102017-
아산 무궁화 FC102018-
제주 유나이티드 FC102020-
부산 아이파크03-2017, 2019, 2023
수원 FC02-2015, 2020
대구 FC01-2016
성남 FC01-2018


6.3. 역대 플레이오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K리그2 플레이오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괄호 안의 순위는 정규 리그 순위이다.
연도PO 승리PO 패배준PO 패배
2014광주 FC
(4위)
안산 경찰청
(2위)
강원 FC
(3위)
2015수원 FC
(3위)
대구 FC
(2위)
서울 이랜드 FC
(4위)
2016[7]강원 FC
(4위)
부천 FC 1995
(3위)
부산 아이파크
(5위)
2017부산 아이파크
(2위)
아산 무궁화 FC
(3위)
성남 FC
(4위)
2018[8]부산 아이파크
(3위)
대전 시티즌
(4위)
광주 FC
(5위)
2019부산 아이파크
(2위)
FC 안양
(3위)
부천 FC 1995
(4위)
2020[9]수원 FC
(2위)
경남 FC
(3위)
대전 하나 시티즌
(4위)
2021대전 하나 시티즌
(3위)
FC 안양
(2위)
전남 드래곤즈
(4위)
2022FC 안양
(3위)
경남 FC
(5위)
부천 FC 1995
(4위)
2023김포 FC
(3위)
경남 FC
(4위)
부천 FC 1995
(5위)


6.4. 역대 승격 구단[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동 승격을 제외한 역대 승강전 결과에 대한 내용은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문서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번 문단을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굵게 표시한 구단은 자동 승격된 구단이다.
연도승격
2013상주 상무 FC
2014대전 시티즌
광주 FC
2015상주 상무 FC
수원 FC
2016대구 FC[10]
강원 FC
2017경남 FC
2018성남 FC[11]
2019광주 FC
부산 아이파크
2020제주 유나이티드 FC
수원 FC
2021김천 상무 FC
2022광주 FC
대전 하나 시티즌
2023김천 상무 FC


7. 10-10 클럽[편집]




8. 개인상[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역대 K리그2 대상 수상자에 대한 내용은 K리그 대상 문서
K리그 대상번 문단을
K리그 대상#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승격 경험이 없는 구단[편집]


  • 2023 시즌 종료 기준으로 상위 리그인 K리그1에 한 번도 참가해본 적이 없는 구단 현황이다.
  • 정렬 순서는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가 많은 구단 - K리그2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가 많은 구단 - 참가 연도가 오래된 구단 - 최고 순위가 높은 구단 - 최저 순위가 높은 구단순이다.
  • K리그2에 가입하여 K리그1 승격에 성공한 경험이 있는 구단에는 수원 FC, 김천 상무가 있다. 특히 수원 FC는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K리그1 팀을 상대로 승리하여 승격한 경험이 있는 유일한 구단이다.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
구단참가 연도승강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
K리그2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
최고 순위최저 순위
파일:FC 안양 로고.svg
20131회3회3위9위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20221회1회3위8위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20130회4회4위10위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20150회1회4위11위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20170회0회5위12위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20200회0회6위10위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20230회0회8위8위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20230회0회13위13위


10. 특징[편집]


  • 승강제를 실시하는 모든 리그에서 하위 리그는 최상위 리그보다 언론 주목이나 자본 유입, 관중 동원 등에서 미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실제로 K리그2 창설 초기만 하더라도 경기당 관중 수가 세 자릿수를 찍는 구단이 나오는 것을 당연시했을 정도로 언론의 주목이나 팬의 관심이 매우 적은 편이었다. 이를 비롯해 구단 운영의 재정적 어려움 때문에 2016년에는 K리그2에 참가했던 충주 험멜고양 자이크로 두 구단이 시즌 종료 후 해체되는 비극도 있었다. 거기에 한번 떨어지면 승격이 무척 어렵다는 인식이 강하다. 1부에 비해 팀 레벨의 편차가 크지 않다보니 승점 차가 굉장히 좁은 편이고, 한 경기만 져도 순위가 미끄러지는 살벌한 승점 경쟁이 지속되고 있는데다, 현저히 약한 팀조차도 간간히 고춧가루를 뿌리며 승격팀의 판도를 바꾸는 일이 심심찮게 발생하기 때문에 "2부 팀 팬이라면 정신병(...)이 자주 일어난다"는 농담 반 진담 반의 얘기가 나온다. 실제로 1부 리그에서 떨어진 부산, 경남, 성남, 전남은 한번 떨어진 뒤 다시 올라가기까지 1년에서 몇년이나 걸리거나 아예 2부 리그에 눌러 앉아버리며 1부 리그로 올라가더라도 강원, 대전 처럼 중하위권에 머물거나 바로 2부 리그로 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상무의 사례처럼 밥먹듯이 1부와 2부를 전전하기도 한다.

  • 다만 어두운 면만 강조하던 그동안의 시즌과 달리 2019 시즌부터는 K리그2가 K리그1의 흥행과 궤를 같이 하는 성장세를 보였다. 그전까지 세 자릿수 관중을 심심찮게 보이며 리그가 무관심 속에 치러진다는 비판을 많이 받았으나 2018년 러시아 월드컵자카르타 팔렘방 아시안 게임으로 올라온 축구 열기가 K리그1 뿐만 아니라 K리그2의 흥행으로까지 이어졌다. K리그2에서 조규성, 이동준과 같은 2020 도쿄 올림픽 대표팀 주축이 된 젊은 유망주의 활약이 돋보이면서 리그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고 나상호, 황인범 같은 선수가 K리그2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대표팀에 승선해 해외 리그로 진출하기도 했다. 2019 시즌은 시즌 막바지로 넘어가는 9월 이후에도 관중 수가 전년 대비 무려 89.9%나 증가하면서 최악의 상황에서 반등에 성공하는 모양새를 보이고 있다. 이 성장세를 얼마나 오래 유지하느냐가 리그의 질적 성장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한국프로축구연맹이 새로운 숙제를 받아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2020 시즌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상황 속에서 관중 입장이 어려워져 아쉬움이 있었던 대신 온라인 중계 동시 접속자 수의 눈에 띄는 증가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주 유나이티드부천 FC 1995 간의 사상 첫 연고 이전 더비나 2년 연속 최하위 구단 서울 이랜드를 플레이오프 경쟁권으로 끌어올린 2019 FIFA U-20 월드컵 폴란드 준우승의 주역 정정용 감독의 지도력, TV 예능 어서와~ 한국은 처음이지?에 출연하며 이름을 알린 외국인 선수 필립 헬크비스트아민 무야키치, 브루누 모레이라 3인방이 속한 충남 아산 FC의 인지도 상승 등 다양한 방면으로 K리그2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면서 이전까지 K3리그에 참가했던 김포 FC가 2022년 K리그2에 전격 가입하고, 2023년에는 천안 시티 FC충북 청주 FC가 참가하면서 안정기에 접어든 K리그2가 다시 한 번 팽창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여기에다 수원 삼성의 강등(...)으로 2024년에는 수원의 경기가 있을 때마다 타구단들의 경기장이 가득 차버리는 진풍경이 자주 일어나게 되었다.[12]

  • 2010년대 들어 재정적인 문제로 선수단을 축소하는 구단이 늘어났다. 그 와중에 2013년 2군 리그 R리그를 폐지하면서[13] 후보 선수나 신인 선수가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환경이 좁아졌다. 하지만 2014년에 K리그2를 창설하면서 주전 경쟁에 밀려 기회를 잡기 힘들었던 1부 리그 소속 후보 선수나 신인 선수 또는 언제 올지 모르는 기회를 기다리던 대학 선수가 프로 무대의 그라운드를 밟을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2부 리그 참가 구단도 재정적으로 부담되지 않으면서 능력 있는 유망주를 영입할 수 있게 되며 선수와 구단 모두 윈-윈 하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됐다.

  • K리그2에서 득점왕이나 MVP를 차지한 아드리아노, 조나탄, 말컹, 펠리페 같은 선수는 K리그1에서도 좋은 활약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K리그2는 K리그1 구단이 검증 받은 외국인 공격수를 영입할 수 있는 좋은 시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최근에도 K리그2 시즌 베스트 11에 선발됐던 공격수 티아고가 1부 리그로 올라와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고 있어 2부 리그에서 최정상급 공격수 수준이 된다면 1부 리그에서도 충분히 통한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비록 1부 리그와 2부 리그가 실력에서 차이가 난다 할지라도, 일단 한국과 K리그라는 환경에 완벽히 적응했다는 점에서 외국의 타 리그로부터 데려오는 불확실한 외국인 선수에 비해 훨씬 검증돼 있다고 볼 수 있다.

  • K리그2는 일부 팬에게 K리그1보다 더 재미있는 리그라는 평가를 받는다. K리그1이 공수 밸런스에 많은 신경을 쓰는 반면에, K리그2는 강등 위험이 없으므로 모험적이고 실험적인 전술을 상대적으로 많이 채택한다는 평이다. 또 언더독의 반란이라고 해도 상위 스플릿에 드는 것이 대부분인 K리그1과 달리 K리그2는 전혀 주목하지 않았던 구단이 우승을 차지하거나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 등 이변을 연출해내기도 한다. 이러한 이변은 2부 리그 구단의 공통점 때문에 발생한다. 2부 리그 구단은 선수단의 스쿼드가 굉장히 얇고 선수 영입에 많은 지출을 할 수 없어서 같은 구단이라도 매 시즌 전력의 편차가 크고 공수 불균형이 심하다. 좋은 선수의 수급과 장기적인 유지가 어렵다는 점이 오히려 전술 실험의 장이 되기도 하고 좋은 선수지만 결점이 뚜렷한 선수도 K리그2에서는 공격이나 수비에 특화된 모습을 보여주면서 자기 재능을 마음껏 뽐내기도 한다.[14]

  • 2019 시즌 즈음부터 프로축구연맹에서는 K리그2 중계방송에서 레트로 콘셉트를 은근히 밀고 있다. MBC에서 퇴직하고 SBS에서 2002 월드컵과 2006 월드컵을 중계했던 송재익 아나운서가 2019 시즌과 2020 시즌에 활동했고 기자 신분으로서 2006 월드컵 1선발 캐스터를 경험하고 2015년 SBS에서 정년 퇴직한 한종희 기자가 2019 시즌부터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또, 2023 시즌에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KBS의 메인 축구 캐스터를 맡고 2022년에 정년 퇴직한 서기철 아나운서도 영입했다.

  • 풋볼매니저에서는 대한민국 리그가 K리그2까지만 구현되어 있다.

  • 다만 아쉬운 것은 K리그 올스타전 참여를 하지 못했다는 것이 안타깝다. 2013년에 올스타전에서 K리그 챌린지 팀이 출전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그리고는 해외 클럽 초청팀과의 경기에서도 홀대를 받고 있다.

  • 항상 해당 리그에서 부진하면 팬들이 농담처럼 더 떨어질 곳이 없어서 다행이다라는 자조섞인 이야기를 하곤 한다. 그런데 2027 시즌부터 K3리그 강등이 가능해지게 되면서 이제 정말 부진하면 세미프로 강등을 걱정해야하는 처지에 빠지게 되었다.[15]


11.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bgcolor=#ffffff,#191919>
1 고동민 · 3 이찬욱 · 4 송홍민 (VC) · 5 김영찬 · 7 원기종 · 8 이지승 · 9 조향기 · 11 권기표 · 15 우주성 (C)
16 이광진 · 17 이재명 · 18 이준재 · 19 설현진 · 20 이광선 파일:부상 아이콘.svg · 21 박민서 · 23 국진우 · 24 서재원 · 25 이윤오
26 이민혁 · 30 도동현 · 31 손정현 · 33 이민기 · 34 정현욱 파일:부상 아이콘.svg · 40 이주영 · 42 유준하 · 50 김종필
73 박재환 · 77 박민서 · 79 이종언 · 87 안호진 · 88 이강희 · 95 카스트로 · 96 글레이손 · 99 조상준 · 김형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동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준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문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성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근 · 파일:브라질 국기.svg 하파엘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1 이상욱 · 2 조성권 · 3 박경록 · 4 김태한 · 5 류언재 · 7 장윤호
VC
· 8 김이석 · 9 주닝요 · 10 김종석
11 파블로 · 13 박청효
VC
· 15 유승표 · 16 임준우 · 17 김성민 · 18 윤태웅 · 19 송창석 · 20 김민호
VC

21 서재민 · 22 배재우 · 23 최재훈 · 24 루이스 · 26 이강연 · 27 임도훈 · 29 류지민 · 30 김종민 · 32 윤민호
34 송준석 · 44 이상혁 · 51 김민재 · 55 심민용 · 77 민성연 · 88 박재현 · 91 박광일
C
· 99 손석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정운 ·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인창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한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성진
* 이 틀은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 김포 FC 스쿼드에 변동이 생기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시길 바랍니다.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아이파크 2023 시즌 스쿼드
1 구상민 · 2 어정원 · 3 김동수 · 4 한희훈 · 5 조위제 (VC) · 6 최준 · 7 페신 · 8 박종우 · 9 김찬 · 10 라마스 · 11 김정환
13 이승규 · 14 정원진 (VC) · 15 이정윤 · 17 손휘 · 18 임민혁 · 19 홍욱현 · 20 이한도 (C) · 21 최예훈
22 이상헌 · 23 성호영 · 24 천지현 · 25 이현규 · 26 최지묵 · 28 강영웅 · 29 최기윤 · 30 양세영
31 이현준 · 32 원태랑 · 33 김상준 · 34 장명근 · 35 박호영 · 36 조민호 · 37 권민재 · 38 임기목 · 39 민상기 · 41 황병근
43 홍석현 · 44 최동렬 · 45 황준호 · 47 전승민 · 49 박동진 · 51 김민승 · 55 강상윤
63 박건희 · 66 박세진 · 72 박성빈 · 77 이정 · 81 여름 · 88 이승기 · 91 곽승조 · 96 프랭클린 · 99 최건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진섭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경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광희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준혁
* 이 표는 간소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부산 아이파크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000000,#e5e5e5
1 이주현 (VC) · 2 박재우 · 3 이동희 · 5 이용혁 · 6 닐손주니어 · 7 하모스 · 8 김준형 (VC)
9 김보용 · 10 조수철 · 11 안재준 · 13 김현엽 · 14 최재영 · 15 송진규 · 16 추정호
17 김규민 · 18 이의형 · 19 김호남 (C) · 20 서명관 · 21 박형진 · 22 한지호 · 23 카즈
24 홍성욱 · 25 이범수 · 27 김규민 · 28 이현기 · 29 정희웅 · 37 김선호 · 40 남현욱
42 루페타 · 44 정수환 · 66 유승현 · 77 강재우 · 87 고경민 · 88 이정빈 · 99 박호민 · # 조윤형 · # 최병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영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영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경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지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범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해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성남
* 이 표는 간소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부천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
||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랜드 FC 2024 시즌 스쿼드
1 강정묵 · 2 황태현 · 3 김민규(VC) · 4 한용수 · 6 이상민(C) · 7 서보민 · 8 곽성욱 · 10 이동률 · 11 박정인
· 13 차승현 · 14 이재익(VC) · 15 김원식(VC) · 16 변경준 · 17 유정완 · 19 헤난 · 20 박준영
21 이시헌 · 22 호난 · 23 문정인 · 27 조동재 · 28 황정욱 · 29 김수안 · 30 박창환 · 31 주현성 · 33 박경민
40 브루노 · 42 이정문 · 44 츠바사 · 77 윤보상 · 82 송시우 · 90 박준영 · 92 이인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도균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순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지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용신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1 최필수 · 3 강의빈 · 4 이상민 · 5 패트릭 · 6 김현태 · 7 권순형 · 8 박상혁 · 9 데닐손 · 10 이종호 · 11 심동운파일:부상 아이콘.svg
13 유주안 · 15 신재원 · 16 김진래 ·17 이지훈 · 18 김원준 · 19 {#ffffff 정한민 [[부주장}}} · 20 {#ffffff 조성욱 [[주장}}}
21 문창진 · 22 안진범 · 23 정승용 · 24 장영기 · 26 박현빈 · 27 이준상 · 28 양태양 · 29 장효준
30 정명제 · 33 전성수 · 37 김훈민 · 41 김영광 · 44 양시후 · 47 박지원 · 55 박태준 · 77 유선 · 93 진성욱 · 96 가브리엘 · 99 크리스 · # 류준선 · # 국관우 · # 권완규 · # 홍현승 · # 허자웅 · # 이재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기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승조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시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보성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2 윤서호 · 3 장호익 · 4 불투이스(VC) · 5 한호강 · 6 한석종 · 7 고승범(VC) · 8 최성근 · 9 안병준 · 10 정승원 · 11 김태환
13 김보경 · 14 전진우 · 15 고명석 · 16 이종성(VC) · 17 김경중 · 18 아코스티 · 19 강태원 · 20 박희준 · 21 양형모
22 권창훈 · 23 이기제 · 24 허동호 · 25 장석환 · 27 고무열 · 28 이규석 · 29 이상민 · 30 진현태
31 이성주 · 32 서동한 · 33 박대원 · 34 박지민 · 35 곽성훈 · 36 명준재 · 37 김주찬 · 42 임현섭 · 44 뮬리치
45 웨릭 포포 · 47 박승수 · 50 고종현 · 66 김주원 · 77 손호준 · 81 카즈키 · 88 유제호 · 91 김성주 · 97 바사니 · 99 안찬기
파일:국기.svg 공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오장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차원 · 파일:브라질 국기.svg 주닝요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화용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bgcolor=#093C91><color=#fff> 1 박한근 · 2 김주성 · 3 이호인 · 4 장준영 · 5 배수용 ·
6 김종국 · 7 송승민 · 8 김민석 · 11 강민규
13 김승호 · 14 이학민 · 15 이재성 · 16 김혜성 · 17 김성주 · 19 박대훈 · 20 조윤성 · 21 박주원 · 22 김강국 ·
23 김택근 · 24 박세직 25 권성현 · 27 박성우 · 33 서유민 ·
37 문현호 · 47 이은범 · 90 아폰자 · 96 하파엘 · 99 강준혁 · # 정마호 · # 여현준 · # 정세준 · # 임준석 · # 정도진 ·
# 정이서 · # 홍진민 ||
||<bgcolor=#f5cf2c>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우경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용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병곤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원익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공석
||
||<bgcolor=#093C91>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181818,#e5e5e5
1 이승빈 · 2 박동휘 · 3 김채운 · 4 고태규 (VC) · 5 정재민 · 6 김영남 · 7 최한솔 · 8 김진현 · 9 김경준
10 노경호 · 11 정지용 · 12 완드류 · 13 신민기 · 14 김재성 · 15 정용희 · 16 유준수 · 17 김범수 · 18 김대경
19 이현규 · 20 김정호 (C) · 21 김선우 · 22 이준희 · 23 장유섭 (VC) · 24 윤주태 · 25 홍재훈 · 26 박준배 · 27 신재혁 · 28 이승민 · 29 주재현
30 권우현 · 31 김영호 · 32 강준모 · 33 이택근 · 34 고민우 · 35 이건웅 · 37 이규빈 · 40
박준영 · 95 티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관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송한복 · 김대열 · 김문규
* 이 표는 간소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안산 그리너스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 ||


||
{{{#181818,#e5e5e5
1 박성수 · 2 정준연(VC) · 3 박경빈 · 4 이창용(C) · 5 박종현 · 6 김정현(VC) · 7 안용우 · 8 황기욱 · 9 브루노
10 라에르시오 · 11 조성준 · 13 이재용 · 14 홍창범 · 15 김형진 · 17 류승우 · 18 김륜도 · 19 양정운 · 20 이동수
21 김태훈 · 22 김동진 · 23 김성동 · 24 최성범 · 25 김하준 · 26 김정민 · 27 홍현호 · 28 문성우 · 30 백동규
32 이태희 · 40 연제민 · 81 공민현 · 83 윤준성 · 90 구대영 · 97 야고 · 99 주현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유병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익형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주현재
※ 이 표는 간소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타 팀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 FC 안양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를 수정해주세요
.
}}} ||


1 최봉진 · 2 유지하 · 3 최희원 · 5 고태원 · 6 장성재
VC
· 7 임찬울 · 8 이석현 · 9 하남 · 10 발디비아
11 플라나 · 12 지상욱· 14 아스나위 · 15 정호진 · 16 이후권
C
· 17 여승원 · 18 김범진 · 19 이용재 · 20 미키치
22 최성진 · 23 김현석 · 24 유헤이 · 25 조지훈 · 26 신일수 · 27 추상훈 · 28 김수범
VC
· 31 김다솔 · 35 노건우
· 44 김현훈 · 45 황명현 · 66 이규혁 · 73 박성결 · 76 이태민 · 77 김건오 · 88 박태용 · 98 안준수 · 99 조성빈 · # 김예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장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동훈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재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영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조민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희영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2 김주환 · 3 이광준 · 4 김성주· 7 정석화 · 8 윤용호 · 9 모따 · 10 다미르
11 한석희 · 13 허승우 · 14 이민수 · 15 김주헌 · 16 김현중 · 17 이찬협 · 18 김종민 · 19 장백규
20 김세윤 · 21 신원호 · 22 오현교 · 23 오윤석 · 26 김대생 · 27 이석규 · 28 문건호 · 29 한재훈
30 한규진 · 31 김효준 · 32 신형민 · 33 최상헌 · 36 임민혁 · 37 박준강 · 41 김동건 · 96 파울리뇨 · 박찬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태완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치우
코치

피지컬 코치
골키퍼 코치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1 류원우 (C) · 2 김지운 · 3 이한샘 · 5 이민형 · 6 문상윤 · 7 피터 · 8 장혁진 · 9 조르지 · 10 파울리뉴
11 양지훈 · 13 박건 · 14 이정택 · 15 홍성민 · 16 김지운 · 17 정기운 · 18 정진욱 · 19 구현준 · 20 이찬우
21 박대한 · 22 이승엽 · 23 김도현 · 24 박진성 · 25 정현호 · 27 유지원 · 29 강민승 · 30 이주영
33 이종훈 · 39 김명순 (VC) · 40 김원균 (VC) · 77 정민우 · 98 이승재 · 99 홍원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윤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권오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형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상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준 · 파일:브라질 국기.svg 바우지니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펼치기 · 접기 ]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클럽 하우스
(2023)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width=25%>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width=25%>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
||<:><#e83827> 함안클럽하우스 ||<:><#002649> 국군체육부대 ||<:><#203D41> 없음 ||<:><#ee2e24> 부산 아이파크 클럽하우스 ||
||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ac2424> 없음 ||<:><#000430> 가평 켄싱턴리조트 클럽하우스 ||<:><#000> 성남축구센터 ||<:><#093c91> 없음 ||
||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파일:FC 안양 로고.svg ||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
||<:><#00a885> 안산 그리너스 클럽하우스 ||<:><#4f1b87> FC 안양 클럽하우스 ||<:><#ffde00> 백운생활관 ||<:><#5dacd8> 천안축구센터 ||
||<height=80>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2> 파일:K리그2 로고.svg ||<|2> 파일:K리그2 로고.svg ||<|2> 파일:K리그2 로고.svg ||
||<:><#1c235a> 없음 ||
||<-4> † 숙소의 기능은 없는 경우
‡ 현재 건설 중인 경우
||
||<-4><bgcolor=#ee3224> ◀ K리그1/클럽 하우스 ||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구단주 (2024)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height=80><width=25%><:> 박완수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5%><:> 김병수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 정몽규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width=25%><:> 조용익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height=80><:> 박성경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신상진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 김종현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 박경귀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 이민근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최대호
파일:FC 안양 로고.svg
||<:> 최정우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 박상돈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
||<height=80><:> 김현주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2><bgcolor=#ee3224> ◀ K리그1 구단별 구단주 ||<-2><bgcolor=#0067ac> K리그2 구단별 감독 ▶ ||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감독 (2024)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e83827><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박동혁
파일:박동혁 아산.png
||<width=25%><bgcolor=#203d41>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고정운
파일:2022고정운.png

||<bgcolor=#ee2e24>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박진섭
파일:박진섭.png ||<bgcolor=#ac2424>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이영민
파일:player_19970108.png ||
||<bgcolor=#000430>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김도균
파일:2023김도균.png ||<width=25%><bgcolor=#000000>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이기형
파일:LEEKIHYUNG.png ||<bgcolor=#074CA1>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공석 ||<bgcolor=#093c91>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아산
김현석 ||
||<bgcolor=#00a885><color=#003f98>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안산
임관식
파일:임관식감독.png ||<bgcolor=#4f1b87> 파일:FC 안양 로고.svg
안양
유병훈
파일:news-p.v1.20231207.34ae9affbdaan67da2ffeac0a6809d95_P1-removebg-preview.png ||<color=#373a3c><colbgcolor=#ffde00>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svg
전남
이장관
파일:player_19970191.png ||<bgcolor=#9fd1f2>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천안
김태완
파일:2022김태완.png ||
||<bgcolor=#052a43>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청주
최윤겸
파일:player_19980706.png ||<-3><bgcolor=#ffffff,#191919>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2><bgcolor=#ee3224> ◀ K리그1 구단별 감독 ||<-2><bgcolor=#e0002e> K3리그 구단별 감독 ▶ ||


파일:K리그2 로고(흰색).svgK리그2
구단별 주장 (2024)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e83827><height=80><width=25%> 파일:경남 FC 로고.svg
경남
우주성
파일:15. 우주성.png
||<width=25%><bgcolor=#203D41> 파일:김포 FC 엠블럼.svg
김포
박광일
파일:736687677912.jpg
||<width=25%><bgcolor=#DD0129> 파일:부산 아이파크 로고.svg
부산
이한도
파일:player_20160107.png ||<width=25%><bgcolor=#b40404>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부천
김호남
파일:player_2011019113.png ||
||<height=80><bgcolor=#08162e>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서울
이상민
파일:2023_20170011.png
||<bgcolor=#000000> 파일:성남 FC 엠블럼.svg
성남
조성욱
파일:20 조성욱.png
||<bgcolor=#074CA1> 파일:수원 삼성 블루윙즈 로고.svg
수원
김보경
파일:2023_김보경13.png
||<bgcolor=#244694>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아산
박세직
파일:player_2012000911.png ||
||<height=80><bgcolor=#00ab84>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안산
김정호
파일:kjGzRj2.png
||<bgcolor=#4f1b87><color=#373a3c> 파일:FC 안양 로고.svg
안양
이창용
파일:이창용_2023.png ||<bgcolor=#ffde00> 파일:전남 드래곤즈 엠블럼(기본형).svg
전남
이후권
파일:player_20130295.png ||<bgcolor=#9fd1f2> 파일:천안 시티 FC 엠블럼.svg
천안

||
||<height=80><bgcolor=#1c235a> 파일:충북 청주 FC 엠블럼.svg
청주
류원우
파일:player_2009001195.png
||<-3><bgcolor=#ffffff,#1f2023> 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svg[[파일:K리그2 로고(가로형/흰색).svg ||
||<-4><bgcolor=#f7f7f7,#191919> * 모든 프로필 사진은 K리그 공식 웹 사이트 등록 사진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
||<-4><bgcolor=#ee2e24> ◀ K리그1 구단별 주장 ||


파일:K리그2 로고(2021).pngK리그2
구단별 서포터즈 (2021)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height=80><width=20%><-2> 경남 FC 서포터즈 연합회
파일:경남 FC 로고.svg
||<width=20%><-2> 미정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width=20%><-2> 대전러버스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width=20%><-2> P.O.P
파일:부산 아이파크 앰블럼.png
||<width=20%><-2> 헤르메스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height=80><-2> 누에보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2> 아르마다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2> 베르도르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2> A.S.U. RED
파일:FC 안양 로고.svg
||<-2> 위너 드래곤즈
파일:전남 드래곤즈 로고.svg
||
||<-5><bgcolor=#ee3224> ◀ K리그1 클럽별 서포터즈 보기 ||<-5><bgcolor=#e0002e> K3리그 클럽별 서포터즈 보기 ▶ ||


파일:K리그2 로고(2021).pngK리그2
구단별 마스코트 (2021)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height=80><width=20%> 경남이
파일:경남 FC 로고.svg
||<height=80><width=20%> 슈웅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
||<height=80><width=20> 대전이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height=80><width=20%> 똑디
파일:부산 아이파크 앰블럼.png
||<height=80><width=20%> 헤르
파일:부천 FC 1995 로고.svg
||
|| 레울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
|| 티티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 로니
파일:안산 그리너스 FC 로고.svg
|| 바티
파일:FC 안양 로고.svg
|| 철룡이
파일:전남 드래곤즈 로고.svg
||
||<-6><bgcolor=#ee3224> ◀ K리그1 클럽별 마스코트 보기 ||


파일:K리그 로고(흰색/가로형).svg
관련 문서
[ 펼치기 · 접기 ]



[1] 현재는 승강제를 시행하지 않으나 2026시즌 성적을 바탕으로 2027년부터 승강제를 시행한다.[2] K3리그는 프로 리그가 아닌 세미프로 리그다.[3] 2022년까지는 특이하게도 1부 리그보다 2부 리그의 참가 구단 수가 더 적었으나 2023년 충북 청주 FC천안 시티 FC 두 구단의 K리그 참가가 이루어지면서 K리그2 참가 구단은 13구단으로 K리그1의 참가 구단 수를 출범 후 처음으로 앞지르게 됐다.[4] 이러한 구조를 가지게 된 배경에는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규정이 있다. AFC 챔피언스 리그 참가 규정에는 "국내 최상위 리그 참가 구단 수가 12개 미만이라면 해당국에 배분하는 ACL 출전권 수는 국내 최상위 리그 참가 구단 수의 1/3을 초과할 수 없다"는 규정이 있다. 때문에 만약 K리그2 참가 구단 수를 K리그1보다 많게 하기 위해 K리그1 참가 구단을 K리그2로 강등시킨다면 한 리그에서 챔피언스 리그에 출전할 수 있는 최대 구단 수인 4개 구단이 출전할 수 없기 때문에 피해가 막심해진다. 실제로 과거 호주 A리그가 AFC 리그 랭킹은 충족했지만 국내 최상위 리그 참가 구단 수 12구단을 충족하지 못해 4구단이 아닌 3구단만 참가한 적이 있다. 하지만 현재는 웨스턴 유나이티드맥아서가 A리그에 추가로 참가하면서 A리그도 해당 조건을 충족하고 있다.[5] 고양시로서는 선견지명이었던 게, 데이원자산운용이 운영한 KBL 고양 데이원 점퍼스가 2022-23 시즌 단 한 시즌 동안 파행 운영을 보여주며 리그 사무국에서 제명당하는 촌극을 보여준 사례에서 보듯 자칫 축구단 창단 자체에 몰두했다가는 큰일이 일어날 뻔한 걸 막은 것이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의 운영 주체를 급하게 찾다가 피를 본 KBL 사무국과는 대조적인 모습을 보인 것이다.[6] 애당초 김천 상무가 창단된 계기가 상주 상무 사태로 인한 것이다.[7] 2016년 리그 우승을 차지한 군경 구단 안산 무궁화가 연고 이전을 함에 따라 다음 시즌 K리그2 참가가 확정돼 K리그1 승격권이 정규 리그 2위 대구 FC에게 이양했다. 이에 따라 정규 리그 3위부터 5위까지가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됐다.[8] 2018년 리그 우승을 차지한 군경 구단 아산 무궁화가 경찰 체육단의 프로 축구 선수 의무 경찰 선발 중단으로 인해 경찰 축구단의 존속이 불투명해지면서 K리그1 승격권을 정규 리그 2위 성남 FC에게 이양했다. 이에 따라 정규 리그 3위부터 5위까지가 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됐다.[9] 2020년 K리그1의 상주 상무가 연고 이전을 함에 따라 다음 시즌 K리그2 참가가 확정돼 성적과 상관없이 강등을 당하게 됐다. 이에 따라 상주가 K리그1 12위를 기록하면 K리그1 11위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고 12위를 기록하지 않으면 K리그1 11위가 승강 플레이오프를 치르지 않게 됐다. 결국 상주가 파이널 A를 확정하여 12위를 기록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면서 승강 플레이오프는 열리지 않게 됐다. 이로 인해 K리그2의 플레이오프 승리 구단이 자동으로 승격한다.[10] 2016년 안산 무궁화가 K리그 챌린지 우승을 차지한 후 경찰 축구단과 안산의 기존 연고 협약이 끝나고 경찰 축구단이 아산과 새 연고 협약을 체결하면서 연고지를 안산에서 아산으로 이전하게 됐다. 군경 구단이 연고지를 이전할 경우 별개 구단으로 간주해 신생 구단으로 분류한다. K리그에 참가하는 신생 구단은 K리그 챌린지부터 참가해야 하므로 K리그 클래식 자동 승격권이 정규 리그 2위 대구 FC에게 승계했다.[11] 2018년 아산 무궁화가 K리그2 우승을 차지한 후 경찰체육단이 프로 축구 선수 의무 경찰 선발을 중단하며 경찰 축구단의 존속이 불투명해졌다. 이에 따라 K리그1 자동 승격권을 정규 리그 2위 성남 FC에게 승계했다.[12] 심지어 안양과의 경기에선 1부 리그에서만 진행하는 쿠팡플레이의 쿠플릭이 2부 리그에 방영하는등 수원삼성이 사실상 2024년 리그의 인기를 이끌고있다.[13] 2016년에 다시 부활했다.[14] 이 때문에 2부에도 국가대표 선수가 제법 있는 편으로 황인범, 김문환, 조유민 등 카타르 월드컵 출전 경험이 있는 선수도 2부 시절에 대표팀에 데뷔했다.[15] 2024년 발표된 승강제 실시 예정 내용에 따르면, 2부리그 최하위와 3부리그 우승팀이 승강의 대상이 되며,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르거나 자동으로 자리를 맞바꾸는 형식으로 본격적인 승강제가 2027년부터 시작된다. 다만 3부리그 우승팀이 프로화 심사 기준에 미달해 라이센스를 발급받지 못할경우, 2부 최하위의 강등도 취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