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응

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축구감독에 대한 내용은 오세응(축구) 문서
오세응(축구)번 문단을
오세응(축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제1무임소장관 (1975~1981)
초대
이병희
제2대
신형식
제3대
장경순
제4대
김용태
제5대
김좌겸
제6대
최광수
정무제1장관 (1981~1998)
초대
정종택
제2대
오세응
제3대
이태섭
제4대
정재철
제5대
조기상
제6대
이종률
제7대
김윤환
제8대
이종찬
제9대
정종택
제10대
박철언
제11대
김윤환
제12대
김동영
제13대
최형우
제14대
김용채
제15대
김종호
제16대
김동익
제17대
김덕룡
제18대
서청원
제19대
김윤환
제20대
김영구
1998년 내무부, 총무처와 통합
제21대
주돈식
제22대
김덕룡
제23대
신경식
제24대
홍사덕




파일:정부상징(1949-2016).svg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경제기획원장관신병현김준성서석준신병현김만제정인용
국토통일원장관이범석손재식이세기박동진허문도
외무부장관노신영이범석이원경최광수
내무부장관서정화노태우주영복정석모김종호정호용고건정관용이상희
재무부장관이승윤나웅배강경식김만제정인용사공일
법무부장관오탁근이종원정치근배명인김석휘김성기정해창
국방부장관주영복윤성민이기백정호용
문교부장관이규호권이혁손제석서명원
체육부장관노태우이원경이영호박세직이세기조상호
농림수산부장관정종택고건박종문황인성김주호
상공부장관서석준김동휘금진호나웅배
동력자원부장관박봉환이선기서상철최동규최창락
건설부장관김주남김종호김성배이규효최동섭
보건사회부장관천명기김정례이해원
노동부장관권중동정한주조철권이헌기
교통부장관고건윤자중이희성손수익차규헌
체신부장관김기철최광수최순달김성진이자헌이대순오명
문화공보부장관이광표이진희이원홍이웅희
총무처장관김용휴박찬긍박세직정관용장기오
과학기술처장관이정오김성진전학제이태섭박긍식
정무제1장관최광수정종택오세응이태섭정재철조기상이종률
정무제2장관노태우
정무제3장관김기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제4선거구)
선거구 개편
천명기[1]
차지철[2]
제9대
차지철
오세응
제10대
정동성
오세응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제4선거구)
제9대
차지철
오세응
제10대
정동성
오세응
선거구 개편
오세응[A]
이대엽[A]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제4선거구)
선거구 개편
정동성[B]
신도환[B]
제11대
오세응

이대엽
선거구 개편
이대엽[B]
오세응[B]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제2선거구)
선거구 개편
오세응
이대엽
제12대
이대엽
오세응
선거구 개편
이대엽[C]
이찬구[D]
유기준[3]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중원구)
선거구 개편
이대엽[C]
이찬구[D]
제14대
오세응
선거구 분리
조성준[4]
오세응[5]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선거구 분리
오세응[6]
제15대
오세응
선거구 분리
고흥길[7]
임태희[8]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문화공보위원장
제13대 후반기
김원기
제14대 전반기
오세응
제14대 후반기
신경식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외무통일위원장
제14대 후반기
나웅배
제14대 후반기
오세응
제15대 전반기
박관용

[1] 여주군·양평군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2] 광주군·이천군 선거구의 제8대 국회의원 이다.[A] A B 경기 제4선거구의 제11대 국회의원 이다.[B] A B C D 경기 제2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C] A B 성남시 갑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D] A B 성남시 을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3] 광주군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4] 성남시 중원구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5] 성남시 분당구 선거구의 제15대 국회의원 이다.[6] 성남시 분당구·중원구 선거구의 제14대 국회의원 이다.[7] 성남시 분당구 갑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8] 성남시 분당구 을 선거구의 제16대 국회의원 이다.

대한민국 제15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오세응
吳世應 | Oh Se-eung
파일:오세응 전 부의장.jpg
출생1933년 4월 18일
경기도 안성군
(現 경기도 안성시)
사망2019년 12월 11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본관해주 오씨
의남(意南)
재임기간제2대 정무 제1장관
1982년 5월 21일 ~ 1983년 10월 15일
제15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96년 7월 4일 ~ 1998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곽경자
자녀1남 1녀
학력서울교동국민학교 (졸업)
경기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햄린 대학교 (행정학 / 학사)
아메리칸 대학교 (행정학 / 석사)
아메리칸 대학교 (행정학 / 박사)
병역대한민국 공군 병장 의가사 제대
의원 선수7
의원 대수8, 9, 10, 11, 12, 14, 15
약력제8대 국회의원 (전국구 18번 / 신민당)
제9대 국회의원 (경기 4선거구[1] / 신민당)
제10대 국회의원 (경기 4선거구[2] / 무소속)
제11대 국회의원 (경기 4선거구[3] / 민주정의당)
제2대 정무 제1장관 (전두환 정부)
제12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광주군 / 민주정의당)
제14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전반기 문화공보위원회 위원장
제14대 국회 후반기 외무통일위원회 위원장
제15대 국회의원 (경기 성남시 분당구 / 신한국당)
제15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선거 이력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기자 출신 정치인.


2. 생애[편집]


1933년 경기도 안성군에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48회),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였다. 이후 미국에서 기자로 활동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전국구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경기도 광주군(성남시 분리 전)-이천군-여주군 선거구에 신민당 후보로 유기준과 복수공천을 받아 오세응 본인만 당선되었다. 1978년 이철승 대표 체제를 비판한다는 이유로 신민당 공천에서 탈락하자 신민당을 탈당하고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9년 6월 신민당 김영삼 총재 체제가 출범하자 한병채, 박찬, 김현규, 이상민, 예춘호, 손주항 등과 신민당에 복당하였다.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원으로 신군부에 협력하였고,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광주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신정당 이대엽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2년부터 1983년까지 정무제1장관을 역임하였다. 1985년 같은 지역구에서 민주정의당 공천으로 재선되었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후보로 성남시 을(현 중원구,분당구)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평화민주당 이찬구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국회 문화공보위원장, 1995년부터 1996년까지 국회 외무통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지역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같은 해 국회부의장이 되었다. 1996년 노동법 날치기 당시 김수한 국회의장을 대신하여 본회의를 진행하였다. 1998년 국회의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박준규에 밀려 낙선하였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공천에서 탈락하자 한나라당을 탈당하였다.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을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7선 중진임에도 불구하고 4.94%라는 처참한 득표율로 한나라당 임태희 후보에 밀려 낙선하여 8선에 실패하였다. 이후 정계를 은퇴하였다.

이후, 성남, 분당, 용인 지역 전직 국회의원들과 함께 공체제 폐지를 위한 활동을 하였다.

사단법인 지방자치제도개선모임 상임대표가 된 이후 2012년 9월 26일 중앙당 공천제 완전 폐지, 선거를 의식해 줄세우기 하는 공직사회 풍토를 개선하기 위한 제도개선, 시민운동을 통해 10% 시민세금 감세운동 등 3대 역점사업을 범시민운동으로 전개하기도 했다.

2014년 <잘못된 정치, 49%는 국민책임> 이라는 회고록을 출판하였는데 이 책에서 "정치인은 국민이 날카로운 눈으로 항상 보고 있다고 생각해야 엉뚱한 짓을 못한다"면서"이런 감독을 못하니까 49%의 책임이 유권자에게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2019년 12월 11일, 숙환으로 86세의 나이에 별세하였다. 장지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무두마니 선영이다.


3. 여담[편집]


초기 분당신도시와 연관이 매우 깊은 정치인이다. 1995년 행정구역 대통합 기조 속에서 분당신도시의 시승격이 좌절되자 분당 입주민의 독립시 추진 여론을 등에 업고 당선되었다. 정작 분당신도시 건설 이전에는 성남시의 지역 기반을 강조해왔었던 점이 아이러니.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전국구
ta-hash-start=w-ba530cdf0a884348613f2aaa3a5ba5e8[[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4,969,050 (44.28%)당선 (18번)초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4[1]51,399 (34.25%)당선 (2위)재선[2][3]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4[4]
무소속

75,076 (30.00%)3선[5][6]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4[7]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81,093 (40.67%)당선 (1위)4선[8]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2[9]70,046 (25.67%)당선 (2위)5선[10]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30,056 (32.13%)낙선 (2위)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중원·분당
ta-hash-start=w-38087d90fe0083a5d17fef54ed2b322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51,989 (39.68%)당선 (1위)6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분당
ta-hash-start=w-c464ef2b85954659cd6e818ab5b17cf1[[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9,674 (33.06%)7선[11]
2000제16대 국회의원 선거경기 성남 분당 을
ta-hash-start=w-08580950119c1a77a2398f806e77db75[[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3,895 (4.94%)낙선 (3위)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오세응8대.jpg
파일:오세응9대.jpg
9대 총선 (경기 4[1])10대 총선 (경기 4[2])
파일:오세응11대.jpg
파일:오세응12대.jpg
11대 총선 (경기 4[3])12대 총선 (경기 2[4])
파일:오세응13대.jpg
파일:오세응14대.jpg
13대 총선 (경기 성남시 을)14대 총선 (경기 성남시 중원구·분당구)
파일:오세응15대.jpg
파일:오세응16대.jpg
15대 총선 (경기 성남시 분당구)16대 총선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을)

[1]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2] 성남시,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3] 성남시, 광주군[4] 성남시, 광주군


5.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8:17:13에 나무위키 오세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2] 민주공화당 차지철 후보와 동반 당선[3] 1978년 탈당(공천불복)[4] 성남시, 여주군, 광주군, 이천군[5] 민주공화당 정동성 후보와 동반 당선[6] 1979.2.8 신민당 복당[7] 성남시, 광주군[8] 신정당 이대엽 후보와 동반 당선[9] 성남시, 광주군[10] 한국국민당 이대엽 후보와 동반 당선[11] 2000.3.4 탈당
2000.3.6 자유민주연합 입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