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식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
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
조봉암
조봉암
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
곽상훈
조경규
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
한희석 임철호
김도연
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
서민호
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
장경순
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
장경순
정성태
제8대
장경순
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
이철승
구태회
이민우
제10대
민관식
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
김은하
윤길중
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
김녹영 조연하
공석
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
김재광
김재광
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
허경만
이춘구 이한동
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
김영배
신상우
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
김종호
김태식
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
박희태
이용희
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
문희상
정의화
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
박병석
정갑윤
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
박주선
이주영
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
정진석
김영주
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제1선거구)
제9대
오제도
정대철

제10대
정대철
민관식

제11대
이종찬
김판술




대한민국 제10대 국회부의장
민관식
閔寬植 | Min Kwan-shik


파일:민관식 부의장.png

출생
1918년 5월 3일
경기도 개성군 (現 개성시)
사망
2006년 1월 16일 (향년 87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자택
본관
여흥 민씨[1]

소강(小崗)
재임기간
제20대 문교부 장관
1971년 6월 4일 ~ 1974년 9월 17일
제10대 국회부의장[2]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제3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9년 1월 9일 ~ 1991년 7월 10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민영필, 어머니 경주 김씨
형제자매
형 민창식[1], 민태식[2], 민완식[3], 누나 1명
배우자
김영호[4]
자녀
장남 민병의[5], 차남 민병찬[6], 3남 민병환[7]
학력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수원고등농림학교 (졸업)
교토제국대학 (농림화학 / 학사)
교토제국대학 (법학 / 박사)
종교
불교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3, 4, 5, 6, 10
약력
제3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
제4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무소속)
제5대 민의원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민주당)
제6대 국회의원(서울 동대문구 갑/민주당)
제10대 국회의원(동대문구 갑/민주공화당)
제 22대 대한체육회 회장
제10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15~21대 대한약사회 회장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체육인, 정치인. 막내아들 민병환(閔丙煥, 1957 ~ )은 이명박 정부국가정보원 제2차장을 역임하였다.


2. 생애[편집]


1918년 5월 3일 경기도 개성군(現 개성시)에서 아버지 민영필(閔泳弼, 1867 ~ ?)과 어머니 경주 김씨(1866 ~ ?) 사이의 4남 1녀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경기고등학교의 전신인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전신인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유학하여 1942년 교토제국대학 농림화학과를 졸업하였다.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당선 직후 자유당에 입당하였으나 사사오입 개헌에 반발하였다가 제명되었다. 이후 호헌동지회, 정우회 등에 속하였다.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 9월 민주당에 입당하여 김영삼, 박준규 등과 구파에 속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같은 해 12월 구파 출신들과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였다.


1961년 5.16 쿠데타로 신민당이 해산되자 박준규, 김재순 등과 함께 민주공화당 창당에 합류하였다.

1963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4년부터 1971년까지 대한체육회장을 지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송원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민주공화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역시 신민당 송원영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같은 해부터 1974년까지 문교부(현 대한민국 교육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1971년 6월 4일 문교부장관으로 임명된 것은 민관식이 김종필 라인인 점이 작용해서였다.[3] 당시 신임 국무총리는 김종필 민주공화당 부총재였다. 한편 문교부장관이던 1973년 4월 기생관광을 옹호한 발언을 했다는 논란이 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종로구-중구 선거에 출마하여 신민당 정대철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79년 초 여당 몫의 국회부의장에 선출되었다. 같은 해 연말 백두진이 국회의장직을 사퇴하자 국회의장 직무대리를 역임하였다. 이후 민주정의당부터 한나라당에 이르기까지 상임고문을 지냈다.

대한체육회장을 비롯하여 대한올림픽위원회 위원장, 대한축구협회 회장, 서울아시안게임 조직위원장 등을 맡아 한국 스포츠의 근대화에 이바지하였다. 말년에 중앙일보에 회고록을 연재했는데, 체육에 관심이 많았고 지원도 해준 전두환은 호평을 했으나 상대적으로 체육계에 관심도 적고 지원도 미비했던 노태우는 슬며시 깠다. 사족으로 이 회고록 연재를 끝마치고 몇달 후 세상을 떠났다.

노태우 정부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을 지냈다.

1997년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시 유명했던 신한국당 경선의 선거관리위원장을 역임했다.

2006년 1월 16일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인해 향년 8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3. 여담[편집]


  • 생전에 테니스 덕후였다. 중고등학생 선수 대상의 소강배 테니스 대회가 2020년 현재에도 열리고 있다.

  • 경기고등학교에서는 매년 민관식배 마라톤 대회를 열었었고 당연하게도 생전의 민관식 선생이 직접 나와 개회선언(?)을 했었다. 특히 사망하기 몇년 전에는 이미 80대 후반의 나이였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을 젊은 오빠(...)라고 호칭하는가 하면 잠깐, 여기 남고인데요? "다른 동창생들은 다 죽었지만 나만큼은 살아있어!"라는 사자후로 까마득한 후배들의 열렬한 환호를 받았다. 물론 체육복까지 갖춰입고 함께 뛰는 모습은 덤. 사망한 후에는 대회 분위기가 다소 느슨해졌으며 학생들 사이에서는 '민관식배 걷기 대회'로 통칭될 정도.

  • 농구선수 하승진의 아버지인 하동기가 현역 농구선수이던 시절 100m 달리기로 하동기를 가볍게 이겼다고 한다. 더군다나 민관식은 전문 체육인 출신도 아니고 문돌이 출신 행정가였던데다 이때 50대였음에도...물론 하동기가 키만 컸지 운동선수로서는 모든 면에서 낙제점인 것이 컸긴 하다.

  • 경기고등학교 졸업기수는 33회이나, 32회로 입학했다가 일제 시대 때 독립운동으로 옥살이를 하는 바람에 졸업이 늦어졌다.

  • 수원 광교박물관에 <소강 민관식실>로 전시관이 마련되어 있다.#

  • 1947년 군정청 보건후생부에서 시행한 약제사(약사)시험에 합격한 세 사람중 한명이다. 1966년부터 1980년까지 대한약사회 회장(제15~21대)을 지내기도 했다. 대한약사회 기관지인 약사공론도 그가 창간하였는데, "정부에 대한 가장 고상한 압력수단은 회원의 여론표출"이라고 말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5[4]

[[무소속|
무소속
]]

8,999 (23.45%)
당선 (1위)
초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5[A]
26,297 (76.92%)
재선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38,092 (85.62%)
3선
1963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A]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20,606 (29.63%)
4선
196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32,207 (39.31%)
낙선 (2위)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
36,717 (42.6%)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B]
72,715 (29.18%)
당선 (2위)
5선[5]

역대 선거 벽보[6]

[ 펼치기 · 접기 ]

파일:5대총선 서울5-동대문갑 벽보.jpg


파일:6대총선 서울3-동대문갑 벽보.jpg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5[1])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2])

파일:7대총선민관식.jpg


파일:8대총선민관식.jpg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3])
제8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3[A])

파일:10대총선민관식.jpg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1[B])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무소속|
무소속
]]

1953 - 1954
정계 입문


1954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54 - 1958
제명


1958 - 1960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60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

[[신민당(1960년)|
파일:신민당1960글자.png
]]

1960 - 1961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61 - 1963
5·16 군사정변로 인한 정당 해산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3 - 1980
창당

[[무소속|
무소속
]]

1980 - 1981
정당 해산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 - 1990
창당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1990 - 1995
합당[7]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1997
당명 변경
정계 은퇴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7 - 2006
합당[8]
작고


6. 둘러보기[편집]












[1] 석봉공파(石峰公派) 29세 식(植) 항렬.[2] 백두진의 국회의장 사퇴로 인해 국회의장 권한대행 수행 (1979년 12월 18일 ~ 1980년 10월 27일)[3] 다만 민관식은 김종필계였지만 과거 백남억, 박준규 등과 민주당 구파였던지라 4인방과도 나름 친분이 있었다.[4] 동대문구[A] A B 동대문구 갑[B] 종로구·중구[5] 신민당 정대철 후보와 동반 당선[6] 제3~4대 국회의원 선거벽보는 확인 되지 않고 있다. 이는 당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선거벽보 보존의 필요성을 못 느껴 선거벽보를 보존하지 않은 것이 그 원인으로, 김영삼, 김대중, 김종필을 비롯한 1950년대 부터 정치를 시작한 원로 정치인들의 선거벽보 상당수를 확인할 수 없게 되었다.[7] 통일민주당, 신민주공화당과 신설 합당, 이른바 3당 합당[8] 통합민주당과 신설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