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상훈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제2대 국회|{{{-2 {{{#FFF 제2대

전·후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전·후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전·후
]]·[[제7대 국회|{{{-2 {{{#FFF 제7대

전·후
]]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제8대
[[제9대 국회|{{{-2 {{{#FFF 제9대

전·후
]]
제10대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전·후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국회부의장 · 임시의정원 의장





곽상훈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제4·5대 민의원 의장[1]
곽상훈
郭尙勳 | Kwak Sang-hoon


파일:곽상훈.jpg

출생
1896년 10월 21일
경상남도 동래군 읍내면 복천리
(現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산동)#
사망
1980년 1월 19일 (향년 83세)
서울특별시 도봉구 우이동 자택
(現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제2유공자묘역-9
본관
현풍 곽씨

삼연(三然)
재임기간
제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54년 6월 9일 ~ 1954년 12월 2일
제4대 전반기 국회의장[2][3]
1960년 5월 2일 ~ 1960년 6월 6일
제4대 후반기 국회의장[4]
1960년 6월 7일 ~ 1960년 6월 23일
제5대 민의원 의장
1960년 8월 8일 ~ 1961년 5월 16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
장혜경
자녀
아들 곽헌태, 곽원배, 곽성태, 곽용태
학력
동래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고등공업학교 (중퇴)
국방대학교 (행정학사 / 1기)
종교
유교 (성리학)개신교
의원 선수
5
의원 대수
1, 2, 3, 4, 5(민)
경력
신간회 중앙간부
인천사회사업협회회장
인천체육회회장
조선청년단 경기도연합회 위원장
반민특위 검찰관
탄핵재판소 심판관
제헌 국회의원(경기 인천부 갑 / 무소속)
제2대 국회의원(경기 인천시 을 / 무소속)
제3대 국회의원(경기 인천시 을 / 무소속)
제4대 국회의원(경기 인천시 을 / 민주당)
제5대 민의원의원(경기 인천시 을 / 민주당)
제4대 전·후반기 국회의장
제5대 전반기 민의원의장
길의사기념사업회장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장
매헌 윤봉길 기념사업회장
제1·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회 위원장
대통령 권한대행


1. 개요
2. 약력
3. 생애
4. 선거이력
5. 소속 정당
6. 대중매체에서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약력[편집]


  • 1910. 경상남도 부산부 동래공립보통학교 입학
  • 1911. 동래 동명보통학교 전학
  • 1917. 동래사립고동보통학교 졸업[5]
  • 1917. 경성고등공업학교 입학[6]
  • 1920. 경성고등공업학교 졸업
  • 1920. 신간회 검찰위원
  • 1920.6. 조선체육회 발기인
  • 1920.8. 한용단 단장
  • 192?. 경상북도 안동군 오산학교 훈도
  • 1923. 일본 도쿄도 정칙영어학교[7] 입학
  • 1924. 일본 도쿄 정칙영어학교 중퇴
  • 1925. 이우구락부 조직인
  • 1925. 중국 상하이시한국인청년동맹 간부
  • 1927.6. 신정회 창립인
  • 1928. 동아일보 인천지국 기자, 인천지국장
  • 1929.7. 신간회 경기도 수원지부 회원 후보
  • 1930.11. 신간회 중앙집행위원
  • 1945.9. 한국민주당 창당인
  • 1945.10. 한국민주당 인천지부 가입
  • 1948.5. 제헌 국회의원 선거 후보 (인천부 갑[8], 무소속)
  • 1948.5. 제헌 국회의원 (초선)
  • 1948.9.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위원
  • 1950.5. 제2대 민의원 선거 후보 (인천시 을[9], 무소속)
  • 1950.5. 제2대 민의원 (재선)
  • 1950.5. 국회 전원위원회 위원장[10]
  • 1954.5. 제3대 민의원 선거 후보 (인천시 을, 무소속)
  • 1954.5. 제3대 국회의원 (3선)
  • 1954.5. 제3대 민의원 전반기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제4대)
  • 1955.9. 민주당 창당발기인
  • 1956. 민주당 최고위원
  • 1956.3. 민주당 임시대표최고위원[11]
  • 1956.9. 민주당 최고위원 (재선)
  • 1958.4. 제4대 민의원 선거 후보 (인천시 을, 민주당)
  • 1958.5. 제4대 민의원 (4선)
  • 1958.11. 국가보안법개정반대투쟁위원회 지도위원
  • 1960.5. 제4대 후반기 대한민국 민의원 의장
  • 1960.6. 대한민국 대통령 권한대행[12]
  • 1960.7. 제5대 민의원 선거 후보 (인천시 을, 민주당)
  • 1960.8. 제5대 민의원 (5선)
  • 1960.8. 제5대 전반기 대한민국 민의원 의장
  • 196?. 길의사기념사업회 회장
  • 196?.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협회 회장
  • 1966.12. 매헌윤봉길선생기념사업회 회장
  • 1967.12. 매헌윤봉길선생기념사업회 회장 (유임)
  • 1969.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
  • 1972. 제헌국회의원동지회 회장
  • 1972.10.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서울특별시 도봉구)
  • 1972.10. 초대, 제2대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
  • 1973.12. 매헌장학재단 이사장

  • 일자 불명
    • 한국장학재단이사장, 한국국회의원동우회 회장
    • 인천사회사업협회 회장, 인천체육회 회장
    • 조선청년단 경기도연합회 위원장, 탄핵재판소 심판관, 대한민국헌정회 제1대 회장

3. 생애[편집]


1896년 동래부에서 무관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금정산이 내려다보이는 마을 어귀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할아버지는 무관으로 여주군수와 오위장을 지냈고, 마을에서는 중군(中軍)영감 중군댁으로 불렸고 하인을 보유한 집안에서 자랐다.

동래고보를 졸업하였고, 1919년 경성고등공업학교(現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 중 3.1 운동에 참여하다가 옥고를 치렀다.

1920년대 후반, 신간회(新幹會)에 들어가 검찰 위원으로 활약했다. 1928년부터 1940년까지 동아일보 인천지국 기자와 지국장을 지냈다. 일본의 관동 대지진 때는 한국인 학살 사건의 진상 기록을 수집하였으며, 그로 인해 상하이로 망명 생활을 하였다.

8.15 광복 후 바로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 때 공천 탈락되자 탈당하여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사사오입 개헌 당시엔 부결 이튿날 가결을 선포한 최순주 부의장 앞에서 자신도 부의장이라며 부결을 재선포하게 된다. 최순주는 정족수 '계산착오'를 빌미로 사임하였는데, 자유당은 곽상훈 부의장에 대해서 법률상 근거 없는 불신임안을 제출하고 부의장 권리 행사를 4개월 이상 막는 등의 행패를 부렸다.

이후 제2대, 3대, 4대, 5대 국회의원(민주국민당-민주당)을 역임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직후 이기붕의 뒤를 이어 민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이기붕의 전반기 잔여임기를 잇고 6월 7일부터 시작된 셈인 후반기 의장직도 연임하게 되었다. 다만 본인은 후술하는 권한대행직 문제로 하반기 의장으로 선출 당일 6월 5일부터 사임 의사를 드러냈고, 실재 재임도 전•후반기를 합해도 1개월 22일에 그쳤다.

3차 개헌으로 부통령 제도가 폐지되고 내각책임제가 도입되면서 대통령 권한대행 순위에 변동이 생겼고 민의원 의장인 곽상훈이 개헌 후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미 6월 5일 후반기 의장 표결 당시 개헌안 윤곽은 대충 나왔었기에, 후반기 의장이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대행한다는 것은 중지의 사실이었다. 별도의 인물을 두거나 공석으로 할 수 없다는 국회의원들의 중의는 명확했다.

이에 곽상훈은 민의원 선거에 출마하기 위해 국회에 의장직 사직서를 제출하겠다고 선언했다. 곽상훈은 3차 개헌이 6월 15일 공포되면서 일단 형식적으로 (의원내각제의) 대통령 권한대행의 지위에 올랐지만, 헌법이 공포된 다음날인 6월 16일날 사직서를 즉각 국회에 제출하였다.

곽상훈이 민의원 의장 직을 사직하고자한 것은 대통령 권한대행 자격으로 민의원 선거에 출마하는 것이 가능한 지에 대한 법적 문제를 우려하였기 때문인데, 실제로 이에 대해서 '민의원 의장이 권한을 대행하는 것 뿐 공무원이 아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거나 '대통령 권한을 대행하는 이상 공무원의 성격을 띈다'라는 등 의원들 간 갑론을박이 있었고, 결국 법제사법위원회개헌기초위원회에 이에 대한 법해석을 위임하였다.# 그 결과 위원회에서는 법적인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고, 17일 사표 수리에 대해 표결한 결과 가결 61, 부결 70으로 사표 수리가 부결되면서 곽상훈은 대통령 권한대행 직을 유지하게 되었다.# [13]

이로 인해서 또다른 문제가 발생하였는데, 19일에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의 방한에 있어서 누가 대통령이라는 국가원수의 자격으로 미 대통령을 영접하느냐는 것이었다. 원래 계획으로는 곽상훈이 민의원 의장직을 사직하기로 하면서 허정 국무총리 겸 외무부장관이 대통령 권한대행의 자격으로 미 대통령을 영접하는 것이었는데, 곽상훈의 의장직 사직이 부결되면서 혼란이 발생한 것이다. 결국 허 총리가 한국정부를 대표하여 모든 역할을 맡고, 곽상훈은 국회의장으로서만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을 맞는 것으로 결정되면서 작은 소동이 일단락되었다. 정부는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국가원수가 아닌 행정수반의 자격으로 허 총리의 초청에 의해 내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6월 22일 기존과 동일한 법적 문제를 이유로 재차 민의원 의장직에 대한 사표를 제출했는데, 이는 기존 선거법을 대신하여 새로 제정되는 국회의원 선거법에서 공무원의 선거 출마와 관련한 조항에 변동이 있었고, 권승렬 법무부장관도 이를 지적하여 의장직을 사임해야 한다고 전해왔기 때문이다.# 결국 제4대 국회의 사실상 마지막 날 가결 101, 부결 13으로 사표가 수리되면서, 헌법이 개정된 6월 15일부터 6월 23일까지 8일간 이어졌던 대통령 권한대행 직도 내려놓게 되었다.# 대통령 권한대행은 다시 허정 국무총리에게 넘어갔고 제5대 국회의원 선거백낙준 참의원 의장이 선출될 때까지 직을 유지하였다.

곽상훈은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에 성공하였고 또다시 민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5.16 군사정변 직후 정계에서 은퇴하고 박정희 정권을 지지하여 1965년 매헌윤봉길의사기념사업회 2대 이사장, 1969년 국토통일원 고문 및 육영재단 초대 이사장, 1971년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등을 지냈고, 1972년 10월 유신 이후 통일주체국민회의 운영위원장이 되었다. 해당 행보로 인하여 언론인 청암 송건호박순천과 싸잡아 '변절자'라고 그를 비난했다.


파일:대의원선거 곽상훈.jpg

△ 1978년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선거벽보




1969년에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받았으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으로 활동하면서 1979년 대통령 선거 때 최규하 대통령 선출을 알렸고, 1980년 1월 19일에 83세로 사망하여 사회장으로 국립묘지에 묻혔다.


4. 선거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48
제헌 국회의원 선거
경기 1[14]

[[무소속|
무소속
]]

26,907 (56.80%)
당선 (1위)
초선
1950
제2대 국회의원 선거
경기 2[15]
9,957 (31.88%)
재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8,512 (61.39%)
3선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


28,097 (74.32%)
4선[16]
1960
제5대 국회의원 선거
35,594 (85.35%)
5선[17][18]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신정회

1927 - 1928
정계 입문

[[무소속|
무소속
]]

1928 - 1929
탈당

[[신간회|
신간회
]]

1929 - 1931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31 - 1945
정당 해산

[[한국국민당|
한국국민당
]]

1945
창당

[[한국민주당|
한국민주당
]]

1945 - 1948
합당[19]

[[무소속|
무소속
]]

1948
총선 공천 불복으로 인한 탈당

[[조선민족청년단|
조선민족청년단
]]

1948 - 1949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49 - 1954
탈당


1954 - 1955
입당


1955 - 1961
합당[20]

[[무소속|
무소속
]]

1961 - 1969
5·16 군사정변로 인한 정당 해산

[[민주공화당|
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

1969 - 1980
입당
정계 은퇴
사망

6. 대중매체에서[편집]


  • 1981년 MBC 드라마 《제1공화국》에선 배우 박웅이 연기했다.
  • 1989년 MBC 드라마 《제2공화국》에선 배우 김길호가 연기했는데, 이듬해 8.15 특집극 《반민특위》와 1993년 《제3공화국》에서도 같은 배역을 맡았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1] 민참 양원이 구별된 건 5대 국회부터지만, 민의원이라는 이름 자체는 3대 국회부터 이미 쓰이고 있었다. 헌법상으로는 양원제를 채택하고 대한민국 부통령이 참의원 의장을 겸직하도록 정해져 있었다. 부통령이 계속 야당 인사로만 당선되어 이승만 대통령이 참의원 구성을 불허하여 계속 단원제로 운영되는 바람에 현재에 와서는 3·4대 국회에 민참 구별을 할 필요가 없어졌을 뿐이다. 공식적으로는 4·5대 모두 민의원이 맞다.[2] 이기붕의 사망으로 인한 선출.[3] 이미 제2공화국 개헌안이 통과 직전이었으며 곽상훈 의장 역시 개헌안 통과 직후 사임을 후반기 의장 선출 표결 당일인 6월 5일부터 명확히 하였다.[4] 대통령 권한대행 수행 (1960년 6월 15일 ~ 1960년 6월 23일)[5]동래고등학교. 동명보통학교에서 교명이 변경된 것이다.[6]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대학교 공과대학.[7] 現 세이소쿠가쿠엔고등학교[8] 경기 1[9] 경기 2[10] 전원위원회 설명[11] 전임자 신익희 급사[12] 헌법 개정에 따라 대통령 권한 대행 순서의 변동이 발생하여 민의원 의장의 자격으로 국무총리 허정을 대신해 대통령 권한을 대행함. 이후 민의원 의장직을 사퇴함에 따라 다시 허정이 대통령 권한을 대행함.[13] 단기간일지언정 대통령 권한대행인데도 다음 선거를 위해 마다했다는 에피소드로 오해될 여지가 있는데, 곽상훈은 직전 허정의 제1공화국 대통령 권한대행직(정부수반)과 달리 실권이 적은 의원내각제인 제2공화국 헌법에서의 대통령 권한대행이었다. 즉 단순 국가원수로서의 상징성만 있는 자리였을 뿐 실권은 허정 국무총리, 심지어 외교까지 허정 총리가 외무부장관을 겸직하면서 전권을 행사하고 있었다. 이는 곽상훈이 아이젠하워 방한에서도 허정에게 의전서열을 양보하는 결과의 한 원인이 되었다.[14] 인천부 갑[15] 인천시 을[16] 전/후반기 국회의장[17] 민의원의장[18] 1961.5.16 자격정지(5.16 군사정변)[19] 조선민족당과 신설 합당[20] 민주당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