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2판)

편집일시 :

明}}}밝을 명
부수
나머지 획수
, 4획
총 획수
8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メイ, ミョウ, ミン
일본어 훈독
あ-かり, あか-るい, あか-るむ,
あか-らむ, あき-らか, あ-ける,
あ-く, あ-くる, あ-かす
-
}}}
표준 중국어
mí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2.1. 자원(字源)
3. 용례
4. 유의자
5. 반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明은 '밝을 명'이라는 한자로, '밝다', '명백(明白)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유니코드에는 660E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日月(AB)로 입력한다.


2.1. 자원(字源)[편집]


파일:明_자원.png
파일:external/pic.zdic.net/660E.gif파일:external/pic.zdic.net/6719.gif
明의 전서 옆으로 돌려서 보면 무섭다朙의 전서

갑골문, 금문, 소전까지는 明과 朙의 두 가지 형태가 병존하는데 明은 해() 달()이 결합해 '밝음'을 뜻하는 회의자이고, 朙은 창문()에 달()이 환하게 비치는 것을 뜻하는 회의자이다. [1]

한편, 이체자 가운데 하나인 眀은 전통적으로 目을 '눈'으로 보아 '밝게 보임'을 뜻한다고 여겼으나, 현대에는 囧의 간략해진 형태로 보고 있다. 덕수궁준명당, 중명전에서 눈목 부수의 밝을 명을 쓰고 있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3.1. 한국[편집]






3.3.2. 일본[편집]



3.3.3. 중화권[편집]



3.3.3.1. 대만[편집]



3.3.3.2. 홍콩[편집]



3.3.3.3. 말레이시아[편집]



3.3.3.4. 중국[편집]


3.3.4. 베트남[편집]




3.4. 지명[편집]




3.5. 지하철역[편집]




3.6. 학교[편집]




3.7. 창작물[편집]



3.8.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 (밝을 랑)
  • (마칠 료/밝을 료)
  • (밝을 병)
  • (밝을 성)
  • (밝을 소)
  • (마을 동/밝을 통)
  • (밝을 철)


5. 반대자[편집]


  • (어두울 매)
  • (어두울 면/어두울 명), , (어두울 명)
  • (어두울 몽)
  • , (어두울 암)
  • (어두울 회)


6.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1] 朙쪽이 본자, 明쪽이 고자(옛 글자)이다.[2] 반대어로는 暗黑(암흑)이 있다.[3] 정치인 이재명, 독립운동가 이재명, 축구선수 이재명 모두 한자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