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모 방

부수
나머지 획수


方, 0획


총 획수


4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ホウ


일본어 훈독


かた, かく, まさ-に



-


표준 중국어


fā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상세
3. 자형
4. 용례
5. 부수



1. 개요[편집]


모 방(方). 모, 네모라는 뜻부터 방위, 장소,방법, 둘레, 바야흐로, 본뜨다 등등 뜻이 굉장히 많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
표준어
fāng
광동어
fong1
객가어
fong
민북어
hó̤ng[文] / bó̤ng[白]
민동어
huŏng[文] / bŭng[白]
민남어
hong[文] / hng, png[白]
오어
faan (T1)

일본어
음독
ホウ
훈독
かた, かく, まさ-に

베트남어
phương

상형자로 양쪽에 손잡이가 달린 쟁기의 모양에서 따왔다. 두 사람이 가지고 갈기 때문에 좌우(左右), 한 줄로 늘어 놓다, 비교하다의 뜻이 생겼고 다시 방위, 방법 등 여러 가지 뜻으로 변하였다. 方(방)자의 기원(起源ㆍ起原)은 통나무 배 두 척을 나란히 한 모양이라고도 하며, 또 십자가에 못 박은? 모양이라고도 일컬어 진다.


3. 자형[편집]


파일:60px-方-oracle.svg.png
파일:60px-方-bronze.svg.png
파일:60px-方-seal.svg.png
파일:60px-方-bigseal.svg.png
갑골문
금문
소전체
대전체


4. 용례[편집]



4.1. 단어[편집]


  • 각방(各方)
  • 공방(孔方/公方)
  • 근방(近方)
  • 금방(今方/禁方)
  • 남방(南方)
  • 노가다(← 土方)
  • 다방면(多方面)
  • 동방(東方)
    • 동방예의지국(東方禮儀之國)
  • 등방(等方)
  • 방도(方到/方途/方道)
  • 방면(方面)
    • 다방면(多方面)
  • 방법(方法)
  • 방석(方席)
  • 방술(方術)
  • 방식(方式)
  • 방안(方案/方眼/方顔)
  • 방언(方言)
  • 방우(方隅)
  • 방위(方位)
  • 방전(方田)
  • 방정(方正/方程/方釘)
  • 방제(方劑)
  • 방주(方舟)
  • 방진(方陣)
  • 방책(方策)
  • 방촌(方寸)
  • 방칙(方則)
  • 방침(方枕/方針)
  • 방편(方便)
    • 임시방편(臨時方便)
  • 방향(方向)
  • 방형(方形)
  • 변방(邊方)
  • 북방(北方)
  • 상대방(相對方)
  • 서방(西方)
    • 서방극락(西方極樂), 서방세계(西方世界), 서방십만억토(西方十萬億土), 서방안락국(西方安樂國)
  • 오방(五方/午方)
  • 일방(一方)
  • 장방형(長方形)
  • 전방(前方/傳方)
  • 정방형(正方形)
  • 지방(地方)
  • 처방(處方)
  • 하방(下方)
  • 한방(漢方/韓方)
  • 향방(向方)
  • 해방(亥方/海方)
  • 행방(行方)
  • 후방(後方)


4.2. 고사성어/숙어[편집]




4.3. 인명[편집]




4.3.1. 성씨[편집]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펼치기 · 접기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임 (2015년 통계청 자료)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02 이
03 박
04 최
05 정
06 강
07 조
08 윤
09 장
10 임
11 한
12 오
13 서
14 신
15 권
16 황
17 안
18 송
19 유/류
20 전
21 홍
22 고
23 문
24 양
25 손
26 배
27 조
28 백
29 허
30 유
31 남
32 심
33 노
34 정
35 하
36 곽
37 성
38 차
39 주
40 우
41 구
42 신
43 임
44 나/라
45 전
46 민
47 유
48 진
49 지
50 엄
51 채
52 원
53 천
54 방
55 공
56 강
57 현
58 함
59 변
60 염
61 양
62 변
63 여
64 추
65 노
66 도
67 소
68 신
69 석
70 선
71 설
72 마
73 길
74 주
75 연
76 방
77 위
78 표
79 명
80 기
81 반
82 왕
83 금
84 옥
85 육
86 인
87 맹
88 제
89 모
90 장
91 남궁
92 탁
93 국
94 여
95 진
96 어
97 은
98 편
99 구
100 용


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94,831명, 인구 순위 55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온양(溫陽), 군위(軍威), 경주(慶州), 남원(南原), 원영(原榮)이 있다. 자세한 사항은 방(성씨) 문서 참조.


4.4. 지명[편집]




4.5. 창작물[편집]




4.6. 기타[편집]




5. 부수[편집]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  214 부수  ] 
1획
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위치별 주요 부수  ] 

파일:chineseleft.png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파일:chineseleftright.png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수록자 보기  ] 
1획
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명칭: 모방부

강희자전의 70번째 부수로서 강희자전 안에 이 부수를 사용하는 자는 94자가 수록되었다. 설문해자에서 별도 부수로 세운 (깃발 나부끼는 모양 언)을 方+人으로 분석해 方부에 병합했다. 따라서 方자가 부수로 쓰이는 글자들은 '방향'보다는 깃발과 관련된 의미를 지닌다. 그렇지 않은 한자는 (곁 방), (어조사 어) 등밖에 없다.[1] 하지만 於도 원래 (까마귀 오)의 이체자로, 자형상 方이나 㫃과 관련이 없다. 결국 方과 관련이 있는 상용 한자는 旁뿐이다. 벽자까지 범위를 넓히면 斺(맺을 개)와 旀(하물며 며)도 포함된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0:37:06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文] A B C 문독[白] A B C 백독[1] (베풀 시)도 方+㐌 형태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㫃+也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