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하위문서.png   하위 문서: 부수/중국


파일:漢.svg[[파일:漢_White.svg 한자
[ 펼치기 · 닫기 ]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1. 개요
2. 설명
4. 목록
4.1. 1획
4.2. 2획
4.3. 3획
4.4. 4획
4.5. 5획
4.6. 6획
4.7. 7획
4.8. 8획
4.9. 9획
4.10. 10획
4.11. 11획
4.12. 12획
4.13. 13획
4.14. 14획
4.15. 15획
4.16. 16획
4.17. 17획



1. 개요[편집]


부수()는 사전에서 한자배열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해 그 중에서 뜻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2. 설명[편집]


부수는 시대나 자전에 따라 달라졌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강희자전 방식이다. 한국의 자전과 대만의 중국어 사전에서는 모두 이 방식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일본 역시 강희자전식 부수를 많이 쓰지만 신자체에 맞게 약간 변형을 하기도 하며[1],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은 한자의 형태가 너무 많이 바뀌어서 강희자전식에서 상당히 변형하여 사용한다. 부수/중국에 간체용 부수가 나와 있다.

강희자전보다 앞선 시기에 나왔던 설문해자에서는 540자의 부수가 있었는데 너무 많아서 강희자전에서 214자로 대폭 줄이고 필획수 순으로 정렬하였다. 부수/설문해자에 설문해자의 부수들과 해당 부수에 속한 글자들의 예시가 나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U+2F00 ~ U+2FDF 영역에 배당되어 있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ex. : 부 0획[2])

부수는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위치
설명
예시

부수가 글자 왼쪽에 있음
休(人), 話(言)

부수가 글자 오른쪽에 있음
劍(刀), 獻(犬)
머리
부수가 글자 위에 있음
符(竹), 花(艸)

부수가 글자 아래에 있음
熱(火), 恩(心)

부수가 왼쪽 위 혹은 오른쪽 위를 감쌈
廣(广), 氣(气)
받침
부수가 왼쪽 아래 혹은 오른쪽 아래를 감쌈
道(辵), 颱(風), 越(走), 建(廴)

부수가 전체를 감쌈[3]
圍(囗), 問(門), 區(匚), 凶(凵), 街(行), 衰(衣)
제부수
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
一, 至, 龍
기타
부수가 어떤 형태로 위치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 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놓았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자를 포함하는 각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였다. 강희자전 방식 부수는 모두 214개[4]이며, 순서는 정해져 있다.

1획에서 5획까지는 그렇지만 6획부터 17획까지는 정자(正字)와 헷갈릴 만한 글자 때문에 특히 한자검정시험에서 부수를 써보라는 문제에서 가장 난감해지기도 한다. 특히 푸를 청(靑), 용 룡(龍), 보리 맥(麥), 사슴 록(鹿), 삼 마(麻), 북 고(鼓), 쥐 서(鼠), 코 비(鼻), 이 치(齒), 피리 약(龠) 등 글자들은 대부분이 부수가 따로 달린 글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모두 부수자 중 하나이다. 다닐 행(行) 또한 얼핏 보면 彳부 3획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게 아니라 行 자체가 통째로 부수이며[5] 行의 가운데 부분에 다른 글자가 삽입되는 식으로 쓰인다. 이는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예서로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수렴진화를 겪으며 거짓짝 신세가 돼버린 것이다.

부수와 한자가 어디에 결합하느냐에 따라 같은 한자일 수도, 다른 한자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봉우리 봉), -(부끄러울 참)[6], -(바둑 기), -(옆구리, 으를 협)[7], -(무리 군)[8], -(속 리)[9], -(옷 치렁거릴 배)[10], -(거울 감), -(이웃 린)[11] 등이 있다. 후자의 경우 (읊을 음)-(머금을 함), (때 구)-(두터울 후)[12], (주울 습)-(잡을 나), (바쁠 망)-(잊을 망), (도리깨 가)-(시렁 가), (강 강)-(수은 홍), (무늬 문)-(얽힐 문), (육부 부)-(썩을 부), (포대기 보)-(기릴 포), (번쩍일 섬)-(몸을 숨겼다가 갑자기 나와서 사람을 놀라게 하는 소리 혹/획) 등이 있다. (배 댈 박)-(샘 천), (여러 루, ←纍)-(가늘 세, ←⿰糸囟) 등 부수를 제외한 부분이 다른 글자였으나 같은 모양으로 바뀐 한자도 있다.

영어로는 radical 또는 indexing component라고 쓴다.

3. 헷갈리기 쉬운 부수[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목록[편집]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  214 부수  ] 
1획
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위치별 주요 부수  ] 

파일:chineseleft.png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파일:chineseleftright.png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  수록자 보기  ] 
1획
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 독음의 경우 볼드 처리한다.
  • 원 부수의 변형으로 별개의 이름이 있거나, 변형은 아니라도 한 부수로 편입된 것은 하위 항목으로 표시한다.


4.1. 1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


제부수
, , , , ,

2

뚫을
제부수
,

3


제부수
, ,

4
丿
삐침
제부수
, , , ,

5


발,제부수(乙)/방(乚)
乽, , , , ,

6

갈고리
제부수
, ,



4.2. 2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7


머리, 몸, 변, 발
, , , ,

8

돼지해머리

, , , ,

9

사람
머리, 변(亻)
, , , ,

10

어진 사람

, , , ,

11


제부수
, ,

12

여덟
머리, 발
, , , ,

13



, , ,

14

덮을
머리
,

15

얼음
변, 발[13]
, , ,

16

안석
방, 발
,

17

입 벌릴

, , , ,

18


방(대체로 刂), 발
, , , , ,

19


방, 발
, , , ,

20

[14]

, ,

21

비수

, ,

22

상자

, ,
23

감출

, ,
24


제부수, 머리, 변, 발
, , , ,

25


제부수, 머리, 방
, ,

26

병부
방, 발(㔾)
, , , ,

27

기슭

, ,

28

사사
제부수, 머리, 발
,

29


방, 발
, , , ,



4.3. 3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30


변, 머리, 발
口, 叩, 哭, 告, 品

31

나라

回, 固, , , 圖

32


변, 머리, 발
土, 地, 均, 基, 坤

33

선비
제부수, 변, 방, 머리
士, 壬, 壻, 壯, 壽
34

뒤쳐져 올
머리, 발, 받침
夂, 备, 変, 处

35

천천히 걸을

夊, 夏, 复
36

저녁
제부수, 변, 방, 발
夕, 多, 外, 夜,

37


제부수, 머리, 발
大, 失, 央, 奇, 奉, 契

38

계집
변, 발
女, 娘, 委, 威,

39

아들
변, 머리, 발
子, 孑, 孓, 孔, 孟, 季

40


머리
宀, 守, 宗, 家, 客

41

마디
방, 발
寸, 封, 專, 對, 導

42

작을
머리, 발
小, 少, 当, 尔

43

절름발이
제부수, 방, 받침
尢, 尤, 就,

44

주검
제부수, 엄
尸, 尺, 局, 尹, 屋, 屬

45

왼손
제부수, 머리, 발
屮, 屰, 㞢, 屯, 㞷

46


변, 머리, 발
山, 岬, , , ,

47


제부수
巛, 巜, 巢, 巡, 巠

48

장인
제부수, 변, 발
工, 巨, 巧, 左, 差

49


제부수, 머리, 발
己, 已, 巳, 巴, 巽, 巷

50

수건
변, 발
巾, 帽, 常, 席, 帆

51

방패
제부수, 발
干, 年, 幷, 平, 幸, 幹

52

작을
제부수, 변
幺, 幾, 幽, 幼, 幻

53
广


广, 康, 庫, 廣, 廳

54

길게 걸을
받침
廴, 建, 廻, 延

55

받들

廾, 弁, 弄, 弊

56

주살
방, 엄
弋, 弌, 弍, 弎, 式, 弑

57


제부수, 변, 발
弓, 强, 弱, 弔, 張

58

돼지 머리
머리
彖, 彝, 录, 归

59

터럭

彡, 彬, 彰, 影, 彩

60

조금 걸을

彳,往, 徐, 得, 德



4.4. 4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61

마음
변(忄), 발(가끔 ⺗)
心, 志, 感, 恭, 情, 慶

62


방, 엄
戈, 戊, 成, 戟,

63


변, 엄
戶, 所, , 房

64


제부수, 변(扌), 발
手, , 打, 拜, 擧, 擊

65

지탱할

支, 攲

66


방(대부분 攵), 발
攴, 敲, 故, 敎, 敬

67

글월
변, 머리, 발
文, 斑, 斕, 斉, 斐

68


방, 머리, 발
斗, 料, 㪳, 斝

69


방, 발
斤, 斧, 新, 斷

70


변(주로 㫃의 꼴), 발
方, 旅, 旁, 族, 旗

71

없을 [15]
제부수, 방
无, 旡, 旣

72


변, 머리, 발
日, 明, 景, 旬, 晝

73

가로
제부수, 머리, 발
曰, 曲, 曷, 更, 書
74


제부수, 변, 발
月, 有, 㬼, 朞

75

나무
제부수, 변, 머리, 발
木, 東, 樹, 果, 權

76

하품

[16], 歌, 次

77

그칠
제부수, 변, 머리, 발
止, 正, 此, 歲, 歷

78

살 바른 뼈
제부수, 변
歹, , 殃, 殉

79

몽둥이

殳, 殺, 段, 毆, 毅

80


제부수, 발
毋, 毌, 母

81

견줄
머리, 발
比, 毕, 毘

82

터럭
방, 발, 받침
毛, 氈, 毫, 毯

83

각시
제부수, 머리
氏, 民, 氐

84

기운

氣, 氛, 氢, 氦…

85


제부수, 변, 머리, 발
水, 永, 氷, , , 沓

86


변, 발(대부분 灬)
火, 然, 炎, 熱, 無,

87

손톱
머리(爫, ⺥), 받침
爪, 爲, 爬

88

아버지
머리
父, 爸, 爺

89

사귈
제부수
爻, 爽, 爾

90

나뭇조각

爿, 壯, 牀, 牆

91

조각

片, 版, 牌

92

어금니
제부수, 변, 발
牙, 㸦, 㸧, 牚

93


변, 발
牛, 牟, 物, 牢

94


변(犭), 방, 발
犬, 狀, 狗, , 獄, 獻



4.5. 5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95

검을

玄, 玆, 率

96

구슬
제부수, 변(王), 발
玉, 王, 璧, 理

97

오이
방, 몸
瓜, 瓣, 瓢

98

기와
방, 발
瓦, 甁, 瓮

99


변, 머리, 발
甘, 甛, 甚, 甞

100


변, 발
生, 産,

101


제부수, 발
用, 甫, 甩, 甭

102


제부수, 변, 머리, 발
田, 申, 男, 畓, 略

103


변, 방
疋, 疑, 疎

104

병들어 기댈

疾病, 痛症, , 療

105

등질
머리
發, 癸, 登

106


변, 머리, 발
白, 的, 皇, 百

107

가죽
변, 방, 발
皮, 皺, 皰

108

그릇

皿, 盛, 監, 盡, 盧

109


머리, 변, 발
目, 相, 眼, 看, 督

110


변, 머리
矛, 矜, 矞

111

화살
변, 발
矢, 短, 矣, 矮

112


변, 발
石, 硬, 碧, 磬

113

보일
변(⺬), 발
示, , 祈禱, 禁,
114

발자국

禸, 禽, 离, 禹

115


변, 머리, 몸, 발
禾, 秋, 秀, 秉, 積

116

구멍
머리
穴, 空, 窓, 突

117


변, 머리, 발
立, 端, 竟, 競



4.6. 6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18


머리(⺮)
竹, 簡, 籐, 筆, 算

119


변, 머리, 발
米, 糟糠, 糞, 粱, 糖

120

가는 실
변(糹), 발
[17], 系, 繁, 緊, 繼
121

장군
변, 발
[18], 缺, 罄

122

그물
머리(罒, 가끔 㓁, 罓)
网, 罕, 䍙, 羅, 罷

123


머리(⺷), 변(⺶), 발
羊, 美, 羚, 羔, 義

124


변, 방, 머리, 발
羽, , 翁, 翅, 翰

125

늙을
머리(일부 耂)
老, 考, 耈

126

말 이을
변, 머리, 발
而, 耐, 耑, 耍[19]

127

가래

耒, 耕, 耗

128


변, 발
耳, 聽, 聲, 聞, 職

129


머리, 방, 발
聿, 肅, 肆

130

고기
변, 발, 방
肉, 腐, 脚, , 期,
131

신하

臣, 臨, 臥

132

스스로
머리, 변
自, 臭

133

이를
변, 발
至, 致, 臺

134

절구
머리, 발
臼, 舅, 舊, 興

135


변, 발
舌, 舒, 舍

136

어그러질

舛,

137



舟, 船, 般, 艇

138

괘 이름
방, 발
艮, 良, 艱

139



色, 艷

140


제부수, 머리(⺿, 艹)
艸, 葡萄, 蔡, 蘇

141

호피 무늬
엄, 방(주로 虎의 꼴)
虎, 虜, 虐, 號

142

벌레
변, 방, 발(가끔 䖵의 꼴로)
[20], 蟲, 蝕, 螳螂, 蜜蜂,

143


변, 머리, 발
血, 衆, 衄

144

다닐

行, 街, 衛, 術

145


변(衤), 발, 몸
衣, 袋, 裏, , 複

146

덮을
제부수, 머리
西, 要, 覆



4.7. 7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47


방, 발
見, 視, 親, 覺
148


변, 발
角, , 觜, 觸

149

말씀
변, 발
言, 許, 語, 論, 譽
150


변, 방
谷, 谿

151


변, 발
豆, 豌, 豈

152

돼지
변, 방, 발
豕, 豚, , 豬[21]

153

벌레

豸, 貌, 豹

154

조개
변, 발
貝, 財, 賣買, 貨, 貪
155

붉을
제부수, 변
赤, 赦, 赫

156

달릴
받침
走, 起, 趙, 越

157


발, 변(𧾷)
足, , 蹇, 跳

158



身, 軀

159

수레
변, 발
160

매울

辛, 辭, 辨

161


머리, 발
辰, 辱, 農

162

쉬엄쉬엄 갈
제부수, 받침(⻍)
辵, 近, 造, 道, 選, 邊
163

고을
제부수, 방(⻏)
邑, 郡, 部, 鄕, 鄭

164

[22]
변, 방, 발
酉, 酒, 醉, 醫

165

분별할
제부수, 변
釆, 采, 釋

166

마을
변, 방, 발
里, 野, 量, 重



4.8. 8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67


변, 발
, , , ,
168


제부수, 변(镸)
長, 镹
169



門, 問, 聞, 閻, 關
170

언덕 (좌부변)
제부수, 변(阝), 몸, 발[23]
阜, 防, 院, 隊, 陳, 隣

171

미칠
제부수, 방
隶, 隷[24]

172


방, 머리, 발
隹, 雄, 集, 雙, 離

173


머리
雨, , , , ,

174

푸를
제부수, 변, 방
靑, 靜, 靖
175

아닐
머리, 발
非, 靠, 靟



4.9. 9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76


변, 발
面, 靤, 靨

177

가죽
변, 발
革, 靷, , 鞠, 鞏

178

가죽
변, 방[韓]
韋, 韓, 韜
179

부추
제부수, 발
韭, 韮

180

소리
변, 발
音, 韻, 響

181

머리

頁, 頃, 領, 順, ,
182

바람
변, 방
風, 颱, 飄
183



飛, 飜
184


변(𩙿), 발
185

머리
제부수, 변, 방, 발
首, 馗, 馘

186

향기
제부수, 변, 발
香, 馝, 馨, 馥



4.10. 10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87


변, 발
馬, 駐, 騎, 駕, 驚, 驛
188



骨, , 髓

189

높을
제부수, 변
高, 髙[25], 髚, 髝

190

늘어질
머리
髮, 鬚

191

싸울

鬥, 鬪
192

울창주[26]

鬯, 鬱

193

막을
변, 발
鬲, 䰚, 鬷

194

귀신
받침, 방, 발
鬼, 魂, 魅, 魔, 魏



4.11. 11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95

물고기
변, 발
魚, 魯, 鮮, 鯉
196


변, 방, 발
鳥, , 鵬, , 鷹, 鸞
197

소금
제부수, 변
鹵, 鹽, 鹹
198
鹿
사슴
제부수, 엄, 변, 발
鹿, 麗, 麒麟, 麏

199

보리

麥,
200


제부수, 엄
麻, 麾



4.12. 12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1

누를
제부수, 변
黃, 黇
202

기장
제부수
黍, 黎

203

검을
제부수, 변, 발
黑, 默, 點, 黨
204

바느질
제부수, 변
黹, 黼, 黻



4.13. 13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5

힘쓸

206



鼎, 鼒

207


머리, 발
鼓, 鼔[27],

208


제부수, 변, 발
鼠, 鼱, 鼴



4.14. 14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9


제부수, 변
鼻, 鼾

210

가지런할
제부수, 몸
齊, 齋


4.15. 15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1


제부수, 변, 발
齒, 齡, 齧


4.16. 16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2



龍, 龕, 𪚥, 龏
213

거북
방, 발


4.17. 17획[편집]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4

피리

龠, , 龥, 䶳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4:34:33에 나무위키 부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夂(뒤져올 치)와 夊(천천히 걸을 쇠)를 통합하고, 単, 巣, 営, 厳의 4글자를 빼서 ツ冠(츠머리)를 세웠다. 한국의 몇몇 한자사전에서는 이 네 글자가 각각 十, 木, 口, 厂 부수에 속한다.[2] 획순으로 따지면 -1획이 되어야 하지만 0획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王이 玉과 독립된 부수였는데 강희자전에서 王부가 없어지면서 王이 玉부로 들어간 것.[3] '전체'라고는 하나, 예시에서 볼 수 있듯 한쪽 방향이 뚫렸거나, 양옆 또는 상하를 감싸는 형태도 여기에 속한다.[4]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각 한자의 변형 부수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水(물 수)와 氵(삼수변), 心(마음 심)과 忄(심방변)은 각각 같은 것으로 취급한다.[5] 단, 중국에서는 行 부수를 폐지하고 彳 부수에 통합했다.[6] 한국과 일본은 전자, 중국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7] 중국 번체자는 전자, 한국은 후자가 표준이다. 일본어에서 두 한자는 서로 다른 한자인데, 전자는 '옆구리'만을, 후자는 '으르다'만을 나타낸다.[8] 홍콩은 후자, 나머지 한자문화권은 전자가 표준이다.[9] 한국, 일본, 중국 번체자는 전자, 대만은 후자가 표준이다.[10] 한국은 전자, 중국은 후자가 표준이다.[11] 한국과 일본은 전자, 중국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 엄밀히 말하면 전자는 좌부변, 후자는 우부방 부수이지만, 모양이 같기 때문에 이 항목에 넣었다.[12] 의 속자.[13] 冬 한정[14] 먹는 쌀이 아니라, 동사 '싸다(감싸다)'의 관형사형이다.[15] 無와 같은 글자다.[16] 일본에서는 缺(이지러질 결)의 신자체로 쓴다.[17] 일본에서는 絲(실 사)의 신자체로 쓴다.[18] 일본에서는 罐(두레박 관)의 신자체로 쓴다.[19] '장난감 솨'라는 한자이다. 要(중요할 요)와 헷갈리지 말 것.[20] 일본 및 중국에서는 蟲(벌레 충)의 신자체 및 간체자로 쓴다.[21] 猪의 본자.[22] 본래 '술'이라는 뜻이었는데 '열째 지지'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23] 몸과 발 형태를 부수로 하는 현대 한자는 없다.[24] 隶와 동자[韓] 韓 한정[25] 高의 속자[26] 고대 종묘제사에 쓰던 향주로 울금의 향과 옻기장으로 빚는다.[27] 북 칠 고, 鼓와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