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신역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아산역에 대한 내용은 천안아산역 문서
천안아산역번 문단을
천안아산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신역
파일:GJLine_icon.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Asin
한자
我新
간체자
가나
我新(アシン
주소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역1길 23 (아신리 산112-2)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위탁역)
(양평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서울본부)
운영 기관
중앙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중앙선
1959년 4월 1일
중앙선
2009년 12월 23일
경의·중앙선
2014년 12월 27일
역사 구조
지상 2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2면 5선 쌍섬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중앙선
아 신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연계 교통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아신역.jpg

현 역사(2009년 준공)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u_as.jpg

구 역사(1959년 준공, 2009년 철거)

남한강 수로 교통의 중심

아신역은 1959년 4월 1일 중앙선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처음 영업을 시작, 1967년 보통역 승격과 2008년 중앙선 복선전철화를 거쳐 오늘에 이르게 되었다. 역명이 유래한 아신리는 본래 양근군 지역으로 1908년 양평군에 편입되면서 1914년 지방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곡리, 하곡리, 신대리, 빙곡리, 당곡리, 아오리, 기곡리가 합쳐지면서 아오리와 신대리의 두 지명을 본따 탄생하였다. 옛 양근군 관아가 있었을 때는 수로 교통의 중심지였으며 중앙선이 놓이면서 아신역이 그 역할을 물려받게 되었다. 비록 간이역으로 시작해 아담한 규모의 벽돌 단층 역사로 지어졌지만 국수역, 능내역, 팔당역, 양수역 가운데에서는 연간 수입이 가장 많은 역으로(1993년 기준) 제 몫을 톡톡히 해내던 곳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K133번. 경기도 양평군 옥천면 아신역1길 23 (아신리 산112-2) 소재.


2. 역 정보[편집]


역명은 아신리에서 왔는데,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당시 조선총독부에서 이 일대에 있던 상곡리, 하곡리, 신대리, 빙곡리, 당곡리, 아오리, 기곡리를 합치면서 아오리와 신대리에서 한 글자씩 따 와서 아신리가 됐다.

중앙선 개통 이후 한참 후인 1959년에 일반역으로써 개업했다. 2001년 9월 8일 신호장으로 격하되었다가 2008년 3월 10일 무배치간이역으로 승격되었다. 이후 2008년 9월 1일부로 일반열차 통과역이 되었다. 2009년에 복선전철화에 따라 새 역사가 세워졌으며, 수도권 전철 영업을 시작했다.

구 역사는 현재의 역사 위치에서 약간 오른쪽으로 떨어져 있는 위치에 있었고, 석불역 구역사와 비슷한 구조로 존재하였다. 복선전철화에 따라 2009년에 철거되고 현재 역 터에는 작은 공원이 생겼다.

부역명은 아세아연합신학대(현 아신대)였으나 부역명 계약 만기로 삭제되었다. 해당 대학교는 이 역에서 직선거리로 1㎞ 정도 떨어져 있다. 줄여서 아신대라고도 부르는데, 우연하게도 지명과 같다.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의 줄임말에서 역명을 따온 게 아니라 원래 지명이 아신인 것이다. 영어 명칭이 너무 길어서 영어 방송시에는 부역명을 풀네임으로 부르지 않고 그냥 'ACTS'[1]로 줄여서 안내했다.

코레일명예역장을 선임했던 역으로 유명한데, 목행역 명예역장과 같은 최연소(당시 20세) 명예역장 서준호 씨가 이 역을 관리했었다. 목행역 명예역장은 여성인데, 이 역 명예역장은 남성이었다고 한다. 다만 얼마 후 명예역장 제도가 폐지되면서 퇴임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중부내륙고속도로 양평IC가 아신역 바로 옆에 있다.

6번 국도와 인접한 자리에 위치해 있다. 복선전철화가 되면서 원래 고읍교차로(구 옥천삼거리) 근처에 있었던 구 역사가 약 300m 서쪽으로 옮겨졌다. 원래도 옥천면소재지에서 이용하기에는 약간 먼 위치였는데 그나마도 조금 더 멀어져서 도보로는 이용이 힘들고 택시나 자가용을 타고 역까지 와야 한다.

그 외에 아신역에서 국수역으로 뻗은 자전거길을 걷다가 기곡터널 부근을 보면 선로 부지에 새마을호 장대객차 1량이 있는데,[2] 카페 및 갤러리 용도로 운영중이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GJLine_icon.svg
비고
2009년
855명
[3]
2010년
1,152명

2011년
1,380명

2012년
1,526명

2013년
1,623명

2014년
1,758명

2015년
1,784명

2016년
1,804명

2017년
1,653명

2018년
1,507명

2019년
1,456명

2020년
974명

2021년
1,022명

2022년
1,140명

출처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1] Asian Center for Theological Studies and Mission[2] 11114호 차량[3] 개통일인 12월 23일부터 12월 31일까지 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하루 평균 이용객은 2021년 기준 1,022명으로 이용객 수만 보면 전형적으로 수요가 매우 적은 공기수송 역이지만 역세권이 워낙 한산한 농촌 지역임을 감안하면 생각보다 수요가 적지는 않다.
  • 옥천냉면으로 유명한 옥천면 주민들 및 아신대학교 학생들이 이 역을 자주 이용한다. 다만 두 지역 모두 역 앞에 있는 것이 아니라서, 옥천면 주민들은 6번 버스, 대학생들은 셔틀 버스를 역 앞에서 이용한다. 이 둘이 아신역 수요의 거의 대부분을 형성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옥천면 인구수가 8천명인걸 생각하면 상당한 이용률이다.


5. 승강장[편집]


파일:아신역 근황.jp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승강장[4]
파일:아신역_역명판.jpg
역명판
국수

4
3


2
1


오빈


2, 3번선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가동중이다. 1, 4번선은 2023년 현재 설치중이다.#

현재 이 역을 통과하는 열차들은 모두 60km/h의 속도로 감속하여 운영중이다.


6. 연계 교통[편집]


정류장 이름
경유 노선
아신역[5](46691)

아신역[6](46692)



7. 둘러보기[편집]








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의 교통
철도
파일:KTX BI.svg
양평
[[무궁화호|

무궁화호
]]
파일:nuriro_logo.png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파일:GJLine_icon.svg
양수 · 신원 · 국수 · 아신 · 오빈 · 양평 · 원덕 · 용문 · 지평
도로
고속도로
중부내륙 · 광주원주 · 서울양양 · 수도권제2순환 · 서울양평
국도
6 · 37 · 44
지방도
70 · 86 · 88 · 98 · 333 · 341 · 342 · 345 · 349 · 352 · 391
버스
양평시외버스터미널 · 용문버스터미널
양평군 버스 목록 · 금강고속
경기도의 교통


[4] 스크린도어 설치후의 모습이다.[5] 역 앞[6] 역 건너편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6:20:28에 나무위키 아신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