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21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파일:부산121신도색.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기타 사건사고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121_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북구 금곡동(금곡주공1단지)
종점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부산대학교정문)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55
막차
22:15
막차
23:15
평일배차
출퇴근 25분 / 평시 28분
주말배차
28분
운수사명
삼진여객
인가대수
6대
노선
금곡주공1단지 - 금곡중학교 - 금곡주공4단지 - 율리역 - 벽산아파트 - 와석 - 수정역 - 덕천역 - 남산정역 - 만덕그린코아 - 만덕2동행정복지센터 - 만덕역 - 제2만덕터널 - 미남교차로.미남역 - 동래역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 전자공고 → 동래3차SK뷰온천장온천장역.CGV동래 → 부산대학교정문(11-081)장전역 → 장전중앙교회 → 부산대학교정문(11-085) → 식물원입구 → 금강원입구 → 동래3차SK뷰 → 명륜역 → 롯데백화점동래점 → 동래역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40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 옛날에도 121번 노선이 존재하였다.
    • 1기 노선은 현.121번과 관련 없는 노선으로 구.아진여객[1]에서 운행했으며 반송 - 석대동 - 동상초등학교 - 명장정수사업소 - 동래시장 - 동래 - 교대 - 거제리 - 전포동 - 문전시장 - 신암 - 개금아파트를 운행하는 상당한 장거리 노선이었다. 하지만 129번과의 중복 등의 이유로 1990년에 폐선되고 말았다.
    • 2기 노선은 현.121번의 전신으로, 1993년에 대도운수에서 구.120번의 지선격 파생 노선인 온천장 - 만덕2터널 - 덕천주공 - 구포역 - 서부터미널 - 엄궁삼거리 - 엄궁농산물시장 노선으로 신설했다. 현재 운행중인 148-1번이랑 거의 같은 형태였다.

  • 1998년 금곡동 - 화명주공 - 덕천교차로 - 신만덕 - 동래역 - 온천장 - 부산대 - 장전역 노선으로 탈바꿈하였다. # 삼진여객 4대, 대도운수 2대, 국제여객 2대로 20분 간격으로 운행하였다. 여담으로 같은 시기에 120번도 만덕주공아파트에서 사직운동장으로 연장되었다.

  • 하지만 금곡동으로 기점을 옮기면서 대도운수는 차고지 주박 문제로, 국제여객은 적자를 이유로 이 노선에서 모두 철수하였다. 이후 한동안 삼진여객에서만 4대가 40분 간격으로 운행을 했으나 덕천동, 만덕에서 도시철도를 타고 가는 것보다 이 버스를 타고 동래, 부산대로 가는게 더 빠르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급기야 시간에 맞춰 121번 버스를 기다리는 상황이 발생되었다. 2003년도에 자사노선 구.132번이 여러 가지 악재가 들이닥치면서 폐선되고 해당 잉여차량들이 모두 이 노선으로 넘어오면서 배차간격이 15분까지 줄어들어 탄력적인 운행이 가능해졌고 그에 따라 수요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었다.

  • 2004년 삼진여객 계열사인 성보버스[2]가 이 노선에 공동배차로 참여하였으나, 2006년초에 성보버스가 삼진여객에 흡수합병되면서 다시 삼진여객 단독배차로 바뀌었다.

  • 2005년 미남교차로로 가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며 부산시의 도시철도 이용 장려정책으로 이 노선은 철저히 희생양이 되었고 결국 준공영제 대개편 때 인가대수를 8대에서 6대로 2대 감차시켜 25분 간격이 되었다. 준공영제 대개편과 동시에 성원여객이 이 노선 공동배차에 참여하였지만 기존 삼진여객 8대 중에서 2대는 111-2번(현.111번) 증차분으로 넘어가고 또다른 2대는 예비차로 내려가 총 인가대수는 6대(삼진여객 4대, 성원여객 2대)로 감차된 것이다. 성원여객 121번 모습

  • 2010년 12월 14일 성원여객이 신설노선 126-1번(현.1009번) 공동배차에 참여함에 따라 이 노선에서 철수하였고, 이 노선도 다시 삼진여객 단독배차로 바뀌었다. 111번 초저상버스 2대를 감차해 이 노선에 투입하여 2대의 공백을 채웠다.

4. 특징[편집]


  • 배차간격이 20분을 넘는데, 환승대기시간은 60분이 아니다.[3]

  • 15분 배차간격으로 다닐 때만 해도 금곡동이나 화명동 등지에서 동래구로 갈 때 북구 지역 거주 부산대 학생들에게는 한 줄기의 빛과 같았던 알짜배기 노선이었다. 전체적으로 수요가 상당히 많았으나 2007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때 중복 노선인 구.130-1번의 형간전환과 부산시의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개통에 따른 이용장려 정책으로 이 노선에 대량감차가 이루어지고 나서부터 몰락했다. 실제로 답 없는 배차간격 때문에 대다수의 수요가 111번으로 이탈했으며, 일부는 만덕대로의 교통체증으로 인해 금정1번 마을버스를 이용한 뒤 금성동에서 203번으로 환승해서 금정산을 타고 넘어가는 쪽으로 이탈하기도 했다. 2019년도 이후에는 110번, 111-1번에게 장거리 수요를 상당수 빼앗긴 상황이다.

  • 한편 금곡동 - 화신아파트(만덕2터널입구) 구간은 111번과 똑같이 달리고 심지어 148-1번과도 덕천역 - 부산대정문 구간은 덕천동. 온천동 지역의 일부 구간만 제외하면 노선이 거의 겹친다.[4] 이처럼 다른 버스와 서로 겹치는 운행 구간이 많지만, 덕천역 - 부산대정문 간 노선이 비슷한 148-1번은 평일 기준 14~18분 간격 배차라서[5] 그 사이에 시민들이 이용한다. 덕천역 - 부산대정문 구간에서 서로 서브해가면서 운행한다고 보면 된다.[6]

  • 구서동 이북으로 갈 사람들은 이 버스를 이용하기보다는 양산 23번을 이용한 뒤 다방교에서 양산 12번으로 환승하는 것이 더 빠르다. 부산대 쪽으로 갈 때도 극동아파트(남양산IC)에서 양산 1200번으로 환승해서 갈 수도 있지만 요금이 비싼데다 양산 직행좌석 배차간격도 긴 편에 속하여 차라리 121번을 타는게 더 좋기도 하다. 아니면 300번을 타고 가거나[7] 111-1번을 타고 장전초등학교에서 29번, 49번, 51번, 80번, 131번, 300번, 301번, 양산 16번[8]으로 환승하면 더욱 빠르게 갈 수 있다.

  •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이 개통되어 도시철도 노선들과 상당히 많이 중복이 되나[9] 일일이 갈아타야 되기 때문에 도시철도 환승을 하기 싫은 사람들이 꾸준히 이용하고 있다.

  • 운송수입금이 승객 수에 비해 상당히 높은 노선이다. 이는 도시철도의 환승저항이 한 몫 하기 때문이며 1일 대당 운송수입금은 약 48~49만원 정도 한다. 그러나 1일 평균 총 승객 수는 3,000명으로 굉장히 저조하다.[10] 거기다 2018년 6~7월에 대당 수입금이 44만원으로 줄어들었다가 11월에는 대당 41만원을 기록하였다.

  • 증차 요구가 지금도 가끔 나오고 있으나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선형으로 인하여 증차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11] 그리고 산성터널이 개통되고 이를 통과하는 300번111-1번이 개통된 현 시점에서는 이 노선의 증차요구가 싹 사라진 수준이다.

  • 여담으로 주말.공휴일에는 감차를 하지 않지만 명절에는 감차운행을 한다. 그때는 무려 3대로만 운행을 하게 되다보니 배차간격이 2배 이상 벌어진다.[12]

  • 이 노선은 배차간격이 25분이나 되는데도 환승 대기시간 1시간 적용 노선이 아니다. 부산 도시철도의 영향도 있겠지만 덕천이나 동래에서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면 부산대로 갈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13] 따라서 덕천역이나 신만덕일대에서 이 노선을 눈앞에서 놓쳐버리면 기다리지 말고 110번 혹은 148-1번[14]을 타면 된다.

  • 여러모로 미래가 어두운 노선인데 300번이 개통하여 수요가 감소한 면이 적잖은데 산성터널을 통과해 북구와 금정구를 빠르게 이어주는 특성상 만덕터널로 빙 둘러가는 121번은 이동 소요시간 면에서 확실히 밀린다.[15] 2018년 11월에는 결국 일일 평균 승객 수가 대당 2,644명으로 예전보다 더 줄어들었다. 2019년 1월 26일에 111번 노선의 국제여객 소속 차량이 전면 철수하고 111-1번이 개통하여 수요가 상당수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111-1번의 경우 금곡동과 화명동[16]에서 산성터널을 통과하여 부산대학교와 온천장,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동래역 지역을 최단거리로 이어주는 노선이다. 그리고 2019년 4월 기준으로 정말로 해당 수요를 거의 다 111-1번에게 빼앗긴 상황이며 111-1번 수요는 현재도 늘고 있다. 그나마 메리트로 볼 수 있었던 덕천역~신만덕~부산대 행 수요 또한 2023년 현재, 2019년도 2월 2일에 장전역까지 연장된 110번의 하위호환 노선으로 전락되어 존재감이 희미해졌다. 커뮤니티에서는 잉여노선으로 취급받는 실정이며 이 노선의 존폐위기까지 거론되고 있다.[17] 결국 도시철도 중심 버스노선 전면개편 용역에서 이 노선의 폐선안이 올라왔다.[18]

  • 그러나 금곡동 ~ 덕천역 구간을 운행하는 111번이 대량감차를 당한 여파로 전체적으로 감차 없이 운행되고 있다. 2019년 3월 기준으로 1일 승객 수는 2,627명이고 대당 운송수입금은 여전히 40만원대를 유지 중이었다.

4.1. 기타 사건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18년 11월 9일에 덕천동 숙등역 버스 정류장 앞에서 버스기사가 뇌경색으로 의식을 잃으면서 앞에 있던 화물차를 들이받은 사고가 일어났다. # 다행히 서행 중 일어난 사고라서 타고 있던 승객 6명은 별다른 부상을 입지 않았고 화물차 기사가 상처를 입은 것에 그쳤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9년
2652.57

2020년
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
2046.57
▽ 606
2022년
2144.71
△ 98.14


4.3.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2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금정로

▲ 금정초등학교
수림로
온천장로
장전동어린이놀이터 ▼
▲ 온천장
금강로
차밭골로
구 온천시장 ▼
▲ 구 온천시장
차밭골로
금강로
명륜동역 ▼
▲ 전자공고
온천장로
동래로
롯데백화점동래점 ▼
▲ 롯데백화점동래점(명륜역)
중앙대로
동래럭키아파트 ▼
▲ 동래역
충렬대로

▲ 화신아파트
만덕대로
만덕삼성아파트(만덕역) ▼
▲ 만덕역.만덕교차로
만덕2로
동문굿모닝힐아파트 ▼
▲ 만덕2동주민센터
덕천로
이노비즈센터 ▼
▲ 만덕그린코아
만덕3로
남산정역 ▼
▲ 이노비즈센터
만덕대로
덕천교차로 ▼
▲ 덕천역
금곡대로
금곡주공5단지 ▼
▲ 율리역
금곡대로470번길
금곡주공4단지후문 ▼
▲ 금곡주공5단지
효열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부산캠퍼스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교내 진입
마을
금정7
부산대정문, 부산대후문, 부산대역 정류소
급행
1002(심야)
1008
좌석
203
일반
29
49
51
77
80
100
100-1
110
110-1
111-1
121
131
144
148-1
183
301
마을
금정5-1
양산시
11
12
16
1100
1200
1300
1500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46:10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2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985년에 대진버스에서 인수[2] 태영버스 화명동/구룡사 노선들(59-1번, 126번, 구.159번)이 삼진여객에 인수되어 성보버스로 사명이 변경되었다.[3] 88번, 139번, 148-1번, 강서9-1번 등도 똑같은 케이스다. 한때 83-1번, 124번, 300번, 301번, 307번, 1006번도 있었으나, 현재는 환승대기시간 60분이 적용되었다.[4] 단 121번은 숙등역 - 남산정역 - 이노비즈센터를 경유하기 때문에 148-1번과는 신만덕 구간이 서로 다르다.[5] 같은 형태의 노선이었던 130번2015년 11월 28일폐선되었다.[6] 인가대수는 148-1번이 2배가량 더 많지만 노선이 너무 길어 배차간격도 길다.[7] 구포시장에서 회차하기에 금곡동에서 출발한다면 111-1번을 타고 장전초등학교에서 환승하는 편이 낫다.[8] 양산 16번은 요금이 약간 더 비싸니 참고.[9] 4호선이 개통되면서 부산 도시철도 모든 노선과 환승이 가능한 시내버스 노선 중에서 하나가 되었다. 다만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이 개통하면 이 기록은 깨질 예정이다.[10] 1일 평균 총 승객수가 비슷한 노선으로는 115번이 있다. 비슷하게 승객수 대비 운송수입금이 높은 노선으로는 1009번이 있는데 1,000명 정도밖에 안타는 이 노선의 운송수입금은 20만원 중반대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1011번은 이보다 3배나 많은 3,000명 정도 타는데도 환승수요가 주를 이루어서 수입금은 1009번과 큰 차이가 없다. 반면에 1일 총 승객 수가 이 노선보다 약 4~5배가 더 많으면서도 대당 운송수입금이 적은 노선들도 존재한다.[11] 정확히는 삼진여객이 다른 노선에서 빼올 차량이 없다보니 증차시키지 못하고 있다. 59번의 경우 수요가 적으나 노선의 운행거리에 비해 인가대수가 부족하여 한 대라도 빠졌다간 배차간격이 바로 벌어진다.[12] 무려 55분까지 벌어진 적이 있다.[13] 이와 비슷한 노선으로 88번, 139번, 148-1번이 있다. 실제로 이보다 배차간격이 짧은 1008번이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이다! 그리고 이 노선과 똑같은 배차간격(25~30분)인 37번, 38번, 115번, 1011번도 환승대기시간이 1시간이다.[14] 다만 이 노선은 덕천3동을 경유한다.[15] 비록 300번이 부산대학교를 경유하지는 않고 300번의 장전역 정류장이 다소 애매한 위치에 있다보니 환승저항이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장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29번, 49번, 51번, 80번, 131번, 301번 중 아무 노선으로 환승하거나 또다른 장전역 정류장(11-071)에서 회차하는 으로 환승해서 가도 121번을 타고 가는거보다 훨씬 빠른 시간내에 부산대에 도착 할 수 있다.(다만 100번의 경우에는 장거리 노선인 점 때문에 장전동에서 휴식 후 출발한다.) 와석교차로 기준으로 300번을 이용하면 장전초등학교 정류장까지 신호대기를 포함해도 10분~15분밖에 걸리지 않지만 이 노선을 타면 신호대기와 만덕2터널~내성교차로 간 교통체증을 포함하면 40~50분 이상 걸린다.[16] 단, 화명역 이남-덕천교차로 구간은 이 노선이 유일하게 부산대, 동래를 잇는다.[17] 일각에서는 폐선이 이루어지면 남는 차량 6대를 111번에 모조리 투입시키자는 제안도 나오고 있고 많은 지지를 얻고 있다. 111번이 111-1번 신설로 인해 배차간격이 2배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2019년 하반기에 간선, 지선 체계가 마련될 예정인데 이때 도시철도와 중복되는 노선은 정리될 예정이라 도시철도와 90%가 겹치는 이 노선은 더더욱 위험한 상황. 2019년도 지나가고 2020년인 현재는 간선,지선체계를 안하고 있다.[18] 다만 심의에는 상정되지 않은 것인지 2021년 노선 개편 시안에는 올라오지 않았다.[19] 장전역행만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