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40

최근 편집일시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2015년 부산역 ~ 구덕운동장 구간 철수 논란
4.2. 이용 시 유의할 점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40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서구 동대신동3가(구덕운동장)
종점

첫차
04:40
기점

첫차
06:20
막차
21:50
막차
23:30
평일배차
출퇴근 8분 / 평시 12분
주말배차
토요일 12분 / 공휴일 13분
운수사명
부일여객
인가대수
24대[주말]
노선
청강리공영차고지 - 내리 - 동해선 송정역 - 송정터널 - 부흥고·해운대백병원 - 대림1.3차아파트 - 해운대고등학교[단독]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 우일시장[단독] - 해운대관광고등학교[단독] - 신동아아파트[단독] - 동백역 - 센텀시티역·BEXCO - 수영교차로·수영역 - 광안역 - 금련산역 - 대남교차로.남천역 - 경성대학교 - 남구청·못골역 - 문현교차로 - (→ 부산진성공원 →/← 자유시장 ← 범일역 ←) - 부산진시장 - 부산진역 - 부산역 - 중앙역 - 국제시장 - 동아대부민캠퍼스 - 서부교회 → 대신중학교구덕운동장부경고교 → 서대시장·동대신역 → 서부교회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3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1960년대 당시에는 해운대 - 수비삼거리 - 수영교차로 - 광안리 - 대연동 - 문현동 - 부산진시장 - 부산역 - 대청동 - 법원.검찰청[1] - 공설운동장[2]을 운행했다.

  • 1980년대 후반 기존노선에서 운촌 - 해운대여상[3] - 우일시장 - 해운대로 변경되었다.

  • 1990년대 초까지는 우진서비스 본사[4]에서 출발했다. 40번 외에도 당시 이 곳에서 출발한 노선들은 구.5번, 38번, 39번[5], 구.240번[6] 등이 있었다.

  • 1996년 4월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었으나 대중교통 불편민원이 끊이질 않자 1996년말에 우진서비스가 본사를 좌동으로 옮기면서 기존노선에서 - 해운대고 - 53사단 - 북좌동을 경유하여 좌동까지 연장했다. 이후 노선의 큰 틀은 변하지 않고 노선의 중간중간만 자잘하게 변화했다.

  • 2009년 2월 1일 부산진시장을 경유해 국제호텔로 우회하게 되었다.


  • 2014년 7월 26일 구덕운동장 종점 부근에서 회차하던 것이 16번처럼 구덕운동장 주변을 한바퀴 빙 돌며 회차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7] 회차는 동대신역 → 구덕운동장 → 대신중학교 → 부경고등학교 → 서대신역 → 동대신 역순으로 회차한다.

  • 2016년 12월 17일 인가대수 2대가 감차되어 1001번 증차분으로 넘어갔다.[8] 이로서 평균 배차간격이 10분을 넘어가게 되어 승객들의 불편이 가중되었다

  • 2017년 3월 25일 조방앞 친구의 거리 조성사업으로 청강리 방향으로 자유시장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8년 11월 청강리 방향은 그 동안 미정차했던 대연동제일은행 정류장[9]에 정차하게 되었다.

4. 특징[편집]


  • 구.해운대역 북쪽 주민들의 발이자 부일여객의 준 간판 노선이다.

  • 노선 전체의 선형만 놓고 보면 1003번의 염가판 노선이다.

  •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과 2호선 개통으로 인해 수많은 해운대 노선들이 통합/변경/폐선되는 등의 큰 변화를 겪었지만 40번은 인지도 덕택에 31번, 63번 등과 함께 살아남았다. 31번은 해운대에서 출발하는 노선 중에서 유일하게 30년 이상 노선과 번호가 유지되고 있는 노선으로 남아 있다. 변화 속에서도 이 노선이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던 이유는 해운대역 북쪽 지역의 수요 때문이다. 이 쪽에 위치한 정류장은 6개(청강리 방면은 5개이다) 뿐이지만 보수동과 대청동, 부산역 쪽에서 이 곳으로 올 수 있는 유일무이한 대중교통 수단인 덕에 늘 수요가 많다. 출퇴근 시간대가 아닌 평시 기준으로 보통 보수동 책방골목부터 해운대관광고등학교까지 서서 가는 승객이 생긴다. 즉, 노선 거의 대부분에서 서서 가는 승객이 생긴다. 관광고에서 1/3 정도가 하차하기 때문에 이후로는 한산한 편.

  • 반대로 해운대에서 청강리공영차고지로 기점이 옮겨진 이후 이 노선 초반부에서 여객수요가 가장 높은 정류장인 해운대관광고등학교 정류장에서는 좌석에 앉아서 갈 가능성이 더 줄어들어 버렸다. 이게 그나마 옛날보다는 많이 나아진 것이다. 2호선이 없던 시절이라 승객은 훨씬 많은데 비해 지금은 왕복 6~8차로. 넓으면 왕복 10차로인 도로들 대부분이 왕복 2차로이었던 터라 교통 체증도 심했기 때문이다.

  • 이 노선은 27번41번, 139번등 서로 견제하며 운행하는 사이였는데 2012년 5월 청강리 사태로 인한 139번의 어이없는 노선단축으로 인해 수요분담 노선이 하나 줄어 27번, 41번과 더불어 수영로에서 부산역 일대로 가는 수요가 상당수 늘었으며 수영로에서 이 노선이나 27번, 41번을 이용하려 하면 이미 콩나물시루가 된 상태로 차가 와있기 때문에 탑승하기 곤란한 상황까지 발생할 때도 있다. 심지어 요금이 비싼 급행노선인 1003번도 과수요현상이 발생하였으며, 환승저항을 감수하고 영도로 들어가서 1006번 혹은 1011번을 타는 경우도 있다.

  • BRT 개통 이전엔 부산역 이남으로 가는 입석버스들이 대부분 고관입구로 들어갔다 나왔기에 중앙대로로 다이렉트하게 쏴주는 이 노선과 41번이 이용객들의 선호도가 굉장히 높았으며 이동 소요시간이 상당히 단축되었다. 급행노선인 1004번마저 중앙대로로 바로 가지 못하고 고관입구로 둘러갔던지라 더더욱 이 노선이 부각됐었다. 그러나 BRT 개통이후엔 죄다 중앙대로로 가면서 다른 노선들과 소요시간 차이가 없게 되었다.

  • 해운대 신시가지에서 부산역 이남으로 내려가는 유일한 입석버스 노선이다. 해운대구 전체로 치면 5-1번, 43번도 부산역까지 간다.[10]

  • 63번의 서면교차로 단축 이후 부산진시장, 범일역에서 유일하게 해운대 신시가지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 되어 중요성이 특히 부각되었다.[11]

  • 대청로 국제시장 일대 40번, 81번 정류장 추가 정차 민원이 끊임없이 나왔었다. 40번은 보수사거리 ~ 국제시장 ~ 중앙동 정류장에 정차를 했으나 현재는 보수사거리 ~ 보수동책방골목 ~ 국제시장[12] ~ 백산기념관.영화체험박물관 ~ 중앙동(중앙역) 정차로 늘어났다.

  • 보수동책방골목 정류장은 신설 당시 국제시장 방향으로만 설치가 되었었다. 당시 명칭은 보수사거리로 구.135번 전용 정류장으로 사용 했었다. 주민들과 부평시장 상인들은 이 곳 정류장에도 40번과 81번도 정차를 강력하게 요구했었고 결국 두 노선이 추가 정차하게 되었다. 이후 구덕운동장 방향 정류장을 신설하여 보수동책방골목을 양방향 정차하게 되었다.
  • 국제시장 정류장은 대청로 일대 정류장 민원 중 가장 많이 나왔던 곳이다. 청강리 방향으로 국제시장 단독 정류소 정차 후 다음 정류장인 중앙동(중앙역) 정류장에 정차를 했었으나, 지속적인 국제시장 정류장 민원으로 인해 청강리행 운행 시 국제시장에 두 차례 정차하는데 처음엔 86번과 186번이 정차하는 정류소 근처에 있는 단독 정류소에 정차하고 두 번째로 81번이 정차하는 정류소에 정차한다.[13] 이 두 정류소는 아주 가깝기 때문에 편하게 앉아서 가려면 조금 걸어와서 첫 번째 국제시장 정류소에서 승차하는 편이 낫다. 반대로 같은 구간을 운행하는 81번은 한 번만 정차한다. 그만큼 국제시장 일대에서 이 노선의 이용객이 많다는 증거이다. 구덕운동장 방향 국제시장 정류장은 승차보다는 하차하는 이용객이 워낙 많다보니 81번이 정차하는 정류소와 40번이 정차하는 정류소가 따로 떨어져 있다. 그래서 두 개의 단독 정류장을 하나로 통합하려고 했으나 주민들의 강력한 반발로 무산됐다.[14]

  • 백산기념관.영화체험박물관 정류장 정차도 민원 때문에 정차하게 되었다. 정차하기 이전 중앙동(중앙역) ~ 국제시장 정류장 사이 거리는 약 900m다. 승객들은 간격이 길다보니 두 정류장 중간지점에도 정류장 정차를 지속적으로 요청하여 구덕운동장 방향에 한해 40번과 81번이 제일은행앞 정류장에 정차하게 되었다. 하지만 반대방향인 대청로에서 중앙역 방면으로 좌회전하는데 차선 변경 및 교통 혼잡의 우려로 정차를 하지 않았으나 수 차례 현장답사 결과 정차가 가능할 것이라는 답변이 나와서 그동안 정차 민원이 많았던 연제공용차고지 방면 백산기념관.영화체험박물관 정류장에 정차할 수 있게 되었다. 아니나 다를까 백산기념관.영화체험박물관 정류장에 정차하자마자 승객이 더욱 늘어났다.[15] 그러나 차선 변경에 따른 혼잡으로 인한 지속적인 민원으로 인해 두 개의 노선 중 정류장 간격이 촘촘한 40번만 7월부터 청강리 방향에 한해 미정차로 변경되었다. 어차피 이 노선보다 배차간격이 훨씬 좋은 81번이 정차해주니 이 노선은 굳이 정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 대청로 구간이 교통체증으로 배차간격이 벌어지는 데 비해 해운대 구간은 이와는 반대의 이유로 배차간격이 벌어진다. 이유인 즉슨 다음과 같다. 해운대 구간의 경우 40번에서 가장 수요가 잘 나오는 구간이라고 할 수 있는 해운대고교~건널목삼거리~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우일시장~공작맨션~해운대관광고등학교~우일치안센터~아림비치맨션~신동아아파트 구간이 버티고 있다. 이 구간은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들 중에 오직 40번만 단독으로 운행하는 구간이며 이 구간에 놓여있는 주요 중·고등학교만 해도 해운대고등학교, 해운대중학교, 해운대여자중학교, 해운대여자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로 총 6개 학교가 고작 8개 정류장 사이에 놓여 있다. 덕분에 중·고등학교의 등하교 시간대인 오전 7~9시 및 오후 3~5시 사이의 40번 버스는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중 자타공인 최강의 통학버스 노선인 68번에 버금가는 수준의 가축수송을 자랑한다.

  • 2012년 5월 30일에 139번이 변경되면서 사실상 139번의 대체노선이 되었다. 수요는 물론이고 이 일대에서는 중요성이 매우 커졌다. 다만 이 노선은 139번과 달리 해운대역을 거치지 않으며, 남포동도 직접적으로 이어주지 못한다.[16] 센텀시티역에서부터 중앙동까지는 139번과도 노선이 거의 똑같다 봐도 무방하다.

  • 동아대학교 부민캠퍼스랑 동대신교차로를 지나 구덕운동장을 크게 순환한 뒤 부경고등학교부산서부경찰서를 지나 다시 동대신교차로 방면으로 회차한다. 따라서 서부경찰서에서 구덕운동장으로 갈 경우, 다른 노선을 타는 것이 좋다.[17]

  • 과거 109번의 친척 노선이 이 노선이었으며 2006년 폐선 직전에는 영도 구간을 제외하면 40번과 동일한 경로로 다녔다. 109번은 아주 잘 나가던 노선이었는데[18] 승객 수가 줄어들면서 2002년 이후부터 서서히 감차되더니 폐선 직전에는 90분 간격에 2대로 운행하였다. 그러다 2015년 11월에 해상순환 급행버스 1011번이 개통되는데, 전혀 관련없는 노선이긴 하지만 사실상 구.109번을 변형시켜서 부활한 거나 마찬가지. 그러나 영도에서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자 부산항대교 입구에서는 전혀 타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결국 1006번이 신설되었다. 그러나 애매한 회차지로 인해 저조한 수요를 보이다가 2019년 7월 13일에 해운대역으로 연장, 2020년 12월 31일에는 신해운대역으로 연장되면서 1006번은 영도 ↔ 해운대 수요, 1011번은 동부산 ↔ 서부산 장거리수요( + 영도 ↔ 강서구 수요 및 58-1번 단축에 따른 대체수요)로 양분되면서 109번의 역사를 1006번이 기/종점 순서와 운수회사를 바꿔서 계승하는 모양새가 되었다. 실제로 폐선 직전 109번 노선과 비슷한데, 영도 깊숙히 들어가고 해안순환도로를 이용하는 것, 그리고 북좌동 내에서의 구간 차이다.

  • 최근 40번을 이용한 버스전용차로 단속이 시작되었다. 총 1대다.[19]

  • 2016년 1월 통계에서는 청강리공영차고지 출발 노선 중에서 1001번 다음으로 운송수입금이 높았다. 하지만 승객수는 2016년 기준으로 40번이 약 1만3천명으로 많다. 다만 장거리 노선인탓에 2018년 11월 통계에서 대당 46만원을 기록하였다.

  • 신동아아파트와 우일시장 사이에 굴곡구간이 있는데 이 구간은 도로까지 좁다. 문제는 해운대터미널로 들어가는 시외버스들이 이 도로에 진입하여 박차장에서 종착한다는 것. 박차장이 우일시장 뒤에 있는데 이거 때문에 40번끼리 교행하다 보면 터미널을 앞두고 속이 뒤집힐 정도로 시간을 꽤 잡아먹는다. 그래서인지 이 코스 대신 옛 스펀지 앞에서 하차시키고 운행을 끝내는 시외버스 차량들도 있다.

  • 편도소요시간이 굉장히 긴 편인데, 초장거리 노선인데다 신시가지 구간의 굴곡, 수영로, 부산진시장, 7번국도, 국제시장 부근등 정체구간을 많이통과하는 지라 전 구간 주파시 1시간 40분~2시간 정도 소요되는 편이다.

  • 중앙대로 BRT 2단계 공사기간동안 큰 피해를 입었던 노선들 중에 하나였다. 1단계 구간과 다르게 우회도로가 존재하지 않아 대청로 보수동~중앙동, 중앙대로 중앙동~좌천동, 자성로 좌천동, 범일로 부산진시장 구간으로 차량정체가 매일 발생하여 배차간격이 자주 엉망이 되어 차내 혼잡도가 극에 달했다.[20] 출퇴근과 평상시에는 정체현상이 심하면 평균 15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가장 심각할 때에는 20분~3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하는 경우도 간혹 발생하였다. 다행히 2021년 12월 20일 공사완료 이후 2단계 구간이 전면 개통하여 이러한 현상은 말끔히 해소되었다.

  • 이 노선에 2030 부산월드엑스포 버스가 5대 랩핑되어 있다.

4.1. 2015년 부산역 ~ 구덕운동장 구간 철수 논란[편집]


  • 본디 차고지행 노선은 자성대교차로 → 범일교차로 운행 시 자성로로 직진했었지만 2009년부터 부산진시장을 지나 국제호텔을 거쳐 범일교차로로 가게 되었다. 때문에 안 그래도 혼잡한 노선이 훨씬 더 혼잡하게 되었다. 부산진시장 인근 자성대에 63번도 있었지만 초읍으로 돌아가기 때문에 40번으로 많이 몰리기 때문. 그리고 지금 63번은 자성대로 가지도 않는다. 이때문에 지역주민, 통학생, 출퇴근 회사원들은 정말 고통스럽다. 이 구간을 바로 직진통과하는 41번에 비해 최소 5분에서 서면방향 정체에 제대로 걸리면 20분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2015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 보기 · 닫기 ]
신설
124
168
185
187
1005
1011




폐지
130
135



연장
66
128-1
189
190

단축
2
40
46
58-1
63
148-1
200



변경
36
100
107
123
184
333
520



단순변경
88
115-1
155
189-1

형간 전환
1007 107
58-1 (좌석 → 입석)

번호 변경
5-1 → 5
128-1 → 128
129-1 → 129
통합
9 + 9-1 → 9
청록색 바탕은 개편이 단행되지 않은 노선



  • 2015년 제3차 시내버스노선 조정에서 '부산역 - 구덕운동장' 구간이 단축되는 안건이 나왔었다. 만약 이걸 강행했다면 대청로 전 구간을 양방향 경유하는 노선이 81번이 유일할 뻔 했다.[21]

  • 40번이 부산역으로 단축된다는 안건이 나왔을 때 "부산시에 바란다" 자유게시판에도 거세게 항의하는 글이 많이 올라왔다. 서구, 중구와 해운대구를 한 번에 이어주는 노선이 사라지는 건 둘째치더라도[22] 대청로와 동아대부민캠퍼스, 국제시장에서 중앙동, 부산역으로 가거나 중앙역에서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단거리 수요[23]가 상당히 많고 이 노선이 사라질 경우 81번의 혼잡도가 매우 심각해지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24] 아무리 서구에서 해운대구로 갈 때 급행버스인 1001번[25], 1003번[26]과 도시철도를 선호한다고 해도 40번은 단거리 수요가 특히 많았던 점도 크게 작용한다. 특히 대청동-중앙동/부산역 구간의 단거리 수요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7]

  • 그러나 40번의 단축 소식을 들은 국제시장, 부평시장 등의 시장상인회를 포함한 높으신 분들, 동아대부민캠퍼스, 부민동 대신동, 대청동, 보수동 거주민 등에서 반발했고 중구청 교통과에서도 이 의견들을 부산시 교통과에 전달하면서 노선단축 보류를 요청했다. 부산시에서도 이 의견들을 수용하여 급하게 대체노선을 찾아봤지만 결국 대체노선을 확보하지 못해 개편일 3일 전인 12월 24일 밤에 돌연 노선 단축을 보류하는 최악의 사태가 일어나고 말았다. 때문에 12월 25일에 버스조합도 정류장에 붙이는 스티커를 다시 제작해 청강리공영차고지 - 구덕운동장 구간에 있는 모든 버스정류장에 부랴부랴 부착하고 버스정류장에 있는 노선개편 안내문에도 40번에는 매직으로 'X'를 쳐놓았으며 부일여객도 40번 소속 모든 버스 스티커와 버스 안 노선도까지 재교체를 하여 예산 낭비와 수고로움이 컸다. 아(...) 진짜 크리스마스날까지 못쉬고 나와서 일하게 만드네ㅠㅠㅠ 2014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다른 노선을 무리하게 단축시키려 했다가 항의가 들어오자 개편을 며칠 앞두고 철회시켰는데, 결국 1년 여만인 이 개편 때 이 노선에서 파장이 큰 사태가 일어나고 말았다. 심지어 담당관도 똑같은 사람이다(...). 현장답사가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해주는 대목. 윤 모씨가 얼마나 무능한지 다시 한 번 보여주는 사례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잘 다니고 있는 노선은 처음부터 절대 함부로 건드리지 말아야 한다는 교훈을 남기고 현장답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알게 해 주기까지 하였다. 예상대로 개편일부터 많은 시민들 사이에서 혼란이 있었고, 심지어 아무 잘못도 없는 승무원에게 욕설과 항의를 하는 사태까지 벌어졌다.[28] 또한 사건은 더 커졌다. 2015년 12월 28일에 부산일보에 40번 노선 단축 보류와 관련된 부산시의 안일한 행정에 대해 비판하는 기사가 나왔다.

  • 2016년과 2017년 노선개편에 40번 노선단축사항이 아예 포함되지 않았다. 2016년 2월에 원래 40번 단축을 계획하였던 윤 모씨가 다른 팀으로 갔고[29] 안 모씨가 노선업무를 맡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도 40번의 노선 변경은 노선개편에 포함되지 않고 있는데, 아예 노선단축이 전면 철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인사이동 후에도 40번 노선의 단축은 계속 검토되었고 국제시장, 부평시장 구간을 86번 노선을 조정하여 대체하려고 했었으나 이 사안도 40번 노선의 부산역 - 구덕운동장 구간 대체를 전혀 할 수 없는 조정안이다. 이 이유 때문에 노선단축 계획이 무산된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시점으로 대청로 연선에서는 81번보다 40번의 이용률이 더 높은데 부산역까지의 단축이 안된 것이 정말 천만다행이다.


4.2. 이용 시 유의할 점[편집]


이 노선은 타 노선들과는 달리 유일하게 해운대역으로 가지 않고 우1동 단독구간으로 운행한다. 따라서 해운대해수욕장으로 갈 목적인 승객들은 이 노선을 이용하면 안된다. 부산을 방문한 외지 사람들이 부산역에서 해운대해수욕장으로 가려고 1001번이나 1003번 대신 이 노선을 타는 사람들이 있는데 바로 이전 운촌 정류장에서 하차하여 걸어가거나 도중에 해운대로 가는 타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30] 아니면 우1동 안동네에 들어갈 때 신동아아파트에서 하차한 후 걸어가거나, 우1동 안동네를 완주한 후 옛 스펀지 정류장에서 내려도 된다. 다만 우1동 안동네의 경우 왕복 1.5차로의 좁은 도로라 빠른 운행이 힘들어 이동소요시간을 많이 잡아먹기에 추천하지는 않는다.

구덕운동장에서 한바퀴 순환하며 편도로 회차하는데 이로서 구덕운동장(부산대신중학교) 안쪽과 동아대학교병원 맞은편 정류장에서도 40번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동아대병원으로 가는 것이 목적이라면 도중에 다른 노선으로 갈아타는 편이 더욱 낫다. 구덕운동장으로 빙 둘러서 갈 뿐더러 회차지점이라 휴식을 위해 일정 시간 정차하기 때문. 승무원도 동아대병원 가려면 15번이나 67번으로 갈아타라고 알려준다. 바로 앞에 세워주는 15번이나 67번 81번을 이용하자.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 재구성된 자료이므로, 계산 및 산출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15171.29

2015년
14649.86
▽ 521.43
2016년
13745.00
▽ 904.86
2017년
12707.71
▽ 1037.29
2018년
12095.00
▽ 612.71
2019년
11711.00
▽ 384.00


4.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40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구덕로

구덕로
망양로

꽃마을로
대신중학교 ▼
대신로
구덕운동장 ▼
보수대로
부경고교 ▼
망양로
서대신역.서부경찰서 ▼
대영로
동아대부민캠퍼스 ▼
구덕로
영락교회 ▼
▲ 동아대부민캠퍼스
대청로
중앙동(중앙역) ▼
▲ 제일은행앞
중앙대로

▲ 부산진역
자성로
부산진시장 ▼

범일로
자유시장 ▼
▲ 부산진시장
조방로
자성공원로

▲ 자성대
자성로
문현교차로 ▼

수영로
신세계센텀시티 ▼
▲ 수영현대아파트(민락역)
센텀남대로

▲ 센텀시티역 벡스코
해운대로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 ▼
해운대로
APEC로
올림픽교차로 ▼
해운대로
신동아아파트 ▼
▲ 운촌
우동1로

▲ 해운대관광고등학교
우동2로
공작맨션 ▼

우동1로20번가길
우일시장 ▼
▲ 공작맨션
우동1로20번길

▲ 우일시장
우동2로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

해운대로

▲ 해운대구청어귀삼거리
우동3로
건널목삼거리 ▼
▲ 건널목삼거리
우동3로11번길

▲ 해운대고교
우동3로
부대앞 ▼

대천로67번길
양운초등학교 ▼
▲ 부대앞
좌동순환로
대우2차아파트 ▼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로
내리 ▼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동아대학교 엠블럼.jpg 동아대학교 경유버스
[ 펼치기 · 접기 ]
승학캠퍼스
급행
1001
1005
일반
2
16
68
123
126
138
168
338
마을
사하10[A]
구덕캠퍼스(동아대학교병원)
일반
8[C]
15[C]
16[B][C]
40[B][C]
67[C]
81[B][C]
161[C]
167[B][D]
190[B][D]
마을
서구1[B][C]
서구3[B][C]
서구3-1[B][C]
서구5[A]
중구1[D]
부민캠퍼스
일반
15
16
40
70
81
123
126[B]
161
190
[A] 교내 진입 / [B] 단방향 경유 / [C] 동아대병원입구/구덕운동장 정류소 / [D] 동아대병원 정류소



파일:pukyoung_logo.png 부경대학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대연캠퍼스
급행
1001[A]
1003[A]
1006[B]
1011[B]
일반
10
20
22
24
27
39
40[A]
41[A]
42[A]
51[A]
83[A]
83-1[A]
108[A]
131
155
마을
남구1[A]
남구2
남구10
용당캠퍼스
급행
1006[C]
1011[C]
일반
10
68
134
138
138-1
155
583
마을
남구10 (교내 진입)
{{{#053863,#bdd7fb

[A] 경성대, 부경대역 정류장 정차.

[B] LG메트로시티, 남부면허시험장 정류장 정차 (해안순환도로).

[C] 동명대학교후문 정류장 정차 (해안순환도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3:56:15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4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23대 / 공휴일 22대 운행[단독] A B C D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1] 현 동아대부민캠퍼스[2] 현 구덕운동장[3] 현 해운대관광고교[4] 현 해운대센트럴푸르지오[5] 당시 노선은 지금과 달리 2012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 이전의 139번과 유사[6] 현.1001번[7] 승무원이 휴식을 위해 회차지에서 몇 분 동안 정차하곤 했는데 이 곳이 차량통행이 많다보니 교통체증을 유발했기 때문에 연장되었다.[8] 정확히는 38번 로얄시티가 1011번 새차로 바뀌면서 40번 다니던 뉴슈퍼 가스차가 38번에 간것이다.[9] 현.대연역 정류장[10] 급행버스로는 1001번과 1003번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1006번과 1011번도 부산역 이남으로 가는 노선이긴 하지만 부산항대교를 경유하여 영도구로 가기에 부산역을 거치지 않고 부산역 이남으로 간다. 여담으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해운대 구간 개통 전이었던 1990년대 초중반, 당시 해운대에서 부산역 이남으로 내려가는 노선은 현재는 폐선된 5번(충무동행)과 39번, 109번(영선동행), 139번(충무동행), 140번(구덕운동장행), 그리고 현재의 40번까지 최대 6개 노선이 굴러다녔다. 현 급행버스인 좌석버스까지 합치면 240번(현 1001번), 302번(현 1003번)까지 포함 총 8개 노선이 해운대에서 부산역까지 굴러다녔다. 다만, 해운대 신시가지가 조성되기 전이었던 1990년대 초반, 구 해운대 지역(우동, 중동 일대)의 버스정류장은 크게 네 군데로 나뉘어 있었으며(구 5, 38, 40, 109, 240번 종점(구 스펀지 부지), 현 31번 종점, 구 36번, 36-1번, 63번 종점(해운대 KT 옆 부지), 구 139번, 140번, 302번 종점(현 달맞이 위브힐스테이트 부지)) 이 중 31번 종점, 36번, 36-1번, 63번 종점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이 구 해운대 신시가지 차고지(해운대백병원 옆 부지)로 이전되었고 이후 63번과 당시 31번 종점에서 출발하던 200번 노선까지 포함하여 현재의 동부산 공영차고지로 이전되었다.[11] 1001번과 1003번의 경우 급행노선인데다 자성로를 직통하기에 진시장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하다.[12] 청강리 방향 국제시장.근대역사관 정차[13] 두 정류장 간격이 매우 짧아 현행상 추가 정차가 불가능하지만 어른의 사정으로 추가정차가 이루어졌다.[14] 특히 국제시장보수동책방골목, 용두산공원이 위치한 대청로 인근은 만성적인 교통 체증에 시달리는 지역이다. 왕복 4~5차로인 이 곳은 평일, 주중 할 거 없이 관광객 차량들이 시도때도없이 막 몰려드는 곳이기 때문에 신호대기가 잦아진다. 더군다나 불법주.정차를 해 놓은 차량들이 있으면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15] 이 정류장이 위치한 곳은 동광동인데 여기서는 중앙역까지 걸어가려면 지하상가를 통해 걸어가야 하기에 대합실 위치까지 걸어가는 데 한참 걸리고 국제시장 정류장까지 걸어올라가려면 거리가 있기 때문에 부산역으로 좌회전하는 40번과 81번의 정차요구가 계속해서 나왔던 구간이기도 하다.[16] 국제시장에서 하차하여 조금 걸어가면 나오긴 한다.[17] 만약 이 노선을 끝까지 타고 갈 생각이라면 구덕운동장에서 앞차로 갈아타라고 기사가 얘기해준다. 그럴 땐 앞차로 가서 뒷차에서 왔다고 말해주면 된다. 이런 경우는 동천초등학교가 종점인 51번도 마찬가지다.[18] 북좌동에서 남포동으로 나가는 유일한 노선이었기 때문이다. 109번의 막장화 이후 302번이 북좌동을 경유하기도 하였으나, 준공영제 이후 1003번으로 바뀌면서 남좌동으로 직선화되어 현재 북좌동에서 남포동으로 가는 버스는 없다. 그래서 북좌동 주민들이 1006번의 장산역 연장을 요구하는 것. 결국 2020년 12월 31일에 신해운대역으로 연장되었다.[19] 68번, 115-1번, 126번에 설치한거랑 달리 버스 안에 있다. 참고로 31번, 49번, 57번, 144번, 148번, 179번도 단속카메라가 버스 안에 설치 되었다.[20] 중앙동~범일동 구간은 충장대로와 문현동~전포동 구간은 전포대로가 있지만 이쪽도 많이 막힌다.[21] 편도로 경유하는 노선은 15번, 126번이 있다. 부산우체국교차로 ↔ 대청사거리 구간에서는 86번, 186번도 양방향 경유한다.[22] 이쪽은 급행버스의 영향이 강하다. 대신동(서대시장, 부산터널입구) 일대에서는 1001번을, 충무동과 토성동에서는 1003번을 이용하면 해운대로 바로 이어준다.[23] 부산광역시 BRT 서면~충무 구간 개통 이전 시절에는 중앙역 정류장에서 내리게 되면 역까지 걸어가는데 거리가 있었기 때문에 부산역에 하차하여 도시철도로 환승하는 사람들도 많이 있었다.[24] 1003번은 급행버스라 논외이며 40번과 1003번의 원도심구간과 해운대 커버 영역이 달라서 일부러 충무동까지 걸어가서 1003번을 타는 사람들도 있다.[25] 대영로 연선 구간을 운행하는데 급행버스라 정차 정류장 수가 적다. 대표적으로 서부경찰서 정류장과 동대시장 정류장에 미정차하여 해당 지역에서는 다음 정류장까지 걸어가서 승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26] 서구 구간은 충무동교차로토성동, 서구청 정류장 뿐이며 이마저도 편도 회차 구간이라 사실상 서구 끄트머리만 경유한다고 봐야 한다.[27] 동아대학교/부민캠퍼스에서 난리난 이유도 이런 상황 때문. 특히 40번은 서구에서 구덕로를 따라 운행하는 노선이며 구덕운동장까지 이어주기에 서구 구간의 수요가 많다.[28] 얼마나 승객들의 클레임이 많았냐면 한동안 앞에 구덕운동장 경유라고 적은 종이를 붙혀놓기까지 했다.운동장 안가요? 아니요 운동장까지 갑니다..[29] 팀만 바뀌었지 대중교통과 안엔 그대로 있었다. 현재는 완전히 다른 부서로 발령받아 갔다.[30]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에서 139번으로 환승하거나 센텀시티,벡스코 정류장에 내려서 조금 걸어서 307번으로 환승하면 손쉽게 갈 수 있다.[31] 청강리공영차고지 행만 경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