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버스 186

덤프버전 :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fff,#1f2023 [[틀:부산광역시의 급행버스|
급행
]]ㆍ[[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
좌석
]]ㆍ[[틀:부산광역시의 일반버스|
일반
]]ㆍ[[틀:부산광역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부산광역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기장군버스|
기장
]]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100번 ~ 583번 - 펼치기 · 접기 ]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파일:부산 버스 186H.png


파일:부산 버스 186EVH.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86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영도구 동삼동(태종대차고지)
종점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종점

첫차
04:55
기점

첫차
06:02
막차
21:40
막차
23:13
평일배차
출퇴근 20분 / 평시 22분
주말배차
토요일 21분 / 공휴일 22분
운수사명
신한여객
인가대수
10대[공휴일]
노선
태종대차고지 - 동삼하리 - 한국해양수산연수원[단독] - 국립해양박물관 - 국제크루즈터미널입구 - 동삼삼거리 - 영도구청 - HJ중공업 - 해동병원 - 영도대교·남포역 - 국제시장 - 새들맨션 - 중구청.메리놀병원 - 부산디지털고 - 영주삼거리 - 부산컴퓨터과학고 - 수정아파트 - 수정삼거리 - 성북고개 - 범일초등학교 - 신암.범천2동주민센터 - 부산진우체국.가야1치안센터 - 개금역 - 주례역 - 북부산세무서.감전역 - 사상우체국 → 코레일사상역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사상우체국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6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 1987년 개통되었다. 개통 당시에 세진여객동성여객이 공동배차했었고, 노선번호는 동구, 중구산복도로의 대표노선인 86번에서 따왔다.

  • 준공영제 당시에는 15대로 운행했으나, 2009년 12월 1일 1007번이 신설되며 세진여객 차량이 1대 감차되는걸 시작으로, 184번 신설까지 하며 정관차고지 노선들을 위해 지속적으로 감차되며 11대까지 줄어들었다.

  • 2014년 4월 26일 세진여객 청학영업소가 매각되면서 190번과 함께 영도구청(동삼삼거리)을 경유하게 되었다.

  • 2015년 4월 18일 동삼혁신지구(해양박물관)로 종점이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운행 시작시 국립해양박물관부터 승객을 받으며 국립해양박물관에서 운행종료하고 동삼동차고지까지 공차회송을 했다.

  • 2015년 11월 28일 세진여객이 186번에서 철수하고 신한여객 단독으로 이 노선을 운행하게 되었다.

  • 2016년 4월 23일 동삼동을 떠나 본사가 있는 태종대로 연장하여 혁신지구 경로를 통해 국립부산해사고등학교와 한국해양수산연수원을 단독구간으로 경유한다.

  • 2017년 11월 동삼혁신지구 접근성 개선을 이유로 88번이 합류하여 단독구간이 아니게 된다. 그러나 해사고~해양수산연수원 사이에 신설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정류장은 88번 단독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문제점]

  • 2023년 7월 29일 17번 차량분으로 1대가 감차되어 10대로 운행한다.

4. 특징[편집]


  • 구도심 산복도로에서 가야대로상에 위치한 동의대, 동서대, 경남정보대를 거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로 이어주는 유일한 노선이다.[1]

  • 범천2동과 신암로 부근이 대중교통이 열악하고, 61번의 과수요와 59번이 새벽시장 경유로 변경되어, 신암로에서 가야대로로 향하는 수요가 늘었지만, 세진여객의 지속감차와 증차 없이 노선이 연장되어서 다시 배차간격이 벌어지고 말았다.[2]

  • 세진여객[3]에서 신한여객으로 넘어온 이후 행선스티커가 동삼동◀▶수정산복도로◀▶서부터미널에서 동삼동◀▶국제시장◀▶서부터미널로 바뀌었다. 이후 태종대로 연장이 되고 나서는 태종대◀▶국제시장◀▶서부터미널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측면 행선스티커는 여전히 수정산복도로를 표시하고 있는 차량이 많다.

  • 2015년 11월 28일 부로 세진여객이 107번 차량 조달건 때문에 186번에서 철수해, 영도 3사가 공동배차를 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태종로 연선의 버스과잉공급 해소라는 이유로 신한여객 단독으로 이 노선을 운행하게 되었다.[4]

  • 영도3사 일반버스 노선 중 운행거리가 가장 길다. 영도3사의 좌석버스 노선까지 합치면 1006번이 59km로 가장 길고, 타 지역에서 출발하는 권외노선까지 합치면 1011번이 97km로 가장 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차간격이 길어서 한대를 놓쳐버리면 기본 20분 이상을 기다려야 한다. 때문에 증차 요구가 나오고 있지만 마땅히 빼올 차량이 없어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5]

  • 180번대 버스 노선들 중에 유일하게 기장군과 관련이 없는 노선이다.[6] 또한 원도심서부산 방면으로 운행하는 노선이다. 이는 86번에서 파생된 번호이기 때문이다.

  • 강서차고지 개장에 따라 61번이 서부터미널에서 동의대역으로 노선이 단축되어 서부터미널행 기존 61번의 수요를 모두 흡수하였다. 59번의 경우 새벽시장으로 조금 둘러가기 때문에 기존 61번의 선형대로 운행하는 이 노선으로 수요가 이동한 것이다.[7] 또한 주례교차로~사상교차로 구간 사상로 연선에서도 수요를 많이 흡수하였는데 부산역은 이어주지 못하지만 남포동은 국제시장과 영도대교에서 간접적으로나마 연계되기 때문에 산복도로로 빙 둘러가긴하지만 61번 대체노선으로 이용하는 승객들이 있다. 때문에 신암 지역에서 186번의 증차 민원이 여럿 나오고 있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신한여객 소속 노선들 중에 마땅히 빼올 차량이 없어서 증차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
7090.43

2015년
5968.71
▽ 1121.72
2016년
5490.57
▽ 478.14
2017년
5805.71
△ 315.14
2018년
5095.14
▽ 710.57
2019년
4979.42
▽ 115.72

4.2.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6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광장로
사상우체국 ▼
▲ 코레일사상역
사상로
럭키아파트(주례역) ▼
▲ 주례1동주민센터
가야대로
CBS방송국 ▼
▲ 가야시장(가야역)
신암로
부산범천교회 ▼
▲ 경남아파트
망양로
동아아파트 ▼
▲ 영주삼거리
영주로
거북맨션 ▼
▲ 부산디지털고
동영로
중구청.메리놀병원 ▼
▲ 중구청.메리놀병원
중구로
국제시장 ▼
▲ 새들맨션
대청로
중앙동주민센터 ▼
▲ 제일은행앞
중앙대로
영도대교 ▼
▲ 수산물품질관리부산지원
태종로

▲ 동삼삼거리
해양로
국제크루즈터미널입구 ▼
▲ 국제크루즈터미널입구
해양로301번길
국제크루즈터미널입구 ▼
▲ 국제크루즈터미널입구
해양로
하리 ▼
▲ 한국해양대.부산해사고
태종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
1005[사]
일반

8[사]

33-1[사]

138-1[사]

161[사]

186[사]


마을

심야

[사] 경부선 사상역 경유 노선




파일:한국해양대.png 한국해양대학교 경유 버스

[ 펼치기 · 접기 ]
아치캠퍼스
급행
1006
일반
8
30
66
88
101
186
190[A]

다운타운 캠퍼스
시외
부산역-진주 심야[B]
급행
1000
1001[B]
1003[B]
1004
일반
2[B]
17
26
27
40
41
43
59
61
66
67
81
82
85
87
88
88-1[B]
101
103
134
167
190[B]
508[B]
미음캠퍼스
급행
1005
마을
강서구12[C]
{{{#053863,#bdd7fb

[A] 교내 진입

[B] 부산역 정차.

[C] 경마 시즌에만 운행.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6:49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8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공휴일] 9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문제점] 애초에 같은 길목으로 가는데 왜 186번을 정차안시키나 하는데 이걸 문서작성 시점인 2023년 11월까지 무려 6년이나 방치했다!!! 또한 2023년 11월 4일 옆블럭 지역 에일린의뜰2차아파트도 70번 단독 정류장 신설로 같은 문제점을 반복하였다.[1] 86번이 준공영제 시작과 동시에 민주공원에서 충무동으로 노선이 단축되며, 감차가 이루어져 배차가 벌어졌고, 반사이익으로 186번의 수요가 늘어났었으나, 세진여객의 지속적인 감차로 인해 다시 수요를 뺏겨버렸으며, 현재는 산복도로 내에서 와일드카드 식으로 탑승하는 편이다. 또한, 주요 수요지역인 남포동서면등을 경유하지 못하지만, 신암로와 가야대로, 국제시장으로 향하는 수요가 대다수이다. 또한, 국립해양박물관해사고를 경유하면서 수요가 늘었으나 66번17번으로 바뀌면서 17번의 배차간격이 상대적으로 짧아서 수요를 나란히 분담하고 있다.[2] 증차하기 어려운 이유가 가야대로~사상로 구간은 31번, 33번, 61번, 62번, 160번에 영도구간은 8번, 17번, 30번, 88번, 113번, 190번과 중복이 심하여 와일드카드 식으로 이용하면서 동시에, 산복도로까지 경유하며 굴곡노선이기도 하다. 그래서 131번처럼 증차는 요원한 편이다. 만약, 서부터미널에서 남포동이나 태종대로 이동시에는 8번 을 타고 가자. 국제시장으로 갈 승객들도 이 노선을 이용하기보다는 15번을 이용하는 편이 훨씬 낫다. 8번과 마찬가지로 구덕터널을 통과하여 바로 이어주기 때문이다.[3] 세진여객 시절 동글이 뉴슈퍼에어로시티 디젤차량이 다녔었는데 2대만 원래부터 있었고 나머지는 29번이나 80번 출신일듯 하다. 현재 이 차량은 2012년에 폐차되었다.[4] 당시 남부여객과 유한여객 노선이 지나가는 절영로와 하나길의 경우는 고작 30여대가 지나갔지만 태종로 연선 지역에는 무려 4.5배 이상 많은 140여대가 다니고 있었기 때문이다. 거기에, 135번과 190번의 통폐합, 88번 노선의 지선 단일화로 인해 66번의 연장으로 88번이 대량 감차되며, 결국 88-1번보다 작은 인가댓수로 운행하게 되는 결과를 불러오게 되었다. 인가대수 확보를 위해 135번 폐선분 7대와 88번 인가분 4대를 가져왔으며, 차량은 신한여객 전 노선을 대상으로 차돌리기가 시행되어서 8번, 88번, 101번, 135번 등의 노선에서 운행했던 차량들이 골고루 투입되었다.[5] 오히려 17번(구.66번) 차량 공수분으로 1대가 감차되어버렸다.[6] 정관에 영업소를 둔 세진여객이 운행한 경력이 있기는 하다. 189번과 189-1번들의 경우, 시종착 지점 주소가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이기에 엄연히 관련이 있다.[7] 허나 59번에 비해 이 노선은 배차간격이 2배나 길기 때문에 이 노선을 눈앞에서 놓쳐버렸다면 20분 이상 기다리기보다 59번을 타고 가는 편이 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