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대역

덤프버전 :

동의대역
파일:Busan2.svg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Dong-eui Univ.
한자
東義大
간체자
东义大学
가나
東義(トンイ大学
주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지하554 (가야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동의대관리역 / 제2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2호선
파일:부산교통공사 CI.svg
개업일
2호선
1999년 6월 30일
역사 구조
지하 4층 (심도: 23.99m)[1]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요금
7. 연계 교통
7.1. 가야대로 BRT 정류장
7.2. 가야대로 가로변 정류장
7.3. 마을버스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Dongeuiu.jpg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및 구 역명판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22번.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지하554 (가야동) 소재.


2. 역 정보[편집]


파일:20230912 2호선 동의대역 대합실.jpg
대합실

인근에 동의대학교가 있어서 역명으로 붙여졌다. 하지만 실제로 이 역에서 동의대학교까지의 거리는 무려 1.3km나 된다.[2] 그러나 지하철역 주변으로 마땅한 대형 시설물이 없는데다가 관할 행정동인 가야동과 인근 지역인 개금동은 이미 역명으로 사용되어 있고, 당감동(정확히는 2동)은 당감동 중심과 한참 떨어져 있어서 동의대학교를 역명을 사용한 케이스이다.[3] 그래도 실제로 동의대학교 재학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지하철역이기 때문에 전혀 논란은 되지 않고 있다. 이는 아래 문단에서 자세히 후술.

착공 이전 2호선 건설 계획 수립단계에서 사용한 가역명은 가야성당역이었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 중에서는 가장 늦게 시공이 마무리된 역사이다.[4]

3. 역 주변 정보[편집]


가야 롯데캐슬 골드아너가 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이 아파트 이외에도 1,900세대 규모의 더 다이너스티 가야와 가야4구역 재개발을 앞두고 있어서 역의 수요는 점차적으로 상당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예정된 재개발이 모두 진행된다면 이 역 인근의 정주인구 규모가 비약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동의대역에서 하차해서 1번 출구, 5번 출구로 나오면 대도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부산 버스 부산진6번, 부산 버스 부산진6-1번, 부산 버스 부산진9번을 타고 동의대학교 캠퍼스 내로 이동할 수 있다.[5]

하지만 이러한 마을버스를 탑승하지 않고 이 지하철역에서 동의대학교/가야캠퍼스까지 걸어서 간다면 당신은 위대한 용자이다. 이 말은 결코 농담이 아니다. 분명 동의대역이 동의대학교와 가까운 건 사실이지만 경사가 상당하다. 이 역에서 동의대학교 정문까지 걸어서 최소 15분 이상은 걸리며, 꼭대기에 있는 본관까지는 정문에서부터 최소 15분 이상은 또 걸어가야 한다. 그러므로 동의대 지하철역에서 동의대 본관, 법정관, 상경관, 국제관, 인문관 등 고지대 건물까지 걸어가려면 급경사 코스의 오르막을 쉼없이 걸어야만 25~30분 이내로 주파가 가능하다.

2014년에 이 역의 모든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동의대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다.
연도
파일:Busan2.svg
비고

[ 2002년~2009년 ]
2002년
14,755명

2003년
15,261명

2004년
14,631명

2005년
14,964명

2006년
13,633명

2007년
12,626명

2008년
13,298명

2009년
13,339명


2010년
13,839명

2011년
14,894명

2012년
14,861명

2013년
14,862명

2014년
14,930명

2015년
14,406명

2016년
14,243명

2017년
13,754명

2018년
13,261명

2019년
13,331명

2020년
8,370명

2021년
9,877명

2022년
11,744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1] 대합실과 승강장 사이 지하 3층에 일반인은 들어갈 수 없는 기능실이 있다.[2] 제1생활관까지는 2.5km나 된다. 제 1생활관은 범내골역에서 29번으로 환승하여 안창마을쪽으로 가도 2.5km이다. 게다가 동의대학교로 가는 길의 험난한 급경사까지 고려하면....[3] 수도권 전철처럼 동의대입구역으로 하는 것이 정확하나 "입구"라는 명칭에 부정적인 부산교통공사 측에서 그냥 동의대역으로 정하였다.[4] 부산지하철 219공구. L=695m. 공사기간: 1992년 7월 29일 ~ 1999년 9월 30일. 가야대로 확장과 병행하여 가야역 구간과 마찬가지로 해당 역 공사구간의 건설을 진행했던 관계로 시공량이 다른 공구에 비해 많아 이렇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달청 공사계약현황을 참고했을때 당초 준공일자는 착공일로부터 1,280일째인 1996년 1월 29일이라고 한다. 반대로 시공이 가장 빠르게 마무리 된 역사는 수정역. 이 역보다 2년정도 이른 1997년 6월 18일에 완공됐으며 착공일도 1주일 정도 늦은 1992년 8월 7일이다. 당시에는 개발이 별로 진행되지 않았던 화명신도시 구간이고 노선이 지나는 금곡대로의 폭이 왕복 6~8차로 규모로 교통통제에 다소 수월하며 토지보상비용도 당시로서는 저렴한 편이여서 공사에 별 지장이 없어 이렇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5] 부산진 6번과 6-1번 버스는 전 구간 무료였으나, 2014년 8월 이후로 교내에서만 무료이고 학교 밖으로 나가면 원래 학교 외 유료였던 9번과 똑같이 유료화되었다.


이 역도 경성대·부경대역과 마찬가지로 학기 중과 방학때 승하차 인원이 크게 다르다. 그나마 경성대·부경대역은 인근에 번화가가 조성되어 있고[6] 남구에서도 경성대 일대가 꽤 번화한 데다가 교통이 편리하여 사람들의 이용이 많은 편인데, 동의대역은 가까운 거리에 서면사상구 등지에 다수의 번화가가 있어 상권이 크게 형성되지 않아서 이용객의 편차가 심한 편이다.

인근에 가야역이 있지만 실제 가야동 주민들의 대부분은 이 동의대역을 이용한다. 이 곳이 가야동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가야1동 주민센터는 이 역 근처에 있고 가야2동 주민센터는 직선거리로 약 550m 정도 된다. 가야동 주민들 이외에도 동의대학교 학생 및 종사자들이 이용하여 하루 평균 13,261명(2019년 기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 역의 특징은 경부선 북쪽과 완전히 단절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래도 최소한 도보로 접근가능한 구명역 ~ 개금역 구간과는 달리, 이곳부터 부암역까지는 부산차량사업소가야선이 넓게 자리를 잡고 있어서 선로 북쪽 동네[7]과 완벽하게 단절되어 있다. 그리하여 역세권의 범위가 좁은 데다 주거지의 낙후도가 심하여 인구가 빠르게 빠져나가는 추세이다.

이러한 여러 단점에도 불구하고, 동의대학교라는 든든한 존재가 있기에 이 지하철역이 갖고 있는 여러 핸디캡을 상쇄하여 수요를 떠받치고 있다. 여기에 더해 2022년 9월에 가야 롯데캐슬 골드아너가 입주를 완료하였고 이 일대에 대규모 재개발이 추가로 몇 건 더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 승객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여지는 충분하다.

5. 승강장[편집]


파일:20230912 2호선 동의대역 승강장.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파일:20230912 2호선 동의대역 역명판.jpg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역명판
파일:2221.gif
역 안내도

가야




개금


6. 요금[편집]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1
남 포

서 면

온천장
2
금련산

동의대

구 명
3
망 미

연 산

미 남
4
미 남

동 래

충렬사
동해
부 전

교 대

센 텀

7. 연계 교통[편집]



7.1. 가야대로 BRT 정류장[편집]



7.2. 가야대로 가로변 정류장[편집]



7.3. 마을버스[편집]



8.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4:55:11에 나무위키 동의대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6] 경성대 일대는 전국적으로 봐도 대학가상권 치고는 꽤 큰 편이다. 서울 주요 대학가 상권(홍대입구역, 건대입구역, 서울대입구역 등)들과 비교되는 규모이다. 이는 1호선의 부산대역의 부산대 상권도 비슷하다.[7] 개금동 일부, 당감동, 부암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