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역(부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호남선의 연산역에 대한 내용은 연산역(호남선) 문서
연산역(호남선)번 문단을
연산역(호남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연산역
파일:Busan1.svg 파일:Busan3.svg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Yeonsan
한자
蓮山
간체자
莲山
가나
蓮山(ヨンサン
주소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1101 (연산동)
관리역 및 운영사업소
연산역 (1, 3호선 통합) / 제1운영사업소
운영 기관
1호선
부산교통공사
3호선
개업일
1호선
1985년 7월 19일
3호선
2005년 11월 28일
역사 구조
1호선
지하 2층(심도: 11.96m)
3호선
지하 4층(심도: 23.26m)[1]
승강장 구조
1호선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발빠짐주의)
3호선
1. 개요
2. 역 정보
2.1. 환승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요금
6. 연계 교통
6.1. 월드컵대로 가로변 정류장
6.2. 중앙대로 BRT 정류장
6.3. 마을버스
7. 미디어
8. 기타
9.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23번.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05번.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지하1101 (연산동) 소재.

원래는 연산동역이었으나 2010년 2월 25일을 삭제한 현재의 연산역으로 개명하였다.[2]

2. 역 정보[편집]


파일:연산역 대합실.jpg
대합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도시철도 3호선환승역이며 이 역이 위치한 연산교차로중앙대로, 월드컵대로, 반송로, 고분로 등 무려 6갈래의 도로로 나뉘어져 있는 육거리다. 따라서 1호선, 3호선 모두 엄청난 급곡선을 가지고 있는 승강장[3]을 가지고 있다. 이 말은 곧 1호선과 3호선 모두 승강장과 열차 사이가 넓으므로 승하차시 발조심을 해야 한다는 뜻이다.[4] 상대식 승강장으로만 구성된 지하 환승역으로는 비수도권에서 유일한 역이다.[5]

환승역이 되기 전부터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던 몇 안 되는 상대식 승강장을 가진 역이자[6] 1, 3호선 둘 다 운전취급역이다.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교대역 방향으로 건넘선과 유치선이,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물만골역 방향으로는 건넘선이 있다. 두 노선의 건넘선들은 평소에는 사용하지 않다가 운행장애가 발생하면 이 역에서 임시 시종착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실제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기 전 1호선 연산역 이북구간에서의 사상사고와 같은 운행장애가 발생했었을 때 이 역에서 임시로 종착하여 신평역으로 돌아가기도 했었으며 2012년 11월 22일 3호선 물만골역 인근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때도 이 역에서 임시로 종착하기도 했다.

부산 도시철도 3호선에 이어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에도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었다.[7]

2010년 2월 25일 1, 3호선 모두 연산동에서 연산으로 역명이 변경되었지만 역명 변경 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1호선과 달리 3호선은 선로 쪽 역명판과 역 안내도에 여전히 연산동으로 표기되어 있다. 그것은 이웃역인 거제역물만골역 선로 쪽 역명판에도 잘 나타난다. 참고로 이들 역명판은 승강장에선 볼 수 없고, 오직 전철 안에서 상대쪽 승강장 사이에 놓인 벽면을 자세히 봐야 볼 수 있다. 강서구에 위치한 역들에도 "연산동"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나 굳이 변경하지 않아도 큰 지장이 없기에 그대로 놔두는걸로 보여진다.

출구가 17번까지 있는데 9, 11, 13, 15번 출구가 없어 출구는 총 13개이다. 17번 출구는 3번과 5번 사이에 새로 생긴 출구로 다른 지역에서는 부번호를 쓰는 게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17번을 받았다.

1호선의 노포행과 3호선의 수영, 대저행 막차는 00:07에 끝난다. 다만 막차 승객이 환승을 할 수 있게 3분 정도 정차한다.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노포 방면 막 전 열차의 경우 3호선 대저/수영행 막 전 열차와 동시에 역에 들어오는데 승객이 환승할 수 있도록 3분 정도 정차하여 기다려준다. 막차도 모두 동일하다. 다만 서면역에 비하면 환승통로 동선이 긴 편에 속하는지라 열차에서 내리자마자 환승을 위해 빠르게 뛰어가는 승객들이 대다수이며 자칫 잘못하다간 충돌위험이 있으니 주의할 것. 이는 막차도 동일하다.[8]

환승역이고 유동인구가 상당히 많지만 역사 내 화장실이 한 곳 뿐이라 이용하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하나 뿐인 화장실도 규모가 작다. 이는 역무 통합역사인데다 3호선 맞이방을 별도로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장실 추가 신설 민원이 많이 들어오고 있다. 맞이방이 없는 관계상 3호선 전용 출구도 따로 없다. 연산로터리가 이미 육거리 지역이라 1호선을 건설했을때부터 교차로 횡단을 용이하게 하려고 출구를 교차로 곳곳에 군데군데 만들어두었다. 따라서 새로 신설된 17번 출구를 제외하면 3호선 출구를 따로 만들지 않은 것이다. 출구의 경우 맞이방에서 교차로를 따라 나뭇가지처럼 갈라져서 각각의 출구로 이어진다. 17번 출구에만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맞이방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3호선 개찰구를 통해 들어가도 1호선 승강장으로 갈 수 있다.

2.1. 환승[편집]


  • 1호선 승강장
발빠짐 주의! ×5
3호선 열차를 이용하실 고객은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마시고, 승강장과 이어진 환승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3호선 승강장
발빠짐 주의! ×5
1호선 열차를 이용하실 고객은 개찰구 밖으로 나가지 마시고, 승강장과 이어진 환승 계단,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파일:20191003_170548.jpg
환승은 상당히 간단해서 에스컬레이터 한 번 타면 끝나는 개념환승에 속한다. 두 노선 모두 상대식 승강장이고 에스컬레이터 한번에 환승이 되기 때문에 서울 지하철의 천호역과 구조가 비슷하다.[9] 게다가 1호선 승강장에서 3호선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시작점에 약간 경사진 길이 있다. 때문에 3호선으로 빠르게 환승하려고 열차에서 내리자마자 냅따 뛰어가는 승객들이 많은데 자칫 잘못하다간 마주오는 승객과 부딪히는 사고가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더군다나 3호선 승강장이 심도가 깊어서 에스컬레이터에서 맨 앞에 가던 사람이 뒤로 자빠지는 사고가 몇 번 있었다. 2010년 1월 3일에 한 할머니가 균형을 잃으면서 예배를 보러 가던 노인들이 연달아 에스컬레이터에서 넘어져 부상자가 속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건 이후로 부산 도시철도에 있는 모든 에스컬레이터의 주행 속도를 낮추었다.#

속도를 낮추었음에도 불구하고 2013년 7월 8일 승강장에서 대합실로 나가려는 도중 에스컬레이터에서 실족하여 3명이 부상을 입는 사고가 일어났다.# 부산교통공사에 따르면 손잡이를 잡지 않은 채 상행 에스컬레이터를 타던 중 발을 헛디디면서 발생했다고 한다.

역 구조 특성상 3호선 개찰구로 들어가도 1호선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환승통로와 바로 연결되어있어서 어느 개찰구로 들어가도 두 노선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서면역도 마찬가지다.

단, 3호선 수영역 방면 승강장에서 1호선 동래방향으로 휠체어나 유모차 이용이 필요할 경우 직원을 불러야 하며 직통 엘리베이터가 없어 이용이 불가능하다.[10]

체감 환승 혼잡도가 부산 도시철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인 서면역보다 더 심하다. 서면역의 경우 환승통로가 그렇게 좁지 않은 데 비해, 연산역은 좁고 느린 에스컬레이터(3호선→1호선 방향별 2개, 1호선→3호선 방향별 1개)와 수용 인원이 매우 적은 엘리베이터 방향별 1개, 그리고 승강장 구석에 있는 계단 뿐이다. 게다가 서면역은 서면역을 목적지로 하는 사람도 많지만, 연산역은 환승객이 대부분인데다 3호선에서 나가려면 그 좁아터진 환승통로를 지나야 한다. 서면역 2호선에서 나갈 때도 마찬가지지만 그나마 환승통로가 그리 좁지는 않은 편.

3.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산역을 이용하는 도시철도 일일 승객 수이다. 아래 표는 승차객 + 하차객의 총합이며 도시철도 간의 직접 환승객 수는 나타내지 않는다.
연도
파일:Busan1.svg
파일:Busan3.svg
총합
비고

[ 2002년~2009년 ]
2002년
54,276명
미개통

비고
2003년
50,048명


2004년
45,800명


2005년
43,001명
10,220명
53,221명
[1]
2006년
35,081명
12,961명
48,042명

2007년
33,614명
15,572명
49,186명

2008년
37,974명
16,176명
54,150명

2009년
40,669명
16,722명
57,391명


2010년
42,949명
17,925명
60,874명

2011년
43,588명
18,650명
62,238명

2012년
42,269명
18,701명
60,970명

2013년
42,639명
19,253명
61,892명

2014년
43,236명
19,782명
63,018명

2015년
43,148명
20,008명
63,156명

2016년
43,933명
20,639명
64,572명

2017년
43,941명
20,308명
64,249명

2018년
42,862명
19,982명
62,844명

2019년
43,649명
20,359명
64,008명

2020년
30,711명
14,527명
45,238명

2021년
30,035명
14,799명
44,834명

2022년
33,139명
16,842명
49,981명

출처
부산교통공사 자료실
[1] 안내도에는 지하 3층으로 되어 있지만 1호선에서 3호선으로 내려가는 중간에 기능실 층이 따로 존재하며, 엘리베이터도 지하 4층으로 표시한다.[2] 하지만 3호선 역사에서 3호선 열차가 다니는 중간 기둥에 연산동역이란 구 역명판이 남아있다. 스크린도어에 가려져서 잘 보이지 않기에 바꾸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둔 듯 하다.[3] R=300. 환경영향평가정보지원시스템 부산지하철3호선 건설사업보고서 부록 p61 참조.[4] 때문에 가급적이면 전동차의 양 끝 문을 통해 승하차할 것을 추천한다.[5] 다만 사상하단선이 개통하여 하단역이 환승역이 되면 이 기록은 깨지게 된다.[6] 교대역 방면 맨 끝 부분 계단(5, 7, 14, 16번 출구가 위치한 곳)을 이용하여 대합실을 통해 3호선 승강장을 횡단하지 않고 반대편 승강장으로 건너갈 수 있다.[7] 서면역처럼 초창기에 설치되어 완전밀폐형으로 설치된 몇 안 되는 역 중 하나다.[8] 환승을 위해 기다려 주는 역의 경우 서면역, 연산역, 덕천역, 수영역이 있다.[9] 다만 환승 거리가 천호역보다는 길고 에스컬레이터가 수요에 비해 비좁은 감이 있고 운행속도도 느린 편이라 실제 환승시간은 꽤 걸리기 때문에 뒤쪽에 있는 계단으로 환승하는 승객들도 많다. 구조 자체는 개념환승인데 다른 의미로의 막장환승. 이후 신분당선신사역까지 연장 개통하여 신사역이 연산역의 환승 구조를 그대로 물려받았다.[10]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고객의 소리 게시판에 올라온 답변에 의하면 동래역과 마찬가지로 이미 공사측에서도 인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1호선, 3호선 구조물 간 지장물 저촉 및 예산 등의 문제로 엘리베이터 추가 설치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한다.

  • 2019년 기준 하루 평균 이용객은 두 노선을 합쳐 64,008명으로, 부산 도시철도 전체에서 이용객 3위를, 비수도권에서 4위를 기록한다. 다만, 비서울까지 바라보면 인천, 경기도 전철역들에게는 밀린다.
  • 1호선의 이용객은 2000년대 초반~중반까지 가파른 속도로 하락했다. 특히 2005년 → 2006년에는 한꺼번에 8천 명이 떨어졌는데, 이는 3호선이 개통되면서 일부 승객이 3호선으로 이탈한 데에 따른 것이다.
  • 3호선의 이용객은 개통 이후부터 2016년까지 12년 연속 증가했다. 개통 3년 차 이후로는 하루 평균 1천 명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인 적이 없지만, 아주 조금씩 꾸준히 수요가 늘어나면서 2015년에는 하루 평균 2만 명을 돌파하는 데에 이르렀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만 있을 시절에도 위치 특성상 이용객이 많았는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이 뚫리면서 본격적인 출퇴근 러시 역으로 거듭났다. 연산동 특히 토곡 지역은 대표적인 주거지이기도 하며[11], 동시에 연산역 인근에 직장들이 있는 경우도 많기 때문. 부산 도시철도 전체에서도 부동의 1위인 서면역사상역 다음으로 세 번째로 하루 이용객이 많은 역이며 당연히 3호선의 5대 승차역[12]의 하나이기도 하다.(3호선 기준으로 승하차는 2위, 혼잡도는 1위) 그러므로 이 역은 항시 복잡하다. 특히 3호선 연산역에서 타고 내릴땐 주위의 공기수송 역들을 본 잔상이 남아서 그런지 더더욱 복잡하게 보인다.
  • 만약 사상역에서 간접환승 제도를 시행하지 않았으면 승객 집계는 연산역이 더 많게 집계된다.
  • 3호선 수영행 승강장은 종점까지의 거리가 대저행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음에도 불구하고 수영역에서 2호선으로 환승해 광안역 또는 센텀시티역, 해운대역, 장산역 등으로 가려는 인파로 복잡하며, 부산불꽃축제 기간에는 그야말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이는 3호선이 2호선의 급행 역할을 해주기 때문이다. 3호선이 없다면, 해운대 방면으로 갈 1호선 이용객들은 서면역까지 가서 2호선 장산행으로 갈아타고 우회하는 선형으로 이동해야 한다. 해운대구로 넘어가려는 1호선 연선 주민(특히 금정구, 동래구)들이 수영역 환승 경로를 많이 이용한다.

4. 승강장[편집]


연산교차로 밑에 지어져 있어서 1호선, 3호선 모두 곡선 승강장이다. 즉,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넓으므로 승하차시 발 빠짐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13]

4.1. 부산 도시철도 1호선[편집]


파일:attachment/Yeonsan1.jpg
부산 도시철도 1호선 승강장
파일:305.gif
역 안내도

시청




교대


그리고 아는 사람이있을 수 도 있는데 연산역에는 1호선과 3호선 연결선이 있다. 주행음을 들어보면 중간에 선로가 벌어지고 회차선까지 존재하는데 연산역1호선 노포 방면 선로와 3호선 수영 방면 선로가 연결되있다.

4.2. 부산 도시철도 3호선[편집]


파일:연산역 부산1.jpg
부산 도시철도 3호선 승강장[14]

물만골




거제

동해선 개통 전까지는 유일한 상대식 승강장 환승역이었다.[15]

어째서인지 코레일 관할이 아닌데도 환승 안내 일부가 코레일체로 되어있다.

5. 요금[편집]



6. 연계 교통[편집]



6.1. 월드컵대로 가로변 정류장[편집]


[11] 토곡 일대를 훑는 86, 87 등의 노선은 NH에도 꽤 많은 승객이 이용한다.[12] 나머지는 대저역, 덕천역, 수영역, 미남역.[13] 아이러니하게도 최대 환승역인 서면역 또한 곡선 승강장이라 열차와 승강장 사이 간격이 넓다. 연산역보다 사이 간격이 더욱 넓어서 발 빠짐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다만 차이점은 두 노선 모두 곡선인 이 역과 달리 서면역은 1호선 한정으로 곡선이다.[14] 당시 다대포 방면 개통 이전이었다. 2013년 쯤..[15] 나머지 4개역(수영역, 미남역, 덕천역, 대저역)은 모두 섬식이다. 반대로 만덕역은 유일한 비환승역 섬식 승강장이다.[16]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6.2. 중앙대로 BRT 정류장[편집]







6.3. 마을버스[편집]


유동인구가 많은 부산의 주요 환승역인 반면 이 역을 직접 경유하는 마을버스는 연제2번 단 하나 뿐인데 연제구 마을버스의 경우 시종착을 바로 옆 시청역에서 하기 때문이며 연산교차로가 교통 체증이 극심하기에 마을버스를 이 역으로 돌리는 것이 불가능하다.

7. 미디어[편집]


  • 드라마 대박인생에서 오대박이 전광판에 나오는 보험회사 광고를 본 곳이기도 하다. 정확히는 6번 출입구와 8번 출입구 사이.
  • 무도 공개수배에서 하하황광희가 이용했다.[17]
  • 과거 KNN 사옥이 연산동에 있었기 때문에 현장추적 싸이렌은 거의 이 역 근처에서 촬영했었다. 지금은 방송국해운대구 센텀시티로 이전했고 구 KNN 사옥에는 재활의학병원이 입주하였다.

8. 기타[편집]


  • 구글지도에서 연산역을 검색하면 나오라는 역은 안 나오고 버스 정류장이 뜬다(...). 당장 위의 표의 지도에서 '큰 지도 보기'를 눌러보면 알 수 있다.
  • 1번 출구 앞에 버거킹 매장이, 12번 출구 앞에는 상당히 오래 영업한 롯데리아 매장이 있다.
  • 7번 출구 근처에 의료 기관이 밀집해있다.

9.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4:53:18에 나무위키 연산역(부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7] 여담으로 이들이 타고 온 전동차는 1호선 24편성 전동차.이 전동차는 Tc칸 운전실 문 색이 아이보리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