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루왕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제29대
제30대
말대
법왕
무왕
의자왕
추존
태조 도모왕






기루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백제 제3대 어라하
기루왕 | 己婁王

출생
(음력)

33년 1월 이전[1]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사망
(음력)

128년 11월 (향년 95세 이상)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의 태자
33년 1월 ~ 77년 9월 (44년)
제3대 어라하
77년 9월 ~ 128년 11월 (52년)

[ 펼치기 · 접기 ]
성씨
부여(扶餘) / 해(解)(?)

기루(己婁)
부왕
다루왕
왕후
개루, 질의 모후
왕자
개루
[1]
왕호
기루왕(己婁王)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삼국사기》 기록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백제의 제3대 군주이자 건길지. 제2대 다루왕의 장남.

《삼국사기》 <백제본기>의 백제 초기 기록에서 많이 드러나는 문제점이지만 재위 기간이 굉장히 길어 계보에 의심이 있기도 한다. 기루왕 혼자 길면 몰라도 앞뒤로 다들 40~50년 정도씩 재위한다고 써 있는데 계산해보면 아들을 가진 시기나 수명이 부자연스럽다.


2. 생애[편집]


다루왕의 큰아들로 서기 33년에 태자로 책봉되고 다루왕이 서기 77년에 죽자 즉위하였다.[2] 44년 동안[3]이나 태자 생활을 한 셈. 처음에는 다루왕 후반부 때처럼 신라의 변방을 때리다가 105년에 화친을 청해 사이좋게 지냈으며 113년에도 신라에 사신을 보냈다. 이런 화친 정책의 결과물이 바로 신라를 침공한 말갈[4]을 저지하기 위해 보낸 5명의 장군과 지원군이다. 하지만 아들 개루왕 재위기인 155년에 신라 아찬 벼슬의 길선이 반란을 도모했다가 백제로 도망온 걸 받아준 것 때문에 신라와 백제 사이의 조약은 50여 년만에 깨지고 다시 으르렁거리게 된다.[5]

별다른 내용은 없으나 천재지변 등에 대한 기록이 상당수이다. 재위 13년에는 89년 서울 지진이 발생했으며, 심지어는 32년에 가뭄이 극심해 백성들이 서로 잡아먹었다고 했을 정도이다. 재위 21년에는 군주를 상징하는 동물인 이 2마리씩이나 한강에 나타났다고 하는 걸로 보아 백제의 내부 사정이 힘들었으리라고 추측하기도 하는데 나라 내부의 변고를 천재지변에 빗대어 기록하는 케이스도 있기 때문에 뭔가 있었을 듯. 기루왕은 재위 21년에 죽고 두 왕자가 차기 국왕 자리를 두고 싸운 것에 대한 은유라는 설도 있다. 재위 52년만에 기루왕이 세상을 떠나자 아들 개루가 왕위를 이었다고 하는데 기록에 따르면 기루왕은 승하할 당시 최소 100살 이상이라는 이야기가 된다. 아들 개루왕도 38년씩이나 재위한 것을 보아 믿을만한 기록은 아니다. 제2대부터 제8대까지의 재위 기간이 비정상적으로 길기 때문에 실제로는 중간에 누락된 왕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는 학자도 있다.


3. 기타[편집]


  • 부여왕 해부루(비류 시조설에 따르면 비류의 아버지인 우태가 해부루의 서손이 된다), 고구려의 제2대 왕인 유리왕(해유류), 고구려의 제3대 왕인 대무신왕(해주류) 등 婁(별이름 루), 留(머무를 류) 등을 왕명으로 쓰는 왕들이 모두 해씨였기 때문에(비류는 流(흐를 류)자를 쓰지만 역시 해씨이다.) 婁를 쓰는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을 모두 마찬가지로 해씨로 보고[6] 해부루우태비류다루왕기루왕 → 개루왕으로 이어지는 소위 해씨의 비류왕계 왕가로 보기도 한다. 이 경우 다루왕 및 '루'자 돌림 왕들은 온조왕계와는 다른 왕통이 되며 후에 초고왕이 즉위함으로써 비류왕계 왕가가 물러나고 부여씨의 온조-초고왕계 왕가의 시대가 열렸다고 본다.[7] 게다가 이후 고이왕이 집권한 뒤 초고왕계와 고이왕계가 권력 투쟁을 벌이다 근초고왕 대부터 초고왕계로 일원화되는데 고이왕 시기 우씨(우태를 통해 연관된다) 왕족의 대거 출현을 근거로 고이왕계를 비류왕계를 이은 우씨의 비류-고이왕계 왕가로 해석[8]하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초기 백제를 비류왕계 - 초고왕계, 초고왕계 - 고이왕계의 권력 다툼으로 볼 수도 있을 듯하다.


4. 《삼국사기》 기록[편집]


삼국사기(三國史紀)

[ 본기(本紀)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박혁거세 · 박남해 · 박유리 · 석탈해 · 박파사 · 박지마 · 박일성
박아달라 · 석벌휴 · 석내해 · 석조분 · 석첨해 · 김미추 · 석유례 · 석기림 · 석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김내물 · 김실성 · 김눌지 · 김자비 · 김소지
김지대로 · 김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 열전(列傳) ]
41-43권 「열전 1-3권」
44권 「열전 4권」
김유신 ,김원술 · 김윤중 · 김윤문 · 김암,
을지문덕 · 거칠부 · 거도 · 이사부 · 김인문 ,김양도, · 김양 ,김흔, · 흑치상지 · 장보고 · 정년 · 사다함
45권 「열전 5권」
46권 「열전 6권」
을파소 · 김후직 · 녹진 · 밀우 · 유유 · 명림답부 · 석우로 · 박제상 · 귀산 · 온달
강수 · 최치원 · 설총 · 최승우 · 최원위 · 김대문
47권 「열전 7권」
해론 · 소나 · 취도 · 눌최 · 설계두 · 김영윤 · 관창 · 김흠운 · 열기 · 비녕자 · 죽죽 · 필부 · 계백
48권 「열전 8권」
향덕 · 성각 · 실혜 · 물계자 · 백결선생 · 검군 · 김생 · 솔거 · 지은 · 설씨 · 도미 · 필부
49권 「열전 9권」
50권 「열전 10권」
창조리 · 연개소문
궁예 · 견훤




《삼국사기》 <기루왕 본기>
一年秋九月 기루왕이 즉위하다
九年春一月 신라의 변경을 공격하다
九年夏四月 객성이 자미로 들어가다
十一年秋八月 일식이 일어나다
十三年夏六月 지진이 일어나서 많은 사람이 죽다
十四年春三月 큰 가뭄이 들어 보리가 나지 않다
十四年夏六月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쓰러지다
十六年夏六月一日 일식이 나타나다
十七年秋八月 횡악의 큰 바위 다섯 개가 땅에 떨어지다
二十一年夏四月 두 마리 용이 한강에 나타나다
二十三年秋八月 서리가 내려 콩이 죽다
二十三年冬十月 10월에 우박이 내리다
二十七年 한산에서 사냥하여 신성한 사슴을 잡다
二十九年 신라에 사신을 보내 화친을 요청하다
三十一年 겨울에 얼음이 얼지 않다
三十二年 봄과 여름이 가물어 흉년이 들다
三十二年秋七月 말갈이 우곡에 침입하다
三十五年春三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五年冬十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七年 신라에 사신을 보내다
四十年夏四月 서울 성문 위에 황새가 둥지를 틀다
四十年夏六月 한강 물이 넘쳐 가옥이 유실되다
四十年秋七月 수해를 당한 논밭을 복구하다
四十九年 신라의 구원 요청을 받아 장수를 파견하다
五十二年冬十一月 기루왕이 죽다

보면 알겠지만 재위 기간 52년 중 기록은 고작 25줄. 그나마도 자연 재해를 제외하면 5줄밖에 안 남고 그조차 전부 <신라본기>에서 베껴온 것이다.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부여질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섭정
훈해왕



찬탈
설례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3:58:52에 나무위키 기루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생애 문단 참조[2] 보통 왕이 즉위하면 대사면령이 내려지는게 일반적인데 기루왕이 왕위에 오르고 1달 뒤 엉뚱하게도 고구려에서 대사면을 하였다.[3] 재위 기간 52년을 생각하면 100살 가까이, 혹은 넘게 산 게 되는데 수명과 아들을 가진 시기가 부자연스럽다.[4] 만주 쪽의 말갈이 아니라 2번 단락의 가짜말갈, 동예예맥계 집단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5] 신라는 경주가 중심지인 우리가 아는 신라가 아니라 나중에 신라로 흡수될 진한 계통 나라를 신라로 소급해 기록한 것이라는 학설도 있다. 고고학적으로 보면 아직 한성의 백제와 경주의 신라가 서로 국경을 맞댈만큼 영토를 넓혔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이다.[6] 해씨는 고구려 국성인 고씨와 동일시되고, 부여계 성씨로 추정되며 한성백제 때부터 활동한 귀족으로 백제 개국공신 해루도 있다. 후에 해씨는 대성팔족 중 하나가 된다.[7]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8] 천관우. 1976.《한국의 국가형성》, 노중국. 1988.《백제정치사연구》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