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명역(경부선)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화명역(도시철도) 문서
화명역(도시철도)번 문단을
화명역(도시철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화명역
서울 방면
물 금
← 9.4 ㎞
구 포
3.4 ㎞ →
목포 방면
부전 방면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
Hwamyeong
한자
華明
간체자
华明
가나
華明(ファミョン
주소
부산광역시 북구 학사로 135 (화명동)
관리역 등급
보통역 (3급)
(구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운영 기관
경부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부선
1999년 3월 10일
무궁화호
2004년 4월 1일
철도거리표
경부선
화 명

華明驛 / Hwamyeong Station


파일:화명역(경부선).jpg

현 역사(1999년 준공)

1. 개요
2. 연계 교통
3. 일평균 이용객
4. 승강장
5. 시간표
6. 기타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부선철도역, 부산광역시 북구 학사로 135 (화명동) 소재, 신호관제는 구포역에서 담당하고 있다.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공동체 공간

화명역은 1997년에 역사가 착공되어 1999년 3월 10일 신호장으로 영업을 개시, 2004년 보통역으로 승격하였다. 경부선 개통 당시에는 없었던 역으로 혼잡한 구포역의 기능을 분담하기 위해 넓고 긴 승강장이 있는 대규모 선상 역사로 설계 되었다. 역사 개통 초기에는 수요가 거의 없었지만 2004년 고속철도 개통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서면서 이용객이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역사의 빈 공간을 활용한 오픈 스튜디오와 청년 창업가를 위한 공간 등으로 꾸며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역사를 준비하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경부선에서 부산광역시에 진입하면 가장 먼저 나오는 역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허허벌판이었던 화명동 일대가 화명 신시가지로 개발됨에 따라 만들어진 역이다. 본래 경부선은 이 쪽으로 지나가지 않았으나 1999년 화명 신시가지 개발 및 연약지반으로 인하여 이설되었다. 처음에는 신호장이였다가 2003년 7월 10일부터 통일호가 정차했고 2004년 4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역 위상에 비해서 역사 규모가 대단히 크고 아름다운데 서광주역? 2004년 KTX 개통 이후 낙후된 구포역의 기능을 일부 이전할 계획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구포역 일대 주민들의 반대와 더불어 화명동 안쪽을 전혀 지나가지 못하는 특성상[1] 대한민국 철도청에서는 일단 상황을 보고 결정한다는 반응을 보이다 결국 실현되지 못했다.[2]

2004년 4월 KTX 운행 개시 이후 정차하는 여객열차가 증가하면서 이용객이 급증하여 2004년 12월 15일부터 새마을호도 정차했다. 당시에는 화명역과 구포역에 모두 정차하는 부산행 새마을호도 있었고 구포역을 통과하고 화명역만 정차하는 새마을호도 있었다. 하지만 2010년 11월 1일 이후 경부선 새마을호 대량 감편으로 더 이상 이 역에 정차하는 새마을호는 없다.

현재는 이용객이 눈 씻고 찾아 볼 수조차 없을 정도로 급감하였다.[3] 심지어 정차시간 외에는 타는 곳 전등을 모두 꺼놓기 때문에 밤에 찾아가보면 으스스하기까지 하다.[4] 열차가 없을 때는 승강장으로 가는 계단을 셔터로 막아놓는다. 이러다보니 부산진역처럼 아예 여객열차가 안 서는 줄 아는 사람도 간혹 있다. 다만 이건 화명역의 접근성을 100%을 탓하기는 힘들고[5] 화명역에 정차하는 기차가 극히 일부여서 사용하는 사람이 적다는 점도 있다.

그래서 시간표에 맞춰 탄다면 현지 주민들에겐 꽤 유용하다. 금곡, 화명, 수정 등지에서 밀양, 창원, 대구 정도 단거리를 이동할 땐 구포역까지 내려가서 다시 올라가는 것보다 확실히 낫고, 의외로 부산역 방면 하행 부전역, 신해운대역, 부산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픈 고객들이 주로 이용한다. 중간 정차역이 구포역 하나뿐이기에[6] 화명동, 금곡동 주민 입장에서는 15분 남짓 걸려서 부산역 등의 구도심으로 15분 남짓으로 이동할 수 있어서 그 쪽으로 출퇴근하는 사람은 꽤 유용하게 사용한다. 2022년 7월 기준 단돈 2600원이고 정기권 이용시 1300원으로 지하철보다 저렴.[7] 택시 기본요금 이하의 가격이다. 소요시간도 약 20분 정도이니 서서 갈 만도 한듯. 참고로 화명역에서 부산역까지를 택시로 이동하면 약 30분 정도의 시간에 요금은 2만 3천원 이상 나오며[8] 신해운대역까지는 1시간에 요금은 3만원이 넘게 나온다.

북구 주민뿐만 아니라 2018년 9월 18일산성터널이 개통되고 부산 버스 300이 이 역과 금정구를 바로 잇게 되면서 금정구 쪽이 출발/목적지인 경우도 가장 가깝고 이용하기 좋은 경부선 역이 되었다. 물론 금정구는 노포동 버스터미널이 있지만 버스가 바로 가지 않는 곳을 가거나 무궁화호 타고 가고 싶을 땐 유용하다.

2016년 2월 기준으로 경전선 순천 방면으로 가는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에 4회 있지만 빙빙 돌아가는 삼랑진 드리프트를 보면 시간 면에서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이 효율적이라 화명동 주민들만 이용하는 편이다.

2017년 8월경 역사 오른편에 주차장이 완공되었다. 무인 주차장으로 신용(체크)카드나 교통카드 등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2. 연계 교통[편집]


  • 경부선 화명역·고용복지센터(정류장 번호: 08-222/08-223)

  • 부산광역시 마을버스
    • 부산 버스 북구7-2[9]


3.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무궁화호
]]
비고
2004년
160명

2005년
280명

2006년
253명

2007년
262명

2008년
269명

2009년
264명

2010년
269명

2011년
331명

2012년
321명

2013년
391명

2014년
402명

2015년
384명

2016년
367명

2017년
409명

2018년
399명

2019년
414명

2020년
278명

2021년
337명

2022년
38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경부선 이설과 동시에 개업해서 역세권이라고 해봤자 학사로화명대로유흥가동네밖에 없는데 유동인구가 많은 금곡대로와는 700m나 떨어져 있다. 다만 말이 그렇다 뿐이지 걸어서 가면 화명동 중심까지는 10분이 채 안걸린다.[2] 비슷한 예로는 경전선 진례역이 있다. 진영역을 없애고 진례역으로 몰아주려다가 취소되면서 지금과도 같은 모습이 된 것.[3] 정차 초기에 화명역 가는 법을 묻자 도시철도 2호선 화명역을 착각한 것이 아니냐? 화명동에 오래 살았는데 기차역이 있다는 소리는 처음 듣는다 등으로 오히려 동네 사람들이 반문할 정도로 존재감이 없었다.[4] 다행히도 대합실 불은 켜놓는다.[5] 화명신도시에서 살짝 벗어나 있는건 사실이나, 서동탄역 처럼 근처 신도시 수요를 전혀 흡수하지 못할 정도로 접근성이 부족한건 아니다.[6] 간혹 사상역에도 정차하는 편성은 있지만 극소수이고, 정차를 한들 도시철도나 버스, 자차보다 훨씬 빠르다. 동일한 구간을 운행하는 59번의 경우 기점과 종점이기에 무려 1시간 정도가 걸리며 부산 특유의 교통 체증이 발생하면 더욱 늦어진다. 수도권 지역의 서울역~수원역~천안역 & 수서역~동탄역 간 장거리 통근/통학수요가 있는 것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7] 무궁화호의 기본운임은 40km까지 2600원.[8] 관문대로를 경유하여 백양터널~수정터널 이용 시. 유료도로라 유료도로 요금은 승객이 부담해야 한다.[9] 이 버스에도 일화가 많다. 7-2번은 경부선 화명역이 종점이지만 역 바로 앞에 서지 않고 화명고가교 아래에 유턴하여 되돌아가는 지점에 정차하며 배차간격도 30분으로 너무 길고 막차도 기점발 오후 2시30분이다.없는 노선이라고 생각하자

화명동 일대는 부산광역시 북구 지역의 상업, 교통의 중심지이다. 이는 2호선 화명역이 2호선 사상 이북구간에서 제일 수요가 많은 것에서 드러난다. 하지만 경부선 화명역은 잠재 배후 인구에 비해 여객수요가 미미하다. 그 이유는 역세권이 의외로 작기 때문. 배차간격이 좋은 구포역이 멀지 않은 곳에 있어 시외 수요를 대거 내주는 것이 제일 큰 이유다. 또한 화명동에서도 외진 곳에 있어 접근성이 은근히 좋지 않다. 가까운 정류장은 화명대로에 있는데 여기서 화명역 - 2호선 화명역 구간은 마을버스 7-2번과 시내버스 300번을 제외하고는 버스가 아예 없다. 마을버스는 화명동 일대만을 돌며 배차간격도 30분이고 시내버스의 경우는 주거지역으로 가지 않으므로 교통도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대부분의 버스를 타려면 금곡대로로 가야하는데, 마을버스 환승이 아니라면 700m 가량을 걸어서 2호선 화명역까지 가야 한다. 만일 2호선 화명역과 가까이 있었거나 적어도 역이 금곡대로 상에 있었더라면 지금의 수요보다 더 많이 나왔을 것으로 보인다.

수요 구조는 중단거리 위주의 구성을 보인다. 부산역 방면 이용객이 제일 많으며 부산역에 승차객 기준 이용객의 3분의 1가량이 모인다. 그 외에 밀양, 동대구, 창원중앙 등이 주요행선지이다. 그 밖의 경전선 상의 역이나 경부선 동대구 이북 구간은 수요가 극히 미미하다. 승차량에 비해 하차량이 상당히 적은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전술한대로 배차간격 문제와 접근성이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출근 시간대에는 속달성을 어떻게든 활용하지만 퇴근시간대에는 이용률이 떨어진다. 행선지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50~70% 수준에 그친다.


4. 승강장[편집]



구포
1




2

물금

1
경부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구포·사상·부산 방면
경전선
구포·사상·부전 방면
2
경부선
동대구·대전·서울 방면
경전선
마산·순천·목포 방면

5선 2면의 혼합식 승강장이며, 중간의 2선은 통과선이다. 2번 승강장 바깥쪽 선로는 비전철 선로다.

5. 시간표[편집]


하루에 무궁화호가 평일 기준 상행 10회, 하행 9회 운행중이다.
화명역 열차시간표 (2023년 9월 1일 기준)
상행 (서울, 동대구, 순천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비고
무궁화호
#1204
05:55
05:56
서울

무궁화호
#1951
06:40
06:43
목포

무궁화호
#1206
07:14
07:15
서울

무궁화호
#1354
09:09
09:10
대전

무궁화호
#1210
10:03
10:04
서울

무궁화호
#1941
10:42
10:42
순천

무궁화호
#1943
13:26
13:27
순천

무궁화호
#1218
18:34
18:35
서울

무궁화호
#1344
19:08
19:09
동대구
주말 미운행
무궁화호
#1945
19:14
19:15
순천

하행 (부산 방면)
열차종류
열차번호
도착시간
출발시간
종착역
비고
무궁화호
#1341
07:18
07:19
부산
주말 미운행
무궁화호
#1343
08:25
08:26
부산

무궁화호
#1942
09:10
09:11
부전

무궁화호
#1203
11:49
11:50
부산

무궁화호
#1944
12:04
12:05
부전

무궁화호
#1952
15:41
15:42
부전

무궁화호
#1357
16:41
16:42
부산

무궁화호
#1946
20:22
20:23
부전

무궁화호
#1217
23:13
23:14
부산


6. 기타[편집]


역명판 불을 종종 밤에도 켜지 않는다. 심지어 열차가 정차하는 시각에도 켜지 않을때가 있다. 얼마나 아오안이면 사족으로 지나가다 화장실을 이용하기에도 편하다.

경부선 무궁화호를 이용할 때 부산역 대신 화명역을 이용하면 1,300원이나 아낄 수 있다. 특히 화명역~밀양역 구간은 기본운임인 2,600원을 받고 부산역~밀양역 구간은 1.5배인 3,900원을 받는다. 다만 배차 상태가 안 좋고 지하철역과 멀기 때문에 화명역보단 200원 더 내고 구포역을 이용하는 게 낫다.

이용객이 적다보니 옆에 있는 구포역과 다르게 택시가 대기하지 않는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2:58:09에 나무위키 화명역(경부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