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역

최근 편집일시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역에 대한 내용은 대전역(도시철도) 문서
대전역(도시철도)번 문단을
대전역(도시철도)#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전역

고속열차 노선 보기
서울 방면수 원[1]
← 124.8 ㎞
김천(구미)
73.8 ㎞ →
김천(구미)
73.8 ㎞ →
서대구
119.5 ㎞ →
김천(구미)
← 73.8 ㎞
경부선파일:SRT BI_White.png
(서대구 경유)




광역철도 노선 보기 (미개통)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갈아타기
다른 문자 표기

[ 펼치기 · 접기 ]
로마자
Daejeon
한자
大田
간체자
가나
大田(テジョン

주소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정동)
관리역 등급
관리역
(1급 / 한국철도공사 대전충청본부)
운영 기관

[ 펼치기 · 접기 ]
경부선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1]
대전선
경부고속선

개업일

[ 펼치기 · 접기 ]
경부선
1905년 1월 1일
호남선
1911년 7월 10일
~ 2004년 3월 31일[1]
대전선
2004년 4월 1일[2]
경부고속선
2015년 8월 1일[3]
파일:KTX BI_White, Red.svg
2004년 4월 1일
파일:Untitled-1.png
2016년 12월 9일
파일:ITXsaemaeul_whiteLOGO.png
2014년 5월 12일
파일:ITX-마음 BI_White.png
2023년 9월 1일
무궁화호
1984년 1월 1일

역사 구조
지상 4층 구조, 지상 1층 승강장
승강장 구조
6면 15선 복합식 승강장
철도거리표
경부선
대 전
경부고속선
대 전
기점
대전선
대 전
↓세종 BRT 운행계통 보기 ↓

1. 개요
2. 역 정보
2.1. 경부선 개통 후
2.2. 역 확장공사 이전
2.3. 역 확장 공사
2.4. 역세권 개발 사업
3. 역 주변 정보
4. 승강장
5. 일평균 이용객
6. 시간표
6.1. 상행
6.2. 하행
7. 연계 교통
7.2. 시내버스 환승
7.2.1. 대전로 소재 정류장
7.2.2. 중앙로 소재 정류장
7.4. 택시 승강장
8. 사건·사고
9. 기타
9.1. 가락국수의 성지
9.2. 근처 타지역으로 가는 법
9.3. 그 외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파일:DSC_1706.jpg

현 역사(2003년 준공, 2017년 증축)
경부선 하행 역명판

파일:대전역 스탬프.jpg
대전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1993 대전 엑스포의 마스코트인 꿈돌이와 꿈순이를 형상화했으며, 초기 1999년 제작 스탬프에 해당한다. 역무실에 비치중이다.

명실상부한 철도의 중심

대전역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철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했다. 역이 들어서면서 시골 마을이었던 한밭(대전의 옛 이름)은 새로운 미래를 키우게 되고. 이후 경부선과 호남선의 분기점이 되면서 철도교통의 중심으로 급부상한다. 1928년 현재의 대전역 위치에 두 개의 둥근 돔을 갖춘 서구식 역사가 신축되었는데 한국전쟁으로 소실된다. 하지만 지정학적 중요성 때문에 1958년 전쟁으로 무너진 많은 철도역 가운데 가장 먼저 다시 세워진다. 2004년 KTX개통과 함께 새 역사가 건설되고, 2017년 증축공사를 거치며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역 동편에 있는 28층 쌍둥이 빌딩인 철도기관 공동사옥은 현대화된 대전역과 함께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철도 중심의 위용을 보여주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철도역 이야기'에서 발췌.

경부선경부고속선, 대전선, 충북선[1]철도역, 대전광역시 동구 중앙로 215 (정동) 소재. 1919년 개축 직후

이용객이 2020년 철도연감 기준, 한국철도공사와 주식회사SR을 포함했을 때, 약 1,340만 명으로, 약 2,350만 명의 서울역, 약 1,750만 명의 동대구역에 이어 3위를 차지하고 있는 거대역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개업했다. 충청남도 회덕군에 속한 작은 마을이었던 한밭은 이 철도가 들어오면서 충청도 최대 도시인 대전부로 성장하였고, 이후 공주군에 있던 충청남도청이 옮겨온 것은 물론 호남선 분기점 역할을 하게 되어 교통의 요지로 성장하게 됐다. 그래서 대전역은 단순한 대전의 중앙역 정도가 아니라 대전광역시를 현재 인구 150만 명의 충청도 1위 최대 도시이자 대덕연구개발특구라는 '과학 1번지' 이미지 획득, 그리고 정부대전청사를 비롯한 국가 중심기능까지 도맡을 수 있게 해준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003년 5월 15일KTX 개통을 앞두고 현재 역사를 신축하였으며[2] 뒤편에 한국철도공사 본사와 국가철도공단 본부가 입주해있는 철도기관 공동사옥(철도트윈타워)이 위치하고 있다.[3]





2. 역 정보[편집]


상행은 서울, 수서[4]행과 하행은 부산, 포항, 마산, 진주행으로 가는 경부선경부고속선의 모든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열차가 필수정차한다.[5] 인근의 서대전역[6]과 함께 대전의 관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화물도 취급했지만 2007년 11월 1일에 중지되었다.[7]


2.1. 경부선 개통 후[편집]


  • 1905년, 경부선 경성-초량 구간이 개통하면서 대전역 영업을 시작했다. 경부선/역사 참고.
  • 1918년[8], 대전역이 르네상스 양식 석조 건물로 개축·준공되었다.[9]
  •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였고, 대전 전투에서 미군의 철수 전의 대전역은 포격으로 무너지게 되었다.
  • 1952년, 임시 목조건축물 형태의 대전역이 운영되고 있었다.#
  • 1959년, 모더니즘 양식의 대전역이 준공되었다. 단군기원 4292년 8월 15일 광복절을 기념하여 대전까지 국산객차 시운전을 하였고, 곧 경부선 역(대구 천안 등)들이 광복절 전후로 준공되었다. 관련 기사가 신문에는 20일 보도되고, 대전역 낙성식은 22일 이루어진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 1978년, 호남선 복선화가 진행 되었고, 대전조차장역이 개업하였다. 대전역-서대전역 구간은 호남선에서 대전선이 되었다. 서울에서 호남을 가는 열차는 더이상 대전역에 도착하고 기관차의 방향을 바꾸지 않게 되었으며, 승객들이 가락국수를 먹을 긴 휴식시간이 사라지게 되었다.
  • 2004년 KTX 운행이 개시되었고, 2006년 대전 도시철도 1호선 1차 구간이 개통되었다. KTX 도심구간 지하화 논쟁, 대전역 지하부분 설계논쟁 과정을 거쳤고 결국 대전역 밑에 지하차도가 개통되며 대전역은 반쪽으로 쪼개지고, 선상역사로 재건축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문단 참고.


2.2. 역 확장공사 이전[편집]



파일:20200411_161608.jpg

1996년 대전역사 전경


2003년 대전역사 전경


본래 역 서쪽으로는 소화물을 비롯하여 다양한 화물을 다 취급했었고, 동쪽으로는 철도 보급창이 있어 동쪽으로도 화물취급을 했으며, 대전기관차사무소와 대전객화차사무소, 대전장비사무소 즉 동력차와 객화차 심지어 선로장비까지 모두 검수할 수 있는 설비가 전부 갖춰져 있었다. 기관차 방향 전환 전차대를 비롯하여 객차 세척설비와 피트선[10] 등을 갖춘 종합차량기지 역할이었다. 선로는 대전 시종착 여객열차의 유치선과 부본선, 인상선, 기회선, 화물선 등 전성기의 대전역 구내 선로는 30선 이상이었다. 대한민국에서 규모 3위 안에 들만한 거대한 역이었고 2002년 대전조차장으로 시설이 이동하고 나서는 순수한 여객용 플랫폼이 되었다.

2010년대 중반부터 역사가 대규모 확장을 했다.

2.3. 역 확장 공사[편집]


파일:external/www.ggilbo.com/220158_161410_5613.jpg
2015년 4월부터 증축공사에 착수했다. 대전역사 증축공사는 선로 상부에 역사증축 및 동서연결통로, 주차장을 건설하게 된다. 2016년 7월까지 증축공사가 완료될 예정이었으나 공사가 지연되어 2017년 7월에 완공되었다.

KTX 최초 개통 당시의 대전역 신역사는 사실 1단계까지 지어진 것이었으며 다시 말해 반만 지어진 것이다. 그래서 대전역은 항상 사람이 꽉 차 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그래서 2단계 계획은 빨리 세워졌는데 관련 기관의 이해가 엇갈려서 증축 이전 7년동안 제대로 추진이 되지 않았다.

그 4개 기관의 이해관계를 살펴 보자면 동구청 측은 민자역사로 짓겠다고 하고 있고[11] 대전광역시청 측은 그냥 역으로 짓겠다고 하여[12] 의견충돌이 있었다.

한국철도공사철도시설공단은 상업시설을 짓는다는 의견에는 찬성하나 각각 자기네 땅에 짓겠다는 충돌 양상을 보였다. 게다가 대전광역시 측에서 2단계 계획의 역 규모를 더 늘려줄 것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또 문제가 있는게 민간자본 투자가 안 된다는 것. 다른 곳은 동대구역같이 잘도 진행되는데 유성터미널이나 여기는 계획을 해도 투자가 안되니까 발이 묶이는 것. 여기에는 대전광역시의 대형유통시설 총량제 규제(#)가 상당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에는 당장은 상업시설이 들어오지 않는 것으로 결론지어졌지만, 역사 위에 민간복합상업시설이 들어올 수 있도록 수직증축이 가능하게 역사가 설계된다. 구 대합실과 확장된 대합실 쪽의 기둥을 보면 확장 된 곳이 훨씬 두껍게 지어졌다는 것이 육안으로 바로 확인된다. 관련 링크

2단계 계획 중에는 KTX 전용 승강장이 포함되어 있는데 2014년까지 대전/대구 고속 전용선 시내구간을 개통하는 계획으로, KTX 승강장/선로를 기존선과 따로 분리하여 선로용량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대전역에서도 이 공사가 진행되어 2012년 11월 완공되었고, 기존 승강장 쪽은 대전역 시종착점으로 바뀌었다. 이때 새 승강장 중 일부분은 천막 같은 걸로 지어졌는데 역시 2단계를 대비한 것이다. 2단계를 지으면 어차피 철거할 부분이라서 대충 튼튼히 지어놔도 되는 것. 그리고 고속전용선 시내 구간이 완공될 때까지 승강장이 계속 왔다갔다 할 것이므로 자세한 승강장 변동 내역은 생략한다. 이제는 완벽하게 승강장 공사가 끝났지만 증축을 한답시고 승강장을 폐쇄한 경우가 있었다.

2015년 8월 6일한국철도시설공단에서 본격적인 확장공사를 한다고 한다.기사 동광장 방면으로 역을 확장한다고. 대전역세권개발사업의 일환이다.

2017년 8월 1일, 마침내 2단계 맞이방 구역이 승객들에게 개방되었다. (기사) 다만 선상주차장 부분이 다 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대전역 증축공사가 완공된 것은 아니다. 일종의 선개통 후완공.

대전역 증축역사 선상주차장 2017년 9월 9일 오전 5시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3단계 공사로 역세권개발사업에 포함되어 있는 대전역 선상공원 조성이 예정되어 있다.

2.4. 역세권 개발 사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전역세권개발사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세권개발사업을 추진중이다.

2.5. 충청권 광역철도[편집]


파일:AKR20170828061400064_01_i.jpg
충청권 광역철도옥천 연장 사업이 2026년 개통예정이며, 대전역은 이 구간의 중간 정차역이 될 예정이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3.1. 광장[편집]


서광장이 꽤 큰 편이라 과거에는 서울역 광장과도 비교할 수 있을 정도였다고. 지금은 신역사가 왼쪽으로 치우쳐지고, 지하도와 택시 진입로가 지어지면서 실제로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광장의 크기는 좀 줄어든 상태.

서광장에는 대전 부르스 노래비가 서 있는데, 가수의 이름이 새겨지지 않았다. 이는 원곡자인 안정애가 노래비에 "자신의 이름을 새길 거면 차라리 이 곡을 리메이크조용필의 이름도 같이 새겨라."[13]라고 하면서 사실상 거부해 버린 바람에 현재까지도 가수의 이름은 공백으로 남아있다. 노래에 '목포행 완행열차'라는 구절이 있는데 지금 대전역에서는 호남선을 운행하지 않는다.[14] 이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대전조차장역, 대전선문서 참조.


3.2. 철도기관 공동사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철도기관 공동사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국철도공사국가철도공단의 공동사옥이 역 뒤편(동광장)에 위치하고 있다. 서광장에서 봤을 때 왼쪽 A동은 한국철도공사가 쓰고 오른쪽 B동은 국가철도공단철도특별사법경찰대가 쓴다.

사실 공동 사옥을 짓기 이전의 각 기관은 난감한 처지에 있었다. 한국철도공사는 철도청이 공사화가 되어 철도공사가 된 이후로도 계속 정부대전청사에 있었는데 정부기관이 아닌 것이 정부청사에 있을 수는 없는 것이라 언젠가는 정부청사를 나가야 할 상황이었다.

시설공단의 경우는 더욱 심각해서 철도청으로부터 분리되고 고속철도건설공단과 합쳐지면서 서울에 세들어 살다가 수도권규제 크리를 먹고 대전으로 허겁지겁 이전해서 역시 중구 대흥동 대림빌딩에 임대[15]로 있었다.

양쪽이 다같이 난처했던 터라 공동사옥을 짓기로 하였고 원래는 시설공단 계획대로 천안아산역 쪽에 지으려고 있는데 한국철도공사가 대전역 쪽에 부지가 있다고 하여 현재의 위치로 이전한 것.

이곳 1층에 국가철도공단의 홍보관이 있다. 평일엔 일반인도 자유롭게 관람 가능하다.[16]

4. 승강장[편집]


2020년 8월 8일 기준. 북행선 기준 좌측부터 1번 승강장이다. 배선도
대전조차장·신탄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세천·김천(구미)

1·2
대전선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17]
3·4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천안아산·서울·수서 방면
경부선
파일:KTX BI.svg
수원·영등포·서울 방면
5·6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천안·수원·서울 방면
7·8
충북선
[[무궁화호|

무궁화호
]]
청주·제천·영주 방면
9·10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
동대구·울산·부산 방면(수원경유 KTX)
경부선
파일:ITX-새마을 BI.svg·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동대구·부산·신해운대 방면
경전선
파일:ITX-새마을 BI.svg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11·12
경부고속선
파일:KTX BI.svg·파일:SRT BI.svg
동대구·울산·부산 방면
경전선
동대구·마산·진주 방면
동해선
김천(구미)·동대구·포항 방면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KTX BI.svg
파일:SRT BI.svg

파일:ITX-새마을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총합
비고
2004년
14,615명

4,519명
14,691명
33,825명
[18]
2005년
17,665명
4,399명
13,582명
35,646명

2006년
20,958명
4,091명
13,648명
38,697명

2007년
21,942명
3,942명
14,231명
40,115명

2008년
22,343명
4,020명
13,996명
40,359명

2009년
22,395명
3,965명
13,214명
39,574명

2010년
24,033명
3,642명
13,915명
41,590명

2011년
26,351명
2,982명
15,560명
44,893명

2012년
26,895명
2,672명
15,797명
45,364명

2013년
27,999명
2,688명
16,041명
46,728명

2014년
28,548명
3,016명
16,036명
47,600명

2015년
28,798명
2,729명
15,240명
46,767명

2016년
29,581명
6,336명
2,794명
14,387명
53,098명
[19]
2017년
26,036명
7,551명
3,053명
13,113명
49,753명

2018년
26,825명
8,481명
3,124명
13,009명
51,439명

2019년
28,188명
8,927명
3,119명
13,311명
53,545명

2020년
16,823명
6,448명
1,925명
7,990명
33,186명

2021년
19,186명
7,258명
2,222명
8,283명
36,949명

2022년
26,746명
8,646명
2,972명
9,913명
48,277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1] 충북선 선로가 지나지는 않으나 대다수의 충북선 열차가 대전에서 시종착한다.[2] 기존 건물 리모델링 등 전체적인 완공은 2004년 3월 29일에 했다.[3] 대전역 서광장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 그러니까 북쪽 타워가 한국철도공사 본사이며 오른쪽, 남쪽 타워가 국가철도공단 본부이다. 두 건물은 오피스 건물 중 대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다.[4] SRT[5] 서울 - 부산 무정차 직통 KTX라는 예외도 있었으나, 2015년 4월 2일부터 서울 - 부산 무정차 KTX가 폐지되어 현재는 경부선, 경부고속선을 지나는 모든 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열차가 필수정차한다. 하루의 마지막 KTX 열차가 대전역에 종착하는 열차이고, 2개의 열차가 출발함으로써 동대구역보다 KTX의 정차 횟수가 2회 많다.[6] 호남선(목포, 광주송정, 익산방면), 전라선(여수엑스포, 순천, 전주방면) 방면[7] 화물 취급 역할은 호남본선의 분기역이자 차량사업소와 직원 전용 역인 대전조차장역으로 넘어갔다. 다만 승강장들과 떨어진 중선에 이따금씩 화물열차가 기관사 교대를 이유로 몇분씩 서있다가 가기는 한다.[8] 1928년으로 기록된 자료도 있는 듯 하다.[9] 1971년까지 사용된 구 대구역사와 유사한 형태의 건물이었다.[10] 선로 밑으로 구덩이를 파 정비를 할수 있는 공간.[11] 구도심이 되어 위축된 주변 상권을 어느 정도 세울 수 있음[12] 주 광장인 서광장 왼쪽에 시장이 있어 민자역사가 지어지면 상권에 타격이 클 수 있고 주변이 구도심이 되어 버린 상태라 백화점이 지어져도 잘 될지 불투명. 게다가 도보 거리이기도 한 1정거장 뒤의 역인 중앙로역NC백화점 대전점(구 동양백화점, 갤러리아 동백점)이 있다. 사실 5공 말년에 신세계그룹대전 민자역사 사업자로 선정되었으나, 상술한 동백과의 상권 중복문제 때문에 포기한 흑역사가 있다. 아래에 서술되는 대형유통시설 총량제 규제라는 대전광역시의 희대의 병크정책 덕에 대전시는 대도시이자 충청권의 맹주임에도 불구하고 마트, 백화점 등이 들어오기 굉장히 힘들다. 코스트코 대전점도 이러한 문제 때문에 신세계와의 임대차가 끝나는 시점에서 이전할 곳이 없어 대전점이 없어질 수도 있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다행히 코스트코에서 신세계의 건물을 사들여 계속 영업 중이다.[13] 본래 이 곡은 1959년 안정애가 불렀으나, 1980년대에 조용필이 불러서 크게 히트했기 때문이다.[14] 원래는 1번홈이 호남선 시종착이었다. 현재의 대전선 삼각선 이용. 참고로 증기시절 객화차분리 후 견인기를 전차대로 돌리는 게 아니라 아예 떼버리고 대전역에서 정방향으로 대기중이던 새 견인기를 붙여서 가는 경우가 흔했다고.[15] 현재 시설공단이 나간 자리에는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본사가 위치해 있다.[16] 원래 한국철도공사 홍보관도 있었지만 현재는 카페로 개조당했다.[17] 1번 승강장은 두단식 승강장이며 1번 선에는 전차선도 없다. 홍도고가교를 지하화 하는 공사를 위해 선로가 끊겼다. 대전역 북부 선로를 손보는 공사를 하고 있는데, 이 공사와 함께 대전선도 다시 연결한다고 하므로 재개통 후 다시 사용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대전선이 지나던 대전천 상의 교량이 재건축 공사가 진행중인데, 교량 완공 후 잡초 등을 걷어내고 시운전만 하면 대전선은 재사용이 가능하다. 예전에는 2번 승강장에서 충북선 열차가 시종착했으나 2017년도 확장 공사 즈음 해서 7번으로 옮겨갔다. 선로가 끊긴 이후부터 대합실에서 내려가는 통로는 막혔고 일반 이용객의 출입이 금지된 현재는 이곳에 사람이 있을 경우 경고벨과 함께 TTS로 된 경고 안내 방송이 자동으로 흘러나온다. 다만 일부 직원들이 1층을 거쳐 역 바로 옆 대전충청지역본부를 오갈때 걸어다니는 모습이 보이는데, 어차피 공사 직원이라 출입이 허가된 사람인 만큼 경고 방송이 나오든 말든 개의치 않는 듯 하다. [18] KTX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4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27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9] SRT의 자료는 운행 개시일인 12월 9일부터 12월 31일까지 23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충청권 광역철도가 개통되면 옥천방면의 수요가 넘어올 것으로 예측된다.

6. 시간표[편집]



6.1. 상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55
KTX
116
서울
06:20
KTX
82[월]
서울
06:34
KTX
166[월]
118[화~일]
서울
06:45
KTX
2
서울
06:49
KTX
4
서울
07:00
KTX-산천
202+232
서울
07:10
KTX
6
서울
07:28
KTX
120
서울
07:44
KTX-산천
192+9192
서울
07:51
KTX
8
서울
08:06
KTX
84[금~일]
서울
08:14
KTX
170[수원][주말]
서울
08:20
KTX
102
서울
08:35
KTX
10
서울
08:44
KTX-산천
204+234
행신
09:07
KTX
12
서울
09:25
KTX
86[금~일]
서울
09:46
KTX
14
서울
09:51
KTX
122[수원]
서울
10:11
KTX
104
서울
10:16
KTX
16
행신
10:26
KTX
18
서울
10:36
KTX
20
서울
10:58
KTX
22
서울
11:14
KTX-산천
KTX
188[월~목]
88[금~일]
서울
11:22
KTX-산천
206+236
서울
11:26
KTX
24
서울
11:34
KTX
238
서울
12:00
KTX
26
서울
12:10
KTX-산천
162+298[금~일]
서울
12:28
KTX-산천
208+240
서울
12:37
KTX
28
서울
13:37
KTX
30
서울
13:48
KTX-산천
282[금~일]
서울
14:02
KTX-산천
242+9242[월~목]
292+9292[금~일]
서울
14:06
KTX
32
서울
14:35
KTX
210
서울
14:40
KTX
34
서울
14:48
KTX
124[수원]
서울
14:53
KTX
90[금토]
서울
15:22
KTX
212
행신
15:27
KTX-산천
106+244
서울
15:36
KTX
36
행신
15:49
KTX
38
서울
16:56
KTX
40
행신
16:32
KTX
42
서울
16:43
KTX
92[금~일]
서울
16:48
KTX
172[수원][주말]
서울
16:52
KTX
214
서울
16:56
KTX
246
서울
17:15
KTX
44
서울
17:31
KTX
108
서울
17:50
KTX-산천
248+9248[월~목]
248+284[금~일]
서울
17:57
KTX
46
서울
18:04
KTX
94[금~일]
서울
18:13
KTX-산천
190+4022
서울
18:26
KTX
48
서울
18:30
KTX
50
서울
18:39
KTX-산천
KTX
196[월~목]
96[금~일]
서울
18:52
KTX
216
서울
18:56
KTX-산천
52
행신
19:19
KTX
250
서울
19:27
KTX
126[수원]
서울
19:38
KTX
54
서울
19:53
KTX-산천
4034[월~목]
행신
19:59
KTX-산천
98+4032[금~일]
행신
20:04
KTX
218
서울
20:15
KTX
56
서울
20:23
KTX-산천
296[월~목]
286+294[금~일]
서울
20:33
KTX
58
행신
20:44
KTX-산천
110+252
서울
21:01
KTX
60
서울
21:09
KTX
164[금~일]
서울
21:14
KTX_산천
KTX
194[월~목]
100[금~일]
행신
21:18
KTX
128[수원]
서울
21:40
KTX-산천
4026[월~목]
198+4024[금~일]
서울
21:56
KTX
62
서울
22:02
KTX-산천
220
서울
22:15
KTX
64
서울
22:28
KTX-산천
288[금~일]
서울
22:37
KTX
66
행신
22:42
KTX
112
서울
22:59
KTX-산천
222+254
행신
23:10
KTX
68
서울
23:13
KTX
70
서울
23:30
KTX
72
서울
23:34
KTX
224
서울
23:39
KTX
74
서울

파일:SRT BI.svg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30
SRT
302
수서
07:04
SRT
304
수서
07:34
SRT
306
수서
08:29
SRT
308
수서
08:57
SRT
310
수서
09:12
SRT
312
수서
09:35
SRT
382[월~목]
314+382[금~일]
수서
09:58
SRT
316
수서
10:31
SRT
318
수서
10:45
SRT
320
수서
11:03
SRT
392[월~목]
322+392[금~일]
수서
11:43
SRT
324
수서
12:15
SRT
326
수서
12:19
SRT
328
수서
13:53
SRT
330
수서
14:15
SRT
332
수서
14:29
SRT
334
수서
15:05
SRT
336
수서
15:09
SRT
338
수서
15:45
SRT
340
수서
16:01
SRT
342
수서
16:26
SRT
344
수서
17:00
SRT
346
수서
17:09
SRT
348
수서
17:19
SRT
350[금~일]
수서
17:35
SRT
352
수서
18:20
SRT
354
수서
19:06
SRT
356
수서
19:14
SRT
384[월~목]
358+384[금~일]
수서
19:46
SRT
360
수서
20:28
SRT
362
수서
21:05
SRT
394[월~목]
364+394[금~일]
수서
21:23
SRT
366
수서
21:51
SRT
368
수서
22:06
SRT
370
수서
22:20
SRT
372
수서
22:52
SRT
374
수서
23:20
SRT
376
수서
00:05
SRT
378
수서
00:30
SRT
380
수서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상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28
무궁화
1312[평일]
서울
06:14
무궁화
1314
서울
06:30
무궁화
1316
서울
08:00
무궁화
1318
서울
08:51
무궁화
1202
서울
09:11
무궁화
1204
서울
09:23
ITX-새마을
1002
서울
09:28
무궁화
4302
동대구
10:33
무궁화
1206
서울
11:09
무궁화
1208
서울
11:32
ITX-새마을
1004
서울
11:59
ITX-새마을
1032
서울
13:26
무궁화
1210
서울
13:34
ITX-마음
1102
서울
15:13
ITX-새마을
1006
서울
16:11
무궁화
1212
서울
16:24
ITX-새마을
1008
서울
17:00
ITX-새마을
1024[주말]
서울
17:16
무궁화
1214
서울
18:02
무궁화
1216
서울
18:09
ITX-새마을
1010
서울
18:59
무궁화
1320
서울
19:19
ITX-새마을
1034
서울
20:01
ITX-마음
1104
서울
20:21
무궁화
4304
동대구
20:36
ITX-새마을
1022
서울
20:43
무궁화
1322
서울
21:30
ITX-새마을
1012
서울
21:50
무궁화
1218
서울
22:18
ITX-새마을
1014
서울


6.2. 하행[편집]


파일:KTX BI.svg
파일:KTX-산천 BI.svg(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04
KTX-산천
201
진주
KTX_산천
297[금~일]
포항
06:14
KTX
1
부산
06:19
KTX
161[구포][월]
부산
06:34
KTX
3
부산
06:49
KTX-산천
203
진주
231
포항
07:04
KTX
5[서대구]
부산
07:14
KTX-산천
75
부산
281[금~일]
진주
07:40
KTX
7
부산
07:50
KTX
233
포항
08:09
KTX
9
부산
08:34
KTX
11
부산
08:49
KTX
13
부산
09:04
KTX
15
부산
09:20
KTX-산천
235
포항
09:29
KTX
205[서대구]
진주
09:36
KTX_산천
191
부산
KTX-산천
4031
포항
09:52
KTX
17
부산
09:57
KTX
121
부산
10:10
KTX
207
마산
10:29
KTX-산천
237+9237[월~목]
237[금~일]
포항
10:35
KTX_산천
19
부산
KTX-산천
285[금~일]
진주
10:44
KTX
101[서대구,구포]
부산
11:04
KTX
21
부산
11:14
KTX
209
진주
11:24
KTX
163[서대구,구포][금~일]
부산
11:39
KTX
23
부산
11:54
KTX-산천
239
포항
4021
진주
11:59
KTX
123
부산
12:05
KTX
25
부산
13:05
KTX
27
부산
13:17
KTX
171[주말]
부산
13:32
KTX
29
부산
13:39
KTX
243
포항
13:55
KTX
211
마산
14:09
KTX-산천
31
부산
241
포항
14:14
KTX
103[서대구,구포]
부산
14:29
KTX
33
부산
14:39
KTX
213[서대구]
진주
14:50
KTX
183[월~목]
83[금~일]
부산
15:05
KTX
35
부산
15:14
KTX-산천
KTX
185[월~목]
85[금~일]
부산
15:25
KTX
37
부산
15:34
KTX-산천
39
부산
287[금~일]
마산
15:39
KTX
245
포항
15:53
KTX
87[금~일]
부산
16:09
KTX
41
부산
16:15
KTX-산천
255
포항
KTX_산천
283[금~일]
진주
16:23
KTX-산천
89[금~일]
부산
4023[월~목]
4027[금~일]
진주
16:41
KTX
43
부산
16:46
KTX_산천
193
부산
KTX-산천
4033
포항
16:57
KTX
45[서대구]
부산
17:24
KTX-산천
215
마산
247
포항
17:29
KTX
47
부산
17:51
KTX
125
부산
18:05
KTX
49
부산
18:15
KTX
105[구포]
부산
18:30
KTX
51
부산
18:39
KTX-산천
217
마산
KTX_산천
249
포항
19:00
KTX
53
부산
19:10
KTX
219[서대구]
마산
19:19
KTX
55
부산
19:37
KTX
57
부산
19:52
KTX
107[서대구,구포]
부산
20:09
KTX
59
부산
20:19
KTX
91[금~일]
부산
20:34
KTX
61
부산
20:44
KTX
127
부산
20:49
KTX
165[금토][구포]
부산
20:58
KTX
93[금~일]
부산
21:09
KTX
63
부산
21:18
KTX-산천
KTX
197+9197[월~목]
95[금~일]
부산
21:22
KTX
65[서대구]
부산
21:33
KTX
173[금~일]
부산
21:49
KTX-산천
221
진주
251
포항
21:54
KTX
109[서대구,구포]
부산
22:04
KTX
67
부산
22:35
KTX
69
부산
22:39
KTX-산천
195+9195[금~일]
부산
22:44
KTX
111[서대구,구포]
부산
23:04
KTX
71[서대구]
부산
23:09
KTX-산천
223
마산
23:24
KTX-산천
253
포항
23:34
KTX
73
부산
23:48
KTX
97[금~일]
부산
00:09
KTX
117[서대구]
동대구

파일:SRT BI.svg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6:30
SRT
301
부산
07:00
SRT
303
부산
07:30
SRT
305[금~일]
부산
391
포항
07:54
SRT
307
부산
08:16
SRT
309
부산
08:26
SRT
311
부산
08:54
SRT
313[서대구]
부산
09:15
SRT
315
부산
09:47
SRT
317
부산
10:06
SRT
319[서대구]
부산
10:19
SRT
321
부산
10:59
SRT
323
부산
11:31
SRT
325
부산
11:49
SRT
327
부산
13:09
SRT
329[금~일]
부산
381
진주
13:27
SRT
331
부산
13:45
SRT
333[서대구]
부산
13:59
SRT
335
부산
14:35
SRT
337
부산
14:44
SRT
339
부산
15:29
SRT
341
부산
15:59
SRT
343
부산
16:33
SRT
345
부산
16:51
SRT
347[서대구]
부산
17:17
SRT
349
부산
17:34
SRT
351[금~일]
부산
393
포항
17:58
SRT
353
부산
18:19
SRT
355[서대구]
부산
18:53
SRT
357
부산
19:30
SRT
359
부산
19:43
SRT
361
부산
20:00
SRT
363[금~일]
부산
20:15
SRT
365
부산
20:29
SRT
367[금~일]
부산
383
진주
20:54
SRT
369
부산
21:39
SRT
371
부산
22:00
SRT
373
부산
22:27
SRT
375
부산
22:54
SRT
377
부산
23:44
SRT
379
부산

파일:ITX-새마을 BI.svg
파일:ITX-마음 BI.svg
[[무궁화호|

무궁화호
]] (하행)
시간
열차종별
열차번호
종착역
05:25
무궁화
1351
부산
06:05
무궁화
1701
제천
06:25
무궁화
1353
부산
06:50
무궁화
1703
제천
07:15
무궁화
1355
부산
07:54
무궁화
4301
영주
08:04
ITX-새마을
1001
부산
08:06
무궁화
1201
부산
08:39
무궁화
1203
부산
08:46
무궁화
1705
제천
08:51
ITX-새마을
1021
신해운대
09:21
무궁화
1205
부산
10:40
ITX-새마을
1003
부산
10:57
ITX-새마을
1031
진주
12:08
무궁화
1207
부산
12:13
무궁화
1707
제천
12:16
ITX-새마을
1005
부산
12:38
ITX-마음
1101
부산
13:16
무궁화
1357
부산
14:14
ITX-새마을
1007
부산
14:40
무궁화
1709
제천
15:06
ITX-새마을
1023[주말]
신해운대
15:13
무궁화
1209
부산
15:43
ITX-새마을
1009
부산
16:10
무궁화
1211
부산
16:47
무궁화
1213
부산
17:36
ITX-새마을
1011
부산
17:45
무궁화
1711
제천
18:10
무궁화
1359
부산
18:31
ITX-마음
1103
부산
18:45
무궁화
1713
제천
19:38
무궁화
1215
부산
20:10
무궁화
4303
영주
20:11
무궁화
1217
부산
21:07
무궁화
1361
부산
21:11
ITX-새마을
1033
진주
21:25
무궁화
1715
제천
22:04
ITX-새마을
1013
부산

7. 연계 교통[편집]



7.1. 대전 도시철도 1호선[편집]


기차에서 내려 (사람들이 많이 다니는) 서광장 쪽으로 나가면 바로 앞에 1호선 대전역으로 들어가는 4번 출입구가 있다.

그 반대로 대전역(도시철도) 4번출구로 나오면 바로 앞에 대전역(기차) 1번출구가 있다. 다만 설계와 운용상의 문제로 일부 출입로가 혼잡하니, 편하게 들락거리고 싶다면 옆 문을 이용하자.

도시철도 역사가 깊이 있어서 지상의 4번 출입구에서 도시철도 플랫폼까지는 최소 1분반 걸리며, 기차역 플랫폼에서 도시철도 플랫폼까지는 뛰어도 5분 이상 걸린다. 도시철도 막차를 타고 도착할 때 유의하자.

택시나 버스에서 내려 서광장을 경유해서 들어오는 경우, 빠르게 탑승하려면 역 왼편으로 들어가자. 올라가는 에스컬레이터가 있으며, 이쪽으로 들어가면 바로 승강장통로로 이어지기 때문에 대합실에서 사람한테 치이지 않고 편하게 플랫폼까지 갈 수 있다. 참고로 튀김소보로를 사려고 성심당을 들를 때도 이 길이 편하다.

7.2. 시내버스 환승[편집]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의 경우 많은 노선이 대전역을 경유하고 있으며, 동광장 인근에 차고지가 있고 지하도를 이용한 회차가 가능하여 일부 노선의 기종점 역할도 하고 있다. 경유 노선의 수가 많아 대전로중앙로를 따라 노선별로 다른 정류장을 사용하기 때문에 잘 알아봐야 한다.

7.2.1. 대전로 소재 정류장[편집]


[월] A B C 월요일에만 운행한다.[화~일] 화~일요일에만 운행한다.[금~일]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금~일에만 운행한다.[수원] A B C D E F 수원 경유[주말] A B C D E 주말에만 운행한다.[월~목]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월~목에만 운행한다.[금토] A B 금토에만 운행한다.[평일] 평일에만 운행한다.[구포] A B C 구포 경유[서대구] A B C D E F G H I J K L M 서대구 경유[서대구,구포] A B C D E F 서대구,구포 경유[a] 양방향이 같은 정류장에 모두 정차함.




대전역(14730)
한밭자이아파트 방면
광역


대전역/하나은행(12380)
삼성네거리 방면
간선

외곽






7.2.2. 중앙로 소재 정류장[편집]


대전역동광장(11420)
대전역/중앙시장 방면
간선


대전역동광장(11430)
목척교 방면
간선


대전역네거리(14230)
으능정이거리 방면
좌석

간선


목척교(12450)[20]
으능정이거리 방면
간선

지선

외곽

[20] 정류장 이름에 대전역이 들어가지 않았지만 대전역과의 거리가 가까워 연계가 가능하기에 서술.




7.3. 세종특별자치시 BRT 정류장 [편집]


파일:바로타.png
대전역동광장 정류장
大田驛東廣場 | Daejeon Station (East)

대전역 정류장
大田驛 | Daejeon Station

14630
11410
14730
12370
시종착
오송역 방면대전역
0.5 ㎞ →
대전역 방면대전역동광장
← 0.5 ㎞






개업일
B1
2016년 7월 20일
↑ 대전1호선 , 철도역 운행계통 보기 ↑

  • 대전역동광장: 대전광역시 동구 소제동에 공사중인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정류장으로, 대전역세권 개발사업에 따라 복합환승센터 형태로 개발될 예정이다.[21] 환승센터 완공 전까지는 동광장에 위치한 기존 차고지 부지에 임시 환승장을 조성해 사용할 예정.[22] 266회 대전광역시의회 산업건설위 자료에 따르면, 14000여 제곱미터의 면적에 218억원을 들여 지하 2층, 지상 1층 규모에 주차장 666면을 갖춘 환승센터를 2023년까지 완공할 계획이라고 한다.
  • 대전역: 대전광역시 동구 정동 대전로에 위치한 세종특별자치시 BRT의 정류장으로, 대전역 가변차로 버스정류장을 이용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대전역동광장 정류장 문서의 r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대전역동광장 정류장 문서의 r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4. 택시 승강장[편집]


대전역 동광장과 대전역 서광장 모두 택시 승강장이 있다.
대체로 서광장에서 가기가 수월하므로, 이쪽에서 타면 충분하다.

시내버스 막차가 끊기는 밤11시부터는 줄서서 기다려야 할 수도 있다.
특히 금토일 밤에는 수십 명씩 서서 기다린다. 도저히 안 잡힐 것 같고 이동하기 수월하면, 지하철 한 정거장 거리를 걸어가 중앙로역 앞에서 대전역으로 향하는 빈택시를 타는 것도 방법이다.

8. 사건·사고[편집]



9. 기타[편집]



9.1. 가락국수의 성지[편집]


예로부터 대전역에서 가락국수는 꼭 먹고 가야 한다는 말이 유명했을 정도로 대전역의 승강장에 설치된 식당에서 팔고 있는 가락국수는 대전역의 명물로 유명하다.
파일:oAkOS24.jpg
▲ 1985년 3월 당시 대전역 가락국수 식당 전경. 위와 같이 별도의 좌석 테이블 없이 조리실 건물 주변에서 조리된 국수를 받아 그 자리에서 서서 먹는 구조여서, 단시간에 많은 손님을 받아 낼 수 있었다.

대전역이 가락국수의 성지가 된 것은 증기기관차 시대의 기술적 한계와 호남선의 옛 분기구조 때문이다. MBC의 <그때를 아십니까 22화 12열차>(1998년 4월 5일 방송분)>[23] 편에 따르면 증기 기관차는 종류에 관계없이 150km 정도를 달리면 화차 교체가 불가피해 증기 기관차 시절에는 경부선 열차도 대전역에서 오래 정차했다고 한다. 대전역이 대규모 정비 기지를 갖추고 경부선 대형역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배경에도 이러한 특성이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에 조선총독부가 호남지역 곡물의 수탈을 쉽게 하기 위해 경부선부산역에서 대전 방향으로[24] 분기하도록 호남선을 부설했는데, 이 때문에 서울에서 호남선을 가려면 대전역까지 들어갔다가 기관차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서 가는 것이 불가피했고 이 작업이 오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시간을 노려 대전역에서 잠시 내린 후 가락국수를 시켜 먹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다.

위쪽 항목 각주에도 써놓았지만, 증기 시절에는 전차대로 견인기 방향을 돌리기보다는 아예 대전역에서 미리 보일러 끓여놓고 대기하고 있던 증기기관차로 교체해서 운행하는 경우가 잦았다. 이게 전차대로 돌리는 거보다 시간을 오히려 덜 잡아먹고 검수도 용이했기 때문이라는데, 이렇게 갈아끼는 시간이라도 최소 20분이 소요되었다. 한창 때의 영등포역이나 대전역 소속 같은 베테랑들은 이 작업을 10분 이내(증기 시절이다.)까지 컷도 가능했다지만, 안전 문제 등이 있어서 그냥 넉넉히 20~30분 정도 잡았다고 한다.

그리고 경부선 열차는 디젤 기관차 시대가 되고 나서도 대전역에서 5분 이상 정차했기 때문에, 정차 중에 승강장으로 잠시 나가 가락국수를 먹고 오는게 충분히 가능했다. 이로 인해 가락국수는 자연히 대전역의 명물이 되었고, 지금은 상상이 안 되겠지만, 잘 나가던 시절에는 열차가 올 때 마다 30~40명씩 손님들이 몰려들곤 했다고 한다.

호남선이 대전역을 경유하지 않고 대전조차장에서 서대전역으로 분기하는 구조로 바뀌고 난 후에도 대전역은 경부선의 중간 지점으로 인식되었기에 한동안 경부선 승객들의 여정 중간의 간식 장소로 각광받았다. 식당차나 열차 내에서 판매하는 도시락은 너무 비싸고 간식으로 먹기에는 부담스러워서, 가격도 저렴하고 간식으로 먹기 좋은 가락국수는 꽤 인기가 좋았다.[25] 그와 함께 가락국수를 먹는데 심취하다 열차를 놓치는 일도 비일비재했다.[26]

한편 정차 시간이 점점 짧아진 1980년대에는 스티로폼 용기가 보편화된 때라서[27] 대전역 가락국수를 먹고 타는 대신 사서 들고 타서 객차에서 먹는 일도 많았다. 아예 대전역에 도착하면 가락국수 사오라고 매장 직원이 객차를 돌아다니며 광고한 적도 있었고, 대전역에 도착할 때는 승무원이 방송으로 몇 분간 정차한다는 방송을 꼭 해줬다.

파일:attachment/_011_1~1.jpg
세월이 흐르고 철도 교통의 발달로 인한 표정 속도 증가와 선로 용량 포화로 열차의 역 정차 시간이 2분 이내로 짧아진 오늘날에는 예전처럼 정차 중에 나가서 국수를 먹고 오는 것은 불가능해졌다. 하지만 승강장에서 탑승 열차를 기다리는 중에 가락국수를 찾는 사람들이 꾸준히 있었고, 특히 2004년 KTX 개통 이후에는 대전역에서 KTX와 일반 열차의 환승 연결로 대기 중인 승객들도 많이 이용하는 등 가락국수의 성지답게 역내 식당의 매출은 의외로 괜찮은 추세인 듯 하지만, 예전처럼 엄청난 인원이 몰려들지는 않아 기존의 서서 먹는 구조가 아닌 좌석 테이블 형식으로 식당 구조가 바뀌었다. 원래 부산 방면인 5, 6번 타는곳에만 있었던 식당이 서울 방면 타는곳인 3, 4번에 "용우동"이란 프랜차이즈 업체가 입점하여 개업(이쪽 식당은 서서 먹는 구조)했다.[28] 옛날에 대전역에서 가락국수가 인기였을 때 승강장 식당에서 장사를 했던 분이 대전역 앞에 가게를 내어 맛집으로 영업 중이기도 하다. 방문기

그래도 정차시간과 상관없이 가락국수를 먹는 손님들이 있는데, 대전역에서 KTX와 일반열차를 환승하는 경우가 많아[29] 잠깐동안 가락국수를 먹을 짬은 있다.

가락국수가 대전역 및 제천역에서 유명해지자 방방곡곡으로 퍼졌고, 좀 규모 있는 역 승강장이나 맞이방에는 가락국수 판매점이 있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2000년대로 넘어오면서 대부분 사라졌고, 대전역에서나 명맥을 유지하는 중이다.

리뉴얼 과정에서, 대전역 가락국수 명성의 시작이 되었던 '승강장 위 가락국수 매점'은 이제 사라지고 스토리웨이가 그 자리에 들어서 있다. 대신 2013년 5월 30일에 대전역 맞이방에 '대전역 가락국수'라는 이름으로 신개장 하였다가, 관련기사 현재는 1층 식당가 안쪽으로 위치를 옮겨 재오픈했다. 승강장 내에 있던 '용우동'은 1층 출입구 근처로 위치를 옮겼다. 4층에서도 가락국수를 취급하는 곳이 생겨 현재 역 내에서는 총 3곳에서 취식이 가능하다.

한편으로 가락국수의 성지가 된 대전역 때문인지는 몰라도, 대전 시내에 성심당 빵집 외에 맛집 없다고 현지인이나 외부인이나 입을 모음에도 불구하고 칼국수나 가락국수 류로 이름난 식당은 꽤 되는 편이다. 다만 가락국수 류가 워낙 소박하기 짝이 없는 음식이라 타 지역까지 소문이 잘 안 날 뿐이다.

여담이지만 충북선 무궁화호 운행계통 대전-제천 무궁화호의 기·종점 모두 가락국수와 연관이 있다.[30]


9.2. 근처 타지역으로 가는 법[편집]


  • KTX, SRT를 이용할 때 충남 서해안 도시(태안, 서산, 당진)의 출도착지라면 이 역에서 내려 대전복합 착발 고속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다음 두 정거장 역인 천안아산역은 아산을 경유해 서산·태안까지 한큐에 가는 시외버스를 운행하고 있지만 1일 3[31]+2[32]회라는 적은 배차에 시외버스 운임까지 비싸[33] 대부분 대전에서 환승을 권하는 편이다.

  • KTX/SRT 이용한 다음 옥천군[34], 영동군으로 향할때는 이 역에서 환승해서 새마을호, 무궁화호로 갈아타서 갈 수 있다.[35]


9.3. 그 외[편집]


  • 2018년 12월에 대전역 서광장 사업을 통해 지하보도를 아예 택시전용차로로 새롭게 만들었다.

  • 가끔 충북선 열차가 이 역에 정차할 때, (구)새마을호가 운행되었을 때의 구형안내방송이 송출된다.

  • 국군수송사령부 예하 TMO가 있다. 주로 대전지역 육국직 부대 장병들이 이용하며 발권 실적도 순위권. 단 대전지역 후반기 교육시설에서 배출된 신병과 후방부대에서 후반기를 마치고 대전지역 육국직부대로 자대가 배치된 신병들은 신탄진역의 출장 TMO을 이용한다. 이용시 주의할 점은 서울역처럼 역사 내에 있는게 아니라 별도의 건물에 따로 있다는 것. 위치는 지구대와 주차장 안쪽이라 찾기 힘드므로 제대로 알고 있지 않으면 쌩돈을 주고 기차를 타는 손해를 볼 수 있으므로, 휴가를 대전으로 나왔다면 아무리 휴가 나와서 기쁘더라도 TMO 위치를 미리 알아놓자. 안 그럼 복귀할 돈이 없어진다.

  • 대전 주변 군부대에서 오는 장병도 많고 TMO도 있어서 역 주변에 군장점이 있다.

  • 역사까지의 거리도 가깝지 않은 지라 이곳에서 예매한다면 가급적 여유있는 시간대를 골라야 한다. 대전역 광장이 아무리 깎고 주차장으로 변하는 등 규모가 축소되었다 하더라도 과거 서울역 광장에 비견할 만큼 큰 데다가, 지상으로 3층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매표소와 만남의 장소를 가로질러야 플랫폼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예매 좌석을 확인하는 시간까지 포함해서 최소 10분은 여유를 둘 것이 좋다.

  • 한밤중에 여기서 택시를 타고 어디든지 가는 곳을 부르면 이상한 속도를 경험할 수 있었다. 대전 신호등 체계는 특이하게 60㎞ 이상 속도를 낼 수 없도록 딱딱 신호가 순차적으로 끊기기 때문이다.[36] 예를 들자면 당신이 70㎞/h 속도로 이번 신호등을 간신히 건넜다 해도, 다음 신호등에서는 반드시 신호에 걸린다는 의미다. 반대로 말해 50㎞ ~ 60㎞/h의 정규 속도로 주행하면 이론상 절대 신호에 걸리지 않고 대전 저 끝에서 저 끝까지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과거에는 이랬는지 몰라도, 요즘에는 이런 택시 보기 어렵다. 아예 다른 지역으로 가는 총알택시는 여전히 과속으로 달리는 경우가 많다지만.. 대전 시내를 달리는 일반적인 택시는 이제 새벽에 이용해도 제 속도로 달리는 경우가 훨씬 많다. 과속을 해도 살짝한다. 물론 여전히 이렇게 달리는 택시가 있긴 있다고 한다.

  • 2016년 개봉하는 영화 부산행의 배경으로 등장한다.[37] 티저를 보면 군복을 입은 좀비떼들이 KTX 지붕 위로 달려든다던가 하는 장면이 나온다. 또한 포스터중 하나에서는 좀비로 인해 개판이 되어버린 대전역의 모습이 나온다.[38]

  • 1976년 4월 26일서대전역과 함께 회덕역에 무연탄도착취급을 넘겨줬다.[39]


파일:49bca19e24ac4c8785e96c0365fbc0ec_356239324_232454656322197_1896600989769543134_n.jpg

  • 한 커뮤니티에 올라온 "한 군인이 대전역 앞을 지나가던 자신에게 '대전역' 간판 중 '대'를 자신의 얼굴로 가려서 해당 사진처럼 '전역'만 보이게 사진을 찍어달라고 했다"는 내용의 글이 퍼지면서 대전역 앞이 전역한 군인들의 포토 스팟이 되자, 시와 역에서 대전역 앞에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을 갖추고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10. 둘러보기[편집]


경부고속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대전선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6:25:19에 나무위키 대전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21] 5년 ‘1조 5,000억’… ‘대전역 동 광장’ 화려한 변신, 2015-06-10[22] 대전~오송 광역 BRT운행 준비 막바지, 2016-05-03[23] 재방영 날짜이다. 원래 본방송은 1980년대 말에 방영되었다.[24] 이 시기의 상행선 개념은 도쿄역 방향이었으므로, 부산역이 경부선 상행선의 끝단이 된다. 부산역과 일본 본토는 부관연락선을 철도 시각표와 연계해서 부관연락선으로 간접 연결했다.[25] 2010년대 후반까지도 열차 내, 또는 역에서 판매하는 도시락은 이상할 정도로 퀄리티가 낮은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대략 편의점 도시락과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준에 2~3배 정도의 가격이라고 생각하면 적당하다. 따라서 역사 내에서 장사하는 다른 간이식당의 인기가 좋은 편이고, 그 중에서도 특별히 취향을 타지 않는 가락국수 같은 메뉴는 언제나 상당한 인기를 누리는 편이다.[26] 실제 사례로 1983년에 여인이 열차가 대전역에 잠시 멈춘 사이 가락국수를 먹기 위해 열차에서 내렸다가 가락국수를 먹는데 심취하다 열차가 그냥 떠나버리는 바람에 갓난아기였던 아들과 생이별을 할 뻔한 사건이 있었다. 이 여인은 대전역 역무원 실에서 차내에 자신의 아들인 아기를 놓고 간 사실을 알리고 대전역 역무원이 조치원역 역무원 실에 전화를 걸어 조치원역에서 열차를 정차 시켜 객차 내에 있던 아들을 찾고 이 여인은 택시를 타고 조치원역까지 가서 자신의 갓난아기였던 아들을 무사히 찾을 수 있었으며, 이 사례는 MBC타임머신에서 <대전역 국수 블루스(81회, 2003년 7월 20일 방송분)>라는 에피소드로 재현되었다.(실제 기사는 1983년 3월 1일자 대전일보 기사에서 인용.)[27] 요즘은 환경 오염 문제 때문에 법적으로 사용이 많이 제한되어 있다. 이 때문에 요즘은 그냥 일반 그릇을 쓴다.[28] 2012년 11월 기준 위치는 9, 10 및 11, 12번 타는곳[29] 주로 수도권에서 대전역까지 내린다음 이후 KTX로 갈아타는 결합환승티켓.[30] 제천역의 경우 1박 2일에서 김종민이 가락국수 미션을 수행하는 도중 기차가 떠나서 제천역에 낙오되고 말았다. 이명한 PD도 포함되었다. 현재 매점은 KTX-이음 승강장 리모델링 공사로 철거가 되었다.[31] 아산 경유.[32] 아산, 신창, 신례원, 합덕, 신평, 기지시 경유[33] 시외버스 태안 - 서산 - 아산 - 천안 구간은 100% 국도를 이용하는 구간이여서 대전복합 착발 노선보다 운임이 더 비싸다.[34] 옥천 같은 경우는 시내버스가 연계되어 있다.[35]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있어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KTX/SRT 타려면 대전역으로 오는 편이다.[36] 사실 대전만 이런 것은 아니고, 서울이나 창원 등 1990년대 말~2000년대 초 이런 시스템이 전국 시/도에 대부분 이식되어졌다. 가끔 횡단보도 정지선 앞에 팔각형으로 그어진 사각형이 보인다면 십중팔구 이 시스템이다.[37] 계단을 내려가다 감염자들과 마주치면서 다시 뛰어 올라가는 장면은 부전역(동해선) 역사에서 서광장으로 직접 연결되는 통로에서, 맞이방(홀로 떨어져 있던 수안을 상화 부부가 구하는 장면)과 타는곳 연결통로는 동대구역 2역사에서, 대전역에 정차하여 사람들이 내리는 장면중에서 승강장은 동대구역승강장 / 문을 여는 장면은 신탄진역에서, 천리마고속 상무인 용석이 KTX기장을 부르는 장면과, 플랫폼에서 열차에 올라타는 장면은 삽교역에서 촬영했다.[38] 참고로 대전역세권에 있는 건물들이 불타고 그 위에 헬기들이 날아다니는 장면은 부산행의 해외판 메인 포스터이다. 당장 구글에 Train To Busan을 검색하면 볼 수 있다.[39] 본래는 3월 15일부터 였다.알림, 연기,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