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역

최근 편집일시 :


파일:나무위키프로젝트.png
이 문서는 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 · 나무위키 대경권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문서입니다.
해당 프로젝트 문서를 방문하여 도움이 필요한 문서에 기여하여 주세요!


이 문서는 현재 개통하지 않은 역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 또는 공사가 진행 단계인 역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하며, 나무위키는 잘못된 정보로 생기는 피해를 책임지지 않습니다.





경산역
밀 양
43.0 ㎞ →
진주 방면청 도[1]
23.2 ㎞ →
대구권 광역철도
시종착



다국어 표기
영어
Gyeongsan
한자
慶山
중국어
庆山
일본어
キョンサン
주소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
(사정동 84-1)
관리역 등급
관리역
(2급 / 코레일 대구본부)
운영기관
파일:KTX2.png
파일:koraill_ogo.jpg
대구권
광역철도

미정
일반 철도
경부선 개업일
1905년 1월 1일
KTX 영업개시일
2004년 4월 1일
ITX-새마을 영업개시일
2014년 5월 12일
무궁화호 영업개시일
1984년 1월 1일
열차거리표
경부선
경 산
↓ 여객열차 운행계통 보기 ↓

慶山驛 / Gyeongsan Station

파일:attachment/1280px-경산역_전경3.jpg

1. 개요
2. 열차 운행 정보
3. 지위
4. 수요
5. 시내버스
5.1. 대구 노선
5.2. 경산 노선
6. 여객열차 운행계통



1. 개요[편집]


경부선철도역. 경상북도 경산시 중앙로 1(사정동 84-1)에 위치해 있다.


2. 열차 운행 정보[편집]


하루 1편성을 제외한 모든 무궁화호, 일부 ITX-새마을KTX가 이 역에 정차한다. 무궁화호의 경우는 서울발 부산행 1225열차를 제외하고는 전 열차 정차이기 때문에 사실상 필수 정차역이다. ITX-새마을경부선 상행 2회/하행 1회(상행 : #1004, #1008 하행 : #1005), 경전선 하행 1회(#1031), 동해선 상하행 각 1회(상행 : #1041, 하행 : #1042)로 총 6회 정차한다.

2013년 1월 1일부터 출퇴근 시간대에 맞춰 KTX가 기존 경부선 경유편 중에서 1일 왕복 2회 정차하고 있다.[2] 코레일뉴스 물론 이에 대해 KTX 정차역이 너무 많아진다는 비판이 있다. 한국철도공사는 경산역에서 KTX 이용에 따른 동대구역 환승 수요가 많은 데에 따른 추가 정차라고 밝혔다.

구포 경유 KTX 노선은 본선 운행계통과 마찬가지로 비수도권 - 수도권 간 수요가 대부분이지만 동대구 ~ 구포 ~ 부산 구간에서의 단거리 수요도 혼재하고 있다.[3] 또한 구포 경유 노선은 동대구-경산-밀양-구포-부산 구간만을 위한 2류 노선, 즉 마이너리그에 해당하는 지위며 절대 1류 노선처럼 정차역을 확 줄인다고 능사는 아니다. 마이너 노선은 마이너 구간의 수요를 최대한 긁어와야 수익이 나고 그 구간의 이용객에게 편익을 최대한 제공한다. 전 작성자가 함안역의 예를 들었는데, 거기는 외진 곳으로 역을 이전해서 발생한 병크일 뿐, 구 경산역 그대로 확장된 경산역과 비교 대상이 아니다. 함안역은 그 마이너 구간에서 수요를 못 긁어 와서 생긴 문제일 뿐이다.


3. 지위[편집]


2006년 고모역으로부터 화물열차 업무를 인계받아서 이 역에서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그룹대표역이 된 이유는 여객부문이 아니라 화물부문 때문인데, 사실 일반 화물 취급은 거의 하지 않고 있고 관내에 있는 제2수송교육단 때문에 약간의 군용 화물신병수송을 취급하고 있다. 이런 덕분인지는 몰라도, 왠만해서는 어느 정도 규모가 있는 도시에 가야만 찾아볼 수 있는 TMO[4]도 있다. 이 역 이전 역 or 다음 역인 가천역대구광역시에 속해 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920px-Korail_Gyeongbu_Line_Gyeongsan_Station.jpg
경산역 구 역사. 2009년 8월 12일. (출처 위키백과)

그룹대표역이고 역 위치가 철도 강세지역인 경산시의 중심부라 이용객도 상당히 많은 편이지만, 역사가 엄청나게 좁고 노후화되어 어지간한 도시철도역만도 못했다. 그래서 2년여 간 신 역사를 착공해서 2011년 9월 말, 2년여간의 공사 끝에 역사가 완공되었다.


4. 수요[편집]


철도가 강세를 보이고 있는 경산시의 특성상, 당연히 수요가 끝내준다. 그래서 역 동쪽의 경산오거리에 있는 경산터미널은 정말 노선이 간소하다(...).[5]

주 이용객은 당연히 경산 시민들이지만, 주로 부산역 방면을 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 시지지구 주민들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확실히 시지지구의 위치만 놓고 보면 동대구역보다 경산역이 훨씬 가깝기도 하고, 대구 - 경산 시경계 근처인 사월역에서 경산시로 넘어가는 버스 노선들은 대다수가 중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경산역과 경산시장을 경유하기 때문에 경산역으로 가는 시내버스들이 엄청 많기 때문이다. 거기다 대구-경산 간 시내버스는 시계외요금이 없고, 무료환승도 된다.

2016년 3월부터 삼성 라이온즈 홈 구장의 이전으로 꼴리건들과 마산아재들의 원정 응원 수요 때문에 이용률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대구 삼성 라이온즈 파크와 가장 가까운 철도역이 경산역이기 때문이며, 그쪽으로 가는 시내버스 노선들이 꽤 많다. 물론 시내버스로 사월역으로 이동해서 환승한 후, 야구장과 바로 붙어 있는 대공원역으로 나와도 된다.


5. 시내버스[편집]


대구와 경산을 오가는 시내버스의 대다수가 중산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경산역 및 경산시장으로 내려오기 때문에 시내버스편이 많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사월역에서 하차한 후 2번 출구로 나와 시내버스로 환승하여 중산삼거리를 통해 경산역으로 이동하면 6~7분 정도 걸린다. 단, 990번은 2017년 9월부터 중산삼거리 대신 펜타힐즈 경유 후 내려온다.

다만 경산역에서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방향을 이용하려면 시내버스 정류장까지 동선이 약간 길다. 사월역에서 경산역으로 내려오는 방향은 역전네거리 못 가서 세워 주지만, 사월역으로 올라가는 쪽은 경산역에서 나온 후 역전네거리에서 경산시장 방향으로 한참 길을 건너가야 있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경산청도지사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시내버스를 이용해야 한다. 대평동이나 정평동 쪽에서 오려면 980번이나 남천1번을 이용해야 하며, 그나마 왕복으로 다니는 노선은 남천1번밖에 없다.


5.1. 대구 노선[편집]


309번, 509번(영남대발 방천리행, 방천리발 영남대행), 609번, 840번, 909번, 980번(영남대 방면 편도 운행)


5.2. 경산 노선[편집]


100번, 107번, 399번, 803번, 809번, 911번, 990번, 남산1번, 남산2번, 남천1번, 압량1번, 용성1번, 경산2(-1)번


6. 여객열차 운행계통[편집]


고속여객열차
경부선 KTX
행신, 용산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43.0 km
부산 방면
밀 양
경전선 KTX
서울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43.0 km
진주 방면
밀 양
급행여객열차
경부선 ITX-새마을
서울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43.0 km
부산, 신해운대 방면
밀 양
경전선 ITX-새마을
서울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43.0 km
진주 방면
밀 양
무궁화호 운행계통
보이기/숨기기
경부선 무궁화호
서울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14.5 km
부산 방면
남성현

23.2 km
신해운대 방면
청 도
경전선 무궁화호
서울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14.5 km
진주 방면
남성현
경북선 무궁화호
영주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23.2 km
부산 방면
청 도
영동선 무궁화호
정동진 방면
동대구

12.3 km
경 산

43.0 km
부산 방면
밀 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1 22:28:25에 나무위키 경산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대구착발 마산행 무궁화호는 1일 2왕복 남성현역에 정차한다.[2] 2015년 4월 2일부터 하행 1편이 진주경전선 KTX로 교체되었다. 나머지 하행 1편성은 부산행이며(이 열차는 서울서부터 동대구까지 대전 외 무정차 (!)로 가다가 경산 이남은 각 역에 정차한다. 서대동부참고), 상행은 모두 부산발이다.[3] 버스에도 있다. 급행1번팔공산 구간은 모든 정류장에 정차하는데, 그 이유가 승객 수요가 마이너한 구간 + 독점 구간이라 나름대로 승객을 끌어모아야 하는 곳이다. 하지만 승객 자체가 없기에 정차하는 경우가 잘 없어서 어쨌든 정류장으로 등록해 놔도 별로 승하차량에 영향을 끼치지는 않으나 한적한 동네에서 승객을 최대한 태워야 한다. 더군다나 거기는 독점 구간인지라 그 버스가 없으면 교통오지가 된다. 일반버스인 팔공1번은 1일 10회뿐이다.[4] 경산시제2수송교육단이 있기 때문이다. 운전특기를 받고온 수 많은 훈련병들이 입/퇴소하는 역이기 때문에 알게 모르게 군인 수요가 굉장하다.[5] 물론 대도시대구광역시 바로 옆에 있고, 인구가 많지 않은 도시인 점도 있다. 거기에 동대구터미널과 멀지 않고 버스노선도 많아서, 장거리 버스 이용시에는 경산역에서 399번이나 909번을 타고 동대구터미널로 가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