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최근 편집일시 : (♥ 0)

분류



파일:조선 중기 왕 용보.png 경복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고종의 경복궁 탈출 계획
[ 펼치기 · 접기 ]

배경을미사변 · 삼국간섭 · 을미개혁
전개1차 시도 (춘생문 사건) · 2차 시도 (아관파천)
관련 인물정동파이범진 · 이완용 · 이재순 · 이윤용 · 안경수 · 윤웅렬 · 윤치호 · 이하영 · 민상호 · 김홍륙 · 임최수 · 이도철 · 남만리 · 이규홍
친일 내각김홍집 · 유길준 · 어윤중 · 김윤식 · 조희연 · 장석주 · 정병하 · 서광범 · 김종한
기타 인물카를 이바노비치 베베르 · 호러스 그랜트 언더우드 · 이진호
관련 장소아라사 공사관 (서울 구 러시아 공사관) · 미국 공사관 (서울 구 미국 공사관) · 경복궁
기타한러관계 · 조선 · 대한제국 · 러시아 제국 · 미국 · 일본 제국 · 독립협회




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svg파일:한국관광100선 로고 다크.svg
[ 2023~2024 ] 

수도권

[ 2021~2022 ] 

수도권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문화지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강원권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2019~2020 ]

수도권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강원권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독도 | 불국사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景福宮 | Gyeongbokgung Palace


주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세종로)
분류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궁궐
면적432,703㎡
건축시기조선시대, 1395년 11월 27일[1]
지정연도1963년 1월 21일
관리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 경복궁관리소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경복궁 이미지.jpg
경복궁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Gyeongbokgung_map.jpg
〈북궐도〉, 혜촌 김학수, 1975년 作

1. 개요
2. 구조 및 지리
6. 대중교통
7. 기타
8. 사건사고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하늘에서 바라본 경복궁 영상

《시경(詩經)》 주아(周雅)에 있는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부르니 군자는 영원토록 그대의 크나큰 복(景福)을 모시리라.’라는 시(詩)를 외우고, 새 궁궐을 경복궁(景福宮)이라고 이름 짓기를 청하오니, 전하와 자손께서 만년 태평의 업(業)을 누리시옵고, 사방의 신민으로 하여금 길이 보고 느끼게 하옵니다.

정도전, 《태조실록》 8권, 태조 4년(1395년) 10월 7일 정유 2번째기사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2]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 중 하나이자 조선의 정궁(법궁)이다. 사적 제117호로 지정받았다. 태조가 조선을 건국하고 한양 천도를 단행[3]하면서 조선 시대에 가장 먼저 지은 궁궐이다.

1592년 임진왜란[4] 소실되어 275년간[5] 방치되다가 19세기에 흥선대원군 주도로 중건되었다. 당시에는 7천여 칸이라는 거대한 규모를 자랑하는 건축물로 거듭났었지만 구한말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수천 칸의 전각이 헐리고 매각되며 조선총독부 청사와 같은 다른 건물이 들어서는 등 궐내가 크게 훼손되었다. 1990년에 이르러서는 고작 36동의 건물(고종 재위 당시의 7% 수준)만 남았고 지금도 계속 복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사라진 전각들에 대한 자료가 부족하여 최근 복원한 전각들도 원형이라는 보장은 없으며, 후일에도 완전한 경복궁의 모습을 볼 수 있을지는 미지수이다.


2. 구조 및 지리[편집]


파일:경복궁 대한민국 이집트.png
경복궁 위성사진[6]
파일:북궐도형 (4).jpg
북궐도형(北闕圖形), 1907년(광무 11) 제작[7]
원래는 신진사대부가 계획한 궁궐이기 때문에 '검이불루 화이불치'(검소하되 누추하지 않고 화려하되 사치스럽지 않다)라는 유교 이념을 반영하여 이전 왕조들의 궁궐에 비해 화려한 장식 없이 수수하고 검소한 형태로 지어졌었다. 배치는 유교적인 관점에 따라 삼문삼조의 형태로 되어 있었다.

임진왜란 전 조선 전기 동안 조선 왕조의 법궁[8]으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경복궁은 법궁으로서의 권위를 나타내기 위해 엄정한 기하학적 공간 분할, 반듯한 축선 상의 건물 배치, 정연한 대칭 구조로 설계되었다.[9] 이궁인 창덕궁(+창경궁)과 양궐 체제를 갖췄는데, 임금들은 각자의 취향에 따라 두 궁궐을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이후 그 자리만 출입이 금지된 채 200여년 동안 재건되지 못하다가 흥선대원군이 재건해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참고로 흥선대원군이 지은 경복궁과 임진왜란 당시 소실된 경복궁의 모습은 다소 차이가 있다. 세종이 왕자 시절 2층에서 자다가 병이 났다는 등 다층 건물에 대한 기록이 눈에 띈다. 또한, 근정전에 청기와를 얹었다는 언급 등 차이점이 보이며, 임진왜란 이전에 조선 왕실에서 제작했다는 석가탄생도 등에서 묘사된 건축 양식을 통해 그 당시의 경복궁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무엇보다 최대 규모 5,000칸까지 서서히 확장되었던 이전 건물과 다르게 흥선대원군은 단숨에 7,400칸짜리로 중건했다. 단숨에 1.5배 크기가 된 것이다.

현재의 행정구역으로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가장 가까운 지하철역은 경복궁역이며, 5번 출구로 나가면 바로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 안쪽으로 들어갈 수 있다. 그리고 안국역이나 광화문역에서도 걸어갈 수 있다. 경복궁 앞길에는 각종 관청이 있어 육조 거리라고 불렸으며, 이 길이 오늘날의 세종대로다.[10] 당대에도 국가의 중심 거리였기 때문에 육조 거리는 지금의 세종대로의 폭과 거의 같은 폭으로 조성되었다고 한다. 현재 세종대로 중앙에는 광화문광장이 있다. 주변에는 청와대, 헌법재판소, 정부서울청사, 주한미국대사관, 세종문화회관 등이 있으며, 인사동길도 경복궁에서 꽤 가깝다.


3. 역사 및 복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건축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건축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관람[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관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대중교통[편집]




7. 기타[편집]


  • 징비록(드라마)에서는 백성들에 의해 불타 잿더미가 되며, 광화문은 문루가 모두 박살난다.
  • 2018년 2월 7일, 서울역사박물관은 2016년 공개구입 후 보존처리를 완료한 '경복궁도'를 최초 공개했다.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 경복궁내 건물(전각)들의 배치 모습을 그린 족자이다. # 임진왜란으로 소실되기 이전의 경복궁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자료로는 경복궁도(국립중앙도서관), 경복궁전도(삼성출판박물관), 경복궁지도(장서각), 조선국왕성지도(일본 와카야마 시립박물관) 등이 있다.
  • 흥선 대원군 시절 경복궁 재건에 기원을 둔 경기 민요인 경복궁타령이 있다. 합창을 위해 편곡된 것도 있다.
  • 자금성 내에 한자 표기까지 똑같은 이름의 전각이 존재한다. 자금성 내 동북쪽 가장자리에 있다. 관련 포스팅
파일:external/images.wikia.com/Kof97koreabg.gif
〈더 킹 오브 파이터즈 '97〉의 한국 스테이지 배경으로 나온 건춘문
파일:attachment/경복궁/info.jpg
애플 지도에 청'화'대로 잘못 적힌 경복궁[11]
  • 애니메이션 변신자동차 또봇에서 '동덕궁'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했다.
  • 2012년 9월 20일에 애플 지도에서 청화대로 오기되었다.
  • 2014년, 일본 모델 출신이면서 지드래곤과 열애설이 나기도 했던 미즈하라 키코가 경복궁을 향해 손가락 욕을 하는 사진에 좋아요를 누른 사진이 알려져 논란이 됐었다. #[12]
  • 신비아파트 특별판: 조선퇴마실록에서 주 배경으로 등장했다.
  • 박서함은 처음 이름이 박경복이었으나 어린 시절 경복궁이라고 놀림을 받아 박승준으로 개명했다.
  • 드론 비행 금지 구역이다. 청와대가 개방되고 대통령실이 용산으로 이전한 이후에도 마찬가지.
  • 외국인 관광객이 서울특별시에 오면 가장 많이 보러 오는 한국의 문화재다.
  • 2022년 구찌문화재청과의 협의를 통해 향후 3년간 경복궁의 보존 관리 및 활용을 위한 후원을 약속했다.
  • 2023년 5월 16일 저녁 근정전에서 '구찌 크루즈 2024 패션쇼'를 개최했다. 이는 구찌가 한국 매장 오픈 25년만에 한국에서 여는 최초의 공식 패션쇼이며 경복궁에서 열린 최초의 패션쇼이기도 하다. 앞서 2022년 11월 1일에 이곳에서 ‘코스모고니 컬렉션 서울’ 패션쇼를 개최하려 했으나 이태원 참사로 인한 국가애도기간에 따라 전날 행사를 취소한 바 있다. 오프닝 엔딩 구찌 채널 풀영상 문화유산채널 풀영상 기사1 기사2 기사3
  • 궁내에서 식혜를 판매하기도 한다. 관광지가 다 그렇듯이 값이 좀 있으므로 식혜는 별도로 챙겨가는 것을 권한다. 다만 취식물은 갖고 입장하는 데 제약을 받으므로 다 먹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
  • 경복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유튜브 채널도 있다.#
  • 2023년 제25회 세계스카우트잼버리 대원들이 방문했었다.
  • 2023년 드라마 〈혼례대첩〉에 경복궁 안에서 촬영한 장면들이 나온다.
  • Europa Universalis IV에 기념물로 등장한다. 3레벨을 모두 증축할 시 군주 행정력 +2라는 정신나간 스탯을 보이는 유로파의 대표적 사기 기념물이다. 그 외에 조언가 비용 감소, 한성 지역 개발비용 - 25% 등 알짜배기 성능을 자랑한다.
  • 문명6에서 모드로 플레이 할 수 있다. 경복궁을 게임 랜드마크 스타일로 모델링한 사례중에 우수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파일:문6경복궁임시.jpg


8. 사건사고[편집]



8.1. 경복궁 영추문 및 담장 훼손 사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영추문 및 담장 훼손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경복궁 건춘문 문서의 r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경복궁 건춘문 문서의 r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3 13:52:21에 나무위키 경복궁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https://sillok.history.go.kr/id/kaa_10410007_002 [2]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1번지 일대[3] 천도하기 전에는 개성 수창궁에서 기거했고, 천도한 뒤 경복궁이 다 지어지기 전까지는 한양부 객사를 임시 궁궐로 사용했다.[4] 일본쪽 기록에서는 조선왕이 떠나기 전에 불을 질렀다는 언급이 있다.[5] 대중성에 비해 다른 궁궐보다 생각보다 역사가 그렇게 길지 않다. 창덕궁이 훨씬 더 긴 시간 동안 조선의 정궁으로 사용되었고 원형 보존성도 이쪽이 더 높다. 게다가 경복궁은 19세기에 와서 아예 새로 지은 것이다. [6] 촬영된 지 다소 시간이 지난 사진이라 현재와는 약간 다르다. 사진 속에서는 향원정 일대 보수공사가 아직 진행 중이고, 계조당 복원 공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기 전이며, 광화문 월대 복원 공사와 그 앞의 사직로 곡선화 공사가 아직 시작되지 않은 모습이다. 2024년 기준 향원정 보수 및 취향교 복원과 계조당, 광화문 앞 월대까지는 복원이 완료되었다.[7] 경복궁의 완전한 모습이 아닌, 건물의 실내 용도만 그린 것이다 보니 지붕의 모양, 건물 내부 모습, 건물 기단 및 계단의 모양, 기둥 및 공포는 어떻게 생겼는지 등의 세부 사항은 전혀 알 수 없다. 또 실제 건물의 배치가 틀린 것도 있는데다가 작성 당시인 1907년에 10%가량의 건물은 경운궁 중건으로 인한 이건 및 화재로 사라져서 금무(今無) 즉 이제는 없음으로 표시된 것도 꽤 있다. 그래도 이것이 다른 자료보다는 가장 정확하다보니 경복궁 복원 시 1차 자료로 기준이 된다.[8] 법궁이 사무를 볼 수 없는 경우 역할을 이어받는 보조 궁궐 이궁, 궁 밖으로 나가서 기거할 행궁 등 여러 궁궐 중 왕이 평상시에 직접 사무를 보는 중심 궁궐이다.[9] 출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6[10] 의 이름도 세종로다.[11] 추가로, 국립민속박물관의 위치도 잘못 찍혔다.[12] 허나 이것은 후에 와전된 사실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