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남지

덤프버전 :

한국 정원

[ 펼치기 · 접기 ]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 성동동 전랑지 · > 용강동 원지 유적 · 구황동 원지 유적 · 부여 궁남지 ·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 안학궁 정원 · 경회루 · 향원정 ·

조선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
조선 경복궁 북원 · 창덕궁 비원 ·

조선
경희궁 후원 ·

조선
인경궁 ·

조선
자수궁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 용양봉저정 · > 낙천정 ·

조선
탕춘대
기타
경복궁 아미산 · 창덕궁 낙선재>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 영보정 · > 방화수류정 · 연광정 · 통군정 · 인풍루 ·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 환아정 · 영남루 · 군자정 · 한벽루 · 지수당 · 죽서루 · 백상루 ·

성천
강선루 · 육승정 ·

함흥
칠보정 ·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 부용당 ·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 항미정 · 채미정 · 망양정 · 월송정 · 쌍수정 · 경포대 · 청간정 · 총석정 · 부벽루 · 칠성정 · 풍패루 ·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원림 苑林
부용원 ·
담양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 선교장 · 오죽헌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135호
부여 궁남지
扶餘 宮南池

[ 펼치기 · 접기 ]
소재지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 동남리 117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조경건축 / 원
수량/면적
210,881㎡
지정연도
1964년 6월 10일
제작시기
삼국시대
위치



파일:l_2018070801000878500071061.jpg

1. 개요
2. 역사
3. 백제 궁남지로서의 진위여부
4. 여담
5. 외부 링크
6. 사적 제135호


1. 개요[편집]


宮南池

충청남도 부여군에 위치한 우리나라 최초의 조경이다. 1964년 사적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2. 역사[편집]


삼국사기』에 “백제 무왕 35년(634) 궁의 남쪽에 못을 파 20여 리 밖에서 물을 끌어다가 채우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못 가운데는 섬을 만들었는데 방장선산(方丈仙山)을 상징한 것”이라는 기록이 있다. 이로 보아 이 연못은 백제 무왕 때 만든 궁의 정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못의 동쪽 언덕에서 백제 때의 기단석과 초석, 기와조각, 그릇조각 등이 출토되어 근처에 이궁(離宮)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궁남지는 백제 무왕의 출생설화와도 연관이 있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무왕의 어머니가 과부가 되어 서울 남쪽 못 가에 집을 짓고 살고 있었는데 못가에서 홀로 살다 용신(龍神)과 통하여 아들을 얻었다. 그 아이가 신라 진평왕(眞平王)의 셋째딸인 선화공주(善花公主)와 결혼한 서동(薯童)이며, 아들이 없던 법왕의 뒤를 이은 무왕이 바로 이 서동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설화는 이곳이 별궁터였고 궁남지가 백제 왕과 깊은 관계가 있는 별궁의 연못이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신라의 인공호수 월지(안압지)보다 40여 년 먼저 만들었으며, 신라 안압지 조경 역시 궁남지로 대표되는 백제식 조경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3. 백제 궁남지로서의 진위여부[편집]


관련기사

2016년 8월 KBS 대전총국은 '백제정원 궁남지'라는 다큐멘터리를 방영했다. 영상의 초반부까지는 지역 명소에 대한 자랑과 스토리텔링이 담긴 평범한 다큐멘터리처럼 보였으나... 영상의 20분부터 분위기가 반전된다. 이곳이 궁남지라고 단정지을 발굴성과도 없었고, 섬위의 정자(포룡정)와 다리는 문헌자료에서 등장하지 않았다는 것. 게다가 이후의 발굴조사에서도 백제시기의 유물은 발굴되었지만, 왕궁 정원의 흔적이라고 할만한 유물들은 없었다는 사실 등을 근거로 현재의 궁남지는 사실상 현대에 새롭게 만들어진 정원이라 주장했다.

고고학계와 조경학계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논의되어왔던 사안이지만, 아직 다큐멘터리나 대중서등을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진 적은 없었기 때문에 큰 반향을 일으킬 수도 있었으나... 지역방송 영향력의 한계인지 큰 반응은 없었다. 부여군에서조차 큰 이슈는 되지 못하였는데, 오히려 이 방송을 보고 전라북도 익산시에서 이를 익산천도론의 근거로 삼기 위해 조사용역을 실시했다. 전북도민일보 기사


4. 여담[편집]




5. 외부 링크[편집]




6. 사적 제135호[편집]



부여 남쪽에 위치한 백제의 별궁 연못이다. 백제 무왕 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궁궐의 남쪽에 연못을 팠다’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근거로 궁남지라 부른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20여 리나 되는 긴 수로를 통해 물을 끌어들였고, 주위에 버드나무를 심었으며 연못 가운데에 방장선산을 상징하는 섬을 만들었다고 한다. 그러나 수로와 물가·연못 속의 섬이 어떤 모양으로 꾸며져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못의 중앙부에 석축과 버드나무가 남아있어 섬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주변에서 백제 토기와 기와 등이 출토되었다. 연못의 규모 또한 정확히 알지 못하지만, 당시에 뱃놀이를 했다는 기록이 있어 그 크기를 짐작할 뿐이다.

고대 중국사람들은 동해바다 한가운데에 일종의 이상향인 신선이 사는 3개의 섬으로 삼신산이 있다고 생각하여, 정원의 연못 안에 삼신산을 꾸미고 불로장수를 희망했다고 한다. 궁남지는 이것을 본떠 만든 것으로 신선정원이라 불린다.

연못 동쪽에 당시의 별궁으로 보이는 궁궐터가 남아 있다. 현재 연못 주변에는 별궁 안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우물과 주춧돌이 남아있고, 연못 안에는 정자와 목조다리를 만들어 놓았다.

※(궁남지 → 부여 궁남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14:51:12에 나무위키 궁남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