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54 (r2판)

편집일시 :

>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ㆍ[[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 펼치기 · 접기 ]
10141017102011111112
11131114[a]111511161119
112011221124[a]11261127
11281129[a]1130[a]11311132
113311351136[a]11371138
11391140114111421143
1144115411551162[a]1164[a]
11651167121312181221
12221224122612271711
8101
[a] 차등요금 적용 노선
{{{#fff,#1f2023
[[틀:서울 0권역 지선버스|

{{{#fff 0권역
ㆍ[[틀:서울 2권역 지선버스|
2권역
]]ㆍ[[틀:서울 3권역 지선버스|

3권역
]]ㆍ[[틀:서울 4권역 지선버스|

4권역
]]ㆍ[[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5권역
]]ㆍ[[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6권역
]]ㆍ[[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7권역
]]


파일:1154_3457.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154 노선도.png
기점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한성여객종점)종점경기도 의정부시 신곡동(신성벽산아파트)
종점
첫차04:30기점
첫차05:10
막차23:20막차00:00
평일배차10~16분주말배차10~17분
운수사명한성여객인가대수12대(예비 1대)[1]
노선한성여객종점 - 용동초등학교 - 상명고등학교 - 노원역 - 도봉면허시험장 - 상계주공11.12단지(마들역) - 수락산역 - 수락중고등학교 - 장암역.석림사입구 - 장암주공5단지 - (→ 서해아파트 →/← 동신현대.한일삼익아파트[단독] ← 신곡1동행정복지센터.신곡1동우체국[단독] ←) - 의암교회 → 추동아파트 → 은하수아파트 → 신성벽산아파트 → 신명아파트.백병원앞 → 신동초등학교.신동아파밀리에아파트 → 의암교회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한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7.6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20-3번 도시형버스(상계주공7단지 - 신곡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하계동종점까지 연장되었고, 번호도 1154번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4월 28일에 '노원경찰서 - 용동초교 - 공릉길' 구간으로 변경되었다.

  • 2008년 12월 20일에 1153번을 흡수하면서 하계동 방향은 신곡1동주민센터, 신곡1동 동신/한일/삼익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동시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11년 5월 2일에 1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1143번에 투입되었다.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각각 2회씩 감회 운영되었으며, 본래 16분인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7분으로 조정되었고, 토요일 및 공휴일에도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각각 평일과 같은 수준인 10분/17분으로 운영되었다. 하절기 한시적 운행계통 변경 공문 배차간격 재조정 및 소급 적용 공문

  • 2019년 12월 30일을 기해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1분/97분/87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03분/104분/97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4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각각 토요일 10~18분/공휴일 12~18분이던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이 10~17분으로 통일되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 [편집]


  • 서울 시내버스 중 111번과 함께 장암역을 경유하는 노선이다.

  • 서울 시내버스 중 KD 운송그룹 계열이 아닌 유일한 의정부 방면 서울 시내버스 노선이며 지선버스로도 유일하다. 과거에는 1153, 1155번도 있었으나 1153은 2008년 하반기 개편을 거치면서 폐선되었고, 1155는 2012년에 청학리로 단축되었다.[2][3]

  • 또한 시내 및 강남에서 N13번, N61번 버스를 타고 도봉면허시험장에서 04:40경까지 기다려 이 버스의 첫차를 타면 마들역, 수락산역, 장암동, 신곡동을 환승해서 갈 수 있다.[4]

  • 1152번과는 노원역 - 장암역 구간이 동일하지만 회차지인 신곡동에서 서울로 가는 역할을 맡고 있으며, 남쪽 방향으로는 노원역에서 돌렸던 것과는 달리 노원역을 거쳐 하계동까지 운행한다.

  • 예전에는 대원운수 - 경기고속 - 평안운수에서 운행하던 12-3번, 명진여객의 72-1번과 신곡동 구간까지 비슷해 경쟁관계였다. 물론 댓수는 72-1번이 가장 많았고 1154번 중간이었지만 거리는 12-3번이 짧아서 셋 다 배차간격도 비슷했다. 그러다가 12-3번이 녹양동으로 연장되면서 신곡동은 1154번과 72-1번으로 분산되었고 지금은 12-3번이 신곡동을 아예 안 가는 노선이 되면서 경쟁관계는 72-1번과 이어가고 있다.

  • 152번, 171번, 271번, 774번, 6515번, 6614번과 함께 기점이 아닌 회차지점이 경기도인 7개 뿐인 서울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다.[5]

  • 하계동-노원역과 종점 p턴을 제외하면 선형이 일직선이지만 정체가 일상인 동일로 구간이 다수이기에 운행 속도가 상당히 빠른 편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54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5,812명-
2014년6,210명△ 398
2015년6,328명△ 118
2016년6,268명▽ 60
2017년6,172명▽ 96
2018년6,273명△ 101
2019년6,398명△ 125
2020년5,489명▽ 909
2021년5,673명△ 184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과천/안양/군포/의왕>

과천/안양/군포
541

안양/군포>
안양시 단독
152교대
6515교대
>

500석수

5618석수

과천시 단독>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의왕시 경유 노선은 군포시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1] 토요일 10대 / 공휴일 9대 운행[단독] A B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2] 이로 인해 한성여객 노선 중 유일하게 경기도까지 들어가는 노선이다. 1143번은 수락리버시티까지 들어가서 경기도를 경유하나 그냥 스치는 정도니 제외한다.[3] 다만 1155번은 행선판에 붙여진 공식적인 기점은 석계역이었지만, 실질적 기점은 청학리였고, 2012년 단축과 함께 청학리 출발로 행선판도 교체되었다.[4] 두 노선은 상계주공7단지 차고지가 노원측 차량의 운행종료지점이므로 도봉면허시험장에서 하차해야 한다.[5] 그 중에서도 경기도에 깊숙이 들어가는 노선은 이 노선과 774번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