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224

최근 편집일시 :


파일:서울1224번개선저상.png
흥안운수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사건.사고
4.2.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4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224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노원구 상계동(상계4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청량리역환승센터)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5:30
막차
23:20
막차
00:20
평일배차
5~10분
주말배차
토요일 8~14분/공휴일 10~15분
운수사명
흥안운수 / 삼화상운
인가대수
24대(예비 1대)[1][2][3]
노선
상계4동종점 - 불암대림아파트 - 상계역 - 중계4단지 - 은행사거리 - 노원경찰서 - 하계역 - 경춘선숲길방문자센터 - 서울과학기술대앞 - 안마을 - 태릉사거리 - 먹골역 - 중화역 - 중랑역.동부시장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동대문중앙새마을금고 → 제기동주민센터.서울약령시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삼화상운흥안운수에서 공동배차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1.4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노선은 10-1번(상계4동 - 무교동)과 117번(상계4동 - 고속터미널)에서 가지고 왔다. 중계동 구간과 은행사거리 구간은 오래 전에 폐지된 117-1번과 235-2번의 구간을 답습하고 있다. 이 때는 동일로지하차도에서 회차했다.

  • 2004년 9월 15일에 경동시장까지 연장되었고, 삼화상운과 공동 배차로 운행하게 되었다.


  • 회전 시 중앙선을 침범하면서 사고 위험이 높고, 불법주정차 차량들이 많아 운행하기 부적절한 점, 그리고 상계4구역 재개발로 인해 도로가 폐쇄되면서 2017년 3월 10일부터 시내 방향도 영신약국에 들어가지 않고 바로 상계역으로 간다. 관련 공문

  • 2018년 5월 14일을 기해 동년 10월 7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9회/10회/8회 감회 운영하게 되었다. 다만, 이 조치에 의한 해당 기간 동안의 배차간격 증가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8년 10월 8일을 기해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른 하절기 감축 운행이 종료되어 운행횟수가 다시 증회되었다. 다만, 인가상 평시 운행 계통 내에서의 대당 1일 운행횟수 자체가 감축됨에 따라 5월 14일자로 실행되었던 감회 이전의 수준 그대로 복구된 것이 아니라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6회씩만, 공휴일의 경우 5회만 증회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최대 배차간격이 종전보다 1분 늘어난 14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5월 13일을 기해 동년 9월 30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감축 운영했다. 이에 따라 해당 기간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3/12/11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배차간격도 일시적으로 조정 운영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11월 8일을 기해 본래 23:30이던 상계4동 기점 막차시각이 23:20으로 10분 앞당겨졌고,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36분/135분/126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도 전일에 걸쳐 140분으로 늘어나면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6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반적으로 줄어드는 형태로 배차간격이 조정되었다.(단, 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은 현행 유지)관련 공문 실제로는 배차간격이 늘었다.

  • 2020년 7월 6일을 기해 동년 10월 5일까지, 하절기 감압충전 및 차내 냉방 실시에 의한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대당 1일 운행횟수를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했다. 이로 인해 해당 기간동안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공휴일의 경우 9회 감회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휴일 배차간격이 7~12분에서 10~12분으로 늘어났었다.관련 공문1관련 공문2

  • 2022년 7월 1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에어컨 가동 및 가스 감압충전의 영향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 운행했고, 이에 따라 본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40회/130회/111회인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공휴일의 경우 9회 감회되어 130회/120회/102회로 운행했다. 그리고 이 기간동안 공휴일의 배차간격 역시 7~12분에서 10~12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공릉동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개의 구간으로 수요가 나뉜다. 공릉동 - 하계동 - 중계동 - 상계동 라인. 그리고 공릉동 - 중랑역 - 청량리 라인.[4]

  • 앞의 경우 은행사거리 등 핵심 학원 밀집지역과 수많은 중고등학교를 통과하기 때문에 대부분이 학생 수요이다. 이 노선 근처로 지나가는 학교들을 공릉동 지역부터 차례대로 보면, 서울과기대, 경기기계공고, 동산정보고, 한천중, 대진고, 하계중, 혜성여고, 서라벌고, 상명고, 영신여고, 중계중, 재현고 순으로, 무려 10개가 넘는다.[5] 뒤의 경우 출퇴근 시간대에는 중랑구, 노원구 남부 직장인들이 먹골역, 중랑역, 청량리역 등을 이용하는 패턴이 나타나며, 오후시간대에는 경동시장과 청량리역 일대 시장을 이용하는 노년층 수요가 많다.

  • 청솔7단지아파트(ID-11583) 정류장에 정차하는 노선이다. 이곳은 인가상으로는 노원03번만 정차하는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무정차 통과하는 1141번과 달리 안내방송도 나오며, 승객 승하차 취급도 한다.

  • 통학 시간대가 아닌 평시에도 보통 이상이 뜨는 일이 잦은데, 이는 학생 수요와 별개로 노원구 내에서의 이동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6] 주로 전철이 닿지 않고 인구가 많은 교통소외지역 구간인 하계역 ~ 상계역 구간에서 많이 발생한다. 반대로, 경기공고 ~ 청량리역 구간은 1227번이 배차가 약간 길지만 노선이 동일하기 때문에 상호 백업을 해주고 있다. 사실상 1227번이 1224번의 단축판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4.1. 사건.사고[편집]


2015년 8월 4일 16시 30분경 버스가 도로를 이탈하며 당현천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있었다. 사유는 운전 기사의 빈혈이다. 기사


4.2.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224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8,426명
-
2014년
18,259명
▽ 167
2015년
18,130명
▽ 129
2016년
17,487명
▽ 643
2017년
17,951명
△ 464
2018년
18,153명
△ 202
2019년
17,853명
▽ 300
2020년
13,430명
▽ 4,423
2021년
13,892명
△ 462
2022년
14,991명
△ 1,09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9:36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224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삼화상운 8대 / 흥안운수 16대(예비 1대) [2] 토요일 20대(삼화상운 8대, 흥안운수 12대) / 공휴일 17대(삼화상운 6대, 흥안운수 11대) 운행[3] 예비차량은 1138,1139번과 공동 사용한다.[4] 공릉동을 기준으로 노원구 생활권과 중랑구 생활권이 나뉘기 때문. 때문에 먹골역을 지날때쯤엔 오히려 한산해진다.[5] 따라서 공릉2동으로 가는 1132번과 같이, 두 노선 다 5~10분 정도의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운행함에도 통학 시간대엔 혼잡이 뜨는 일이 매우 흔하다.[6] 노원구의 지선버스들이 타 지역 지선버스에 비하면 배차간격이 매우 처참해서 이 노선으로 많이 쏠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1132번, 1135번, 1142번, 1137번이 배차가 좋은 편이다.[7] 태릉사거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