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127

최근 편집일시 :


파일:아진1127번_개선형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7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1127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입구)
종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수유동(수유역.강북구청)
종점

첫차
05:00
기점

첫차
05:40
막차
23:10
막차
23:50
배차간격
11~14분
운수사명
아진교통
인가대수
9대(예비 1대)[1]
노선
도봉산입구 - 도봉역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성우아파트 - 도봉구청 - 서울문화고등학교 - 도봉보건소 - 창동주공1단지 - 쌍문역 - 창동청구빌라 - 창동서울탁주 - 창2동주민센터.보건지소 - 수유역.강북구청 → 삼성화재강북지점 → 수유역.노스페이스문화센터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아진교통에서 운행 중인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0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도봉구 순환버스 역할이었는데, 도봉산 - 도봉역 - 시루봉길 - 선덕고 - 숭미초 - 광산사거리 - 수유사거리 - 번동사거리 - 창동 - 쌍문역 - 방학사거리 - 도봉구청 - 도봉동 - 도봉산 으로 다녔다. 참고로 내/외선 구분이 없었던 탓에 외선을 한 바퀴 돌고 도봉산 차고지에 도착 후 다시 내선을 돌아와야 한 탕이었다. 당연히 운행댓수가 부족하여 15~20분에 1대씩 왔고, 주말에는 30분씩 벌어졌다.

  • 2005년 4월 14일에 배차간격이 지나치게 벌어지는 문제점과 근로조건이 나쁜 문제가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순환선의 서쪽 고리인 안방학동, 쌍문동 구간을 단축하였다. 대신 수유역에서 회차하고, 창동역(서측)과 창동주공단지를 들어가도록 조정되었다.

  • 2005년 12월 20일에 창동역 서측 구간이 단축되었다.

  • 2019년 7월 1일을 기해 평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3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폭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일을 기해 단축운행차량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면서 단축운행차량이 사라졌고, 본래 7대였던 토요일 운행 댓수가 8대로 1대 증편되었으며, 토요일/공휴일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평일과 동일한 수준으로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의 경우는 각각 4회/7회씩 증회되었고 공휴일의 경우는 4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10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16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쌍문역 3번 출구가 에스컬레이터 설치 공사로 폐쇄되면서 수유역 방향 운행시 마을버스가 서는 쌍문역 4번 출구 정류장이 아닌 쌍문역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다.


4. 특징[편집]


  • 기.종점만 본다면 도봉로로 연결이 가능하여 도봉공영차고지 출발 간선버스는 물론 의정부 방향의 도봉로 이용노선들과 완벽하게 중복된다. 따라서 이 노선은 2004년 대개편 당시 지선버스의 역할에 충실한데, 직선경로 대신 창2·3·5동, 도봉2동 등을 경유하는, 이른바 우회노선의 향태로 다니는 게 이 노선의 특징이다.[2] 특히 도봉구민이 도봉구청이나 서울북부지방법원 등을 환승이나 도보 없이 이용하기 편리하고, 신창동(덕릉로) 및 창동중앙약국 일대에서 타 노선들보다 빠르게 쌍문역으로 주파해서 도봉로 동축에서 중심지로 빠르게 이어주는 노선이라고 보면 된다.

  • 사실 이런 기능들 빼고는 이 노선이 하는 일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는데다가 다니는 곳들이 하나마다 대체노선이 있는 곳들[3]이어서 반대편을 다니는 1128번에 비해 수요가 많이 적다. 이 때문인지 교통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이 노선을 잉여취급하면서 1128번과 통폐합하자는 말이 나오기도 한다.

  • 힘쎈여자 도봉순 1회 초반에 1127번 번호를 단 버스가 등장했다. 육교에서 버스 안이 그야말로 난장판이 되는데 실제 1127번 운행 구간에는 육교가 없다. 게다가 나오는 차량은 에어로타운으로, 실제 1127번에는 없는 차량이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127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214명
-
2014년
3,184명
▽ 30
2015년
3,353명
△ 169
2016년
3,356명
△ 3
2017년
3,336명
▽ 20
2018년
3,261명
▽ 75
2019년
3,310명
△ 49
2020년
2,648명
▽ 662
2021년
2,623명
▽ 25
2022년
2,896명
△ 273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20:1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12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8대 운행[2] 도봉산입구~수유역 구간에서 3번에 걸쳐 도봉로 밖으로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기를 반복한다.[3] 도봉로 연선에서 도봉구청, 서울북부지방법원 등으로 가야 할 경우 1127번보다 도봉로 중앙버스차로 경유 노선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