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341

최근 편집일시 :


파일:341_6400.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
서울특별시 강동구 강일동(강동공영차고지)
종점
서울특별시 서초구 우면동(성촌마을입구)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6:05
막차
22:20
막차
23:55
평일배차
12~16분
주말배차
토요일 13~17분 / 공휴일 14~18분
운수사명
대원여객
인가대수
21대[1]
노선
강동공영차고지 - 해뜨는주유소 - 고덕천교차로 - 상일초등학교 - 강동자이.프라자아파트(중) - 길동사거리.강동세무서(중) - 강동역(중) - 천호역 - 강동구청역.영파여고 - 몽촌토성역 - 잠실역 - 잠실새내역 - 잠실종합운동장 - 삼성역 - 선릉역 - 역삼역 - 강남역  - 양재역 - 우성아파트.양재초등학교 - 서울시품질시험소.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성촌마을입구 → 형촌마을입구.서초네이처힐1.2단지 → 네이처힐3.4단지 → 서울시품질시험소.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45.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5년 6월 20일 9301번 광역버스 하남시청행 노선을 기존 광화문, 서울역 대신 잠실역.강남역으로 노선을 변경하여 간선버스 341번으로 개통하였다.

  • 2018년 6월 12일에 평일 일 운행횟수가 3회 감회되었다. 이로 인해 평일 배차간격이 약 1분가량 늘어났다. 관련 공문

  • 2018년 9월 21일에 평일 일 운행횟수가 또 1회 감회되었다. 다만 배차간격에 생기는 변화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관련 공문

  • 2019년 10월 7일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2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전반적으로 1분가량 늘어났다.(단,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20분으로 현행 유지) 관련 공문

  • 2019년 10월 16일에 배차간격이 다시 조정되어 본래 토요일/공휴일 각각 11~16분/11~20분이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10~20분으로 통일되었다. 단,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 관련 공문


  • 2020년 9월 21일을 기해 평일에 한해 존재하는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으며 1일 총 운행횟수도 5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관련 공문

  • 2021년 7월 5일부터 동년 7월 18일까지 3323번 신설 준비에 따라 차량 재도색 작업을 위해 평일 운행 댓수가 임시로 1대 감축 운영되며, 동년 7월 19일을 기해 4대가 정식으로 감차되면서 정상운행차량 1대가 단축운행차량으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7월 5일부터 18일까지 2주 동안 우선 평일에 한해 2회 감회되고, 7월 19일 정식 감차 이후에는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7회/10회/9회씩 추가로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감차에 따라 우선 7월 5일부터 18일까지는 전일에 걸쳐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이 없으나, 7월 19일 정식 감차 이후로는 평일 배차간격이 10~15분에서 13~18분으로 늘어나고 토요일/공휴일 배차간격은 10~20분에서 15~25분으로 크게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5일부터 하남시 구간을 모두 단축하고 기점이 강동공영차고지로 변경됨과 동시에,[2] '강남역 → 진흥아파트 → 서초푸르지오써밋.롯데캐슬클래식 → 신논현역 → 강남역' 형태의 현 회차구간도 단축되는 대신 강남역~우면동 구간이 연장되었다. 본래 이 노선조정은 2021년 9월 27일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홍보안내 부족으로 인해 10월 5일로 연기된 것이다. 또한, 같은 날부터 5대가 증차되며[3],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200분에서 195분으로 줄었지만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는 기존 대비 감축되었고, 기점 막차시각도 23:30에서 22:20으로 크게 앞당겨졌다.[4] 이번 조치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82/67/58회에서 99/84/75회로 각각 17회씩 증회되었고, 배차간격 역시 평일 13~18분/토요일 및 공휴일 15~25분에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13분/12~16분/13~18분으로 줄었다.관련 공문
[ 노선변경 이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341 노선도.png


  • 2021년 11월 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9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평일 220분, 토요일/공휴일 215분으로 늘어났으며,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 역시 전일에 걸쳐 감축되었다. 이번 조치로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9/84/75회에서 90/76/68회로 각각 9/8/7회씩 감회되었고, 배차간격은 평일 최소 배차간격만 9분에서 10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9일에 1대가 감차되어 2416번으로 이동하였다. 다만 같은 날에 542번에서 1대를 가져와서 운행횟수나 배차간격은 그대로 유지됐다.

  • 2022년 5월 1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면서[5] 평일 정상운행차량 1대와 단축운행차량이 1대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90회에서 84회로 6회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의 경우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3분에서 14분으로 늘어났다.(단,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운행 댓수, 운행 횟수, 최소/최대 배차간격 모두 변동 없음)관련 공문1관련 공문2


4. 특징[편집]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이 노선의 핵심은 바로 천호역 - 강남역 구간인데, 개편 전 송파상운에서 운행했던 555-2번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마천동 - 천호역 - 강남역 구간을 심야[6]까지 운행하면서 엄청난 수요가 있었지만, 2004년 버스 개편 당시 공중분해되면서 시민 불편이 가중되자 일시적으로 3214번 차량 3대를 활용해 심야시간에 기존 555-2번과 동일하게 임시 운행을 하다 341번 신설로 강남역 - 천호동 구간을 정식 부활시켰던 것.

  • 강동역 - 천호역(5호선), 천호역 - 잠실역(8호선), 잠실역 - 강남역(2호선)까지 지하철 노선을 그대로 운행한다. 테헤란로 정체가 만만치 않기 때문에 속도 자체는 2호선이 절대적으로 빠르다. 그럼에도 장거리수요 비중이 그렇게 낮지는 않은데, 이는 천호와 강동에서 강남 방면을 전철로 접근하려면 2회의 환승이 필수로 따라오게 됨은 물론 잠실역과 천호역 모두 이용객이 굉장히 많은 혼잡 환승역이며 특히 잠실역의 경우 환승경로 길이도 짧지 않은데 에스컬레이터나 무빙워크마저 단 한 대도 설치되어 있지 않은 막장환승인 점이 크게 작용하여 그런 것이다.

  • 개통 직후부터 하남시 구간 단축 및 우면동 연장이 이루어지기 이전인 2021년 10월 4일까지는 개편 전 555-2번의 심야 운행을 정식 계승하여, 신논현역 기준 01:00라는 막차시각을 유지하고 있었다보니 심야에는 하남시-강동구 주민 외에도 테헤란로-올림픽로를 이동하는 사람들도 편리하게 이용하고 있었다. 그렇다보니 강남 구간에서는 자정 이후 시간대에도 탑승객 과밀 현상까지 종종 발생할 정도로 적잖은 수요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1년 10월 5일자로 해당 심야시간 수요층을 대상으로 한 그 어떤 대체수단 마련도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노선 조정과 함께 심야 운행이 중단되버렸다. 다만 그 이후 약 7개월가량 경과된 2022년 5월 1일부터 N34번이 운행을 개시하면서, 옛 시계외구간과 서울 내 천호대로 일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는 늦게나마 대체수단 제공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 상일초등학교부터 잠실역까지는 30-3번과, 잠실역부터 강남역 구간은 360번과, 강동공영차고지부터 천호역까지는 370번과 중복된다. 다만, 강일지구는 경유하지 않는다.

  • 하남시내 깊숙이 진입하는 유일한 서울면허 시내버스였다.[7] 때문에 2007년 7월 경기버스 환승 시행 전까지 유일하게 하남시에서 지하철 환승혜택이 적용되는 노선으로써 당연히 출퇴근 시간에는 만원으로 다녔었고, 하남시 거주중이던 장거리 통학생 및 직장인에게는 애증의 노선이었다. 중복노선 30-3번과 때아닌 경쟁도 펼쳐졌다. 현재는 하남시내 구간이 잘렸지만 하남시 초이동 정류장을 여전히 지나기 때문에 370번처럼 하남시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타이틀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 하남 구간 단축 이전에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중 최동단으로 운행하는 노선이었다.[8]

  • 하남시 철수 후 우면동 연장을 하면서 사실상 유일하다시피 강남역사거리에서 좌회전을 하는 노선이 되었는데, 이게 상당히 큰 메리트로 작용하여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있다.[9]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34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12,593명
-
2014년
12,263명
▽ 330
2015년
12,019명
▽ 244
2016년
11,876명
▽ 143
2017년
12,116명
△ 240
2018년
12,311명
△ 195
2019년
11,613명
▽ 698
2020년
10,071명
▽ 1,542
2021년
8,708명
▽ 1,363
2022년
10,163명
△ 1,455
2023년
10,764명
△ 601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잠실역, 잠실새내역, 종합운동장역, 삼성역, 선릉역, 역삼역,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양재역[10]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상일동역[11], 강동역, 천호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 서울 지하철 8호선: 천호역, 강동구청역, 몽촌토성역[12], 잠실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한성백제역[13], 종합운동장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선릉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 신분당선: 강남역, 양재역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3:00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34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9대 / 공휴일 17대 운행[2] 대체 노선으로는 현재 30-3번이 하남공영차고지까지 기존 341번의 경로 그대로 연장된다.[3] 증차분은 107번에서 3대, 201번, 542번에서 각각 1대씩 감차해 투입했다.[4] 잠실역~강남역 구간은 N13번이 있고, 여기에 삼성역 서쪽으로는 N61번도 추가로 존재하지만 올림픽로의 천호사거리~잠실역사거리 구간은 341번의 하남 구간 단축 직전을 기준으로 할 때 별도의 심야버스 노선은 전무하고, 341번이 양 방향으로 가장 늦게까지 운행하는 노선이었다. 따라서 이 조치로 인해 출/도착지가 올림픽로 일대에 있거나 강동구와 송파구/강남구를 오가는 경우에 대한 심야 대중교통수단이 사실상 소멸하게 된 것으로, 시민 불편 요소가 또 한번 추가 발생하게 된 셈이다.[5] 감차분은 신설노선 N34번으로 이동되었다.[6] 구.제일생명(현 교보타워) 기준 01:00[7] 하남시로 들어오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는 3318번, 3413번를 비롯해서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 미사강변도시, 위례신도시, 감일동, 초이동만 살짝 스쳐가는 수준이기 때문에 실질적인 하남시내 진입 노선에 해당하는 경우는 이 노선이 유일한 사례였다.[8] 현재는 3413번이 물려받았다.[9] 3002번, 3007번이 존재하긴 했지만, 이는 회차를 위한 경로라서 실질적으로 승차가 불가능했다. 그리고 M6450번도 있지만 배차간격이 나쁘고 요금도 비싸다.[10] 양재역.서초문화예술회관 정차[11] 고덕천교차로 하차[12] 강일동 방면은 잠실진주아파트 하차.[13] 몽촌토성역 하차 후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