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71

최근 편집일시 :


파일:동해운수771번개선형.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71 노선도.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디지털미디어시티역)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5:35
막차
23:30
막차
00:55
평일배차
16~24분
주말배차
토요일 18~27분 / 공휴일 20~27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11대[1]
노선
대화동종점 - (→ 동문태영아파트 → 일산시장 → 현대홈타운.일산서구보건소 →/← 대우동양아파트 ← 일산역 ← 산들마을5단지 ← ) - 하늘마을2.6단지 - 동국대병원사거리 - 식사오거리 - 고양시청 - 원릉역 - 원릉대림아파트.원당래미안아파트 - 성사2동행정복지센터 - 화정1동행정복지센터 - 화정역 - 행신초등학교 - 소만마을 - 화전역앞 - 덕은교.은평차고지앞 - DMC첨단산업센터 - 상암DMC홍보관.YTN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번 출구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9713번으로 바뀌었다. 당시 노선은 원릉역 - 등기소(서울방향) - 고양시청 - 성사2동사무소 - 어울림누리 - 화정1동사무소 - 달빛마을 - 덕양구청 - 고양경찰서 - 능곡초교 - 능곡역 - 무원고 - 소만초교 - 가라뫼 - 화도교 - 화전역 - 항공대입구 - 수색역 - 모래내 - 연희104고지 - 서대문우체국 - 연대정문 → 세브란스병원 → 이대후문 → 사직공원 → 적선동 → 세종문화회관 → 광화문 → 서울시청 → 숭례문 → 경찰청 → 충정로역아현역이대역 → 연세로 → 연대정문 → 이후 역순이었다.


  • 2005년 2월 28일에 원릉역 인근 차고지가 폐쇄되면서 7728번과 함께 대화동 본사까지 연장되었다. 이 과정에서 온갖 드리프트(...)와 막장 배차가 펼쳐졌다. 대화동 입성 직후에는 고양소방서, 원당 동양쇼핑, 구 종점(원릉역), 고양시청, 식사오거리, 백마교, 호수공원, KINTEX, 농수산물센터를 경유했다.

  • 2008년 5월 7일부터 7728번 경로인 신원아파트-일산시장-일산복음병원-세원고교-식사오거리 구간 변경과 함께 덕이동 로데오거리, 탄현지하차도를 경유하게 되었다. 결국 일산에서 서울까지 2시간이나 걸린다고 MBC 뉴스데스크에 보도될 정도의 막장 노선이 되고 말았다. 제일 압권은 '양조장사거리 - 신원당 동신아파트' 구간. 최단거리로 가면 300m도 나오지 않는 거리를 원릉역까지 돌아서 간다. 그래서 300m 정도의 거리가 3km까지 늘어나는 비범한 구간이다.

  • 견딜 수 없게 된 동해운수는 고양시청에 여러 차례 노선변경을 요구했다.

  • 원릉역 일대 구간의 경우 위에서 언급한 양조장사거리 - 신원당 동신아파트 구간을 직선화하려고 했지만, 원릉역 종점시절부터 이용해 온 승객들과 옛 원당주공아파트 자리에 새로 입주한 대림 e편한세상 아파트, 원당 삼성 래미안아파트 주민들을 위해 원릉 구간 직선화를 포기했다.[2]
  • 7728번과 9708번(現 760번)으로 대체 가능한 능곡·행신 안동네를 포기하고 고양경찰서에서 바로 고양 BRT로 진입하는 쪽으로 노선 변경을 하려 했지만, 서울특별시청에서 승인했는데 고양시청에서는 지역노선의 수익을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다.
  • 9713번을 폐선한 후 7728번[3]9708번으로 증차하려고 했지만, 이 역시 서울특별시청에서 승인했는데 고양시청은 지역 업체의 경쟁력 상실을 이유로 승인하지 않았다. 서울시 입장에서는 이럴 거면 그냥 고양시와 명성운수가 알아서 운행하라고 폐선시키고 싶을 듯하다

  • 이런 식으로 고양시청이 계속 거부하자, 2010년 1월 8일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노선을 단축 · 변경하기로 결정하여 간선버스 771번[4]으로 전환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이 때 좌석버스 3대가 7728번으로 이동했다.


  • 2012년 9월 7일부터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의 힘을 얻어 노선이 대폭 직선화되어[5], 그제서야 간선노선으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 2014년 하반기 노선 조정때(실제 시행은 2015년 2월 27일) 이 노선의 폐선안이 올라왔지만, 부결되었다. 관련 게시물 마땅한 대체 노선이 없어서인 듯. 7728번(당시)과 800번은 능곡, 행신동으로 우회하고, 1900번직행좌석버스다.

  • 2015년 12월 23일부터 대화동 방향은 행신초등학교 중앙차로 정류장 대신 햇빛마을23단지 가로변 버스 정류장에 정차했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방향은 기존과 같이 행신초교 중앙차로에 정차했다.
그러나 2018년 6월 1일부터 다시 양 방향 행신초교 중앙차로 정류장 정차로 환원되었다. 본래 5월 25일에 시행될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다. 관련 게시물

  • 2019년 1월 11일부터 후곡마을1단지 건너편에 '대우동양아파트' 정류장이 신설되어 추가로 정차한다.[6] 그러나 일산역 무정차 통과는 유지되었다. 다만, 후술된 내용을 보면 진짜로 일산역을 무정차 통과했던 것인지는 의문이다. 관련 공문

  • 2019년 2월 15일에 서오릉로 진입. 원흥지구, 봉산터널로 직선화된 7728번의 대체 노선으로 약 6년 반만에 다시 '원릉역 - 성사고 - 원당대림/래미안아파트 - 신원당마을7단지'를 경유한다. 이와 동시에 3대가 증차돼[7] 이와 동시에 1일 운행 횟수가 평일 6회, 주말 및 공휴일 4회씩 증회돼 배차간격이 적게는 2분에서 많게는 12분까지 줄어들었고, 기점 첫막차시각도 20분씩 앞당겨졌다.관련 공문관련 게시물

  • 노선 변경 이후 일자 미상으로 산들마을5단지, 일산역 정류장에도 추가로 정차한다. 다만, 서울시 버스조합 공지사항에 올라온 게시물의 771번 정류소 리스트 첨부파일에 따르면 이 정류소들이 변경 전과 변경 후 양쪽에 다 등장하는데, 이것으로 미뤄볼 때 정류소 정차 인가는 이미 2019년 2월 15일 이전 미상의 일자에 완료됐으나 단순히 전산에 등록되지 않았던 것일 가능성이 높다.

  • 2019년 7월 5일을 기해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 2

  • 2021년 5월 1일을 기해 170분이던 토요일/공휴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80분으로 10분 늘어났으며, 이와 동시에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회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 최소 배차간격은 15분에서 16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1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80분에서 185분으로 늘어났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57회/52회/52회에서 55회/50회/50회로 전일에 걸쳐 2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평일 23분, 토요일/공휴일 25분이던 최대 배차간격이 평일 24분, 토요일/공휴일 27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출퇴근시간 외에는 광역버스 시절보다 적은 승객이 이용하고 있고, 2010년 11월에 9708번이 707번(現 760번)으로 형간전환되자 7대를 감차하면서 배차간격도 좋지 못한 모습을 보여주는데, 평균 15~25분 간격이다. 게다가 노선의 선형도 영 좋지 못한 모습인데, 거의 대부분의 구간이 7728번(2019. 2월 이전)과 겹쳤다. 안 겹치는 곳은 노선 초반부[8] 및 행신동, 한국항공대학교 구간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정도. 그나마 막차가 빠른 7728번이 끊긴 후 고양 시내의 심야 구간 수요로 간신히 연명하는 모양.[9]

  • 다만 원당, 화정~상암동을 연결하는 노선은 이 노선밖에 없어서 이 구간이 상당히 중요하다. 간선버스 전환과 7728번의 노선 변경으로 인해 승객도 예전보다 늘어났다. 회사에서도 배차간격에 대한 불만을 인지하고 있는지 차량이 부족해 배차간격이 길고, 예비차량의 상용투입을 꾸준히 건의하고 있다는 안내문을 차내에 붙여놓았다고는 하지만 운행시간 증가와 저속 운행으로 인해 배차간격이 줄어들기는 커녕 오히려 늘어나고 있다.

  • 3200번, 3300번 공항버스 막차가 끊겼을 경우 약 1시간 동안 이용할 수 있는 대체노선이다. 디지털미디어시티역 8번 출구로 나와서 → 2번 출구 방향으로 이동하면 771번을 탈 수 있으며 고양시 진입 후 고양 1000번 또는 택시로 환승하면 교통비를 크게 아낄 수 있다. 적은 짐으로 혼자 귀국할 경우 인천공항-고양시 간 택시비(4만 원대 중후반)와 비교하면 아주 합리적인 선택지다. 다만 수색로 방향 출구는 닫혀 있고 거기로 가는 것이 막장환승이라 771번부터 찾는 것이 간편하다.

  • 디지털미디어시티역에서 깔끔하게 회차하지 않고 배배 꼬아서 회차한다. 이는 좌회전 금지 때문으로, 한 정류소를 가기 위해 U턴도 못해, 좌회전도 못해, 그러한 이유로 인해 한샘본사 일대에서 中자 모양의 드리프트를 하는 괴상망측한 회차 형태를 갖게 되었다. 6호선 3번 출구에 정차한 후, 한샘본사를 돌고 나서 6호선 2번 출구에 정차한다. 하지만, 한샘본사 루프 구간에 정류소가 없어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측 출구에는 정차하지 못한다. 상암초교 사거리에서 좌회전해 상암동주민센터를 거쳐 공항철도 DMC역 8번출구를 경유하고 이후 6호선 쪽을 찍고서 현재와 같은 식으로 돌아나오는 게 더 깔끔한데, 이렇게 변경하지 않는 이유는 불명. 7728번을 조정하는 김에 같이 조정할 수도 있었지만 민원으로 인해 현상유지 되었다.

  •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중 총 인가대수가 9대로 가장 적은 노선이었지만, 2019년 2월 15일 이후로는 3대가 증차되어 이 점은 343번으로 넘어갔었으나, 2022년 5월 1일 이후로는 343번이 압구정까지 연장됨에 따라 8대가 증차되어 이 점은 653번으로 넘어갔다.

  • 동사의 7728번과 더불어 구일산으로 다니는 노선이다.[10]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7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2,360명
-
2014년
2,522명
△ 162
2015년
2,601명
△ 79
2016년
2,570명
▽ 31
2017년
2,559명
▽ 11
2018년
2,675명
△ 116
2019년
3,857명
△ 1,182
2020년
3,464명
▽ 393
2021년
3,590명
△ 126
2022년
3,697명
△ 107
2023년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9년 노선 변경 및 증차로 승하차량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40:56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7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 공휴일 10대 운행[2] 2012년 국토해양부(현 국토교통부) 중재로 결국 해당 구간이 직선화되긴 했다. 따라서 7728번만 오르락내리락 코스가 남아 있었다. 하지만 2019년 2월 15일, 7728번의 노선변경으로 771번이 이를 대체하면서 다시 원릉역 일대 굴곡이 생겨버렸다.[3] 9713번의 심야 운행도 이 노선이 하게 하려고 했다. 그랬다면 7728번은 24시간 운행 타이틀을 가져갔을지도[4] 명성운수 77번이 2개월 전인 2009년 11월에 고양시 버스번호 개편에 따라 770번으로 변경되면서 770번이 되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770번은 배차가 농어촌급으로 전락했다 이후 770번은 2019년 도시형버스로 형간전환되면서 77번으로 환원.[5] 원당, 능곡 미경유[6] 사실 이 정류장을 경유하던 舊 77번이 폐선한 이후로 방치되었던 정류장을 다시 사용하는 거다.[7] 760번에서 1대, 7728번에서 2대가 감차됐다.[8] 771번은 일산시장 앞 큰도로를(희한하게 대부분의 버스가 큰길보다 샛길로 가는데 771번은 7727번 등과 함께 큰길로), 7728번은 탄현마을교 및 탄현마을 8단지를 경유한다. 노선 초반부마저도 7727번과 겹친다.[9] 7728번의 행신, 능곡 구간은 707번이 2022. 6월까지 대체했다가, 해당 노선이 760번으로 개편되면서 도심/신촌~행신, 능곡 구간 심야노선은 사라졌다.[10] 다만 복음병원 이북 구간이 다르다. 대화동차고지로 되돌아올 때는 산들마을쪽만 살짝 경유하고 일산역으로 빠져 버린다. 7728번은 탄현과 명성터미널을 찍고 간다.[11] 대화동차고지로 돌아올 때만 정차한다. 상암동DMC 방향은 일산시장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