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271

최근 편집일시 :



파일:경성271_엔삭에펠.jpg


파일:경성271번_개선형저상.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7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271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중랑구 면목동(용마문화복지센터)
종점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덕은동(대덕동행정복지센터)
종점

첫차
04:10
기점

첫차
05:50
막차
22:20
막차
00:00
평일배차
6~7분
주말배차
토요일 7~9분 / 공휴일 7~10분
운수사명
경성여객
인가대수
45대(예비 1대)[1][2]
노선
용마문화복지센터 - 서일대학교 - 우림시장 - 상봉터미널입구 - 면목6거리 - 동부시장남문입구(구. KT중랑지점) - 서울우유앞 - 삼육서울병원 - 청량리역 환승센터 - 제기동역.서울약령시 - 신설동역 - 동대문역.흥인지문 - 종로3가 - 광화문 - 충정로역 - 아현역 - 이대역 - 신촌로터리.2호선신촌역 - 홍대입구역 - 합정역 - 망원역 - 마포구청역입구 - 월드컵경기장남측.월드컵공원 - 월드컵파크3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월드컵파크5단지 → 월드컵파크7단지 → 대덕동행정복지센터 → 월드컵파크9.10.11.12단지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경성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구 131번 도시형버스(면목8동 - 망원동)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월드컵경기장, 상암초등학교까지 노선을 연장했고, 번호는 271번으로 바뀌었다.

  • 2008년 6월 1일에 월드컵경기장에서 DMC홍보관, 월드컵파크5~7단지, 서부면허시험장까지 연장되었다. 관련 기사

  • 2012년 8월 28일에 월드컵파크7단지 앞 U턴 회차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6월 1일에 단축투입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이와 동시에 토요일 운행차량이 5대 줄고 공휴일 운행차량은 3대 늘었다. 또한 토요일/공휴일의 단축투입차량이 모두 정상투입차량으로 전환되었다.이번 조치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3회, 17회 감회되었으며 공휴일의 경우 17회 증회되었고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일부 시간대의 경우 2분까지 늘었다.관련 공문

  • 2019년 3월 11일에 인가 운행소요시간 감축 및 대당 일 운행횟수 증편이 실행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2회씩, 공휴일의 경우 1회 증회되었다. 또한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최대 배차간격이 1~3분 줄었다.관련 공문

  • 2020년 2월 1일부터 토요일 운행 댓수가 2대 증편되고, 그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서 22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5분으로 늘어나면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5회/3회씩 감회되고 토요일의 경우는 4회 증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0년 3월 20일부터 상암공영차고지에서 U턴하지 않고 대덕동 주민센터와 월드컵파크9·10·11·12단지를 편도 경유하도록 회차 방식이 변경되고, 번호도 271A번으로 변경되었다.[3]이와 동시에 271B번[4]이 분리 신설되면서 271번 차량 46대(예비 1대) 중 16대가 271B번 분리신설을 위해 차출되어 271A번에는 30대(예비 1대)만 남게 되었다. 이에 따라 271A번의 경우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기존에 비해 각각 64회/49회/46회 감회되었고 배차간격도 평일 5~7분, 토요일/공휴일 7~9분에서 평일 8~11분/토요일 10~12분/공휴일 11~13분으로 크게 늘었다.[5]관련 게시물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운송사업조합)관련 공문(서울시 버스정책과)

  • 2020년 11월 16일 이후 271B번에 대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10분에서 200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었으며 같은 날을 기해 노선간 증감차도 이루어지며 271A번 34대(예비 1대) / 271B번 12대로 운행하게 됐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71A번의 경우 17회/16회/17회 증회되며 271B번의 경우 15회/16회/17회 감회되었고, 271A번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1~2분씩 줄었지만 271B번의 배차간격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4~17분/19~22분/20~23분에서 19~20분/28~30분/32~34분으로 크게 늘었다. 관련 공문

  • 2021년 1월 12일 나온 조정안에서 271B 노선을 폐선하고 A노선으로 원상복구하는 안이 나왔고, 동년 2월 25일 노선 심의에서 가결되었다.[6] 이에 따라 3월 27일부터 271B번은 폐선되며, 271A번은 271번으로 환원되었다. 이와 동시에 271A번의 경우 04:20/22:40인 첫막차시각이 04:10/22:20으로 앞당겨지고, 1일 총 운행횟수가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7회/33회/29회씩 증회되며 배차간격도 평일 5~7분/토요일 7~9분/공휴일 7~10분으로 축소 조정되었다.[7]관련 변경안 관련 공문

  • 2022년 5월 23일을 기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5분에서 236분으로 늘어나고, 그와 동시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180회/149회/137회에서 176회/146회/134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2년 7월 2일을 기해 상세 배차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평일 최소 배차간격이 5분에서 6분으로 늘어났다.(단,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관련 공문

  • 2022년 9월 1일을 기해 평일에 일 2회씩 운행하던 단축운행차량 1대가 감차되어 N62번으로 이동하였다. 이와 동시에 단축운행차량 중 1대가 정상운행차량으로 전환되어 운행횟수에는 변동이 없다. 관련 공문

  • 2023년 2월 20일을 기해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36분에서 238분으로 늘어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2회씩 감회된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다.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경성여객의 주력/간판 노선이다.

  • 서울 시내버스 승차량 TOP5 안에 들어가는 노선이다. 나머지 네 개는 130, 143, 160, 272.[8]

  • 서울 지하철 7호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심으로 나가기 어려운 망우동(망우3동, 망우본동), 면목동 주민들[9] 및 상봉2동 주민들에게는 이 노선이 사실상 필수.[10] 262번, 272번과 함께 면목동 주민들의 도심 진입을 도와주고 있다. 장안동, 전농동을 지나는 262번과 달리 이 노선은 중랑교를 건너 바로 가므로 청량리까지 소요시간이 훨씬 짧다. 특히나 주로 지나는 봉우재로 구간은 직접 연계 전철역도 없고, 도심으로 연계되는 노선도 일부 구간만 경유하다[11] 보니 이 노선의 존재감이 확실하다. 면목동(서일대)에서 청량리는 1213번이 어느 정도 과부하 해소를 해 주는데 1213번은 겸재로를 통해 서울우유로 가는 것이 차이점이다. 1213번 역시 사람 많다.

  • 예전부터 심야 수요가 많은데 면목동에서 막차가 22시 20분에 출발하지만 운행거리가 꽤 길어 상암동에서 23시 55분 정도에 회차하기 때문.[12] 면목동 방향으로 홍대입구역에서는 0시 20분 전후, 광화문에서는 0시 40분, 청량리역에서는 1시~1시 10분 사이에도 탈 수 있다. 더군다나 막차 시간대에도 배차간격이 8분 이상으로 벌어지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에 타기도 편하다. 그래서 막차 시간대에도 입석이 발생하는 경우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당연히 272번, 273번, 602번, 603번, 5714번, 7612번처럼 물갈이도 잦고, 장거리 수요도 꽤 있다. 중앙차로 정류장에서 환승연계도 잘 이루어지면서, 합정역, 홍대역에서 신설동역, 망우동 가는 노선이 심야 N26번을 제외하면 이 노선이 유일하기 때문에 이 수요도 많다. 맛집 투어[13]에도 딱 좋은 노선인 것도 덤. 비슷한 경유지들을 지나는 273번에 비하면 대학교를 조금 더 적게 지나는 것이 차이이다.

  • 과거에는 망원동 → 도심 방향 교통편의 제공을 위하여 망원동에서 04시 20분에 출발하는 첫차가 있었으며, 그 뒤로 약 2~3대 가량 운행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당시 성산시장 정류장 주변에 차고지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시기는 알 수 없지만 해당 부지가 매각되면서 망원동에서 출발하는 첫차는 더이상 운행하지 않고 있다. 그리고 월드컵로 전 구간을 지나는 유일한 노선이였으나 2012년 8월 노선조정으로 인해 기록이 깨졌다. 또한 상암동, 망원동 등지에서 홍대, 신촌, 종로 등을 갈 때도 상당 부분 유용하다.[14] 또한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 외곽을 한 바퀴 크게 돌기 때문에, CJ E&M 센터나, MBC, KBS 미디어시티 별관을 갈 때에 대단히 유용한 노선 수색역 쪽에서 접근하면 수색차량기지-수색교를 넘어 한참 걸어야 하지만 마포구청역에서 타면 바로 앞에 정차한다.

  • 모든 연령에게 인기가 많은 노선인데, 상봉동~면목동, 경동시장~종로 구간은 50대 이상 어르신들이, 광화문과 DMC 부근은 직장이 많아 30,40대가, 이대~신촌~홍대 구간은 20대. 대학생들이 많이 이용한다.

  • 상암중학교, 상암고등학교 학생들의 통학버스로 171번, 7711번, 7730번과 더불어서 많이 이용된다.

  • 270번과 마찬가지로 중앙차로 구간이 꽤 되는 편으로, 서교동 - 홍대입구역 - 신촌로 - 새문안로 - 종로 - 왕산로 - 청량리역, 삼육서울병원 - 중랑교 구간이 해당된다. 특히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 개통 이후 상암동 방면으로는 중랑교부터 서교동까지 계속 중앙차로로만 운행한다.

  • 270번과 상당 부분이 겹치는데, 중랑교부터 동교동삼거리까지 중복되고, 월드컵파크7단지(상암공영차고지)에서 서로 만난다.[15] 하지만 둘 다 수요가 터져 나간다.[16] 특히, 구 134번(모래내 - 외국어대)과 거의 경합하기에[17] 앞으로도 201번의 경희대 드리프트나 370번서대문역 단축으로 인해 수요가 더 늘면 늘었지 줄진 않을 노선.

  • 월드컵파크7단지에 도착한 뒤, 상암공영차고지로 들어가 오전/오후 각 1회씩 하루 총 2회 가스를 충전한다.[18] 그래서 월드컵파크7단지 정류소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며, 기사들도 이 곳에서 승차할 수 없고 대덕동부터 승차가 가능하다고 안내해주고 있다. 충전소가 정류소 출발 직후에 있기 때문. 이는 171번도 해당된다.

  • A/B로 나뉘기 전인 2013년 3월에 틴탑이 긴생머리 그녀로 쇼! 음악중심에서 컴백을 했을때 스페셜 스테이지를 해당 버스내에서 한모습과 무대에서 한모습을 번갈아 보여줬다. #[19]

  • 152번, 171번, 774번, 1154번, 4432번, 6515번, 6614번과 함께 기점이 아닌 회차지점이 경기도인 8개 서울시 시내버스 노선 중 하나다.[20]

  • 평일 출근시간때 월드컵경기장~상암중학교(가양대교방향 아동차량)의 정체현상으로 1정거장당 1대씩 다니거나, 2대씩 몰려다니는 경우가 잦다.[21]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271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34,361명
-
2014년
32,842명
▽ 1,519
2015년
31,755명
▽ 1,087
2016년
30,881명
▽ 874
2017년
30,508명
▽ 373
2018년
30,189명
▽ 319
2019년
31,028명
△ 839
2020년[22]
18,213명
▽ 12,815
2021년
21,849명
△ 3,636
2022년
26,349명
△ 4,500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회기역[삼육], 청량리역, 제기동역,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충정로역, 아현역, 이대역, 신촌역, 홍대입구역, 합정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동대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광화문역, 서대문역, 충정로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동묘앞역, 합정역, 망원역[23], 마포구청역, 월드컵경기장역[24]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회기역[삼육], 청량리역, 홍대입구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춘선: 회기역[삼육], 청량리역
  • 파일:SB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이음, ITX-청춘, 무궁화호, 누리로)


6. 둘러보기[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1, 2권역 | 의정부, 구리, 남양주
의정부시

수락리버


구리/남양주

201구리

202담터

1155담터

수락리버: 수락리버시티아파트 지역만 정차, 담터: 남양주방면 담터고개(구리시 소재)만 정차, 서울방면 담터고개는 서울시 소재.


3, 4권역 | 하남, 성남
성남시

4432청계산

하남시

341초이

370초이

3217위례


초이: 초이동 / 위례: 하남시위례도서관 / 청계산: 청계산옛골


4, 5권역 | 과천, 안양, 군포, 의왕
안양시

152교대

500석수

5618석수

6515교대


군포시

441한솔

502한솔

의왕시


과천시

서초08잔디

서초20잔디


교대: 경인교육대후문만 정차 / 잔디: 잔디마을만 정차 / 한솔: 한솔테크노타운만 정차


5, 6권역 | 광명, 부천
광명시

철산리버


부천시

철산리버: 철산리버빌아파트 정류장만 정차


7권역 | 고양, 양주, 파주
고양시

동산동


덕은동


대덕동


파주/양주

704송추

773교하

774파주읍

9714교하

동산동: 한국지역난방공사(舊 동산동) 정류장만 정차 / 덕은동: 덕은동종점 정류장만 정차 / 대덕동: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장만 정차


파일:종로구 CI.svg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의 간선버스
[ 펼치기 · 접기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서울 버스 271B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서울 버스 271B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0:42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27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36대 / 공휴일 33대 운행[2] 예비차는 N62번과 공동사용한다.[3] 대덕동행정복지센터 정류소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하여, A노선은 경기도에 잠시 진입하는 노선이 되었다.[4] 26X번이 아닌 이유는 기존 노선번호 대비 혼동 방지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5] 조정 이후의 배차간격도 절대적으로 길다고 하기엔 어려운 수준이나, 상대적으로는 크게 늘어난 게 맞기도 하고 271번의 경우 신촌~홍대입구~마포구청~상암동 구간에서도 매우 수요가 많은 노선인 만큼 해당 구간에서의 시민 불편 발생이 클 것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게다가 271A번/271B번 중첩 구간에서도, 271B번이 271A번에 비해 노선이 짧아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약간이지만 더 많은 만큼 기존 271번 단일 운행 당시에 비해 1일 총 운행횟수가 늘긴 하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겨우 8회/6회/5회 증회되는 수준으로서 그 비율도 미미하고 단일 노선 운행 당시와 같은 균형적인 배차가 이뤄지는 것도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중첩 구간 내 배차간격 축소 효과도 극히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6] 다만, 271B 폐선에 따른 대체노선인 273번 회차구간 변경안(회차 시 홍대입구역 대신 서강초등학교, 광흥창역 경유로 변경)은 부결되었다.[7] 1일 총 운행횟수를 A/B 분리 운용 기간의 A/B노선 각각의 총합과 비교해 따져보면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0회/6회/5회씩 감회되는 것이긴 하다. 그렇지만 그간 A/B노선 상호 간에 효율적이고 균형잡힌 통합 배차가 이뤄지지도 못했던 점을 감안하면, 총 운행횟수가 줄어들어도 실질적 이용 편의성은 오히려 개선되었다고 볼 수 있다.[8] 153번도 꾸준히 5위 안에 들었으나, 단축 후 수요가 줄어들어 순위권 밖으로 밀려났다.[9] 특히 면목2동의 경우는 면목동의 타 동네와는 달리 버스가 많지 않다.[10] 특히 목적지가 신촌, 홍대, 월드컵경기장일 경우 그나마 가까운 중랑역에서 전철 탄 뒤 홍대역, 신촌역은 왕십리역에서 2호선 환승(홍대 역시, 많이들 찾는 번화가 지역은 여전히 기존 2호선 출입구 쪽이 가깝기에 비록 중앙선 전철로 한번에 갈 수 있어도 왕십리역에서 미리 2호선으로 환승하는 것이 여전히 유리하다.) 월드컵경기장은 효창공원역에서 6호선으로 환승해서 더 빠르게 갈 수도 있지만, 경의중앙선 전철의 배차간격 문제와 환승저항 문제가 있어 이 노선이 유리한 상황. 봉우재로 일대인 상봉동과 망우동에서 신촌, 홍대역, 합정역을 갈 때는 오래 걸리더라도 이 노선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 중랑교 지나서부터 중앙버스전용차로를 타며, 특히 제기동역~서교동사거리까지는 쭉 양방향 중앙차로로 다닌다. 특히 중앙버스전용차로 종로 구간이 완공되며 예전에 비해 소요시간 문제가 크게 개선됐다.[11] 본 노선이 봉우재로를 완주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특히 면목6거리 이후의 상봉2동주민센터와 중랑초교 구간은 이 노선 독점이다(2005년 7월 18일 이후. 그 이전엔 2232번이 있었지만 폐선, 지금은 320번이 다니나 편도구간이라 제외). 2230번의 경우는 우림시장-서일대 구간에선 271과 반대로 다니며, 240번은 건대 및 압구정으로 연계한다. 2230번은 특히나 돌아가는 노선이며, 면목동 및 신내동 투어를 하는 노선이다. 그 노선은 면목6거리에서 청량리까지 오래 걸린다.[12] 이마저도 A/B 다시 통합 이후 단축된 것으로 이전에는 22시 40분에 출발했다.[13] 특히 홍대입구역, 신촌역, 종로 등등[14] 특히 합정역은 가변(상암동 방향 2번 출구/도심 방향 4번 출구 정차)에 정차하기에 여기서 일산(킨텍스)행 광역버스와 연계 가능(반대로 이들을 타고 합정역 하차 후 환승 가능). 단, 상암동 방향은 정확히는 2번 출구에 정차하기에 광역버스가 정차하는 1번 출구로는 도보로 직진해야 한다. 퇴근시간에 합정역 가변정류장(특히 신설동, 망우동, 면목동 방향. 그리고 상암동 방향도 많다.) 가면 271번을 기다리는 승객이 엄청 많다![15] 차이점은 같은 상암동 종착이나 이 노선은 홍대, 월드컵경기장 경유, 270번은 수색교, 디지털미디어시티역 경유.[16] 개편 초기 심각한 가축수송으로 270번 노선변경의 단초가 되었다. 또한 이 당시 131번과 같이 다니던 134번은 2004년 개편 후 외대역에서 창신동까지 단축된 터라(당시 개편 번호는 705번으로 이후 721번으로서 건대역까지 연장했다)[17] 당시 134번과는 청량리청과물시장부터 동교동삼거리까지 겹쳤다. 이 당시에 131번과 134번의 경쟁이 매우 지나쳤기 때문에 뉴스에도 자주 나올 정도였으며 개편 이후로도 271번과 721번의 기사들이 서로 빡친 눈빛으로 분노의 교행을 했다. 물론 2022년 기준으로 개편 이전부터 근무한 고참 기사들이 정년으로 퇴사하면서 양 노선 간 분노의 교행은 많이 줄어들었다.[18] 그래서 사측에서 기사들에게 충전소 경유 시각, 대덕동 출발 시각, 합정역사거리 통과 시각을 지정한 시각표를 차량에 배부하였다. 이 시각표를 일정 횟수 이상 위반 시 고정기사 박탈 등의 규정을 만들어 운행중이다.[19] 이 당시에 쇼! 음악중심은 일산 MBC드림센터에서 진행되었으며, 지금은 271번이 경유하는 상암동 MBC 본사에서 생방송이 열린다.[20] 그래서 가스충전 시간대에는 상암공영차고지 진입 직전에 있는 월드컵파크7단지 정류소에서 승차를 제한하는 기사들이 대부분이다. 보통 대덕동주민센터나 9.10.11.12단지에서 타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21] 이후 청량리시장 부근에서 중앙차로가 끊기기 때문에 여기서도 배차가 깨지며, 중앙차로에서 이탈 혹은 합류하는 합정역, 서울우유 인근에서도 자주 정체가 된다. 그래서 출퇴근 시간대에 면목동으로 들어오는 차량은 보통 상봉동에서 여러 대 붙는 경우가 많다. A/B 분할 시절에는 아예 몇 대 씩 몰려와서 B를 먼저 보내고 A가 대신 태우는 형식으로 배차를 조절했다.[22] 3월 20일부터 271A번으로 운행.[삼육] A B C 삼육서울병원 하차[23] 망원시장.망원동월드컵시장입구,기업은행서교동지점(최규하 대통령 가옥) 하차가능하다[24] 마포농수산물시장, 월드컵공원(면목8동 방면)/월드컵경기장남측, 월드컵공원(상암동 방면)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