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163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삼화상운에서 운행했던 월계동 - 목동 구간의 간선버스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173 문서
서울 버스 173번 문단을
서울 버스 173#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서울 163번 저상차량.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
4.2. 대학 투어
4.3.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63 노선도(2022).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신길동(대방역)
종점

첫차
04:00
기점

첫차
05:30
막차
22:30
막차
00:10
평일배차
5~8분
주말배차
6~11분
운수사명
동아운수
인가대수
42대[1][2]
노선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 국립4.19민주묘지입구 - 수유2동주민센터.우이시장 - 광산사거리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신일중고 - 미아사거리역 - (→ 길음뉴타운 →/← 돈암동삼성아파트입구 ←) - 정릉2동주민센터 - 국민대학교 - 북악터널 - 롯데아파트 - 평창동주민센터 - 세검정.상명대 - 서울여자간호대학 - 유진상가 - 서대문구청.보건소.구의회 - 연희교차로 - (→ 서대문우체국 → 연세대학교 → 신촌기차역 →/← 연희동대우아파트 ← 현대백화점 ←) - 신촌오거리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서강대교 -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샛강역.여의도자이 - 대방역


2. 개요[편집]


동아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55.6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통합 전 두 노선(170번, 5711번)에 관한 연혁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 문서에서 해당 항목을 참조.

  • 2007년 4월 23일, 170번과 5711번을 통합하면서 '당곡사거리 - 삼막사사거리' 구간을 단축하였고, 번호도 153번으로 바뀌었다. 관련 공지사항 통합하면서 운행 시간은 왕복 4시간 20분으로 늘어났다.

  • 2008년 6월 1일, 우이동 방향은 서강대교를 건넌 후 이대와 서강대를 경유하도록 변경되었다. 관련 기사

  • 2008년 11월 17일, 8153번이 신설되면서 3대가 차출되었다.

  • 2010년 1월 8일, '국민은행 여의도 본점 - 한국거래소 - 한양 · 수정아파트 - 앙카라공원 - 공군회관' 구간을 '국회의사당 - 여의도역 - 국토정보공사 - 공군회관'으로 직선화했다. 관련 공지사항 또한 101번으로 2대가 차출되었다.

  • 2014년 1월 6일, 연세로 대중교통 전용지구가 완공되어 서강대 ↔ 연세로 간 직진신호가 사라지면서 당일 정오부터 우이동 방향 노선이 '명물거리 - 연대 앞 - 서대문우체국' 대신 '신촌 현대백화점 - 동교동삼거리 - 연남동 대우아파트'으로 변경되었다. 정식으로 변경된 것은 이 날이지만, 실제로는 2013년 9월 28일부터 이렇게 운행했다.

  • 2016년 5월 8일, 저상버스 투입을 위해 우이동 방향 길음뉴타운 경유가 돈암삼성아파트 경유로 변경되었다. 본래는 4월 26일에 변경 예정이었기에 차량 내 노선도 등은 미리 바뀌었지만, 실제 변경은 이날로 연기되었다. 관련 보고서

  • 2017년 2월 4일, 신촌로터리 신호체계가 개편되면서 '광흥창역 → 이대입구 → 서강대학교 → 동교동삼거리' 구간이 단축되어 신촌로터리에서 좌회전해서 바로 가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관련 공지사항

  • 2018년 3월 26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개통 당시와 같은 260분으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운행횟수가 감회되면서 평일 배차간격이 최대 10분까지 늘어났다. 관련 공문 1 관련 공문 2

  • 2020년 2월 17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13회/12회/17회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본래 평일 4~10분, 토요일/공휴일 6~10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 5~8분, 토요일/공휴일 7~12분으로 조정되었다.관련 공문

  • 일자 미상 복편 도선사입구 정류장이 삭제되었다. 따라서 우이동 종점 방향은 성원아파트에서 내려야만 한다.

  • 2021년 2월 18일 열린 노선조정 심의 결과 '대방역 - 당곡사거리' 구간을 단축하고 대방역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단축이 결정되었으나, 민원으로 인해 단축구간(특히 보라매병원 구간) 대체노선[3] 확보 전까지 무기한 보류되었다. 이후 2022년 5월 신림선이 개통된 뒤로도 한동안은 노선조정 소식 없이 운행되고 있었다.

  • 2022년 10월 17일을 기해 위의 단축안이 실행되어 '샛강역.여의도자이 - 서울지방병무청 - 신대방삼거리 - 롯데백화점관악점' 구간이 단축되고 대방역에서 회차하도록 변경되었다. 노선번호 역시 163번으로 변경되었으며, 기점 막차시각은 22:20에서 22:30으로 10분 늦춰졌다. 이번 단축으로 2대가 감차되어 운행댓수가 평일은 2대, 토요일/공휴일은 1대씩 감축되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60분에서 220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됨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는 평일의 경우 161회에서 176회로,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123회에서 136회로 증회되었으며, 이에 따라 최소/최대 배차간격 역시 평일은 5~9분에서 4~9분으로, 토요일/공휴일은 7~12분에서 6~11분으로 축소 조정되었다.[4]관련 공문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53 노선도.png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2대가 감차되어[5] 전일에 걸쳐 1일 총 운행횟수가 8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다. 관련 공지사항


4. 특징[편집]


  • 통합 이전에는 평일 기준으로 170번/5711번이 각각 33대로 177회/21대로 126회 운행했었으며, 통합 직후에는 통합 전 170번보다도 운행횟수가 더 많아졌었다.[6] 하지만 통합 이후에는 노선의 길이 자체가 워낙 길어졌다보니 기점에서 여의도 근방까지 오고 나면 많은 교통량의 영향 탓에 배차간격 조절이 안 되는 일이 다반사였으며, 여의도 이남 구간도 교통상황이 좋지 않을 때가 많다보니 회차지점인 당곡사거리까지는 물론 우이동으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도 균일한 배차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편이었다. 그 탓에 시야에 2대 이상의 차량이 한꺼번에 잡히는 빗자루질이 구현되거나, 10분 이상으로 길게 벌어지거나 하는 등 극과 극을 오가는 일이 잦았고 실제 운행횟수에 비하면 이용객이 체감하는 배차간격은 좋지 못한 편이었다. 그나마 2022년 10월 17일자로 대방역 이남 구간이 단축되면서 운행횟수는 늘고 상습정체구간은 줄어든 만큼, 잔여 구간에서는 체감 배차간격은 조금이나마 개선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서울시 버스 승객 수 TOP 5 중 하나였다.[7] 나머지는 143번, 152번, 160번, 272번.

  • 170번과 5711번을 통합해서 만들어진 노선인지라 통합초기에는 170·5711 통합노선, 구 170번 연장노선 등 이 써진 스티커를 붙이고 다녔다. 상당수 차량들의 전면유리에 타 노선에서는 볼 수 없는 주요정류장 스티커를 볼 수 있었다.

  • 6713번과 함께 서강대교를 통해 신촌역 - 광흥창역 라인과 국회의사당역 일대를 잇는다. 5713번753번은 마찬가지로 서강대교, 서강로(신촌 - 광흥창)를 지나지만, 국회의사당이 아닌 여의도순복음교회를 지난다. 특히 수요는 다양한데, 우이동~수유역, 강북구~정릉 및 상명대학교, 정릉~상명대학교, 서대문구 그리고 상명대학교~신촌, 신촌~여의도,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5호선 및 9호선 환승수요 등 많다. 6권역은 여의도, 대방역 구간 뿐이고, 대부분의 구간이 1, 7권역이다.



4.1.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간 주의사항[편집]


연희교차로 - 신촌로터리 사이의 운행 구간이 상행과 하행 때 각각 다르므로 요주의.


이는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이전이었던 2013년만 해도 서강로에서 신촌로 동교동삼거리 방면과 신촌역로에서 성산로 연희IC 방면 좌회전이 불가했던 것 등 복잡했던 신호 체계가 1차적인 원인이다. 노선효율화 및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조성 등의 이유로 여러차례 변경되고 있으나, 두 방면 통합은 아직 이루지 못하고 있다.

대방역 방향은 서대문우체국과 연세대앞 중앙차로 정류장에 정차한 후 경의·중앙선 신촌역 방면으로 우회전하기 위해 중앙차로에서 끝차로로 빠져나오면서 순식간에 서너개 차선을 가로질러야 한다. 때문에 세브란스병원 가변차로나 중앙차로 둘 중 한 곳도 정차하지 못한다. 아직까지 큰 사고는 없지만 항상 갑자기 차선을 바꾸려다 보니 아찔한 상황이 가끔씩 벌어지곤 한다. 또한 좌회전이 막혀 있는 신촌로터리 교통체계와 노선을 효율화하려는 서울시의 노력 덕분에 여러차례 노선이 변경되며, 이래저래 애환을 겪었다. 노선 개통 초기에는 서강대교를 건너자마자 우회전하여 753번처럼 서강대부터 경유하며, 대흥역 앞 2연속 좌회전에서 10분 가량 시간을 까먹으며 신촌으로 빨리 가려는 승객들의 뒷목을 잡게 만들더니, 그 이후 1년여만에 서강대교에서 신촌으로 직행하여 이대를 경유한 후 서강대로 가서 기존 5711번 이대통학 수요도 살리고 신촌에 빨리 가려는 사람들도 만족하는 나름대로 윈윈하는 개편을 하였다.[8] 하지만 2014년 연세로 대중교통전용지구 개통으로 서강대에서 연세로로 들어오는 신호가 없어져,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우이동 방향 연세대 경유가 없어지게 되었고, 2017년에는 서강대 순환구간이 사라지게 되었다.


4.2. 대학 투어[편집]


273번의 인지도에 밀리지만 은근히 인서울 대학들을 많이 경유하는 대학투어 노선이다. 경유하는 대학교는 덕성여자대학교, 고려대학교(정릉캠퍼스), 성신여자대학교 운정그린캠퍼스,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연세대학교이다.

게다가 273번이 실질적으로 대학 정문 앞을 지나지 않고 그 근방[9]에서 정차하는데, 이 노선은 앞서 거론한 모든 대학의 바로 정문 앞에서 하차한다. [10]

약간 억지식으로 경유하는 대학을 더 붙이자면, 서울사이버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도 해당 학교에 포함될 수도 있다. 서강대는 서강대역이나 신촌역에서, 이화여대는 정문을 지나치지 않지만, 경의선신촌역에서 조금만 걸어가면 바로 정문에 도달할 수 있다.

정문은 아니고, 4년제 대학도 아니지만 서울여자간호대학교 근방을 지나가서 많은 학생들이 홍대입구 근처에서 환승해서 타기도 한다.


4.3.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5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13년
35,663명
-
2014년
35,616명
▽ 47
2015년
36,057명
△ 441
2016년
35,722명
▽ 335
2017년
33,751명
▽ 1,971
2018년
32,689명
▽ 1,062
2019년
33,049명
△ 360
2020년
24,699명
▽ 8,350
2021년
24,798명
△ 99
2022년
27,341명
△ 2,543
[11]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3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22년
24,889명
-
[12]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7~2018년 우이신설선 개통으로 이용객이 3000명 가량 줄었다.

  • 2022년 "대방역 - 보라매병원" 구간 단축으로 승객이 2,400명 감소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대방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홍대입구역[13]
  • 파일:Seoulmetro4_icon.svg 수도권 전철 4호선: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샛강역
  • 파일:Ui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역, 4.19민주묘지역, 정릉역[14]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신촌역[15], 서강대역[16],홍대입구역[17]
  • 파일:SillimLine_icon.svg 서울 경전철 신림선: 샛강역, 대방역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18]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4:30:01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163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고정예비 1대 + N15번 정규차량인 공용예비 2대.[2] 토요일 / 공휴일 32대 운행[3] 대체노선으로는 이 당시 기준으로도 2022년 개통 예정이었던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지목될 가능성이 높다.[4] 같은 날을 기해 '여의도역 - 신대방삼거리 - 모자원고개' 구간을 동일하게 운행해오던 6513번까지도 6713번으로 변경되면서 상도로, 보라매로 구간은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461번, 753번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인데, 신대방삼거리/모자원고개 등 신림선 역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 입장에서는 여의도 방향 버스 중 2개 노선(두 노선을 합산한 평일 기준 일 운행횟수는 노선조정 직전 시점 기준 271회)이 한번에 감축되면서 2022년 10월 현재 평일 기준 일 120회 운행되는 461번 1개 노선만 남겨질 뿐인데다 공급량 감축 폭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마저 마련된 바도 전무했기 때문이다.[5] 감차분은 N15번으로 이동되었다.[6] 단, 시간이 지나면서 감차와 일 운행횟수 감축이 수차례 실행되면서, 대방역 - 당곡사거리 구간의 단축 직전 기준으로는 평일 기준 161회까지 줄어들어 있었다.[7] 현재는 노선단축으로 순위가 밀렸다.[8] 운행거리가 더 길어졌지만 대흥역 앞 좌회전에 워낙 시간을 많이 잡아 먹어서 소요시간에 차이가 없었다.[9] 심지어 한성대입구 같은 경우는 정류장에서 800m 이상 걸어야 한다. 불행 중 다행으로 성북02번승강장은 하행이나 상행 양쪽에서 다 걸어갈 만은 하다.[10] 연세대학교는 대방역 방면만 정문 앞에 하차한다. [11] 1월 1일부터 노선변경일 직전인 10월 16일까지 28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2] 노선변경일인 10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7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13] 우이동 방면 한정, 동교동삼거리 하차[14] 숭덕초등학교 하차.[15] 대방역 방향 한정, 신촌기차역 하차[16] 신촌로터리 하차.[17] 우이동 방면 한정, 동교동삼거리 하차[18] 우이동 방면 한정, 동교동삼거리 하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