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760

최근 편집일시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서울 버스 707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제일여객이 운행했던 구 707번에 대한 내용은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문서
77번 문단을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간선버스#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과거 서울운수(現 신수교통)가 운행했던 금촌~영등포 노선에 대한 내용은 서울 버스 760(폐선) 문서
서울 버스 760(폐선)번 문단을
서울 버스 760(폐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DSC_0424.jpg


파일:동해운수 760번버스.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 903번 → 9708번
3.2. 구 707번
3.3. 현 760번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6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60 노선도(2023).png

기점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동(대화동종점)
종점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종점

첫차
04:30
기점

첫차
06:15
막차
23:00
막차
00:40
평일배차
12~17분
주말배차
토요일 13~18분 / 공휴일 14~20분
운수사명
동해운수
인가대수
20대[1]
노선
대화동종점 - 대화역 - 주엽역 - 일산동구청 - 마두역 - 금계초등학교.이마트 - 일산병원 -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초교 - 능곡역 - 행신동삼거리 - 서정마을 - 덕은교.은평차고지 앞 - DMC첨단산업센터 - 월드컵파크5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월드컵경기장서측.문화비축기지 - 월드컵대교 - 양평동한솔아파트 - 당산역.삼성래미안아파트 - 영등포시장 -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2. 개요[편집]


동해운수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61.3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3.1. 구 903번 → 9708번[편집]


  • 구 903번 심야좌석버스(일산신도시 - 신촌로터리)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변경 없이 광역버스 9708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6월 20일에 신촌로터리에서 서울역(구 YTN타워, 숭례문)으로 연장되었다.

  • 2010년 3월 말부터, 정류장 개수를 줄여서 급행버스[2]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3.2. 구 707번[편집]



파일:서울 707 노선도.png

707번 시절 지도 노선도

  • 2010년 11월 4일에 간선버스로 전환하면서 번호 또한 707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4년 11월 1일에 아현동 - 충정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되면서 충정로역에도 정차하게 되었다.

  • 2019년 2월 15일부터 1대가 감차되어 771번에 증차되었으며, 이로 인해 평일 운행 횟수가 2회 감회되고 평일 최소 배차간격도 9분으로 조정됐다.관련 게시물

  • 2019년 7월 5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2회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최소 배차간격은 늘고 최대 배차간격은 줄어드는 형태로의 상세배차 조정이 실행되었다.관련 공문 1관련 공문2

  • 2020년 5월 18일을 기해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2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관련 공문

  • 2021년 5월 1일을 기해 대화동 기점 막차시각이 00:20에서 00:00로 20분 앞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어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5분이던 평일 최대 배차간격이 16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1년 10월 18일을 기해 평일/토요일 각각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15분/210분에서 225분/215분으로 늘어났으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었고 이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86회/82회/77회에서 82회/78회/74회로 4회/4회/3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과 함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6분/17분/18분이던 최대 배차간격 역시 전 요일 20분으로 늘어났다.관련 공문



3.3. 현 760번[편집]


  • 2022년 6월 27일부터 중복 노선 정리를 위해 기존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연대앞 ~ 광화문 ~ 숭례문 구간이 단축되고[3], 대신 디지털미디어시티, 서울월드컵경기장, 월드컵대교[4], 당산역을 거쳐 영등포까지 연장되었으며[5] 노선번호도 760번으로 변경되었다. 이번 노선조정과 동시에, 00:00였던 대화동 기점 막차시각은 22:30으로 크게 앞당겨졌다. 평일에 한해 대당 일 운행횟수가 증편되었고 여기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과 동일하게 운행하는 1대의 예비투입차량이 증차됨에 따라[6]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도 82회/78회/74회에서 88회/83회/78회로 4회/5회/4회씩 증회되었다. 다만 운행 시간대 폭이 줄어들면서 운행 횟수가 늘어났음에도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모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7월 26일을 기해 대화동 기점 막차시각이 23:00로 30분 늦춰졌으며,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의 1일 총 운행횟수는 8회/11회/10회씩 감회된 80회/72회/68회로 조정되었다.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각각 13분/14분이던 토요일/공휴일의 최소 배차간격이 15분으로 늘었다.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5일 자정부터 삼성당지하차도가 확장 공사를 마치고 재개통되어 본래 구간으로 환원되었다.

  • 2022년 12월 24일부터 기존 화전역 앞길(화랑로)을 경유하지 않고 해당 구간을 중앙로로 운행하며, 대화동 방향으로 갈 때는 디지털미디어시티역 3번 출구를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조정되었다. 이에 따라 62.2km이던 인가 운행거리가 63km으로 증가했고, 인가된 운행소요시간이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35분에서 240분으로 조정되었다. (다만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운행횟수와 1일 총 운행횟수, 배차간격 등은 모두 현행 유지) 관련 공문


4. 특징[편집]


  • 707번 시절 능곡, 대곡과 행신동 지역에서는 평시는 물론 심야시간 초반대까지도 도심과 신촌을 연계해 주는, 그래서 해당 지역 주민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핵심 노선이었다. 그러나 760번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서울 방향 막차는 행신/능곡 지역을 23:40 전후에 통과하게 되고 영등포에서도 00:40경에 막차가 끊기게 되면서 준심야버스 기능은 옛말이 되었다. 그나마 행신동은 700번으로 상당 부분 대체가 가능하지만,(단 일부 지역의 경우 가라뫼 등에서 도보로 이동해야만 한다) 능곡의 경우는 영등포역에서 9707번 막차를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게 되었다.[7]

  • 고양시 구간은 700번과 다르게 대화동차고지를 출발한 후, 대화역에서부터 정차한다. 이후 고양시내 이곳저곳들을 많이 거친 다음에야 서울로 간다. 대화동차고지에서 출발해서 고양 BRT를 달리다가 강선마을과 마두역을 지난 후 금계초교 쪽으로 좌회전, 금계초교와 일산병원을 지난 뒤 남쪽으로 내려가서 시골길을 달리다가 능곡동과 행신동 안쪽을 가로지른다. 그 후 서정마을에서 다시 중앙차로에 합류하나, 2022년 12월 23일까지는 얼마 못가 다시 빠져나와 화전동 구길로 진입해 한국항공대학교화전역을 들러서 갔다. 이후 덕은동에서 다시 중앙차로에 합류하나, 얼마 못가 다시 빠져나와 수색교삼거리에서 우회전해서 상암동 DMC로 간다.

  • 사실 섬말다리 - 삼성당 - 능곡 - 가라뫼 구간은 1000번의 개통 전에 중앙로를 이용하던 노선버스들의 형태였으며 소만마을 부근에서 도로가 끊겼기에 수색동으로 가려면 지금의 제2화전교를 통해서 화전동 구도심으로 다녀야 했었다. 40여 년 전부터 구일산에서 신촌까지 시외버스로 다니던 77번 등 대부분의 버스들은 섬말다리 - 삼성당을 지나 능곡동을 거쳐 신촌으로 갔다. 후에 개통된 영등포행 버스인 87번, 914번도 같은 구간을 다녔고, 지금까지도 그 구간을 경유하고 있다. 참고로 이 구간이 고양시의 이질감이 잘 드러나는 구간인데, 화훼단지와 일산 와이시티 사이를 달리는 버스로, 도시와 촌락을 지나는 버스이다.

  • 2020년에 670번이 가양동으로 단축된 후 한동안 영등포 - 상암동 구간을 한번에 이어 주는 대체 노선이 없었으나, 이번 노선 변경으로 영등포·당산 - 상암동을 한 번에 이어 주는 유일한 노선이자 670번의 실질적인 대체 노선이 되었다. 강서구를 아예 들어가지 않고, 월드컵대교를 통과하다 보니 두 지역을 연결하는 속도가 670번 시절보다 더 빠르며 왕래하는 수요도 더 많다. 그리고 2022년 12월부터 대화동차고지 운행 시에 디지털미디어시티역을 경유하면서, 영등포나 당산에서 상암동과 디지털미디어시티역까지 한 번에 이어준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7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13년
7,835명
-
2014년
7,768명
▽ 67
2015년
7,449명
▽ 319
2016년
7,023명
▽ 426
2017년
6,859명
▽ 164
2018년
6,717명
▽ 142
2019년
7,025명
△ 308
2020년
5,535명
▽ 1,490
2021년
5,371명
▽ 164
2022년
5,604명
△ 233
[8]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60번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비고
2022년
4,938명
-
[9]
2023년
5,797명
△ 859
2024년
6,213명
△ 416
※ 하차 인원 미포함

  • 2022년 숭례문에서 영등포로 종점이 바뀌면서 승객이 잠깐 줄었다. 하지만, 영등포와 DMC를 잇는 중요한 노선이라는 점, 서정마을 ~ DMC 구간에서 771번 버스의 긴 배차간격을 보안한다는 점에서 승객이 늘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Seoulmetro1_icon.svg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A]
  • 파일:Seoulmetro2_icon.svg 서울 지하철 2호선: 당산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 수도권 전철 3호선: 대화역, 주엽역, 정발산역, 마두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 수도권 전철 5호선: 영등포시장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B]
  • 파일:Seoulmetro9_icon.svg 서울 지하철 9호선: 당산역
  • 파일:GJ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능곡역, 화전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B]
  • 파일:AREX_icon.svg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B]
  • 파일:SeohaeLine_icon.svg 수도권 전철 서해선: 능곡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A]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3:40:32에 나무위키 서울 버스 76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토요일 18대 / 공휴일 17대 운행[2] 기존 정류소에서 80개로 줄었다. 3호선과 겹치는 중앙로 구간과 서울 구간에서 수요가 미미한 정류소들을 축소시켰다.[3] 해당 단축 구간의 대체재는 따로 없다. 기존 707번과 신촌 부근 일부 구간을 빼면 전부 동일한 경로를 운행하는 700번이나, 경로가 아주 비슷하지는 않으나 기존 707번과 경유지가 어느정도 겹치는 270번, 470번, 740번, 750A/B번, 7727번 등 타 노선들을 이용해야 한다.[4] 기존 계획안은 수색로 전 구간을 그대로 경유하고 761번처럼 홍대입구역, 합정역, 양화대교를 경유하는 노선이었으나, 노선 조정안이 월드컵대교 경유로 수정된 후 가결됨에 따라 월드컵대교를 경유하는 첫 노선버스가 되었다.[5] 단, 영등포 구간은 9707번의 코스를 따라 영등포신세계 북편(경방타임스퀘어 건너편)에 있는 영등포소방서 앞에서 회차하는 방식으로 운행하기 때문에, 영등포역 바로 앞으로는 안 간다.[6] 700번 예비차 감차분에서 증차되었다[7] 단 능곡지역 중 일부는 행신 지역과 마찬가지로 700번을 타고 오다가 고양경찰서에서 하차한 뒤 약간만 걸으면 여전히 이동 가능하다. 즉 행신/능곡 지역 대부분에서는, 기존 707번의 노선 조정 영향으로 서울 도심이나 신촌 일대를 오가는 중장거리 이동에 대한 유효한 심야 수단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닌 셈이다.[8] 2022년 자료는 1월 1일부터 노선변경일 직전인 6월 26일까지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9] 2022년 자료는 노선변경일인 6월 27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A] A B 영등포소방서.타임스퀘어 하차 후 도보[B] A B C 대화동 방향 운행 시 디지털미디어시티역 2번 출구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