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장수도롱뇽

최근 편집일시 :


멸종 위기 동물
RED RIST
[ 펼치기 · 접기 ]
※학명 기준 알파벳 순서로 작성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야생 절멸(EX)
사불상
긴칼뿔오릭스
바바리사자
케이프사자

위급(CR)
아시아치타
양쯔강악어
아홀로틀
중국장수도롱뇽
유럽뱀장어
베타 헨드라
붉은늑대
자이언트바브
북부흰코뿔소
오리노코악어
필리핀악어
쿠바악어
샴악어
수마트라코뿔소
검은코뿔소
보르네오코끼리
매부리바다거북
가비알
고릴라
캘리포니아콘도르
아프리카 실러캔스
양쯔강돌고래
둥근귀코끼리
검은볏긴팔원숭이
세네갈사자
아무르표범
누벨칼레도니
바키타
오랑우탄
보르네오오랑우탄
이리오모테삵
사올라
양쯔강대왕자라
자바코뿔소
사이가
붉은머리독수리
큰귀상어
카카포
원앙사촌

위기(EN)
뱀장어
갈라파고스물개
노란배측범잠자리
대왕고래
설카타거북
돌묵상어
큰양놀래기
푸른바다거북
피그미하마
황새
골리앗개구리
승냥이
아이아이
아시아코끼리
붉바리
몽골야생말
그레비얼룩말
마운틴가젤
흰손긴팔원숭이
아마존강돌고래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아프리카사바나코끼리
아프리카들개
남생이
노란눈펭귄
보세마니무지개고기
대왕쥐가오리
지중해몽크물범
코주부원숭이
하와이몽크물범
케아
따오기
노란뺨긴팔원숭이
오카피
강거두고래
보노보
침팬지
아시아사자
호랑이
벵골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남중국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강돌고래
저어새
아프리카회색앵무
카스피물범
고래상어
태즈메이니아데블
갈라파고스펭귄
까치상어
코모도왕도마뱀


취약(VU)
치타
판다
알다브라땅거북
바다이구아나
일본장수도롱뇽
넓적부리황새
흰올빼미
북방물개
황소상어
백상아리
갈라파고스땅거북
볏도마뱀붙이
늪악어
듀공
산얼룩말
웨카
기린
두루미
참수리
부채머리수리
하마
고라니
맨드릴
사향노루
분홍비둘기
난쟁이악어
킹코브라
아라비아오릭스
사자
표범
인도표범
아프리카표범
눈표범
향유고래
사무라이개미
인도코뿔소
쿼카
큰갑옷도마뱀
그린란드상어
눈다랑어
말레이가비알
매너티
북극곰
아시아흑곰
안데스콘도르
늘보로리스
대서양녹새치
대서양연어
돛새치
딩고
백새치
병어
스페인흰죽지수리
아메리카악어
자바리
케이프독수리
턱자바리
환도상어


준위협(NT)
독수리
황제펭귄
아메리카들소
유럽들소
갈기늑대
남부흰코뿔소
사바나얼룩말
큰바다사자
명태
뱀상어
수염수리
노랑가오리
줄무늬하이에나
잉카제비갈매기
검정카이만
재규어
갈색하이에나
아프리카물소
안경원숭이
황새치
최소관심(LC)
원앙
갈색나무뱀
늑대
흰꼬리누
검은꼬리누
나일악어
바다악어
점박이하이에나
프레리도그
에뮤
정글고양이
아프리카들고양이
모래고양이
유럽들고양이
인간
청새치
일본원숭이
혹등고래
뉴트리아
너구리
땅돼지
겜스복
하프물범

라쿤
땅늑대
퓨마
시궁쥐
멧돼지
겔라다개코원숭이
불곰
사막여우
날개다랑어
노란목도리담비
늑대거북
대서양참다랑어
대왕오징어
동부콜로부스
리버쿠터
밍크고래
산갈치
아델리펭귄
올리브개코원숭이
임팔라
젠투펭귄
카피바라
큰돌고래
턱끈펭귄
페닌슐라쿠터
황다랑어
흰돌고래
흰뺨검둥오리



정보부족(DD) 또는 미평가(NE)
범고래
퉁가리
청새치
녹새치
민어
블로브피시




}}}

중국장수도롱뇽(왜왜어, 와와위, 중국왕도롱뇽)
Chinese giant salamander



학명
Andrias davidianus
Blanchard, 1871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양서강(Amphibia)

도롱뇽목(Urodela)

장수도롱뇽과(Cryptobranchidae)

장수도롱뇽속(Andrias)

중국장수도롱뇽(A. davidianu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
서식 범위



1. 개요
2. 상세
3. 인간과의 관계
4. 기타



1. 개요[편집]


중국에 분포하는 장수도롱뇽과의 도롱뇽. 근연종인 일본장수도롱뇽과 함께 현존하는 양서류 중 가장 크다. 대다수의 양서류가 그렇듯 야행성이며, 시력이 퇴화 되어 있으나, 다른 감각기관이 엄청 발달되었다.


2. 상세[편집]


야생에서 성체의 평균 몸길이는 1.15m 정도, 평균 체중은 25~30kg 정도 되며, 사육 개체 중에는 1.8m까지 나가는 녀석도 있다.

도롱뇽으로서는 특이하게 소리를 낼 수 있는데, 이 소리가 어린아이의 울음소리와 흡사하여 중국에서는 '어린아이 물고기'라는 뜻의 '왜왜어(娃娃魚 / 娃娃鱼[1])'라고 부른다.

서식지는 중국의 산악 지대의 개울호수다.

같은 과에 속한 다른 종들과 마찬가지로 올챙이 시기부터 성체가 될 때까지 물을 떠나지 않으며, 호흡 역시 폐호흡보다는 피부 호흡에 의존한다. 장수도롱뇽 종류의 피부가 주름진 이유가 바로 이것. 피부 표면적을 넓혀 호흡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다. 이들은 수술을 통해 폐를 적출해도 살 수 있다. 먹이는 어류나 가재, 게, 새우 등의 수생생물이며, 갯첨서를 잡아먹은적도 있다. 먹이를 발견하면 주변의 물과 함께 한입에 흡입해서 잡아먹는다. 육식동물인만큼 굉장히 사나운데 동족포식을 흔하게 하며 무는 힘도 매우 세고 이빨도 날카로워서 잘못 물리면 손가락이 잘릴 수도 있기에 함부로 만지지 않는게 좋다. TV 동물농장에서 중국의 장수도롱뇽 연구시설을 취재했을 당시 한 연구원이 도롱뇽에게 물려 잘린 손가락을 보여준 적이 있다.

일각에서는 유럽의 멸종한 장수도롱뇽 안드리아스 스케우크제리(Andrias scheuchzeri)[2]와 같은 종으로 보고 있는데, 만일 같은 종임이 확인된다면 학명의 선취권 우선권에 의해 안드리아스 스케우크제리에 통합되게 된다.


3. 인간과의 관계[편집]


중국에서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고 있으며, 청나라 시대 만한전석팔진 가운데 하나로 꼽혔다. 특히 몸에서 분비하는 점액에 사람한테 유용한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1970년대까지는 개체수가 상당히 많았으나 현재 식용으로 인한 남획과 서식지의 파괴로 인해 개체수의 80%가 사라져서 심각한 멸종위기 상태다. 특히 개체수가 3천마리 밖에 되지 않기에 중국 정부에서 보호하고 있으며 예전처럼 식용과 약용의 목적으로 사냥하는것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으며 오직 사육용으로만 제한한다.

하지만 일본으로 외래유입된 개체들은 근연종인 일본장수도롱뇽과 교배하여 잡종이 생겨 유전적 교란을 일으키고 있다. 교토 수족관에서는 이 교잡종을 함께 전시하며 유전적 교란의 위험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렇다고 구제작업을 하기에는 중국장수도롱뇽도 멸종위기 위급단계라 함부로 잡지도 못해서 환경당국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심한 멸종위기종이라 국내에서는 간혹 전시회를 통해 소개되는 표본 정도로만 볼 수 있었으나[3], 2014년 서울동물원에 두 개체가 들어 왔었다가 한개체는 얼마안가서 원인 모를 이유로, 나머지 한개체는 2020년 1월에 왼쪽 볼에 난 부종으로 폐사하였다. 단 전시됐던 개체는 아성체인지 크기가 상당히 작았다. 그러다가 2020년에 인천공항에서 한개체가 압류되어서 동양관에 있다. 해당개체도 역시 상당히 작은 걸 보아 아성체 개체로 추정된다.

체코 프라하 동물원에선 무려 5마리의 장수도롱뇽을 사육하고 있다. 아성체 개체 3마리, 준성체 1마리, 그리고 성체 1마리를 사육하고 있는데 성체의 경우 크기가 1.8미터에 육박한다. 전시관에서의 사진 촬영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어 3명의 경비원들이 내내 감시하다가 사진 찍는 모습이 보이는 즉시 다가와 삭제하라고 말하고 전시관에서 쫓아낸다.

진시황릉에 인어기름으로 불을 밝혔다고 했는데 그게 바로 이 도롱뇽 기름이라고...


4. 기타[편집]


브래디 바는 세계의 거대 도롱뇽을 찾는 다큐멘터리에서 중국장수도롱뇽을 만나려 했으나, 결국 실물로 본 것은 어느 식당에서 요리된 개체였다고 한다. 아쉬운 마음을 뒤로 하고 결국 일본으로 가서 야생 일본장수도롱뇽을 본 뒤에야 만족했다고 한다.

2023년 현재 기준으로 중국에서 양식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운남성의 대표적 관광지 중 하나인 대리지역에 가면 이 도롱뇽을 대야에다 담아놓고 식당에서 요리로 파는데 가격도 그다지 비싸지 않다. 취급하는 식당도 많아서 멸종 위기종으로 보이지 않는 수준인데 내막을 아는 사람들이 보면 기겁할 장면이다. 아래 영상 역시 중국에서 촬영된 영상.

국내에서 먹어본 유튜버가 있다.

[1] 중국어 발음으로는 wáwayú(와와위)라고 한다.[2] 한때 대홍수에 빠져죽은 사람의 유해로 오해를 받아 '호모 딜루비 테스티스(Homo diluvii testis, '홍수의 목격자'라는 뜻)'라는 학명을 부여받은 적이 있다.[3] 과거 동물의 신비전에서 표본이 전시된 적이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7 15:28:22에 나무위키 중국장수도롱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