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소상어

덤프버전 :


멸종 위기 동물
RED RIST
[ 펼치기 · 접기 ]
※학명 기준 알파벳 순서로 작성
문서가 없는 동물은 멸종 위기 동물/목록 참고
파일:IUCN 멸종위기등급.svg
야생 절멸(EX)
사불상
긴칼뿔오릭스
바바리사자
케이프사자

위급(CR)
아시아치타
양쯔강악어
아홀로틀
중국장수도롱뇽
유럽뱀장어
베타 헨드라
붉은늑대
자이언트바브
북부흰코뿔소
오리노코악어
필리핀악어
쿠바악어
샴악어
수마트라코뿔소
검은코뿔소
보르네오코끼리
매부리바다거북
가비알
고릴라
캘리포니아콘도르
아프리카 실러캔스
양쯔강돌고래
둥근귀코끼리
검은볏긴팔원숭이
세네갈사자
아무르표범
누벨칼레도니
바키타
오랑우탄
보르네오오랑우탄
이리오모테삵
사올라
양쯔강대왕자라
자바코뿔소
사이가
붉은머리독수리
큰귀상어
카카포
원앙사촌

위기(EN)
뱀장어
갈라파고스물개
노란배측범잠자리
대왕고래
설카타거북
돌묵상어
큰양놀래기
푸른바다거북
피그미하마
황새
골리앗개구리
승냥이
아이아이
아시아코끼리
붉바리
몽골야생말
그레비얼룩말
마운틴가젤
흰손긴팔원숭이
아마존강돌고래
알락꼬리여우원숭이
아프리카사바나코끼리
아프리카들개
남생이
노란눈펭귄
보세마니무지개고기
대왕쥐가오리
지중해몽크물범
코주부원숭이
하와이몽크물범
케아
따오기
노란뺨긴팔원숭이
오카피
강거두고래
보노보
침팬지
아시아사자
호랑이
벵골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
남중국호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말레이호랑이
인도강돌고래
저어새
아프리카회색앵무
카스피물범
고래상어
태즈메이니아데블
갈라파고스펭귄
까치상어
코모도왕도마뱀


취약(VU)
치타
판다
알다브라땅거북
바다이구아나
일본장수도롱뇽
넓적부리황새
흰올빼미
북방물개
황소상어
백상아리
갈라파고스땅거북
볏도마뱀붙이
늪악어
듀공
산얼룩말
웨카
기린
두루미
참수리
부채머리수리
하마
고라니
맨드릴
사향노루
분홍비둘기
난쟁이악어
킹코브라
아라비아오릭스
사자
표범
인도표범
아프리카표범
눈표범
향유고래
사무라이개미
인도코뿔소
쿼카
큰갑옷도마뱀
그린란드상어
눈다랑어
말레이가비알
매너티
북극곰
아시아흑곰
안데스콘도르
늘보로리스
대서양녹새치
대서양연어
돛새치
딩고
백새치
병어
스페인흰죽지수리
아메리카악어
자바리
케이프독수리
턱자바리
환도상어


준위협(NT)
독수리
황제펭귄
아메리카들소
유럽들소
갈기늑대
남부흰코뿔소
사바나얼룩말
큰바다사자
명태
뱀상어
수염수리
노랑가오리
줄무늬하이에나
잉카제비갈매기
검정카이만
재규어
갈색하이에나
아프리카물소
안경원숭이
황새치
최소관심(LC)
원앙
갈색나무뱀
늑대
흰꼬리누
검은꼬리누
나일악어
바다악어
점박이하이에나
프레리도그
에뮤
정글고양이
아프리카들고양이
모래고양이
유럽들고양이
인간
청새치
일본원숭이
혹등고래
뉴트리아
너구리
땅돼지
겜스복
하프물범

라쿤
땅늑대
퓨마
시궁쥐
멧돼지
겔라다개코원숭이
불곰
사막여우
날개다랑어
노란목도리담비
늑대거북
대서양참다랑어
대왕오징어
동부콜로부스
리버쿠터
밍크고래
산갈치
아델리펭귄
올리브개코원숭이
임팔라
젠투펭귄
카피바라
큰돌고래
턱끈펭귄
페닌슐라쿠터
황다랑어
흰돌고래
흰뺨검둥오리



정보부족(DD) 또는 미평가(NE)
범고래
퉁가리
청새치
녹새치
민어
블로브피시




}}}

황소상어[1]
Bull shark


학명
Carcharhinus leucas
J. P. Müller and Henle, 1839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
판새아강(Elasmobranchii)

흉상어목(Carcharhiniformes)

흉상어과(Carcharhinidae)

흉상어속(Carcharhinus)

황소상어(C. leuca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취약.svg

파일:상어 헤드.jpg

1. 개요
2. 생태
4. 민물의 상어



1. 개요[편집]


흉상어과에 속한 상어의 일종이자 바다로 이루어진 해수으로 이뤄진 담수에서 살 수 있는 몇 안 되는 상어이다. 몸이 통통하고 머리가 크고 넓적하여 황소라는 이름이 붙었다.


2. 생태[편집]


파일:황소상어 서식지.png
황소상어의 서식지

등은 회색빛이며 배는 하얀색이기 때문에 위에서든 밑에서든 눈에 잘 띄지 않는다.

보통 태어날때 최대 크기는 81cm 정도이며 암컷은 2~3m 정도이나 무게는 100~150kg이나 평균은 2.4m에 130kg이 평균이며, 수컷은 평균 2.25m에 무게는 95kg로 암컷이 좀 더 크다 최대 3.5m까지 자랄수 있는걸로 알려져 있으나 4m짜리 암컷 표본도 존재한다. 2012년 6월 초에는 플로리다 앞바다에서 최소 2.4m 이상에 무게는 360~390kg으로 추정되는 암컷이, 2019년 2월에는 푸자이라에서 3m에 350kg에 달하는 임신한 개체가, 2020년 1월에는 똑같이 푸라이자에서 3m에 350kg짜리가 잡혔다.

먹성이 좋아서 자신만큼 큰 동물도 공격하며, 가오리 같은 물고기부터 , 돌고래 같은 포유류까지 거의 모든 동물을 먹이로 삼는다.[2] 눈에 잘 띄지 않는 탁한 물에서 갑자기 튀어나와 공격하며, 큰 머리로 충돌한 뒤 빠르게 물어뜯는다. 무는 힘이 강하고 이빨이 아주 날카로워 큰 먹이도 깔끔하게 잘라낼 수 있다. 무는 힘은 최대 5914뉴턴(603kg)으로 측정되었는데 이보다 무는 힘이 강한 상어는 많지만 황소상어는 상어 중에서 무게 대비 가장 강력한 편이다.

담수와 염수 사이 기수에서 살기 때문에 삼투압 조절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해수에서는 일반 상어들처럼 몸에 암모니아 등의 농도를 이용해 수분이 빠저나가는걸 방지하고 고농도의 염분 배설물을 배출해 과다한 염분을 뺀다. 민물에서는 몸에 암모니아 등 여러 물질들을 제한하고 배설물에서 염분을 재흡수한다. 그리고 간의 지방을 올려 밀도가 낮은 민물에서도 물에 잘 떠있게 한다.

백상아리뱀상어처럼 거대한 상어, 그리고 범고래는 황소상어를 죽일 수 있는 천적이지만 자주 사냥당하는 먹잇감은 아니다.

파일:황소상어 바다악어.jpg

가끔 훨씬 큰 바다악어한테 종종 잡아먹히는 일이 있는데, 호주 북부에 위치한 카카두 국립공원에 5.5m 크기의 바다악어가 2.8m 크기로 추정되는 황소상어를 잡아먹는 장면이 포착되었다. 이 바다악어는 브루투스라는 이름을 갖고 있는데, 어렸을 때 다리 하나를 황소상어한테 잃었다.복수?

3. 인명피해[편집]


백상아리, 뱀상어 다음으로 많은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상어이다. 보통은 1년에 한두 명 정도의 사망자가 나오며, 주로 남미와 아프리카, 남아시아의 열대 해안가에서 사고가 발생한다. 강에서 공격당하는 사건도 몇 년에 한두 번씩 발생한다.

이들의 공격성은 다른 상어처럼 상위 포식자인 만큼 경계심보다 호기심이 앞서 확인을 위한 공격이거나 도발적인 공격일 가능성이 높으며, 자극적인 대상과 마주하면 신경질적으로 반응한다.

황소상어가 상당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로 공격적이라는 추측도 있으나, 실제로 황소상어의 호르몬 수치는 개체마다 천차만별로 측정되어서 불분명한 주장이다.참조1,참조2


4. 민물의 상어[편집]


파일:호주 상어.jpg

염분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서 강에서도 서식하는 대표적인 상어이다. 흑기흉상어를 비롯하여 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상어들이 몇몇 있는데, 까치상어의 경우는 기수김포시고양시, 인천 계양구 등의 한강 하구에도 자주 나타난다. 하지만 사람보다 큰 상어 중에서는 황소상어가 유일하다. 다만 황소상어의 경우는 진정한 민물고기인 민물상어가 아니다. 진정한 민물고기인 민물상어는 민물에 완벽히 적응한 뒤로 바다에 오지 않고 강으로 이뤄진 민물에서만 평생을 사는 흉상어목 흉상어과 강상어속갠지스상어이다.

황소상어는 주로 강과 바다가 만나는 강어귀에서 새끼를 낳는데, 어둡고 탁한 강물은 새끼들에게 매우 안전한 피난처가 되기 때문이다. 즉 민물은 황소상어에게 중요한 번식지이며, 사람이 하구를 개척하거나 공사를 할 경우 황소상어들의 생존에 차질이 생긴다.

이들의 민물 서식지는 하류에서 그치지 않으며, 내륙도 예외가 아니다. 가장 유명한 곳은 아마존 강갠지스강이다. 아마존 강의 4000 킬로미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갠지스 강에서는 사람도 습격한 적도 있다. 단순히 소수 개체가 이동하는 정도를 넘어, 아예 이곳 생태계의 최고 포식자로 자리잡고 있다.

심지어 대도시가 가득한 강도 이들의 적응을 막지 못한다. 뉴욕허드슨 강으로도 올라간 적 있고, 중국 저장 성 연안에서 내륙 쪽의 한강으로 거슬러 올라가기도 했다. 미시시피 강이나 주강 등 미국 남부 지역의 큰 강들도 마찬가지이다. 2010년 9월에는 워싱턴 포토맥 강에서 잡혔으며, 2011년 1월 14일에는 호주의 홍수 발생 당시 물에 잠긴 퀸즐랜드 도심에 나타나기도 했다.

니카라과에서 제일 큰 호수니카라과호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처음에는 이 상어들이 새로운 종인줄 알았지만 곧 황소상어로 밝혀졌다. 카리브해에서 니카라과 호수까지 강을 거슬러 올라가고, 도중에 폭포가 있으면 연어처럼 물위로 점프해서 폭포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까지 목격되었다.

호주에서는 특이하게 고인 물에서도 상어가 산다. 원래는 바다에서 살던 개체들이 강을 타고 올라와 사냥을 하기도 했는데, 1970년대에 발생한 홍수로 인해 상류로 가는 길을 막고 있던 댐보다 강의 수위가 높아져서 상어 몇마리가 저수지 안으로 들어와 그 안에서 번식을 하게 된 것이다. 2017년에는 물 빠진 숲에서도 발견되어 홍수로 불어난 저수지에서 떠밀려 내려온 건지 마침 동 시기에 일어난 토네이도에 빨려 날아온 건지 알 수 없다.

리버 몬스터에서 방영된 바에 따르면 남아공의 브리디 강에 서식하는 황소상어들은 낚싯줄에 걸린 물고기를 따먹는 것이 습성화되었고 그에 따라 덩치도 커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제레미 웨이드가 해당 에피소드에서 잡은 수컷은 낚시에 걸린 채로 낚시줄을 잡아당겨 배를 몇 마일이나 상류로 끌어올리는 괴력을 선보였다. 크기가 3m에 가까웠는데, 보통 암컷이 수컷보다 큰 것을 생각하면 이례적으로 거대한 개체였다.

니카라과 호수와 필리핀의 타알 호수의 개체군은 남획과 환경 오염 등으로 사실상 전멸한 상태다.


5. 대중문화[편집]


  • 2020년 발매된 게임 맨이터의 주인공이다. 상어 사냥꾼이 인명 피해를 낸 황소상어 한 마릴 잡았는데, 배를 갈라 그 안에서 끄집어낸 새끼 상어가 사냥꾼의 한쪽 팔을 뜯어먹고 인간의 피에 맛 들리면서 잔혹한 식인 상어로 자라난다는 내용이다. 죠스의 거대 백상아리, 딥 블루 씨의 유전자 조작 청상아리들에 이어 매체 속 황소상어 캐릭터로 거듭날 수 있을지도. 성장 중 침수 지역에 무단투기된 방사능에 노출되었다는 설정으로 이런저런 커스텀 진화가 가능하다.
파일:맨이터 가로형.jpg

  • 죠스 언리쉬드에도 해양에 서식중인 상어의 한 종류로 등장한다. 다른 상어종들과는 달리 무리를 이루지 않거나 소수가 모여 다니는 특징을 가졌으며, 흉폭한 황소상어답게 상시 공격적인 모습을 보인다.

  • 파 크라이 3에서 등장하는 상어가 이 녀석이다. 넓은 바다에서는 등장하지만 민물에서는 등장하지 않고, 민물에서는 악어가 등장한다.

  • Depth에서 플레이 가능한 상어로 나온다.

  • 헝그리 샤크 월드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나온다. 현실에서 대단히 위험한 뱀상어백상아리는 둘 모두 높은 등급인데, 이 녀석만 더 낮은 등급인 것이 포인트이다.[3]

  • 딥 블루 씨의 정식 후속작 딥 블루 씨 2에서도 등장한다.

  • 2003년 영화 레드워터(Red Water)에선 황소상어가 으로 올라와 사람들을 습격한다. 저예산 TV 영화라 많이 알려지진 않았다.

  • Deeeep.io에서 10티어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현실을 반영해서 바다 모두에서 살 수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3:58:39에 나무위키 황소상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황소상어라는 이름은 영어의 Bull shark를 직역한 것이다. 대한민국에 자생하는 종이 아니기에 공식 국명은 없다.[2] 1969년 청새리상어들과 황소상어들을 합사하려던 시도가 있었으나 얼마 안 가 황소상어들에게 청새리상어는 전멸을 당했다.[3] 뱀상어나 백상아리 보다 더 작아서 그랬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