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족포식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원인
3. 창작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Cannibalism

동족을 잡아먹는 행위를 뜻한다. 영어로는 카니발리즘(cannibalism)이라 칭한다.[1] 여기서 파생되어 자사의 제품들끼리 서로 시장을 잠식하는 현상의 경우에도 카니발리제이션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2. 원인[편집]


자연계에서 동족포식을 전혀 하지 않는 동물은 육식을 할 수 있는 이상 거의 없다. 굶주림, 스트레스, 약한 새끼를 제거하기 위함, 단순 포식 성향 등 이유는 여러 가지다.

단, 사체만 먹는 경우, 사람이 준 사료에 든 동족의 고기를 모르고 먹는 경우는 제외한다.

동물의 동족 포식의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새끼가 약하게 태어나거나 부상 등으로 약해지면 부모가 키우는 것을 포기하고 잡아먹는거나 살 가망이 있는 다른 새끼에게 먹이는 경우. 약한 새끼를 희생시켜 다른 개체를 살리기 위한 전략이고 천적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서이기도 하다. 육식, 잡식 동물이면 많은 야생동물들이 포함된다.

  • 부모가 새끼를 입에 넣어 보호하다가 의도치 않게 삼켜버린 경우. 새끼를 입에 넣어 보호하는 일부 어류, 악어가 이에 포함된다.

  •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경우. 특히 새끼가 사람 손에 닿아 새끼에게 사람 냄새가 나거나 사람이 접근할 때. 개, 고양이, 토끼, 설치류가 여기 포함된다.

  • 짝짓기를 하고 새끼/알을 발달하기 위한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암컷이 수컷을 잡아먹는 경우. 유명한 예가 사마귀거미.

  • 알이나 새끼를 돌보다가 수명이 다한 어미를 새끼가 잡아먹는 경우. 이 경우는 아예 어미가 자기 몸 조직을 분해해서 먹기 좋게 만드는 경우도 있다. 문어, 거미류 등이 대표적이다.

  • 그냥 움직이거나 자기보다 약해 보이면 잡아먹는 경우. 주로 동족이나 자식 개념이 없거나 희박한 경우가 많다. 자기 알이나 새끼라도 잡아먹는 경우까지 있다. 많은 파충류, 양서류, 어류, 무척추동물들이 이에 해당한다. 침팬지의 경우 동족 개념은 있지만 특유의 포악하고 육식을 좋아하는 습성 때문에 다른 무리의 침팬지, 특히 새끼들을 자주 잡아먹는다.

  • 다른 먹을 것이 없을 때 생존을 위해 먹는 경우. 보통 인간의 식인이 여기에 포함한다. 남아메리카의 식인 또한 단백질 부족으로 인한 현상이라 보기도 하지만, 그에 대한 반박 논문이 나와있고, 그에 반박하는 또다른 논문도 나오는 등, 논쟁이 종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단백질 부족이 남아메리카의 식인 풍습에 일조하였는지는 아직도 논쟁의 대상이다.[2] 일반적으론 동족포식을 하지 않는 동물들도 먹이를 오랫동안 못 구하면 동족을 잡아먹기도 한다. 심지어 자기 새끼를 잡아먹기도 한다.
북극곰이 굶주림에 못이겨 자신의 새끼를 먹은 사례도 관찰된 바 있다.

그 외에도 다소 특수한 경우로는

  • 서로 싸우다가 상대가 승리한 쪽이 패배한 쪽을 잡아먹는 경우. 햄스터침팬지가 있다.

  • 새끼들끼리 태내에서 싸워서 잡아먹는 경우. 모래뱀상어가 있다. 어미 뱃속에서 부화한 새끼들끼리 서로 잡아먹어 가장 강한 한 마리만 살아남는다.[3] 사실 이경우는 좀 특이한 경우인데, 모래뱀상어가 속한 악상어[4] 계통의 상어들은 자궁에 알을 낳아서 자궁내에 새끼가 깨어나면 수정되지 않은 알 즉 사실상 난황(노른자)을 낳아서 뱃속에서 새끼에게 먹인다. 그래서 악상어류는 2개의 자궁에서 많으면 5마리(악상어)~12마리(백상아리)의 새끼를 길러서 낳을 수 있는데 모래뱀상어는 수정된 알을 지속적으로 낳아서 새끼끼리 배틀로얄을 시켜서 자궁당 가장 강한 새끼 1마리씩 2마리만 낳는다.

  • 프레리독은 한 무리에서 여러 암컷들이 새끼를 낳았을 때, 자신이 낳은 새끼의 생존률을 높이기 위하여 다른 암컷의 새끼를 몰래 잡아먹는 경우가 있다.

  • 메콩자이언트메기는 성장기에 급성장을 하기 위해 동족포식을 하는 습성이 있다. 일단 덩치가 커지면 수초와 조류 등을 주식으로 하는 초식성이 강한 식단으로 바뀐다.[5]

  • 종교, 미신, 문화, 정치 등 문화적/정치적 이유. 또는 감정, 정신질환 등 정신적인 이유로 잡아먹는 경우. 인간의 식인이 이에 해당한다. 대표적으로는 남아메리카의 아즈텍 제국에서 자행된 체계적이고 주기적인 대량 식인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식인 문서 참조.


3. 창작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헤이세이 시리즈에서는 집적적으로 묘사된 것은 아니지만 먹이가 부족하면 서로를 잡아먹는다는 암시가 나온다.

  • 냉장고 나라 코코몽 - 케로[6], 감자팡[7]


구울이 동족 구울을 잡아먹으면 RC 세포라는 것이 변이를 일으켜 카구네가 강화되며 일정 경우에 카쿠쟈로 각성하여 강해진다는 설정이 존재한다. 하지만 그 대가로 미쳐서 정신이 나갈 수도 있다.




이 동영상을 보면 개구리끼리 서로 잡아먹는 것을 보여준다.

원래 용의 주식은 인간이나 마족이지만, 토모구이는 같은 용을 먹는다. 참고로 토모구이란 이름부터가 일본어로 동족포식이란 뜻.

  • 몬스터 헌터 시리즈 - 게넬-셀타스, 라이젝스[8], 나루하타타히메

잠재능력의 한계가 뚜렷한 세대가 낮은 흡혈귀가 자신보다 세대가 높은 장로급의 흡혈귀를 흡혈하면 능력도 강해지고 잠재능력의 한계도 상승한다. 대신 피를 빤 흡혈귀가 피를 빨린 흡혈귀에게 의지력 대결에서 역관광 당해서 자기 몸을 현납하는 경우도 많다. 거기다 디아블러리가 사실상 식인과 동일시 되기 때문에 성공해도 인간성이 심각하게 손상되는 걸 피할 수 없다.




  • 스플래툰 2 - 롭, 잉클링[A], 옥타리안[A]


설정상 생태계에서의 지위가 최하층에 있는 탓에 만만한 생물이 동족 밖에 없다. 그래서 새끼같이 자신보다 약한 개체를 육류 공급원 삼아 잡아먹거나 유충에 해당되는 저실장을 가축 삼아 기르는 묘사가 클리셰 같이 굳어졌다.

그냥 먹는 것이 아니라 정성스레 요리까지 해서 드신다. 요리하는 모습은 영화보다는 드라마에서 고풍스럽게 표현해두었다.

본인이 피자면서 피자를 먹는 모습이 자주 등장한다.

9대가 에반게리온 2호기를 산 채로 윤간하는 듯한 모양새로 장기자랑까지 거쳐 아주 갈가리 찢어먹었다.

이명이 악식녀 콘치타일 정도로 인육을 즐겨 먹는다. 이름인 바니카도 카니발리즘의 일본식 발음(카니바리즈무)의 앞글자 세 개를 뒤집은 것이다.

좋아하는 음식이 타코야끼다. 다만 외형상 비슷할 뿐이지 문어 어인과 문어는 엄연히 다른 존재이다. 인간사회에서는 '그래봐야 뇌는 생선'이라며 차별을 받지만 어인/인간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사회생활을 하는 고등생명체이기 때문에 하찌가 타코야끼를 먹는 것은 인간이 원숭이를 먹는 정도이지 동족포식은 아니다.

50년 정도의 주기로 활동하며 흡혈귀를 닥치는대로 사냥하여 흡혈귀의 피만을 빨아먹기 때문에 진마이면서도 척결 대상에 올라 있는 흡혈귀다.




작중에서 자기보다 나중에 부화한 자매를 잡아먹었다고 클레어 디어링이 언급한다.

  • 쥬라기 공원 오퍼레이션 제네시스 - 케라토사우루스[9], 벨로시랩터[10]


흔한 현상은 아니지만 각자 개체들을 강하게 만들기 위하거나 에너지 보충을 위해 동족을 잡아 먹는 언급이 있다. 또는 상위 개체가 지도자로서의 자아를 버리는 경우, 하위 개체들이 잡아먹어버리는 일도 있다.





바다에 존재하는 모든 것을 먹어치우며 생존하는게 목표로 동족인 적 상어도 잡아먹을 수 있다.



  • 호랑이형님 - 추이[11], 망냥[12]

2화에서 돼지고기도 섞인 패티가 있는 햄버거를 먹었다.

옛것의 주식은 인간이지만 사야는 옛것이면서도 같은 옛것이 주식이다.

시즌 1때에는 감자튀김을 먹었다.





4. 여담[편집]



  • 보통 채식을 하는 메뚜기아목도 동료의 시체를 뜯어먹기도 한다.

  • 축제, 사육제, 사순절 등을 뜻하는 'Carnival'과 동족포식, 식인종을 뜻하는 'Cannibal'은 발음이 다르지만 한국어 표기가 '카니발'로 동일하기에 이를 이용한 말장난이나 트릭이 사용되기도 한다.


5. 관련 문서[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7:44:11에 나무위키 동족포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때문에 기아 카니발의 1세대~3세대까지의 수출명이 세도나였다. 2020년에 출시된 4세대부터는 기아의 내수-수출명 통합전략에 따라 수출명을 카니발로 통일했다.[2] 물론 정치, 문화, 종교적 요인이 식인 풍습에 일조했다는 점은 양 측 다 인정한다. 논쟁의 대상이 되는 건 단백질 부족이 식인 풍습의 확장 및 유지에 얼마나 핵심적인 역할을 했느냐는 것.[3] 상어는 자궁이 두 개라서 새끼를 한 번에 두 마리씩만 낳을 수 있다.[4] 백상아리, 청상아리[5]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갑각류 등도 섭취하기에 완전 초식성은 아니다.[6] 본인이 당근이면서 당근을 먹는 모습이 등장한다.[7] 본인이 감자면서 감자튀김을 먹는 모습이 등장한다.[8] 극도로 포악한 성격에 시력이 좋지 않아 자기 새끼를 다른 소형 몬스터로 착각해서 잡아먹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A] A B 오징어+문어를 먹을 수 있다. 자세한 것은 잉클링을 참고.[9] 죽은 동족을 먹는 것 외에도 조금만 배가 고프면 동족포식을 한다.[10] 먹이가 부족해지면 우두머리를 기점으로 피의 숙청이 일어난다.[11] 본래 추이는 호랑이를 잡아먹는 짐승이나 지나치게 호전적이고 멍청한데다 원래 살던 곳에서 먹이까지 부족해지면서 호랑이와 비슷하게 생긴 자기 동족들을 잡아먹기도 한다.[12] 본인이 싸움닭인 주제에 생닭을 먹는 장면이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