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버전 : (♥ 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가수 GReeeeN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道(노래) 문서
道(노래)번 문단을
道(노래)#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道}}}길 도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3획
중학교
-
}}}
일본어 음독
ドウ, (トウ)
일본어 훈독
みち, い-う, みちび-く
-
}}}
표준 중국어
d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설명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道는 '길 도'라는 한자로, '', '도로(道路)' 등을 뜻한다.


2. 설명[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표준어dào
광동어dou6, dou6-3[1]
객가어tho
민북어dàu
민동어dô̤
민남어
오어dau (T3)
일본어음독ドウ, (トウ)
훈독みち, い-う, みちび-く
베트남어đạo

유니코드에는 U+905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YTHU(卜廿竹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과 소리를 나타내는 (머리 수)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정장상팡과 백스터-사가르의 상고음 재구는 이 설을 따르고 있다. 다만 辵(길) + 首(머리)의 조합이 워낙 인상적이라서 그런지 '길을 가면서 잘린 머리를 들고 가는 의식'(즉 회의자)이라는 괴상한 일설도 나돈다.

와 훈음이 같지만[2], 용도는 조금 다르다.

이것이 동양철학으로 가면 의미가 어마어마하게 확장되어, '진리', '만물의 근원', '우주의 질서' 등을 표현한다.

"말하다"라는 뜻도 있는데, 노자의 "道可, 非常道."라는 표현이 대표적인 용례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길'이라는 뜻을 가진 한자답게 '길'이나 '도덕'과 관련된 단어가 대부분이며, 일일이 다 못 적을 정도로 정말 밑도 끝도 없이 많다.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대한민국의 도급 행정구역 전부


3.5. 기타[편집]




3.6. 중국어[편집]


  • 道 [dào]
    • 명) 길
      • 예) 道路 [dàolù]: 도로
      • 예2) 铁道 [tiĕdào]: 철도
      • 예3) 人行道 [rénxíngdào]: 인도(人道)
      • 예4) 街道 [jiēdào]: 길거리
    • 명) 수로(水路), 물의 흐름
      • 예) 下水道 [xiàshuĭdào]: 하수도
    • 명) 종교적 교리
      • 예) 传道 [chuándào]: 전도(傳道)
    • 명) 도교
      • 예) 道教 [dàojiào]: 도교
      • 예2) 太平道 [tàipíngdào]: 태평도
      • 예3) 道人[dàorén]: 도인
      • 예4) 道士 [dàoshì]: 도사
    • 명) 선(線)
      • 예) 横道 [héngdào]: 가로줄
    • 명) 기술, 기예
      • 예) 茶道 [chádào]: 다도
    • 명) 도덕, 도리
      • 예) 道德 [dàodé]: 도덕
    • 양) 긴 줄기 등을 세는 단위
    • 양) 문, 담을 세는 단위
    • 양) 제목, 명령 등을 세는 단위
    • 양) 행동 횟수를 세는 단위

3.7. 일본어[편집]



3.7.1. 훈독[편집]


道(みち): 길


3.7.2. 음독[편집]


ドウ·トウ.

報道(ほうどう): 보도


4. 유의자[편집]


  • (지름길/길 경)
  • (길 도)
  • (길 로)
  • (길 맥)
  • (길 수)
  • (한도/길 정)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𡚑[⿱天道](공변될 공)
  • (길 도)[3]
  • /𣜦[⿱道木](나무이름 도)
  • (벼가릴 도)
  • (인도할 도)
  • (음역자 돗)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20 17:53:12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知道에서[2] 이는 한국 한정이며, 일본어와 중국어는 道와 途의 음이 다르다. 일본어는 각각 どう와 と/ず, 중국어는 각각 dào와 tú.[3] 道(길 도)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