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코 가비

덤프버전 :

테스코 가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JRA상 최우수 3세 (구 4세) 암말

[ 펼치기 · 접기 ]
>
케이슈샤상
최우수 4세 암말
~~

1954
없음 ~~

1955
사스케 하나#

1956
페어 만나

1957
미스 온워드

1958
미스 마루사

1959
오칸
1960
스타 로치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켄호

1963
패스포트@

1964
카네 케야키

1965
베로나

1966
하드 잇@

1967
야마핏

1968
루피너스

1969
메이지 아스터#
1970
하버 게임@
1971
나스노 카오리
유슌상
1972
어치브 스타 · 토쿠 자쿠라@
1973
닛토 치도리 >

1974
토코 엘사

1975
테스코 가비

1976
티타니아

1977
인터 글로리아

1978
모델 스포트#

1979
아그네스 레이디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1981
아그네스 테스코 · 텐몬 >

1982
빅토리아 크라운

1983
다이나 칼

1984
다이애나 솔론

1985
에레부스

1986
메지로 라모누
JRA상
1987
맥스 뷰티
1988
아라 호토쿠 >

1989
샤다이 카구라
1990
아그네스 플로라
1991 시스터 토쇼

1992
니시노 플라워

1993
베가

1994
히시 아마존

1995
댄스 파트너

1996
패뷸러스 라 푸인

1997
메지로 도베르

1998
팔레놉시스

1999
우메노 파이버
2000
치어즈 그레이스
최우수 3세 암말
2001
티엠 오션
2002
파인 모션 >

2003
스틸 인 러브

2004
댄스 인 더 무드

2005
세자리오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2007
다이와 스칼렛

2008
리틀 아마폴라@

2009
부에나 비스타
2010
아파파네
2011
아벤투라 >

2012
젠틸돈나

2013
메이쇼 맘보

2014
하프 스타

2015
미키 퀸

2016
신할라이트

2017
소울 스터링

2018
아몬드 아이

2019
그란 알레그리아
2020
데어링 택트
2021
소다시 >

2022
스타즈 온 어스
# 클래식 출전불가 무관, @ 클래식 출전가능 무관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드림 호스 2000 선정 20세기 최고의 명마

[ 펼치기 · 접기 ]
※ 2000년 JRA가 일본의 경마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20세기 최고의 명마 100두'를 선정
1위
나리타 브라이언
2위
스페셜 위크
3위
오구리 캡
4위
사일런스 스즈카
5위
토카이 테이오
6위
심볼리 루돌프
7위
신잔
8위
하이세이코
9위
에어 그루브
10위
엘 콘도르 파사
11위
라이스 샤워
12위
메지로 맥퀸
13위
그래스 원더
14위
텐 포인트
15위
마야노 탑건
16위
타이키 셔틀
17위
미호노 부르봉
18위
미스터 시비
19위
메지로 도베르
20위
비와 하야히데
[ 21~100위 ]
21위
히시 아마존
22위
토쇼 보이
23위
사쿠라 로렐
24위
타마모 크로스
25위
호쿠토 베가
26위
그린 그래스
27위
티엠 오페라 오
28위
서니 브라이언
29위
타케 호프
30위
세이운 스카이
31위
댄스 인 더 다크
32위
마루젠스키
33위
스피드 심볼리
34위
스테이 골드
35위
노스 플라이트
36위
카부라야 오
37위
메지로 파머
38위
베가
39위
타케시바 오
40위
어드마이어 베가
41위
토메이
42위
메지로 브라이트
43위
나리타 탑 로드
44위
토키노 미노루
45위
위닝 티켓
46위
슈퍼 크릭
47위
버블껌 펠로우
48위
이나리 원
49위
후사이치 콩코르드
50위
실크 저스티스
51위
메지로 라이언
52위
후지 키세키
53위
메지로 라모누
54위
메이세이 오페라
55위
제뉴인
56위
타니노 무티에
57위
에리모 조지
58위
댄스 파트너
59위
패뷸러스 라 푸인
60위
쿄에이 마치
61위
트로트 썬더
62위
카츠라노 하이세이코
63위
히카루 이마이
64위
테스코 가비
65위
사쿠라 스타 오
66위
카츠라기 에이스
67위
야마닌 제퍼
68위
아이네스 후진
69위
키스톤
70위
사커 보이
71위
나이스 네이처
72위
에어 지하드
73위
다이타쿠 헬리오스
74위
사쿠라 바쿠신 오
75위
타이키 블리자드
76위
사쿠라 치토세 오
77위
마블러스 선데이
78위
키타노 카치도키
79위
마치카네 후쿠키타루
80위
타니노 치카라
81위
야에노 무테키
82위
코다마
83위
아카네 텐류
84위
쿠리후지
85위
팔레놉시스
86위
다이유우사쿠
87위
미호 신잔
88위
오프사이드 트랩
89위
나리타 타이신
90위
레거시 월드
91위
트윈 터보
92위
카부토 시로
93위
우메노 파이버
94위
마사 럭키
95위
니혼 필로 위너
96위
플라워 파크
97위
세인트 라이트
98위
네하이 시저
99위
메이즈이
100위
니시노 플라워
설명 및 분류 · 신세기의 명마 베스트 100



파일:Tesco_Gabby.jpg
이름テスコガビー
Tesco Gabby
출생1972년 4월 14일
죽음1977년 1월 19일 (5세)[1]
성별암컷
털색검은색 (青毛, 아오게)
아비테스코 보이 (Tesco Boy)
어미키타노 류 (キタノリュウ)
외조부몽타발 (Montaval)
생산자후쿠오카 이와오
마주나가시마 타다오
조교사나카스미 요시오 (도쿄)
성적10전 7승 [7-1-1-1]
총상금1억 3561만 6000엔
주요
우승
팔대
경주
오카상 (1975)
오크스 (1975)
중상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 (1974)
케이세이배 (1975)
한신 4세 암말 특별 (1975)
주요 수상1975년 (구) 유슌상 최우수 4세 암말[2]
상세 정보파일:netkeiba_logo.png | JBIS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기타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일본의 경주마. 동기의 수말 카부라야 오와 함께 무모하다 싶을 만큼 빠른 페이스의 대도주가 특징으로 그것만으로 생애 통산 10전 7승을 거둔 2관마이다.[3]

1975년 오카상에서 2착을 대차로 뿌리치고 1착을 이룬 것이 너무나도 유명한 말.[4][5] 당시 중계에서는 뒤에 누구도 오지 않는다!라는 멘트가 유명해서 대명사처럼 쓰이고 있다. 2013년 JRA의 오카상 CM에서도 해당 멘트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은 나레이션을 흘렸다.


75년, 오카상.

「뒤에 누구도 오지 않는다」라고, 아나운서는 세 번 소리쳤다.

10마신조차 아닌, 역사적인 대차의 골.

테스코 가비. 스피드의 미학.

아름다움은, 언제나 다른 것을 두고 떠나간다.

벚꽃의 여왕으로… 오카상.



2. 혈통[편집]


1대2대3대
테스코 보이
Tesco Boy

1963 파일:영국 국기.svg
프린슬리 기프트
Princely Gift
1951
파일:영국 국기.svg
나스룰라
Nasrullah
블루 젬
Blue Gem
선코트
Suncourt
1952
파일:영국 국기.svg
하이페리온
Hyperion
인퀴지션
Inquisition
키타노 류
キタノリュウ
1965
몽타발
Montaval
1958
파일:프랑스 국기.svg
노스맨
Norseman
밸리내시
Ballynash
옥스퍼드
オツクスフオード
1955
라이징 플레임
Rising Flame
요시히로
ヨシヒロ
* 나스룰라 3×4 18.75%
* 네아르코 4×5×5 12.5%
* 파로스, 페어웨이 5×5 6.25%
* 블랜드퍼드 5×5 6.25%
주요 반형제[6]토도로키 히류[7](父 크로켓)(1974)

모마 키타노 류는 현역 25전 1승의 평범한 성적이었고 모계 7대모는 코이와이 농장의 기초 수입 암말 킨드러(Keendragh,1898)다.

3. 생애[편집]


번식암말 10마리를 보유한 중소목장인 후쿠오카 목장에서 테스코 보이의 산구마가 이제 막 데뷔하는 해에 태어났다. 당시 암말로서 큰 몸집[8]에 발달된 근육, 검고 당당한 외모 덕분에 수말로 착각될 정도였다. 거기에 신체도 부드럽고 민첩해 목장을 방문한 조교사들은 모두 굉장하다고 입을 모았지만 암말인 것을 알게되면 놀라면서도 구매의사는 내지 않았다. 이 후 목장을 찾은 조교사 나카스미 요시오가 보고 웅장한 마체가 마음에 들어 구입을 결정하고 걸음걸이를 확인했을 때야 비로소 암말인 걸 확인했다고 한다.

아오모리현의 메이세이 목장에서 본격적인 조교가 이루어졌고 마주 나가시마 타다오의 이웃인 스위스 무역상의 13세 딸 가브리엘의 애칭 가비[9]에서 따온 테스코 가비란 이름이 붙여졌다.

1974년 9월, 동기 카부라야 오의 주전 기수이기도 한 스가와라 야스오가 기승해 데뷔, 이 후 전경기에 기승하게 된다. 데뷔전은 7마신차의 압승, 2주 후에 열린 경기에서는13/4 마신차로 역시 여유있게 승리했고 첫 중상 도전인 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에선 레코드를 세우면서 6마신차로 승리하며 첫 해 3전 3승으로 최우수 3세 암말로 뽑혔다.

1975년의 첫 경기였던 케이세이배에선 14마리 중 유일한 암말로 출전, 아사히배 3세 스테이크스 2착마 이시노 마사루를 머리 차로 꺾고 연승을 이어갔다. 이어진 도쿄 4세 스테이크스에서도 7마리 중 유일한 암말로 출전했는데 여기에 카부라야 오도 나오게 된다. 두 말의 기수인 스가와라 야스오는 카부라야 오의 조교사 모기 타메지로의 소속이었기 때문에 이런 경우 보통 원 소속 말을 타게 되지만 "다른 마방의 말은 한번 내리면 다시 탈 수 있다는 보증이 없다" 고 생각한 모기 조교사의 배려로 스가와라는 테스코 가비를 선택한다. 두 도주마의 선두 싸움이 기대되었지만 테스코 가비는 선두 경쟁에 나서지 않고 2번째 위치[10]에서 카부라야 오의 뒤를 쫓아가고 직선 주로에서 힘을 냈지만 코차 2착으로 첫 패배를 겪었다. 진영에서는 중마장과 위치의 불리에 의한 패배라며 아쉬워했지만 언론에서는 벌써부터 사상 최강의 암말이 나왔다는 평이 나올 정도였다. 3월의 한신 4세 암말 특별에서는 간사이 지역 첫 원정임에도 단승 지지율 87.2%라는 압도적인 1번 인기로 나와 레코드를 세우며 승리했다.

1975년 오카상 영상
이 후 클래식 초전인 오카상에서는 단승 배당 1.1배의 압도적 인기를 받았다. 패덕에서는 다소 초조한 모습을 보였지만 본 경기에서는 좋은 스타트를 끊고 일찌감치 선두로 나서며 직선 주로에서 다른 말들을 멀찍이 떨어뜨리고 2착마 조 켐프턴에 1.9초 차이의 1600m의 경주로서는 믿기 힘들 정도의 대차를 내며 충격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를 중계하던 스기모토 키요시 아나운서도 "뒤에서는 아무도 오지 않는다" 를 계속 연발할 뿐이었다. 스기모토 본인은 상상이상의 대차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 지 몰라 중계에 실패했다고 생각했었는데 팬들은 오히려 당시의 압승 구도를 잘 표현했다며 호평했다.

1975년 오크스 영상

진영은 우준 빈마에 직행하려 했지만 마주의 요청에 따라 오크스 트라이얼에 나갔는데 오카상까지의 조교가 무리였던지 이 경기에서는 3착을 기록했다. 이 패배와 거리연장, 컨디션 불량설 등으로 배당은 약간 떨어진 2.3배의 1번 인기를 받고 오크스에 출주, 경기에서는 무리없이 선두를 빼앗고 슬로우 페이스의 도주로 2착마 토쇼 펄에 8마신 차의 압승을 거두며 암말 2관을 달성했다. 기수 스가와라 야스오는 카부라야 오로 사츠키상도쿄 우준도 따내며 이 해 봄의 클래식 경주 완전제패를 이루어냈다.

오크스 4개월 후인 9월 17일, 게이트 연습 중 오른쪽 앞다리에 9바늘을 꼬매는 중상을 입었고 1970~75년 까지 암말 3관 경주의 하나였던 빅토리아컵을 준비하던 중 10월 29일에 오른쪽 뒷다리 염좌로 장기 휴양, 1976년 5월에 복귀전을 치르지만 11마리 중 6착을 기록한다. 또 18일 후에 오른쪽 토모(허벅지, 엉덩이 등 전체적인 부위) 통증으로 다시 장기 휴양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진영에서는 충분한 업적을 쌓은 만큼 은퇴를 권유했지만 마주의 요구에 의해 현역 속행, 데뷔 전 조교를 받았던 메이세이 목장에서 복귀를 노렸다. 그러나 1977년 1월 19일 조교 중 갑자기 쓰러졌다. 앞다리가 다친 걸로 파악해 급히 수의사를 불렀지만 진단 결과 심장마비로 이미 죽었고 목장 내에 간소한 무덤이 마련되었다. 이 후 목장지가 변경되면서 2011년 부마 테스코 보이와 많은 명마들이 잠든 홋카이도 오마이 호스 파크로 이장되었다.

4. 기타[편집]


  • JRA의 오카상 CM에 등장한 수록곡인 Buffalo Daughter의 The Legend는 사실상 팬들로부터 테스코 가비의 테마곡 취급을 받게 되었다
  • 기성은 매우 순종적이었고 일반적으로 예민한 암말임에도 아무데서나 쉽게 잠들 정도로 대담한 성격이었다고 한다.
  • 도주마로 유명하지만 기수 스가와라 야스오에 따르면 스피드의 차이로 자연스럽게 도망치는 모습이 된 것이라고 한다. 경마평론가 오오카와 케이지로는 도주마로서 스타트가 좋은 말은 아니지만 테스코 가비를 따라가면 이 쪽이 먼저 무너진다는 압박감이 있었기 때문에 도주의 형태가 된 것으로 평가했다.
  • 웅장하고 검은 마체 덕분에 글래머로 표현되기도 했다. 경마 아나운서 스기모토 키요시도 오카상 본마장 입장에서 테스코 가비를 초글래머로 소개했다.
  • 일찍 죽었기 때문에 번식 성적이 어땠을까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았다. 경마 혈통연구가 시라이 토오루(白井透)는 경주와 번식에서 모두 뛰어났던 쿠리후지를 예로 들며 "테스코 가비도 같은 길을 걸어야 했다, 서러브레드 안에 그 피 한방울이라도 남겨두고 싶었다" 고 말했다.

5. 경주 성적[편집]


경주일경마장
경기명
등급
트랙
배당인기착순기수1착마
(2착마)
1974년 (3세, 현 2세)
9.15도쿄3세 신마잔디 1200m2.911착스가와라 야스오(타이트 매치)
9.29도쿄3세 스테이크스OP잔디 1400m2.411착(안셀모)
10.20나카야마케이세이배 3세 스테이크스중상잔디 1200m2.021착[레코드](이든 애로우)
1975년 (4세, 현 3세)
1.12도쿄케이세이배중상잔디 1600m1.611착스가와라 야스오(이시노 마사루)
2.9도쿄도쿄 4세 스테이크스중상잔디 1800m3.622착카부라야 오
3.16한신한신 4세 암말 특별중상잔디 1200m1.011착[레코드](키슈 파이터)
4.6한신오카상팔대경주잔디 1600m1.111착(조 켐프턴)
4.27도쿄4세 암말 특별중상잔디 1800m1.113착토호 펄
5.18도쿄우준 빈마 (오크스)팔대경주잔디 2400m2.311착(소셜 토쇼)
1976년 (5세, 현 4세)
5.2도쿄5세 이상 오픈더트 1200m1.516착스가와라 야스오키리 그리마
[1] 당시 기준으로 6세.[2] 현 JRA상 최우수 3세 암말.[3] 동기인 카부라야 오도 대도주만으로 2관을 달성했는데, 알다시피 사츠키상에서 초반 1000m를 58초 9라는 정신 나간 페이스로 질주하며 2착과 2마신 반 차로 우승했는데 당시 따라가던 말인 레이크 스프린터가 이 페이스를 따라가다가 오른쪽 뒷다리 골절 부상을 당하고 안락사되자 당시 레이크 스프린터의 기수였던 오시다 토시로(押田年郎)는 울면서 "저 말은 보통 말이 아니라 괴물이다"라고 인터뷰했고 사츠키상 이후 '광기의 도주마(狂気の逃げ馬)'라는 살벌한 별명으로 불렸다.[4] 현시점 G1급 경주 마지막 대차 우승마가 마루젠스키라면 테스코 가비는 마지막 팔대경주였던 G1급 경주 대차 우승마다. 다만 마루젠스키가 우승했던 경주가 팔대경주가 아니었던 아사히배라서 그런지 테스코 가비가 일본 최후의 G1급 경주 대차 우승마로 불리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5] 참고로 오크스에서도 8마신차로 승리하였다.[6] 중상마만 서술.[7] 오이 소속으로 1977년 쿠로시오배, 도쿄대상전 우승마, 1979년에는 중앙에 진출하기도 했다. 지방 23전 10승, 중앙 3전 0승.[8] 현역 시절에는 480kg대의 마체중이었고 마지막 경주 때는 502kg을 찍었다.[9] 이 후 가브리엘은 테스코 가비가 오크스에서 우승하고 난 후 기념 촬영에서 같이 사진을 찍었고 스위스로 돌아가기 전에 가비와 이별(ガビーとお別れ)이란 노래를 레코드판으로 내기도 했다. https://baka-records.hatenablog.com/entry/2020/03/21/193441[10] 카부라야 오 문서에도 나왔다시피, 사실은 카부라야 오의 약점을 감추기 위한 의도를 가지고 고의로 2번째 위치를 잡고 추월하려는 전략을 짰던 던 것이다.[레코드] A B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오카상|{{{#fff 오카상

(팔대경주)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39
소울 레이디
1940
타이레이
1941
브랜드 솔 >

1942
배너 골

1943
미스 세프트

1944
야마이와이 ~~

1945 · 1946
없음~~

1947
브라우니

1948
하마카제

1949
야시마 도터
1950
토사 미츠루
1951
츠키카와 >

1952
스위 수

1953
칸세이

1954
야마이치

1955
야시마 벨

1956
미스 릴라

1957
미스 온워드

1958
호슈 퀸

1959
키요 타케
1960
토키노 키로쿠
1961
스기 히메 >

1962
켄호

1963
미스 마사코

1964
카네 케야키

1965
하츠유키

1966
와카쿠모

1967
시 에이스

1968
코유

1969
히데 코토부키
1970
타마미
1971
나스노 카오리 >

1972
어치브 스타

1973
닛토 치도리

1974
타카에노 카오리

1975
테스코 가비

1976
티타니아

1977
인터 글로리아

1978
오야마 테스코

1979
호스멘 테스코
1980
하기노 탑 레이디
1981
브로케이드 >

1982
리젠그로스

1983
샤다이 소피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다이애나 솔론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1987
맥스 뷰티

1988
아라 호토쿠

1989
샤다이 카구라
1990
아그네스 플로라
1991
시스터 토쇼 >

1992
니시노 플라워

1993
베가

1994
오구리 로망

1995
원더 퍼퓸

1996
파이트 걸리버

1997
쿄에이 마치

1998
팔레놉시스

1999
프리모디네
2000
치어스 그레이스
2001
티엠 오션 >

2002
애로우 캐리

2003
스틸 인 러브

2004
댄스 인 더 무드

2005
라인 크라프트

2006
키스 투 헤븐

2007
다이와 스칼렛

2008
레지네타

2009
부에나 비스타
국제 GI 지정 후
2010
아파파네
2011
마르셀리나 >

2012
젠틸돈나

2013
아유산

2014
하프 스타

2015
렛츠 고 돈키

2016
주얼러

2017
렌 미노루

2018
아몬드 아이

2019
그란 알레그리아
2020
데어링 택트
2021
소다시 >

2022
스타즈 온 어스

2023
리버티 아일랜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우준 빈마|{{{#fff 우준 빈마 (오크스)

(팔대경주)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
1938
아스테리 모어
1939
호시 호마레
1940
루넬라
1941
테츠 반자이 >

1942
록 스테이츠

1943
쿠리후지 ~~

1944 · 1945
없음~~

1946
미츠마사

1947
토키츠카제

1948
야시마 히메

1949
킹 나이트
1950
코마 미노루
1951
키요 후지 >

1952
스위 수

1953
지츠 호마레

1954
야마이치

1955
히로이치

1956
페어 만나

1957
미스 온워드

1958
미스 마루사

1959
오칸
1960
스타 로치
1961
치토세 호프 >

1962
오 하야부사

1963
아이티오

1964
카네 케야키

1965
베로나

1966
히로요시

1967
야마핏

1968
루피너스

1969
샤다이 타킨
1970
주피크
1971
카네 히무로 >

1972
타케 후부키

1973
나스노 치구사

1974
토코 엘자

1975
테스코 가비

1976
티타니아

1977
리니어 퀸

1978
파이브 호프

1979
아그네스 레이디
1980
케이 키로쿠
1981
텐몬 >

1982
샤다이 아이버

1983
다이나 칼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 지정 후
1984
토카이 로망
1985
노아노 하코부네 >

1986
메지로 라모누

1987
맥스 뷰티

1988
코스모 드림

1989
라이트 컬러
1990
에이신 서니
1991
이소노 루블 >

1992
아도라블

1993
베가

1994
초카이 캐럴

1995
댄스 파트너

1996
에어 그루브

1997
메지로 도베르

1998
에리모 엑셀

1999
우메노 파이버
2000
실크 프리마 돈나
2001
레이디 파스텔 >

2002
스마일 투모로우

2003
스틸 인 러브

2004
다이와 엘 시엘로

2005
세자리오

2006
카와카미 프린세스

2007
로브 데콜테

2008
톨 포피

2009
부에나 비스타
국제 GI 지정 후
2010
아파파네 · 생테밀리옹동착
2011
에린 코트 >

2012
젠틸돈나

2013
메이쇼 맘보

2014
누오보 레코르트

2015
미키 퀸

2016
신할라이트

2017
소울 스터링

2018
아몬드 아이

2019
러브즈 온리 유
2020
데어링 택트
2021
위버레번 >

2022
스타즈 온 어스

2023
리버티 아일랜드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fff 케이오배 2세 스테이크스

()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케이세이배 3세 S
1965
하이아데스
1966
메지로 플레임 >

1967
야마토 다케

1968
쇼겟코

1969
애로우 익스프레스
1970
스즈란 패스
1971
토쿠 자쿠라 >

1972
마미 블루

1973
커널 심볼리

1974
테스코 가비

1975
페어 스포트

1976
센 스포트

1977
타케덴

1978
제트 버지

1979
샤다이 댄서
1980
타케노 다이아
1981
이스트 보이 >

1982
도칸 야시마

1983
하디 비전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 지정 후
1984
다이나 슛
1985
다이신 후부키 >

1986
호쿠토 헬리오스

1987
시노 크로스

1988
닥터 스퍼트

1989
사쿠라 사에즈리
1990
빅 파이트
1991
야마닌 미라클 >

1992
마이네르 캐슬

1993
야마닌 어빌리티

1994
고 고 나카야마

1995
어주디 케이터

1996
마이네르 맥스

1997
그래스 원더
케이오배 3세 S
1998
우메노 파이버
1999
다이와 칼슨 >

2000
티엠 사우스포
케이오배 2세 S
2001
시베리안 메도우
2002 블루 콩코르드

2003
코스모 선빔

2004
스킵 잭

2005
덴샤미치

2006
마이네르 레이니어

2007
아폴로 돌체

2008
겟 풀 마크스

2009
에이신 아폴론
국제 GII 지정 후
2010
그랑프리 보스
2011
레오 액티브 >

2012
에이신 탑

2013
카라다 레전드

2014
세컨드 테이블

2015
볼 라이트닝

2016
몬드 캔 노

2017
타워 오브 런던

2018
판타지스트

2019
타이세이 비전
2020
몬트라이제
2021
킹 에르메스 >

2022
오반부루마이

2023
코라손 비트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케이세이배|{{{#fff 케이세이배

()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61
몬테 카를로
1962
오 하야부사 >

1963
카네노 히카루

1964
토키노 퍼레이드

1965
메지로 만게츠

1966
스피드 심볼리

1967
호게츠 오

1968
라이트 월드

1969
갤럽
1970
애로우 익스프레스
1971
야시마 라이덴 >

1972
히데 하야테

1973
카미노 테시오

1974
웨스턴 대시

1975
테스코 가비

1976
클라임 카이저

1977
히시 스피드

1978
타케덴

1979
퍼스트 아몬
1980
하버 샤레이드
1981
텐몬 >

1982
아스완

1983
블루 더반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III 지정 후
1984
하츠노 모아이
1985
사쿠라 서니 오 >

1986
다이나 페어리

1987
슈퍼 팬텀

1988
토쇼 마리오

1989
스피크 리즌
1990
노 모어 스피디
1991
다이너마이트 대디 >

1992
에이피 제트

1993
오스미 포인트

1994
비코 페가수스

1995
마이티 포스

1996
사쿠라 스피드 오

1997
스피드 월드

1998
만달리스타

1999
오스미 브라이트
2000
마이네르 빈티지
2001
본 킹 >

2002
야마닌 세라핌 · 로만 엠파이어동착

2003
스즈카 드림

2004
포컬 포인트

2005
어드마이어 재팬

2006
잘리스코 라이트

2007
산 체펠린

2008
마이네르 찰스
국제 G3 지정 후
2009
얼리 로부스토
2010
에이신 플래시
2011
페이트풀 워 >

2012
베스트 딜

2013
페임 게임

2014
파일:가와사키시 시장.svg 플레이 앤 리얼

2015
벨루프

2016
프로펫

2017
코마노 임펄스

2018
제네랄레 우노

2019
라스트 드래프트
2020
크리스탈 블랙
2021
그라티아스 >

2022
오냥코퐁

2023
솔 오리엔스


파일:일본중앙경마회 흰색 로고.svg '''[[필리즈 레뷔|{{{#fff 필리즈 레뷔

()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
[ 펼치기 · 접기 ]
1967
야마핏
1968
파인 로즈 >

1969
히데 코토부키
1970
타마미
1971 에리모 제니

1972
신모에다케

1973
닛토 치도리

1974
에비스 올

1975
테스코 가비

1976
스카시 솔론

1977
다이와 테스코

1978
산엠 조 오

1979
시 버드 파크
1980
샤다이 댄서
1981
브로케이드 >

1982
츠키마리

1983
다스 게니
그레이드제 도입, 중앙 G2 지정 후
1984
다이와 슈가
1985
에레부스 >

1986
메지로 라모누

1987
코세이

1988
스칼렛 리본

1989
코쿠사이 리베
1990
에이신 서니
1991
이소노 루블 >

1992
디스코 홀

1993
야마히사 로렐

1994
골든 잭

1995
파일:기후현 문장.svg 라이덴 리더

1996
리틀 오드리

1997
쿄에이 마치

1998
맥스 캔 두

1999
후사이치 에어데일
2000
사이코 키라라
2001
로즈버드 >

2002
석세스 뷰티

2003
야마카츠 릴리

2004
무브 오브 선데이

2005
라인 크라프트

2006
다이와 패션

2007
애스턴 마짱

2008
마이네 레첼

2009
원 캐럿
국제 G2 지정 후
2010
사운드 배리어
2011
프렌치 캑터스 >

2012
아임 유어스

2013
메이쇼 맘보

2014
벨칸토

2015
퀸즈 링

2016
솔베이그

2017
카라쿠레나이

2018
리버티 하이츠

2019
노 원 · 푸르빌동착
2020
에포스
2021
시게루 핑크 루비 >

2022
서블라임 앤섬

2023
싱 댓 송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1:39:40에 나무위키 테스코 가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