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성(1890)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부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신익희 김약수 윤치영김동원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제2대 국회|{{{-2 {{{#fff 제2대

]]
장택상 김동성조봉암조봉암윤치영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
최순주 조경규곽상훈조경규황성수 이재학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재학한희석 임철호김도연이재형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이영준서민호소선규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
나용균장경순이상철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제7대 국회|{{{-2 {{{#fff 제7대

]]
윤제술장경순정성태
제8대
장경순정해영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제9대 국회|{{{-2 {{{#fff 제9대

]]
김진만이철승구태회이민우
제10대
민관식고흥문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채문식김은하윤길중고재청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
최영철김녹영 조연하공석장성만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노승환김재광김재광조윤형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황낙주허경만이춘구 이한동홍영기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오세응김영배신상우김봉호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홍사덕 김종하김종호김태식조부영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김덕규박희태이용희이상득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이윤성문희상정의화홍재형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이병석박병석정갑윤이석현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심재철박주선이주영주승용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김상희정진석김영주정진석 정우택

역대 국회의장



김동성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제헌-5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기도 개성시)
초대
이성득
2대
김동성
개성시 북한 편입 및 선거구 소멸




[ 펼치기 · 접기 ]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서상국김동성임병직서민호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이홍직서민호선우인서전의용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김종락임광정최인철김종락
제13대제14대제15대제16대
최인철이현태정몽윤고익동
제17·18대제19대제20대제21대
이내흔민경훈강승규이병석
제22대제23대
박상희김응용이종훈



대한민국 제2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김동성
金東成 | Kim Dong-sung
파일:김동성 부의장.png
출생1890년 4월 25일
경기도 개성유수부 (現 개성시)
사망1969년 8월 22일 (향년 79세)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1가 56-1#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혜화로3길 36)
묘소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
천리구(千里駒)[1]
재임기간초대 공보처장
1948년 8월 4일 ~ 1949년 6월 3일
제2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52년 5월 8일 ~ 1952년 6월 19일
제7대 민의원사무총장
1960년 10월 18일 ~ 1961년 6월 10일
[ 펼치기 · 접기 ]
자녀슬하 1남 3녀
(아들 김풍열, 딸 김옥렬)
학력관립영어학교 (졸업)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신문학 / 학사)
의원 선수1
의원 대수2
경력조선일보 편집국장
합동통신 사장
초대 공보처장
제2대 국회의원 (경기도 개성시)
제7대 국회사무총장
민주공화당 중아상임위원

1. 개요
2. 생애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언론인, 정치인. 만화가. 의외로 한국 만화 초창기에 큰 역할을 했던 인물로 안재홍, 박근혜, 민병두와 더불어 만화계와 관련이 있는 정치인이다.

약력과 주요 저술


2. 생애[편집]


1890년 경기도 개성유수부에서 태어났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신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미국 유학 중에 절정기에 달한 미국 만화에 영향을 받아 만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귀국 후 김성수 등과 동아일보 창간에 참여하였으며 동아일보에서 국내 최초의 4컷 만화 그림이야기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조선일보에서 편집국장으로 근무하였다.

8.15 광복 이후 합동통신을 설립하여 사장을 역임하였다. 1948년부터 1949년까지 초대 공보처장을 역임하였고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경기도 개성시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임기 중인 1952년 5월부터 6월까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였다.

1960년부터 1961년까지 민의원사무총장을 역임하였다.

박정희 정권 때에는 민주공화당 중앙상임위원을 역임하였다.

김옥렬은 제10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제3기 국회의원을 역임하였다.

1969년에 서울 종로구 명륜동 자택에서 노환으로 사망했으며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관산리 (現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관산동)에 안장되었다.


3.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김동성(동명이인) 문서의 r1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김동성(동명이인) 문서의 r1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03:48:28에 나무위키 김동성(1890)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필명도 동일하게 천리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