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채정

덤프버전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장

[ 펼치기 · 접기 ]
제헌
[[제2대 국회|{{{-2 {{{#FFF 제2대

전·후
]]
[[제3대 국회|{{{-2 {{{#FFF 제3대

전·후
]]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이승만 신익희
신익희
이기붕
이기붕 곽상훈
[[제4대 국회|{{{-2 {{{#FFF 제4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5대 국회|{{{-2 {{{#FFF 제5대

]]
[[제6대 국회|{{{-2 {{{#FFF 제6대

전·후
]]·[[제7대 국회|{{{-2 {{{#FFF 제7대

전·후
]]
곽상훈
백낙준
이효상
제8대
[[제9대 국회|{{{-2 {{{#FFF 제9대

전·후
]]
제10대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백두진
정일권
백두진
정래혁
[[제11대 국회|{{{-2 {{{#FFF 제11대

]]
[[제12대 국회|{{{-2 {{{#FFF 제12대

전·후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제13대 국회|{{{-2 {{{#FFF 제13대

]]
채문식
이재형
김재순
박준규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4대 국회|{{{-2 {{{#FFF 제14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제15대 국회|{{{-2 {{{#FFF 제15대

]]
박준규 이만섭
황낙주
김수한
박준규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6대 국회|{{{-2 {{{#FFF 제16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제17대 국회|{{{-2 {{{#000 제17대

]]
이만섭
박관용
김원기
임채정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8대 국회|{{{-2 {{{#FFF 제18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제19대 국회|{{{-2 {{{#FFF 제19대

]]
김형오
박희태
강창희
정의화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0대 국회|{{{-2 {{{#FFF 제20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제21대 국회|{{{-2 {{{#FFF 제21대

]]
정세균
문희상
박병석
김진표

국회부의장 · 임시의정원 의장



임채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을)
제13대
김용채

제14-16대
임채정


선거구 분리
우원식[1]
임채정[2]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병)
선거구 신설
임채정[3]

제17대
임채정


제18대
홍정욱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장
제15대 전반기
김중위

제15대 후반기
임채정


제15대 후반기
안동선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남북관계발전지원특별위원장
신설

제16대 전반기
임채정


제16대 후반기
김옥두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장
제16대 후반기
서정화

제17대 전반기
임채정


제17대 후반기
김원웅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svg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제4대
장영철

제5대
임채정


당명 변경
(새천년민주당으로 당명 변경.)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svg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정책위원회 의장
제7대
박병윤

제8대
임채정


제9대
정세균









대한민국 제17대 후반기 국회의장
임채정
林采正 | Lim Chae-jung


파일:Remini20211111143648386.jpg

출생
1941년 5월 14일 (82세)
전라남도 나주군 다시면 신풍리#
(現 전라남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1]
본관
나주 임씨[2]
현직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한국기원 총재
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공동위원장
재임기간
제17대 후반기 국회의장
2006년 6월 19일 ~ 2008년 5월 29일

[ 펼치기 · 접기 ]
부모
아버지 임광택, 어머니 양경자
형제자매
3남 2녀 중 장남
배우자
기영남
자녀
2남
학력
광주서중학교 (졸업)
광주제일고등학교 (졸업 / 34회)
고려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병역
면제 (고령)
소속 정당

의원 선수
4
의원 대수
14, 15, 16, 17
약력
동아일보 기자
민통련 상임위원장 및 사무처장
평화민주당 중앙정치연수원장
민주당 당무위원
제14대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을 / 민주당)
새정치국민회의 창당기획단장
제15대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을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통일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세분석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홍보위원장
제15대 국회 후반기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정치국민회의 정책위원회 의장
제16대 국회 전반기 남북관계발전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
새천년민주당 정책위원회 의장
제16대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을 / 새천년민주당)
새천년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장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위원장
제17대 국회의원 (서울 노원구 병 / 열린우리당)
제17대 국회 전반기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장
열린우리당 기획전략자문위원장
열린우리당 중앙위원
열린우리당 열린정책연구원 원장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제17대 국회 후반기 국회의장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
민주당 상임고문
새정치민주연합 상임고문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한국기원 총재
제21대 국회 국민통합위원회 공동위원장

1. 개요
2. 생애
2.1. 정치 활동
3. 여담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정치인.


2. 생애[편집]


1941년 5월 14일 전라남도 나주군 다시면 신풍리(현 나주시 다시면 회진리)에서 전남대학교 법과대학장을 지낸 아버지 임광택(林光澤)과 어머니 제주 양씨 양경자(梁敬子) 사이의 3남 2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광주제일고등학교(34회)[3],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였다. 이후 1969년부터 1975년까지 동아일보 기자로 근무하였다. 1975년 박정희 정권의 동아일보 광고 탄압에 대항하여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를 조직하고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다 해직당하였다.

1979년 YWCA 위장결혼식 사건에 참석하였다가 국군보안사령부에 끌려가 고문당하였다. 이후로도 재야에서 민주화운동에 참여하였다.

1988년 다른 재야인사인 박영숙, 문동환 등과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 그리고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노원구 을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주공화당 김용채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다. 처음에는 낙선으로 개표되었으나 소송을 제기하였고 재검표 끝에 민주자유당 김용채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당시 중앙일보 기사를 보면 임채정의 표 100표를 통째로 김용채 후보의 표로 집계했다고 한다. (하필 군부재자 투표함 쪽이었다는 건 숨은 함정.)[4]

이후 같은 지역구에서 제15대, 16대, 17대 국회의원(새정치국민회의, 새천년민주당, 열린우리당)으로 더 당선되었다.[5]

제17대 국회 전반기인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대한민국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2005년 열린우리당 당의장을 역임하였다.

제17대 국회 후반기인 2006년부터 2008년까지 국회의장을 역임하였다. 재야출신으로서 첫 입법부 수장이 되었으며, 역대 의장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4선이라는 선수(選數)[6]+서울이 지역구인 약한 지역기반에도 불구, 열린우리당 내 지지에 힘입어 국회의원으로서는 `정상'의 자리에 올랐다.[7]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는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노원(병) 선거구에는 한나라당 홍정욱진보신당 노회찬이 출마하여 대결하였는데, 한나라당 홍정욱이 승리하여 임채정의 후임자가 되었다.

국회의장으로서 당적이 없는 기간에 열린우리당대통합민주신당을 거쳐 통합민주당이 되어서 17대 국회의원의 임기를 마친 뒤에 통합민주당으로 당적을 회복했다.

2019년 5월 27일에 한국기원 총재로 추대되어 29일에 취임했다. 아마 5단으로 바둑에 대해 굉장히 관심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20년 7월 연임이 확정되어 21대 한국기원 총재직을 수행하게 되었다. 임기는 2024년 7월까지이다.#


2.1. 정치 활동[편집]


동아일보 해직 기자 출신으로 재야운동에 매진했다.

1975년 자유언론수호투쟁으로 해직된 이후 민통련 사무처장 등 재야운동에 투신했다가, 13대 대선 당시 김대중(金大中) 후보에 대한 `비판적 지지' 입장을 표명하면서 평화민주당에 입당했다.

당내 실세그룹인 동교동계와 소원해 당직 운이 그다지 없었지만, 1997년 탁월한 정세판단 감각을 인정받아 국민회의 정세분석위원장을 맡으면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후 2000년 민주당 국가전략연구소장, 2002년 제16대 대통령 선거 당시 민주당 정책선거특별본부장 등 요직을 섭렵했다. 2002년 대선 이후에는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참여정부 각종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산파역을 맡기도 했다.

열린우리당이 계파대립 등으로 어려운 상황에 처할 때마다 당의 `부름'을 받고 위기관리에 나서 '구원투수'라는 별명을 얻었다. 재야에 뿌리를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혁성과 실용주의를 적절히 가미한 `합리적' 리더십이 당내의 폭넓은 신망을 얻게한 요인으로 지적된다. 2005년 1월 당 지도부가 4대 개혁입법의 국회 통과 실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을 때 거의 모든 계파의 추대를 받아 임시의장직을 맡다가 후반기 국회의장을 맡은 것은 그의 단면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2005년 열린우리당 기획전략자문위원장과 열린정책연구원장 등 기획 및 정책분야에서 주로 활약했다.

2006년부터는 국회의장을 맡았다. 수도권 지역구, 4선 의원으로선 이례적이었다는 평.[8]


3. 여담[편집]


  • 머리가 좋고, 정세 판단과 정책 개발을 잘 했으며[9], 선거 전략을 아주 잘 짰다고 한다. 열린우리당 내에서 이해찬 의원과 더불어 최고의 전략가로 꼽혔는데, 임채정 의원과 이해찬 의원 두 사람이 마주 앉아 바둑이나 장기를 두고 있을 때면, 마치 제갈량방통이 마주 앉아 있는 듯한 포스를 풍겼다고 한다.

  • 나이에 비해 목소리가 상당히 젊다.

  • 의외로 직설적인 면도 있었다고 한다. 1996년 15대 총선새정치국민회의의 참패로 끝나자, 본인 당선에도 불구 "축하는 무슨, 당이 이렇게 됐는데..."라며 아쉬워 했다고. 본인도 사실 삼파전 구도에서 33.25%로 아슬아슬하게 당선되기도 했다.

  • 우원식노원구 을 국회의원이 본인이 초선 국회의원 시절에 보좌관 이었으며 본인 지구당 조직에 속했고 본인 국회의원 지역구 관할 서울특별시의원을 역임하였고, 2004년 총선당시 노원구가 인구증가로 선거구가 3개로 늘어나자, 본인은 신설 지역구인 노원구 병 지역에 출마해 당선되었고 우원식은 과거 선거구 분리 전에 본인이 내리 3선 했던 노원구 을 지역에 출마해 당선되어 같이 국회에서 일하였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8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노원 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30,346 (29.99%)
낙선 (2위)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40,601 (32.96%)[10]
당선(1위)
초선[11]
1996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41,615 (33.25%)
재선
2000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47,815 (41.11%)
3선[12]
200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 노원 병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44,923 (45.21%)
4선[13]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임채정_평민당_13.jpg
파일:임채정_민주당_14.jpg
13대 총선 (서울 노원구 을)
14대 총선[1] (서울 노원구 을)
파일:임채정_새정치국민회의_15.jpg
파일:임채정_새천년_16.jpg
15대 총선 (서울 노원구 을)
16대 총선 (서울 노원구 을)
파일:임채정_열린우리당_17.jpg

17대 총선 (서울 노원구 병)




5. 소속 정당[편집]


소속
기간
비고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1988 - 1991
정계 입문

[[신민주연합당|
파일:신민주연합당 글자.svg
]]

1991
당명 변경

[[무소속|
무소속
]]

1991
탈당

파일:민주당(1991) 글자.svg

1991 - 1995
입당

[[무소속|
무소속
]]

1995
탈당[14]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1995 - 2000
창당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2000 - 2003
합당[15]

[[무소속|
무소속
]]

2003
탈당[16]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003 - 2006
창당

[[무소속|
무소속
]]

2006 - 2008
탈당[17]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복당
정계 은퇴

[[민주당(2008년)|
파일: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08 - 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2011 - 2013
합당[18]

[[민주당(2013년)|
파일:민주당(2013년) 흰색 로고타입.svg
]]

2013 - 2014
당명 변경

2014 - 2015
합당[19]

2015 - 현재
당명 변경


6. 둘러보기[편집]









[1] 인근의 가운리와 함께 나주 임씨 집성촌이다. 임인채 전 국회의원도 이 마을 출신이다.[2] 절도공파 31세 채(采) 동(東) 근(根) 항렬.[3] 이용훈대법원장과 고교 동기다.[4] 더 웃기게도 이후 김용채는 자민련에 몸담으면서, DJP 연합에 따라 임채정과 같은 연립정부 측에 속하게 되며, 자민련-국민회의 연합공천으로 노원구청장에도 당선된다(…)[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의 경우 노원(을)이 아니라 신생지역구 노원(병)에 출마하였다.[6] 4선 의원을 국회의장으로 추대해야 할 정도로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선수가 낮았다는 얘기이다. [7] 4선 국회의장 등극은 1983년 채문식(蔡汶植.11대) 의장 이후 23년 만이다. 또 언론인 출신으로는 채 의장과 이만섭(李萬燮) 의장, 김원기(金元基) 의장에 이어 네 번째다. 특히 임 의장은 이만섭 의장과 김원기 의장과 같은 동아일보 출신이라는 점에서 특정 신문사 출신이 국회의장을 3번이나 연달아 차지하는 진기록도 세우게 됐다. 여담으로 임채정 의장이 퇴임하고 의사봉을 넘겨받은 김형오 의장도 동아일보 기자 출신이라 전현직 국회의장 4명이 모두 동아일보 출신인 진귀한 기록이 세워졌다. 이 기록은 18대 국회 후반기에 검사장 출신인 박희태 의장이 의사봉을 넘겨받으면서 깨지게 되었다. 재밌는건 박희태 의장은 공천 탈락 이후 2009년 재보궐선거에서 지역구를 옮겨 당선된 사람이라서 유일무이한 재보궐선거 출신 국회의장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8]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수도권 의석 절대다수를 쓸어가며 원내 1당이 된 제20대 국회부터는 수도권 출신 의장이 많이 나오고 있다. 20대 국회 전반기 정세균(종로) 의장부터는 박병석(대전 서 갑)의장을 제외하면 수도권 출신이 의장직을 계속 맡고 있고, 제21대 국회 후반기때 4선 중진인 우상호(서대문 갑)가 국회의장직에 도전한 사례도 있었다.[9] 그의 지역구에서 그 뒤로 처음 민주당으로 당선된 김성환 의원도 정책을 잘 짜, 참여정부 정책조정비서관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10] 출처는 당시 중앙일보 기사다. 중앙선관위 역대선거정보시스템에서는 재검표 결과가 반영되어 있지 않다.[11] 1992.9.8 대법원 재검표 결과 당선으로 번복
1995.8.10 민주당 탈당
1995.9.5 새정치국민회의 입당
[12] 2003년 탈당
열린우리당 입당
[13] 후반기 국회의장 [14]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15]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16]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17] 국회의장 취임으로 인한 자동 탈당.[18]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19]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