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292호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平昌 上院寺 重創勸善文


소재지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로 176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필사본 / 사본류
수량/면적
2첩
지정연도
1997년 1월 1일
제작시기
조선 세조 9년(1464)


파일:상원사 중창권선문 내 세조어첩.jpg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 개요
2. 내용
3. 보다 이른 시기의 한글 친필 발견
4. 외부 링크
5. 국보 제292호



1. 개요[편집]


平昌 上院寺 重創勸善文. 조선 세조 10년(1464)에 당대의 고승인 신미대사, 학열대사, 학조대사 세 명이 세조를 위하여 오대산 상원사를 중수하며 지은 글.

현재 월정사 성보박물관에 소장되었고 1997년 국보 제292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편집]


신미대사는 세종 대의 고승으로 문종으로부터 혜각존자(慧覺尊者)라는 칭호를 받았다. 학열대사는 세조가 만든 불경 번역 기관인 간경도감을 지휘하며 불경을 훈민정음으로 번역, 전국에 널리 반포하였으며, 학조대사는 직지사의 주지로 역시 수많은 불경을 국어로 번역, 간행하였다.

이들 고승 세 명이 세조의 만수무강을 빌고자 상원사를 중창하면서 중창권선문을 지었다. 세조가 이 소식을 듣고 , 무명, 베와 등을 보내면서 직접 친필로 쓴 상원사 어첩(御牒)을 전했는데, 중창권선문과 함께 월정사에서 소장 중이다.

중창권선문은 한자 원문과 한글 번역이 함께 있는데, 한글 번역본은 손글씨 한글 문서 중에서는 매우 초창기 것이라 의미가 크다. 중창권선문의 한글 번역문은 손으로 쓴 한글문서 중에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라 알려졌지만, 2015년 원각사 소장 능엄경언해에서 세조 7년(1461)에 쓴 손글씨 한글이 나와 '가장 오래된 손글씨 한글'에서 밀려났다.

중창권선문에는 신미, 학열, 학조의 친필서명뿐만 아니라 세조와 세자빈, 왕세자의 수결과 도장까지 찍혔으므로, 세조 때 조선왕실의 불교 문화 포용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또한 한글을 직접 쓴 당대 필사본 중 매우 초장기 문서로 한글 창제 극초기의 국문학 연구에도 중요한 사료이다.


3. 보다 이른 시기의 한글 친필 발견[편집]





국보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은 사람이 직접 쓴 한글 손글씨로는 가장 오래되었다고 알려졌었다. 그러나 2015년 12월에 경기도 일산 원각사에 소장된 능엄경 책자에서 세조 8년(1462)에 세조의 명으로 간행되는 능엄경언해 제작 추진 과정에서 당시 사람들이 한글에 대해 연구하며 써내려간 한글 필체들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중창권선문보다 보다 이전에 만들어진 최초의 한글 글씨체가 세상에 모습을 드러났다. 이후 연구 결과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보다 3년 빠른 세조 7년(1461)에 썼다고 확인되었다.


4. 외부 링크[편집]




5. 국보 제292호[편집]



세조 10년(1464) 세조의 왕사인 혜각존자 신미 등이 학열, 학조 등과 함께 임금의 만수무강을 빌고자 상원사를 새롭게 단장하면서 지은 글로, 이 사실을 전해들은 세조가 쌀, 무명, 베와 철 등을 보내면서 쓴 글과 함께 월정사에 소장되어 전한다.

각각 한문 원문과 번역으로 되어 있는데, 신미 등이 쓴 글에는 신미, 학열, 학조 등의 수결(지금은 서명)이 있으며, 세조가 보낸 글에는 세조와 세자빈, 왕세자의 수결과 도장이 찍혀 있다. 한글로 번역된 것은 가장 오래된 필사본으로 유명하다.

세조와 상원사 및 신미와의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역사적 자료이며, 당시의 국문학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가장 오래된 한글 서적이면서도 보존 상태가 완벽하여 1996년 11월 28일 보물 제140호에서 국보 제292호가 되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25:38에 나무위키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