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39호
김홍도 필 군선도 병풍
金弘道 筆 群仙圖 屛風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장신구
수량/면적
8연폭
지정연도
1971년 12월 21일
제작시기
조선시대(1776년)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39호


1. 개요[편집]


金弘道筆 群仙圖 屛風.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가 그린 군선도병(群仙圖屛) 8첩 병풍. 현재 삼성미술관 리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국보 제139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편집]


132.8㎝, 575.8㎝. 조선 후기의 대표 화가인 단원 김홍도가 그린 도석인물화로, 조선 영조 52년인 1776년에 그린 그림이다. 노자, 동방삭, 마고도교적 인물들을 상상하여 그린 것이다.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5.jpg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2.jpg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3.jpg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4.jpg
파일: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jpg


1971년 12월 21일에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으며, 우리나라의 도석인물화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139호[편집]



조선 후기 화가인 단원 김홍도(1745년 ∼ 1806년)가 그린 도석인물화이다. 도석인물화란 불교나 도교에 관계된 초자연적인 인물상을 표현한 그림이다.

이 그림은 원래는 8폭의 연결된 병풍그림이었으나 지금은 8폭이 3개의 족자로 분리되어 있다. 이 그림은 모두 연결한 상태에서 가로 575.8㎝, 세로 132.8㎝의 크기이며, 그것이 분리된 3개의 족자는 가로 48.8㎝, 세로 28㎝ 내외이다. 종이 바탕에 먹을 주로 사용하고 청색, 갈색, 주홍색 등을 곁들여 채색하였다. 여기서 묘사된 신선들의 명칭을 단정할 수는 없지만 오른쪽에 외뿔소를 타고 도덕경을 들고 있는 노자를 선두로 복숭아를 든 동방삭 등의 신선들과 동자들이 모두 3무리로 나뉘어 있다. 인물들의 시선과 옷자락이 모두 왼쪽을 향하고 있고 그 방향으로 갈수록 인물의 수를 점차 줄어들게 하여 화면의 전개와 보는 이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다. 인물의 윤곽을 굵은 먹선으로 빠르고 활달하게 묘사한 뒤 얼굴과 손, 물건들은 가는 붓으로 섬세하게 처리하여 인물들의 표정을 살렸다.

아무런 배경 없이 인물을 나열한 구성과 감정이 살아 있는 듯한 인물들의 묘사, 그리고 얼굴의 둥근 눈매 등은 그의 풍속인물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특징이다. 비록 화본에 따라 그렸으나 호방한 필치로 독특한 인물 묘사를 한 작품이다. 이러한 그의 화풍은 후에 김득신, 이명기 등으로 이어져 조선 후기 신선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6:21:59에 나무위키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