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면 청동로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45호
귀면 청동로
鬼面 靑銅爐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청동용구
수량/면적
1개
지정연도
1972년 6월 24일
제작시기
고려
1. 개요
2. 국보 제145호


파일:귀면 청동로.jpg

1. 개요[편집]


고려 시대 도꺠비 모양의 청동로.

실업가 남궁련 씨가 기증한 청동제 화로로, 귀면의 입은 산소 공급을 위해 뚫려있고, 다리에는 괴수 얼굴들이 조각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푸른 녹이 슬어 있다.

보존 상태는 매우 양호하나, 불덩이를 받쳤던 불판과 손잡이는 없어졌다.

그릇의 모양은 향로와 비슷하나, 구조상 풍로[1]나 다로[2]로 생각된다.

1972년 6월 24일 국보 제 145호로 지정되었다.

2. 국보 제145호[편집]


귀면청동로는 높이 12.9㎝로 솥 모양의 몸체(훈구부)를 받침부(기대부)가 받치고 있는 모습이며, 몸체에 도깨비 얼굴을 형상화시켜 놓았다.

몸체의 윗부분인 구연부에는 3개의 굴곡진 산형(山形)으로 처리되었고 삼각형 모양이 솟아 있고, 몸체 양 측면에는 각각 2개의 고리가 달려 있다. 그 고리에 손잡이 장식을 달았던 것으로 보이는데,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몸체의 아랫부분은 밑으로 가면서 잘록해지면서 받침부와 연결되었는데, 잘록한 부분에는 도깨비 얼굴을 크게 새기고, 입을 뚫어서 내부로 관통되도록 만들었다. 받침부 밑에는 괴수형의 얼굴로 조각된 3개의 다리가 붙어 있다. 외형은 거의 완전한 상태로 남아 있으나 솥 안쪽에 불덩이를 받쳤던 불 받침판이 없어졌다.

외형은 향로와 비슷하지만 몸체에 바람이 들어가는 통풍구를 뚫은 점에서 풍로나 다로(茶爐)로 사용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0:18:04에 나무위키 귀면 청동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래에 바람구멍을 내어 불이 잘 붙게 한 화로.[2] 차를 끓일 때 쓰는 화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