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덤프버전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51~1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01~1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151~2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01~25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251~300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301~336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 번호 없음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49-1호[A]
대한민국 국보 제149-2호[B]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간송미술관 (성북동,간송미술관)[A]
서울특별시 중구[B]
분류
기록유산 / 전적류 / 활자본 / 금속활자본
수량/면적
2책[A]
1책[B]
지정연도
1973년 7월 10일
제작시기
조선 태종 연간

파일:국보149-2호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권6.jpg

1. 개요
2. 내용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49-1호[A]
5. 국보 제149-2호[B]


1. 개요[편집]


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조선 태종 12년인 1412년에 태종의 명으로 중국 송나라의 여조겸(呂祖謙)이 지은 교편(校編)을 계미자(癸未字)로 인쇄한 책.

현재 간송미술관과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각각 대한민국 국보 제149호-1호와 제149-2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편집]


중국 송나라의 학자 여조겸(呂祖謙)이 저술한 교편(校編)인 북사상절(北史詳節)을 조선 태종 재위 시기인 1403년에 태종의 명으로 인쇄한 것이다.

계미자는 태종 3년인 1403년에 만들어진 한국의 금속활자로 사용했던 기간이 매우 짧아 전해지는 책이 희귀하다.

이 책은 조선 태종 시기의 인쇄술을 연구하는데 있어 귀중한 자료이다. 또한 태종 대에 융성했던 우리나라의 중국문헌 교육활동과 중국문화 유행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다. 1973년에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편집]




4. 국보 제149-1호[A][편집]



이 책은 송나라 여조겸의 교편(校編)이며,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여 태종년간에 간행한 것이다. 계미자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글자주조술과 조판술의 발달사연구에 귀중한 자료인데 사용했던 기간이 짧아 전해지는 본이 희귀하다.

구성을 보면 권4는 2∼29장으로 구성되었으나 1장이 결락되어 28장만 남아있으며, 권5는 1∼19장 모두 현재 전하고 있다. 책의 상태를 보면 습기로 인해 표지가 퇴색했으며, 문자가 보이지 않는 곳도 있다. 책의 앞뒤의 염황색 표지를 대어 염청색의 면으로 보강하였다. 책의 크기는 가로 10.7㎝, 세로 29.7㎝이다.

계미자를 사용한 다른 유물들보다 인쇄상태가 정교하고 선명하다. 이 책은 계미자를 이용하여 간행되었다는 점과 고려, 조선시대 활자체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5. 국보 제149-2호[B][편집]



이 책은 송나라 여조겸의 교편(校編)이며, 조선 태종 3년(1403)에 주조한 동활자인 계미자를 사용하여 태종년간에 간행한 것이다. 계미자는 고려와 조선시대의 글자주조술과 조판술의 발달사연구에 귀중한 자료인데 사용했던 기간이 짧아 전해지는 본이 희귀하다.

구성을 보면 1책으로 1∼32장으로 구성되었으나 31장이 결락되어 31장만 남아있다. 책의 상태를 보면 습기로 인해 표지가 퇴색했으며, 문자가 보이지 않는 곳도 있다. 책의 앞뒤에 염황색 표지를 대어 염청색의 면으로 보강하였다. 이 책은 권4, 5에 비해 보관상태가 양호한 편이다.

계미자를 사용한 다른 유물들보다 인쇄상태가 정교하고 선명하다. 이 책은 계미자를 이용하여 간행되었다는 점과 고려, 조선시대 활자체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0:56:50에 나무위키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A B C D E 간송미술관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卷四, 五)'[B] A B C D E 성암고서박물관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東萊先生校正北史詳節 卷六)'